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간 단핵구 THP-1 세포에서 β-glucan으로 인한 TNF-α 분비 증가 효과

        금보람(Bo Ram Keum),현진이(Jin Yi Hyeon),최소희(So Hui Choe),진지영(Ji Young Jin),정지우(Ji Woo Jeong),임종민(Jong Min Lim),박동찬(Dong Chan Park),조광근(Kwang Keun Cho),최은영(Eun Young Choi),최인순(In Soon Choi) 한국생명과학회 2017 생명과학회지 Vol.27 No.11

        β-glucan은 균류의 세포벽, 귀리, 효모, 식물의 구성물질로, 면역 세포의 활성,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 항암효능과 같은 면역 체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면역계는 건강한 몸 상태의 항상성을 유지한다. 하지만, 병원성 물질이 신체 내로 들어오게 되면 면역 항상성이 무너지게 되고, 질병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β-glucan이 인간 단핵구 THP-1 세포에서 면역 조절 효과에 이용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β-glucan은 THP-1 세포에 다양한 농도를 처리하여 배양하였으며, TNF-α mRNA 발현과 단백질 수준을 Real-time PCR와 ELIS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전사 인자 NF-κB p50와 MAPKs 신호 기작 활성을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β-glucan으로 유도된 MAPKs와 NF-κB p50 활성이 증가하였다. β-glucan이 인간 단핵구 THP-1 세포에서 TNF-α 생성에 의해 면역 증강 효과를 나타내며, 이는 MAPKs와 NF-κB p50 신호 전달을 통해 나타내는 것을 제시한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는 β-glucan이 인간 단핵구 THP-1 세포를 통해 면역 체계를 향상시킬 것이라고 사료된다. β-glucan is a constituent of the cell wall of fungi, yeast and plants.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immune system such as activation of immunocyte, release of pro-inflammatory and anti-cancer effect. The immune system maintains a healthy immune homeostasis. However, when pathogenic substances enter the body, immune homeostasis can break down and disease can be triggered. Therefore, we studied a substance that regulates immune homeostasis. The purpose of the study we demonstrated whether the β-glucan can be applied to the immune-modulation effects in human monocytic THP-1 cells. β-glucan was incubated in THP-1 cells at various concentrations. The TNF-α mRNA expression and protein levels were analyzed by ELISA and Real-time PCR. Additionally, the expression of MAPKs (p38 and JNK), IκB-α and NF-κB p50 were analyzed by western blot. β-glucan enhanced the production of TNF-α mRNA expression and protein levels in human monocytic THP-1 cells. In addition, activation of MAPKs (p38 and JNK) and NF-κB p50 induced by β-glucan were increased. The study suggests that β-glucan contributes to immune-stimulation effect by production TNF-α in human monocytic THP-1 cells, and that MAPKs and NF-κB p50 are involved in the process. Synthetically, we have suggested β-glucan may be improved to immune system effect in human monocytic THP-1 cells.

