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라산국립공원 자연자원 조사구의 토양화학적 성질 및 토양미생물 다양성 비교

        고석형 ( Suk-hyung Ko ),정민수 ( Min-soo Jeong ),현익현 ( Ik-hyun Hyun ),고정군 ( Jung-goon Koh ),신재호 ( Jae-ho Shin ) 한국환경농학회 2023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3 No.0

        본 연구는 한라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의 일환으로 2022년에 국립공원 5개소를 대상으로 탐방로(51개소)와 비탐방로(51개소) 및 해발고도별에 따른 토양화학적 성질을 파악하고 토양미생물의 다양성을 비교하여 미생물 군집 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한라산국립공원 자연자원의 효율적인 관리체계를 위한 자료를 제시함에 있다. 한라산 자연자원조사 구간인 탐방로(탐방객 출입지역)와 비탐방로(탐방객 출입제한 지역)를 대상으로 두 집단간의 토양화학적 성질 비교를 위한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토양 pH, 전기전도도, 유기물, 전질소, 교환성칼륨, 교환성칼슘 및 양이온교환용량이 유의적인 차이(P<0.05)가 있었으며, 이들 성분이 탐방로와 비탐방로 간에 토양화학적 성질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한라산 자연자원조사 구간은 토양 pH가 매우 낮아 강산성을 보였으며 유기물함량과 양이온교환용량은 높았으나 유효인산함량, 교환성양이온 함량이 낮은 토양특성을 보였다. 향후 토양 산성화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겠다. 세균 군집 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고도별, 조사구별로 수집한 토양(표토)시료를 통해 DNA 추출 및 NGS 라이브러리 총 80개를 제작하였다. 총 102개 시료 중 라이브러리 준비에 실패한 22개의 시료는 모두 탐방로에서 확보된 시료임이 확인되었다. 모든 시료에 특징별로 관찰되는 세균 미생물 구조를 확인한 바 탐방로와 비탐방로 간에는 V1 (전체 상대적 풍부도의 75% 이상), Rhodoplane, Candidatus_Koribacter 등의 genera가 우점하고 있었다. 해당 결과는 고도별, 조사구별로 나누어 확인하였을 때에도 동일한 결과가 관찰되었다. 고도별, 조사구별로 구분하여 분석을 진행하였을 때에도 상대적 풍부도가 낮은 소수의 미생물이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우점하는 균주의 경우 이전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확연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모든 시료에 대하여 고도별, 조사구별로 구분 없이 탐방로와 비탐방로의 미생물 군집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탐방로인 경우 Hyphomicrobium, Terriglobus와 같은 genus가 상대적으로 우점하고 있었으며, 비탐방로인 경우 Pseudomonas, Mycobacterium가 우점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고도별 및 조사구별로 탐방로와 비탐방로 간에 차이가 있는 미생물 군집을 확인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가지는 미생물이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개별 미생물과 고도별 상관관계 분석에도 유의미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면 한라산국립공원 자연자원 조사구인 탐방로는 오랜 기간 동안 탐방 출입이 허용되었던 곳으로써 자연적, 인위적으로 훼손되어 녹화마대공법, 새심기 공사, 목재데크, 침목 설치 등 복구된 지역으로 비탐방로와는 토양화학적 성질 차이가 있었다. 반면에 세균 미생물 군집은 고도별 및 조사구별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 02 초청강연 : 초청강연 9 ; 제주도 곶자왈의 토양특성

        고석형 ( Suk Hyung Ko ) 한국환경농학회 2015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5 No.-

