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nalysis of the Effects of Job Policy Measures in Korea: Do the job policy measures impact the marriage and fertility of the youth in Korea?

        강창익,임경은,Junghak Kim 충남대학교 아시아여론연구소 2022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Vol.1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youth job policy measures, set forth in Korea's 2016-2020 Third Basic Plan for Low Fertility and Aging Society (December 2015), on marriage and fertility among young people. Based on the results, we provide theoretical explanations for the findings and suggest policy alternatives to overcome the low fertility phenomenon in Korea.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employment is an important factor for marriage among youth, and a job policy could increase marriage and fertility rates. To test this assumption, we performed an exact matching between Statistics Korea’s Employee-Enterprise Linkage DB and the Newlyweds DB from 2011 to 2019, in orderto identify all young people aged 15-34. Then, linear splin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youth job policy on marriage and fertility. Comparing the period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the employment policy (2011-2015) and after (2016-2019), the fertility rate increased as the number of young people looking for work increas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se impacts were greater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measures (2016-2019) than before (2011-2015).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job growth among young people did not lead to an increase in marriage. However, the number of births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young people who occupy jobs got married, which seems to be related to the delay in marriage among young people who are employed. Survey results about the intentions to marry and views on fertility are utilized for the explanation of the study results.

      • KCI등재

        미래통계청: 국가통계거버넌스의 독립적 위상과 ‘통계기반정책분석’ 기관으로의 재창조

        강창익,심광호,이철주 통계청 2022 통계연구 Vol.27 No.1

        This study empirically recognizes that the current national statistical governance system in Korea has not prepared to effectively lead evidence-based policies through national statistics as well as administrative data and other information. The implementation of “Statistics-based policy” is proposed as a conceptual model of the Future Statistics Korea for the purpose and management of statistically-based policy outcomes and to respond to the demands of various statistics required by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vidence of statistics should be induced by judging and analyzing how various statistical information affects the policy performance of government and public agency. In addition, ‘National Statistics Governance’ needs to be discussed anew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public policy in South Korean government. It is suggested that the “Ministry of National Statistics” and “National Statistics Performance Committee” be established as the National Statistics Authority in the National Statistics Governance of South Korea. For this purpose, we propose the establishment of a “Statistics-Based Policy Performance Analysis Institution”, Statistics-based Performance Management Officer”, and “Statistical Performance Analysis Platform” as various institutional elements. 본 연구는 현재 한국의 국가통계거버넌스 체계가 국가통계는 물론 행정자료 및 데이터 등을 통해 증거기반정책을 효과적으로 이끌도록 마련되어 있지 못하다는 경험적 인식하에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요구하는 다양한 통계의 수요에 대응하고, 통계를 기반으로 한 정책성과의 지향 및 관리를 위한 미래통계청의 개념적 모델로 “통계기반정책”의 구현을 제안하였다. 또한, 다양한 통계적 정보가 정부 및 공공기관의 정책적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판단하고 분석하여, 통계의 증거화를 유도하고, 이를 통해 해당 정책 등의 성과를 개선하도록 ‘국가통계거버넌스(National Statistics Governance)’를 새롭게 논의할 필요가 있으며, 국가통계거버넌스의 국가통계당국(National Statistics Authority)으로서 “(가칭)국가통계부” 및 “(가칭)국가통계성과위원회”의 설치를 건의하며, 이를 위한 제반 제도적 요소로 “통계기반정책성과분석기구”, “통계성과담당관”, “통계성과분석플랫폼”의 구축을 제안한다.

      • KCI등재

        HAPC 분석을 활용한 가구소득 결정요인 분석

        강창익,임경은,김정학 통계청 2023 통계연구 Vol.28 No.1

        The SFLC publishes comprehensive statistics on household assets, liabilities, income and expenses. Among these statistics, income and non-consumption expenditure are supplemented with administrative data and provided as household microdata and income distribution index microdata respectively. From this year, household income data for 10 years, supplemented with administrative data, can be used through the income distribution index microdata.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usehold income determinants using HAPC analysis. After assuming the cohort and period as fixed and random effects, we analyzed the income distribution index microdat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distribution of household income was concave according to the age of the head of the household. And we got to know that household income was high in those who had a spouse and (grand) children and had a high level of education, and whose job statuses were regular employees.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household current income, market income, and disposable income as dependent variables, it was found that income-related policy effects were large when the head of the household was female, elderly, when he(or she) had no spouse, no (grand) children, and when his( or her) level of education was low.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에서는 가구의 자산, 부채, 소득 및 지출에 관한 종합적인 통계를 작성·공표하고 있다. 이 중 소득, 비소비지출 관련 통계는 행정자료로 보완하여 활용 중이며, 가구 및 소득분배지표 마이크로데이터로 각각 제공하고 있다. 2014년 이전 행정자료는 일부 항목이 불완전하여 활용에 제한이 있었으나, 통계모형 적용을 통한 추정값 작성으로 금년부터 소득분배지표 마이크로데이터를 통하여 제공하게 되었다. 이에 행정자료로 보완된 10년간의 가구 소득자료를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10년간의 가계금융복지조사 소득분배지표 마이크로데이터를 이용하여 위계적 연령-기간-코호트 분석을 통한 가구소득 결정요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은 코호트와 기간을 고정효과와 임의효과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가구소득이 가구주의 연령에 대하여 오목한 분포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우자와 (손)자녀가 있고, 교육정도가 높으며, 종업원이 있는 자영업 및 상용직에 종사하는 경우에 가구소득이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가구의 경상소득, 시장소득 및 처분가능소득을 종속변수 두고 각각 분석한 결과, 가구주가 고령이고 배우자와 (손)자녀가 없으며, 교육정도가 낮은 경우 등에 소득 관련 정책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중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학습 인식 및 전략 분석