      • KCI등재

        한국의 두 주요 생태계에 대한 JULES 지면 모형의 민감도 분석: 일차생산량과 생태계 호흡의 모사에 미치는 생물리모수의 영향

        장지 ( Ji Hyeon Jang ),홍진규 ( Jin Kyu Hong ),변영화 ( Young Hwa Ryun ),권효정 ( Hyo Jung Kwon ),채남이 ( Nam Yi Chae ),임종환 ( Jong Hwan Lim ),김준 ( Joon Kim ) 한국농림기상학회 2010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2 No.2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의 주요 생태계인 활엽수림과 농경지에서 지면 모형 JULES(Joint UK Land Environment Simulator)으로 모의한 총일차생산량(Gross Primary Productivity: GPP)과 생태계 호흡량(ecosystem respiration: RE)의 수치 모사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모수를 파악하였으며, 민감한 모수에 대해 실측자료를 사용함에 따른 모형 예측력의 개선 정도를 평가하였다. 민감도 실험의 결과, 활엽수림과 농경지에서 모두 JULES로 모의한 GPP는 잎 내부의 질소농도와 리불로오스이인산(RuBP) 카르복실화의 최대 속도에 가장 민감하였다. RE는 활엽수림에서는 목질부탄소량과 엽면적지수를 연결시켜주는 상수에 가장 민감하였다. 반면에 농경지에서 수치모사된 RE는 GPP와 같이 각각 잎 내부의 질소 농도와 RuBP 카르복실화의 최대 속도에 가장 민감하였다. JULES로부터 제공된 모수의 값으로 모의된 두 지역의 GPP와 RE는 모두 관측값에 비해 과대평가되었다. 특히 활엽수림에서 GPP가 가장 민감하게 반응했던 잎 질소 농도의 실제 관측값이 모형에서 사용하는 기존 설정값의 50% 이하임을 고려할 때 모형에서 설정된 모수의 값으로 탄소 순환을 수치 모사할 경우에 모수의 기존 설정값과 실제값의 차이가 모형의 과다모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수 있었다. 따라서 한반도 탄소순환의 현실적인 모의를 위해서는 모형에서 요구되는 생물리학적 정보가 한반도의 다양한 식생 기능 형태를 현실적으로 잘 반영하는지를 확인해야 할 뿐 아니라 지속적인 현장 관측을 통해서 생물리학적 정보와 관련된 자료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We conducted a sensitivity test of Joint UK Land Environment Simulator (JULES), in which the influence of biophysical parameters on the simulation of gross primary productivity (GPP) and ecosystem respiration (RE) was investigated for two typical ecosystems in Korea. For this test, we employed the whole-year observation of eddy-covariance fluxes measured in 2006 at two KoFlux sites: (1) a deciduous forest in complex terrain in Gwangneung and (2) a farmland with heterogeneous mosaic patches in Haenam. Our analysis showed that the simulated GPP was most sensitive to the maximum rate of RuBP carboxylation and leaf nitrogen concentration for both ecosystems. RE was sensitive to wood biomass parameter for the deciduous forest in Gwangneung. For the mixed farmland in Haenam, however, RE was most sensitive to the maximum rate of RuBP carboxylation and leaf nitrogen concentration like the simulated GPP. For both sites, the JULES model overestimated both GPP and RE when the default values of input parameters were adopted.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leaf nitrogen concentration observed at the deciduous forest site was only about 60% of its default value, the significant portion of the model`s overestimation can be attributed to such a discrepancy in the input parameters. Our finding demonstrates that the abovementioned key biophysical parameters of the two ecosystems should be evaluated carefully prior to any simulation and interpretation of ecosystem carbon exchange in Korea.

      • KCI등재

        아침식사량이 대사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Yun Jin Kim(김윤진),Jeong Gyu Lee(이정규),Yu-Hyeon Yi(이유),Sang-Yeoup Lee(이상엽),Dong-Wook Jung(정동욱),Seon Ki Park(박선기),Young-Hye Cho(조영혜) 한국생명과학회 2010 생명과학회지 Vol.20 No.12

        아침결식은 비만 및 대사증후군 항목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침식사량과 비만 및 대사증후군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2006년 1월부터 12월까지 부산에 소재한 한 대학병원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한 수진자 554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아침식사량에 따라 아침결식군, 소량섭취군, 중간섭취군, 과량섭취군의 4개 군으로 분류하였다. 대상자 5548명 중 959명(17.3%)이 아침식사를 하지 않는 아침결식군이었다. 아침결식군에서 일일섭취열량 및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섭취량이 가장 낮았으며, 아침식사군에서는 일일섭취열량 및 단백질, 탄수화물 섭취량이 아침식사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체질량지수(23.4 ㎏/㎡)와 허리둘레(79.6 ㎝)는 소량섭취군에서 가장 낮았다. 소량섭취군에서 중성지방, 공복혈당 및 수축기와 이완기 혈압이 가장 낮았으며,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이 가장 높았다. 대사위험요인의 수는 소량섭취군에서 가장 적었고 아침식사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사증후군의 교차비(Odds ratio=0.612)는 소량섭취군에서 가장 낮았으며, 아침식사량이 증가함에 따라 교차비도 증가했고, 아침결식군에서 과량식사군보다 교차비가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본 연구 결과 아침식사량은 대사위험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침결식은 대사위험요인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량의 아침식사가 대사위험요인에 가장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Skipping breakfast is a risk factor closely related to metabolic syndrome and obesity.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breakfast size, metabolic syndrome and obesity. The study included 5,548 adults who visited a health promotion center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from January to November of 2006. Subjec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breakfast size - skipper group (no breakfast), small intake group, medium intake group and large intake group. 959 (17.3%) of the 5548 subjects were included in the Skipper group. Intake of daily calories, proteins, carbohydrates and fats was the lowest in the Skipper group. Breakfast size increased linearly with an increased intake of daily calories, proteins, carbohydrates and fats. Body mass index (23.4 ㎏/㎡) and waist circumference (79.6 ㎝) were the lowest in the Small intake group. In the Small intake group, triglycerides, fasting plasma glucose, systolic blood pressure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were the lowest, and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s were the highest. The number of metabolic risk factors was the lowest in Small intake group. Odds ratio of metabolic syndrome (Odds ratio=0.612) was the lowest in Small intake group. Along with increasing breakfast size, the odds ratio also increased. In this study, breakfast size was found to influence metabolic risk factors. Skipping breakfast worsened metabolic risk factors, while a small breakfast size had a favorable effect on metabolic risk factors.