        제주어사전(제주도, 1995)에서는 곶자왈을 나무와 덩굴 따위가 마구 엉클어져 수풀같이 어수선하게 된 곳이라고 정의하였다. 최근 곶자왈에 대한 조례가 공포되면서 제주도 화산활동 중 분출한 용암류가 만들어낸 불규칙한 암괴지대로 숲과 덤불 등 다양한 식생을 이루는 곳으로 정의하고 있다(제주도, 2014). 이와 같이 곶자왈에서는 과거에 숯을 만들거나 땔감용 나무를 생산하기 위하여 이용되었으며 농사짓기가 어려워 경작지로는 사용되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수문지질학적 가치가높아 제주의 허파로 인식되고 있고 곶자왈에서만 볼 수 있는 특산식물 등이 발견되는 등 주요 동식물의 중요한 서식지로 알려지면서 보존가치가 높은 지역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2012년에 치러진 세계자연보전총회(WCC)에서 ‘제주도 용암 숲 곶자왈의 보전ㆍ활용을 위한 지원’으로 제주형 5대 의제중의 하나로 채택되기도 하였다.본 연구는 곶자왈지대별로 토양의 화학적 성질, 입도분석, 광물학적 및 미생물 분포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2012년 3월부터 10월 사이에 한경-안덕 곶자왈, 애월 곶자왈, 조천-함덕 곶자왈 및 구좌-성산 곶자왈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생태계 보존가치가 높은 곶자왈에 대한 학술적 자료를 구축하고 곶자왈의 토양환경 상태를 파악하여 곶자왈지대의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방안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토양시료는 곶자왈 대표토양과 곶자왈 주변토양으로 임의대로 구분하여 채취하였다. 곶자왈 대표토양은 곶자왈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이는 곳으로 암괴들로 이뤄진 토층 형성이 어려워 시료채취가 용이하지 않은 곳이며, 곶자왈 주변토양은 곶자왈 대표토양이 아닌 비교적 토양채취가 용이한곳을 의미한다. 화학성을 측정하기 위한 곶자왈 대표토양과 곶자왈 주변토양 시료는 낙엽층을 제거한 후에 층위를 고려하면서 표토(0~15 cm)를 채취하였다. 반면에 발원지라 할 수 있는 오름은표토(0~15 cm)와 심토(15~30 cm)로 구분하여 채취하였다. 이 토양시료는 미량원소, X-선 회절분석 및 X-선 형광분석에도 사용되었다. 토양미생물 분석을 위한 토양시료도 표토를 사용하였으며 토양을 풍건시키지 않고 2 mm 체로 쳐서 폴리에틸렌 시료병에 담아 동결건조시켜 보관하였다. 토양의 화학적 성질과 입도분석은 농촌진흥청 분석법(NIAST, 1998)에 준하여 분석하였다. 토양pH는 토양과 증류수의 비를 1 : 5로 하여 pH meter로 측정하였고, 전기전도도는 pH를 측정하고 남은 여액을 EC 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유기물함량은 Walkley and Black법, 유효인산은 Lancaster법, 전 질소함량은 Kjeldahl법으로 측정하였다. 교환성양이온 K, Ca 및 Mg는 1Nammonium acetate(pH 7.0)로 침출하여 원자흡광분광광도계(AA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양이온 교환용량은 1 N-NH4OAc(pH 7.0)로 포화하고 80% ethyl alcohol로 세척한 후 토양을 Kjeldahl 증류장치에 의해 NH4+ 함량을 정량하여 산출하였다. 입도분석은 유기물 분해 후 Pipette법과 체분석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X-선 회절분석(X-Ray Diffractometer, XRD)은 토양시료를 체분석과 침강법을 이용하여 2 μm 이하의 점토를 분리시킨 후 실시하였다. Philips사의 X'Pert-MPD System을 사용하였으며, CuKα선과 Ni-filter에 의한 X-선을 이용하였다. 분리된 점토분에 한하여 포함된 점토광물은 에칠렌글리콜 처리 및 가열처리 등을 통하여 식별하였다. X-선 형광분석(X-RayFluorescence Spectrometer, XRF)은 Shimadzu사의 XRF-1700을 사용하였으며, 분석항목은 SiO2,Al2O3, Fe2O3, K2O, Na2O, CaO, TiO2, MgO, P2O5, MnO 및 LOI로 총 11개 성분이다.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하여 토양시료 채취지점의 토양통을 구분한 결과 곶자왈지대가 전부 용암류대지에 분포하는 것은 아니었으며 육지부 토양과 비슷한 토양특성을 지닌 비화산회토와 화산회토가 공존하여 토양특성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전 등(2012)의 보고와 같이 제주도의 GIS 주제도에는 곶자왈지대가 5개 지역으로 구분되나 현재 4개 지역으로 구분하고 있어 곶자왈지대에 대한 전체적인 현황 및 면적에 대한 재분석이 필요하겠다. 입도분석 결과 곶자왈지대는 미사함량이 높았으며 토성은 미사토와 미사질양토가 주를 이뤘다. 전체적으로 평균 토양 pH는 5.6 이상의 약산성이었으며 한경-안덕 곶자왈지대에서 가장 높았다. 평균 전기전도도, 유기물함량, 총 질소함량은 각각 1.14 dS m-1, 22.94% 및 0.96%이었으며 성산-구좌 곶자왈지대에서 가장 높았다. 반면에 평균 유효인산함량은 성산-구좌 곶자왈지대에서 13 mgkg-1으로 가장 낮았으며 일부 화순, 무릉 및 납읍 곶자왈에서는 유효인산함량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교환성 K, Ca 및 Mg 함량은 조천-함덕 곶자왈지대를 제외하고는 평균적으로 각각 0.50 cmolckg-1, 9.57 cmolc kg-1 및 2.92 cmolc kg-1으로 교환성 Ca 함량이 특이하게 매우 높았다.한경-안덕 곶자왈지대의 대표토양에서 매우 높았는데 이는 인위적으로 비료시용 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된다. 양이온교환용량은 조천-함덕 곶자왈지대를 제외하고는 30 cmolc kg-1 이상으로 매우 높았으며, 가장 높은 양이온교환용량을 보이는 곳은 성산-구좌 곶자왈지대였다. X-선 회절분석 결과, 모든 시료에서 석영이 포함되었으며 그 외에 조장석, 회장석 등과 같은 장석류, 운모류 및 철산화물이 확인되었으나 점토광물은 확인되지 않았다. 곶자왈지대는 비교적 생성연대가 오래되어 풍화작용에 의한 점토광물이 존재한다고 판단했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 미확인됨에 따라 좀더 세밀하게 X-선 회절 피크를 재분석하는 것디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X-선 형광분석결과 화학성분 조성은 SiO2 18.82~53.14%, Al2O3 5.94~24.22%, Fe2O3 5.21~18.39%, TiO21.21~4.87%, MnO 0.04~0.24%, MgO 0.77~2.17%, CaO 0.47~10.19, Na2O 0.49~1.89%, K2O0.30~1.68%, P2O5 0.37~1.20% 및 LOI 10.04~49.59% 범위였다. 주화학성분인 SiO2, Al2O3 및 Fe2O3는 39.96~76.04% 범위의 함량을 나타냈다. 작열감량은 10.04~49.59% 범위로 함량이 매우 높았으며 이는 수분 및 유기물 등에 의한 영향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면 곶자왈지대의 토양은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토양산도가 양호하고 토양의 화학성분 함량이 높아 토양비옥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곶자왈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이는 곶자왈 대표토양이 곶자왈 주변토양에 비하여 화학성분 함량이 높았다. 향후 교환성 Ca,Mg 및 유효인산함량이 높은 곶자왈지대를 대상으로 젊은 용암에 의한 지질적 특이성으로 함량이높은 것인지, 비료시용 등 인위적 간섭에 의한 것인지에 대한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계절에 따른 제주조릿대(Sasa quelpaertensis Nakai) 조사지의 토양특성 비교