        강창익(Kang, changik),이상칠(Lee, Sangchil),강경희(Kang, Kyunghee)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4 교육연구 Vol.59 No.-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 학습 인식 및 과학 학습 전략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또한 각 하위 요소들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중학생 139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조사에는 33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과학 흥미도 검사지를 활용하였다. 조사 결과 중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는 평균 2.85점이었고, 과학 학습 인식은 평균 2.81점, 과학 학습 전략은 평균 3.05점으로 나타났다. 과학에 대한 태도의 하위 요소 중 '도구적 동기 유발'이 평균 3.06점으로 가장 높았고, '과학에 대한 즐거움'은 평균 2.52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과학 학습 인식과 관련한 하위 요소 중 '자아개념/자신감' 평균은 2.76점으로 학생들이 과학 학습에 대한 자신감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학습 전략에 관한 하위 요소들을 비교한 결과 학생들은 정교화, 반복/암기, 통제 유형의 학습 전략을 비교적 고르게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과학에 대한 흥미와 도구적 동기 유발간에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iddle school students' science learning strategy and perception, attitude toward science. Also it was to analyze correlation among sub-components. The subjects were 139 middle school students. The science interest questionnaire consisted 33 items was used in this survey. I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mean score of attitudes toward science was 2.85 point, the mean score of science learning perception was 2.81 point, the mean score of science learning strategy was 3.05 point. The mean score of instrumental motivation was highest and the mean score of pleasure toward science was lowest in sub-components analysis of attitudes toward science. The mean score of self-concept/confidence was 2.76 point in sub-components analysis of science learning perception. This showed that students' confidence on science learning was low. The students were were used evenly elaboration, repetition/memorization, control learning strategies. In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correlation between interest and instrumental motivation was highest.

      • KCI등재
      • KCI등재

        STEAM 프로그램의 문제해결활동이 중학생의 메타인지에 미치는 영향

        강창익 ( Chang Ik Kang ),강경희(교신저자) ( Kyung Hee Kang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6 科學敎育硏究誌 Vol.4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STEAM 프로그램의 문제해결활동이 중학생들의 메타인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63명의 중학생이다. 이 연구는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로 설계되었다. 중학생들의 메타인지에 관한 사전 사후 검사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단일집단 t-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중학생들의 메타인지는 사전 사후 검사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메타인지적 지식과 메타인지적 조절에 대한 t-test 결과에서도 사전 사후 검사간 유의미한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타인지적 지식의 하위 요소에 대한 분석에서도 사전 사후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 연구에서는 메타인지하위 요소들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메타인지 하위요소들은 높은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결과는 STEAM 프로그램의 문제해결활동이 학습자의 메타인지 촉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blem solving activities of STEAM program on metacogni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 was 63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tudy was designed single group pre-posttest. A single-group t-test was performed for analyzing difference between the pre-post test on metacognition. I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on middle school students`` metacognition. Also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 metacognitive knowledge and metacognitive regulation. The analysis on the subelements of metacogni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of sub-elements of metacognition was performed in this study.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high explanatory power among metacognition subelements.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problem solving activities of STEAM program can have a positive effect in promoting metacognition. of the learner.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활동 중심 STEAM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과학 학습 흥미도에 미치는 효과

        강창익 ( Chang Ik Kang ),강경희 ( Kyung Hee Kang ),이상칠 ( Sang Chil Lee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3 科學敎育硏究誌 Vol.3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활동 중심 STEAM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과학 학습 흥미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7학년 과학반을 대상으로 적용되었다. 이 연구는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로 이루어졌다. 검사도구로는 과학학습 흥미도 검사지를 활용했다. 대응표본 t 검정 결과 과학 학습 흥미에 대한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 사이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학습 흥미도의 하위 영역인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학습 인식, 과학학습 전략면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STEAM 교육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과학 학습 흥미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임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활동 중심 STEAM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the activity based STEAM education program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developed program on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learning. The program was applied to 7th grade science club. This study was planned to single group pre-post test design. Test tool was the questionnaire of interest on science learning . In the results of t-tes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pretest and posttest of interest in science learning. Also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 attitude toward science, recognition and strategy on science learning that were subdomains of interest on science learn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activity-based STEAM educ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learning. In futu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hat examine the effect of STEAM program on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ctivity. Therefore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f activity-based STEAM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made continuous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