      • KCI등재

        입원 초기 지표를 통한 호스피스 환자의 퇴원 형태 예측

        정성인,이승훈,김윤진,이상엽,이정규,이유,조영혜,탁영진,황혜림,박은주,김경미,Chung, Sung-In,Lee, Seung Hun,Kim, Yun-Jin,Lee, Sang-Yeoup,Lee, Jeong-Gyu,Yi, Yu-Hyeon,Cho, Young-Hye,Tak, Young-Jin,Hwang, Hye-Rim,Park, Eun-Ju,Kim, Kyung-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8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21 No.3

        목적: 호스피스 완화의료에서 환자의 기대 여명 예측뿐 아니라 퇴원형태를 예측하여 적절한 치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입원 초기 환자의 퇴원 형태 예측에 유의한 요소들을 알아보고 효율적인 완화의료의 방향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2016년 4월 1일부터 2017년 12월 31일까지 P병원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말기암환자 568명 중 37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입원 시 사정한 환자의 수행 지수, 증상 및 징후, 사회 경제적 상태와 혈액검사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 입원 당시 높은 수행지수, 양호한 증상 및 징후, 정상에 가까운 혈액검사 수치를 보일 때 생존 퇴원할 가능성이 높았다. 결론: 환자의 퇴원형태 예측에 ECOG, KPS, Global health, Mental status와 같은 수행지수, dyspnea, anorexia, dysphagia, fatigue와 같은 증상 및 징후, CBC, LFT, BUN, CRP 혈액검사 수치가 유의한 지표임을 확인하였다. Purpose: To provide effective palliative care, it is important to predict not only patients' life expectancy but their discharge status at a time of inpatient admission to a hospice care facility. This study was aimed to identify meaningful life expectancy indicators that can be used to predict patients' discharge status on admission to the facility. Methods: Among 568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the hospice ward of P hospital from April 1, 2016 through December 31, 2017, 377 terminal cancer patients were selected. This retrospective cohort study was performed by using performance status, symptoms and signs, socioeconomic status, laboratory findings on admission. Results: Alive discharge was associated with a good performance status that was measured with the Karnofsky and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ECOG) scales and the Global health and Mental status. Less anorexia, dyspnea, dysphagia and fatigue were also associated with symptoms and signs. Associated laboratory findings were close to normal Complete Blood Cell (CBC) count, Liver Function Test (LFT) and Blood Urea Nitrogen (BUN).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Karnofsky Performance Status (KPS), ECOG, Global health, Mental status, anorexia, dyspnea, dysphagia, fatigue, CBC, LFT, BUN are meaningful indicators when predicting discharge status for inpatients. Further investigation is warranted.