        고석형 ( Suk-hyung Ko ),김현철 ( Hyoun-chul Kim ),박원표 ( Won-pyo Park ),현익현 ( Ik-hyun Hyun ),고정군 ( Jung-goon Koh ) 한국환경농학회 2023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3 No.0

        본 연구의 목적은 계절별에 따른 토양특성 변화를 파악하고 향후 지속적인 조사와 함께 효율적인 국립공원 관리방안을 마련함에 있어 종합적인 해석시에 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제주조릿대 관리방안 연구 지역인 한라산국립공원 장구목과 만세동산의 벌채지와 비벌채지를 대상으로 2019년 8월과 10월 및 2020년 5월에 토양(표토와 심토)시료를 채취하였다. 입도분석 결과에 의한 토성은 한라산 장구목인 경우 미사질식양토, 식양토 및 양토였으며, 만세동산인 경우 식토, 식양토 및 사질식양토로 점토함량이 높은 것이 특징이었다. 용적밀도는 장구목과 만세동산 모두 0.90 g/㎤ 이하로 낮아 화산회토양의 분류기준을 충족시켰으며, 표토인 경우 인위적인 요인이 없는 비벌채지보다 벌채지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입자밀도도 화산쇄설물을 모재로 한 화산회성산림토양이기 때문에 낮게 나타났다. 용적수분함량을 의미하는 액상은 장구목에서 계절에 관계없이 비벌채보다 벌채지(벌채후 2년경과지, 수시벌채지)에서 높았다. 투수계수는 조사지점간에 편차가 매우 컸으며 대체적으로 표토에서 비벌채지에 벌채지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조사지의 토양 pH(H<sub>2</sub>O)는 표토보다는 심토에서 높은 일반적인 경향을 잘 나타냈으나, 평균적으로 장구목 4.67, 만세동산 4.77을 보여 강산성을 나타냈다. pH(NaF)는 계절 및 토심에 따라 화산회토 분류기준을 충족 및 미충족시켜 토양침식 및 토양교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겠다. 유기물함량은 표토에서 심토보다 높은 일반적인 경향을 잘 나타냈으나 장구목과 만세동산의 토양유기물은 다른 현상을 보였다. 토양유기물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전질소는 장구목과 만세동산에서 비벌채지가 벌채지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유효인산은 화산회토의 영향을 받아 장구목과 만세동산 모두 20 mg/kg 이하로 매우 낮은 함량을 보였으며, 인산흡습계수는 유효인산과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평균적으로 교환성양이온인 칼륨, 칼슘, 마그네슘 및 나트륨은 일부를 제외하고는 대체적으로 심토보다 표토에서 함량이 높은 일반적인 경향을 보였으며 5월과 8월보다는 10월에 함량이 높았고 벌채지보다는 비벌채지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양이온교환용량은 장구목에서 일부를 제외하고는 심토보다 표토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5월 < 8월 < 10월 순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만세동산에서는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으며 장구목과 다른 경향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면 한라산 제주조릿대 조사지인 장구목과 만세동산은 화산회토양으로서 점토함량이 높았고 용적밀도와 입자밀도가 낮았으며 공극률이 높아 토양침식에 대한 저항성이 낮았다. 또한 토양 pH가 매우 낮아 강산성을 보였으며 유기물함량, 전질소함량 및 양이온교환용량은 높았으나 유효인산함량, 교환성양이온 칼륨, 칼슘 및 마그네슘 함량이 매우 낮아 식물이 생장하는데 제한 요소로 작용될 수 있는 토양특성을 보였다.