      • KCI등재

        STOP-Bang 설문으로 평가한 폐쇄성수면무호흡증 고위험 노인의 성별, 연령 특성 및 임상 특성

        김규리(Gyu Lee Kim),김윤진(Yun Jin Kim),이정규(Jeong Gyu Lee),이유(Yu Hyeon Yi),탁영진(Young Jin Tak),이승훈(Seung Hun Lee),라영진(Young Jin Ra),이상엽(Sang Yeoup Lee),조영혜(Young Hye Cho),박은주(Eun Ju Park),이영인(Youngin Lee),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23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24 No.2

        Background: Obstructive sleep apnea (OSA) is considered to be associated with neurocognitive dysfunction, depression, quality of life and cardiovascular diseases. OSA is likely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health of older adults. This study wa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older adults with high risk for OSA according to age and gender.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adults aged 65 years or older who participated in the 8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20. Characteristics of the high-risk group for OSA were investigated using the STOP-Bang questionnaire of the KNHANES data and were compared according to gender and age. The health status, metabolic variables, concurrent disease of the high risk group wer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Results: In older adults aged 65 or older, snoring rates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ir ages increased in both sex. The high risk group had a higher rate for performing strength exercise than control group. Depression showed a higher rate in the high risk group,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the two groups. The waist circumference and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stroke, dyslipidemia, diabetes, and metabolic syndrome was higher in the high-risk OSA group. Conclusion: It is unclear whether OSA-related symptoms increase with age in older adults over 65 years of age. Waist circumference was higher in the OSA high risk group, and this study showed that the OSA high risk group may be more likely to have metabolic syndrome and cardiovascular disease.

      • KCI등재후보

        C형 간염 바이러스 RNA 유무에 따른 지질, 인슐린저항성 및 대사증후군 지표 수준의 차이

        조성환(Sung-Hwan Cho),김윤진(Yun-Jin Kim),이상엽(Sang-Yeoup Lee),조병만(Byung-Mann Cho),황혜림(Hye-Lim Hwang),이유(Yu-Hyeon Yi),조영혜(Young-Hye Cho),탁영진(Young-Jin Tak),정동욱(Dong-Wook Jeong),이승훈(Seung-Hun Lee),이정규(Jeong-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16 농촌의학·지역보건 Vol.41 No.4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성인에서 ant-HCV 양성인 군에서 HCV RNA 유무에 따른 지질, 인슐린저항성 및 대사증후군의 지표 수준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4년 1월 1일부터 2010년 12월 31일까지 부산의 일개 대학병원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하여 검사한 효소면역측정법에서 anti-HCV 양성인 수진자 중 RT-PCR을 시행한 성인 2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HCV RNA가 양성인 사람이 85명, HCV RNA가 음성인 사람이 115명, HCV RNA의 음전이 확인된 사람이 22명이었다. 허리둘레, 체질량지수, 혈압과 총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인슐린저항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나이, 성별을 보정한 후 세 군간의 콜레스테롤, 대사적 지표, 인슐린저항성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HCV RNA 양성군에서 음성군 및 음전군과 비교하여 허리둘레, 체질량지수, 혈압, 중성지방, HDL 콜레스테롤, 인슐린저항성 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HCV RNA 양성군에서 음성군에 비해 총콜레스테롤과 LDL 콜레스테롤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186.24±37.63 vs 197.22±37.23 mg/dl (mean±SD), p=0.041, 111.66±34.06 vs 121.38±35.50 mg/dl (mean±SD), p=0.042). 나이, 성별을 보정한 뒤, HCV RNA 양성군과 음성군 간에 고콜레스테롤혈증과 LDL 콜레스테롤혈증의 교차비는 0.51(95% 신뢰구간 0.28-0.94, p=0.03), 0.46(95% 신뢰구간 0.24~0.87, p=0.02)이다. HCV RNA 양성군에서 음성군에 비해 고콜레스테롤혈증, LDL 콜레스테롤혈증의 유병률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나, HCV RNA 음전군은 양성군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C형 간염과 대사증후군의 관계를 보다 정확히 규명하기 위해서는 향후 보다 대규모 집단에서 전향적인 코호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We compared the difference of lipid, insulin resistance and metabolic markers based on HCV RNA in Korean adults. Methods: This was a cross-sectional study of 222 subjects visited the health promotion center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2004 to 2007. Subjects were anti-HCV antibody positive and were performed RT-PCR for HCV RNA. The HCV RNA (+) group were 85 subjects, HCV RNA (-) control group were 115 subjects, and the HCV RNA (-) but past positive group were 22 subjects. We performed anthropometry, anti-HCV, RT-PCR, plasma concentrations of insulin,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H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 Results: BMI, waist circumference, blood pressure, fasting plasma glucose, triglyceride, HDL cholesterol, insulin resistance such as HOMA-IR and QUICKI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HCV RNA positive and negative groups. The serum total cholesterol and LDL cholesterol level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HCV RNA positive group than in the negative group (186.24±37.63 vs 197.22±37.23 mg/dl, p=0.041, 111.66±34.06 vs 121.38±35.50 mg/dl, p=0.042). After adjusting age and sex, high total cholesterol (≥ 200mg/dl) (adjusted OR=0.51, 95%CI 0.28-0.94, p=0.03) and high LDL cholesterol (≥ 130mg/dl) (adjusted OR=0.46, 95%CI 0.24~0.87, p=0.02) were inversely associated with being HCV RNA positive (p<0.05). Conclusion: The serum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level were significantly lower in HCV RNA (+) group than in HCV RNA (-) group, but not in HCV RNA (-) but past positive group. Prospective cohort studies are need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HCV RNA and metabolic markers.

      • KCI우수등재

        원저 : 호모시스테인과 대사증후군의 상관관계

        신경필 ( Kyoung Pil Shin ),이상엽 ( Sang Yeoup Lee ),김윤진 ( Yun Jin Kim ),이정규 ( Jeong Gyu Lee ),김동희 ( Dong Hee Kim ),정동욱 ( Dong Wook Jung ),이유 ( Yu Hyeon Yi ),박선기 ( Seon Ki Park ),조영혜 ( Young Hye Cho ) 대한비만학회 2011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20 No.1

        연구배경: 대사증후군은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가 군집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인슐린 저항성이 대사증후군의 주요한 병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호모시스테인은 methionine 대사과정에서 생성되는 아미노산으로 최근 인슐린 저항성과의 연관성이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둘 사이의 직접적인 연관성에 관하여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많아, 본 연구에서 대사증후군과 호모시스테인 사이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7년 1월 1일부터 2007년 12월 31일까지 일개 대학병원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한 수진자 중 20세 이상의 성인 4,488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대사증후군의 진단기준은 modified ATPIII definition을 사용하였고, 그 중 허리둘레 기준은 한국인의 기준에 따랐다. 대사증후군 유무에 따른 호모시스테인 농도의 차이, 호모시스테인의 농도 차이에 따른 대사증후군 환자 비율을 조사하여, 대사증후군과 호모시스테인의 연관성을 보고자 하였다. 결과: 혈중 호모시스테인은 대사증후군을 가진 군이 대사증후군을 가지지 않은 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여주었다(9.10 vs 7.97, P < 0.001). 호모시스테인의 농도차이에 따른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호모시스테인의 농도가 가장 낮은 4분위수와 비교하였을 때, 상위 4분위수 모두 교차비가 1.28, 1.48, 1.41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결론: 대사증후군과 호모시스테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이며, 이러한 기전을 확인하기 위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다. Background: Metabolic syndrome is a cluster of all the risk fac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s, in which insulin resistance plays a key role as the pathogenesis. Homocysteine is an amino acid that is generated during methionine metabolism. It is associated with insulin resistance. However, there is a controversy concerning the corelation between homocysteine and metabolic syndrome. This study is designed to further investigate this subject. Methods: A total of 4488 patients who were older than 20 years of age and visited the Health Promotion Center of a university affiliated hospital from Jan 1, 2007 to Dec 31, 2007 were assigned to this study. Modified ATP III definition was used for diagnosis of metabolic syndrome while Korean standard for waist circumference was used. This study tried to prove the correlation of homocysteine concentration and metabolic syndrome by using two statistical tools. The first was the comparison of homocysteine concentration between the group with and without metabolic syndrome. The second was the prevalence ratio of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the level of homocysteine concentration. Results: The group with metabolic syndrome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homocysteine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9.10 vs 7.97, P < 0.001). In comparison to the group with the lowest (< 5.90 mg/L, Q1) homocysteine level,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mong the other groups (Q2.Q3 and Q4) were significantly higher with odds ratio being 1.28, 1.48 and 1.41 for groups Q2, Q3, and Q4, respectively. Conclusion: Metabolic syndrome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 high level of homocysteine. Therefore, lowering homocysteine level may help prevent metabolic syndr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