      • 계절에 따른 교래와 산양 곶자왈의 토양화학적 특성

        고석형 ( Suk-hyung Ko ),김종식 ( Jong-shik Kim ),신창훈 ( Chang-hoon Shin ),현해남 ( Hae-nam Hyun ) 한국환경농학회 2016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6 No.-

        According to Jeju Dialect Dictionary(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1995), gotjawal is defined as a place where trees and vines are tangled like wo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d the chemical properties of the soil in Gyorae and Sanyang Gotjawal according to the season and analyze the diversity of the soil microbial. The Pyrosequencing analysis method was introduced, which is a recent analysis method for the study on the soil microbial diversity in Gotjawal and it``s being analyzed. For the soil samples, the 3 sampling sites, Gyorae, Sanyang Gotjawal and the control group, Seokgulam of Mt. Hallasan were selected and a total of 72 points were collected, 6 points for each season on each point. Soil chemical analysis were done in accordance with NIAST(1998). The average soil pH of the study area was in the range of 4.07~5.68. The soil pH in winter was lowest in Seokgulam of Mt. Hallasan and the soil pH was highest in autumn in Sanyang Gotjawal. The average electrical conductivity was in the range of 0.30~8.09 dS m-1 and there wa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sampling sites. Seokgulam, Gyorae and Aewol Gotjawal showe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1.90, 5.22 and 4.14 dS m-1. The average organic matter contents were 227.7 and 251.9 g ㎏-1 in Gyorae and Sanyang Gotjawal, a similar tendency and it is higher than Seokgulam by 150.5 g kg-1. The total average nitrogen contents was in the range of 0.47~1.32% and Gyorae and Sanyang Gotjawal showed around 2 times higher content than Seokgulam. The average available phosphate concentrations were 55 and 43 mg ㎏-1 in Gyorae and Sanyang Gotjawal soil and contents were higher by around 2 times than Jeju region``s forest soil and that of control group, Seokgulam was lower by around 5~7 times than Gotjawal. The average exchangeable cation contents were in the range of K 0.12~0.90 c㏖c ㎏-1, Ca 0.79~28.86 c㏖c ㎏-1, Mg 0.04~6.73 c㏖c ㎏-1 and Na 0.11~0.52 c㏖c ㎏-1, respectively, with very higher contents except for control group. Gyorae and Sanyang Gotjawal were very higher than the exchangeable cation content of forest soil in Jeju region except for the exchangeable Na. The average Cation exchange capacity was in the range of 22.10~53.50 c㏖c ㎏-1, it showed very high vale of 30 c㏖c ㎏-1 in the study area. After, it is judged that a comprehensive and detailed result could be gained about Gotjawal ecology by performing systematic and long term analysis about these regions.

      • 제1분과 : 보호지역 관리 ; 한라산 구상나무림의 생육동태

        김대신 ( Dae Shin Kim ),고석형 ( Suk Hyung Ko ),김종갑 ( Jong Gab Kim ),고정군 ( Jung Goon Koh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5 No.1

        한라산 구상나무의 고사실태 및 생육상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2013년 10월부터 2014년 9월까지 전체의 구상나무 분포지역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구상나무의 분포 특성과 고사 상황 등을 고려하여 총 10개 지역으로 구분하였다. 각 지역별로 20×20 m 크기의 방형구를 3개소씩 총 30개소에 조사구를 선정하여 조사구 내에 출현하는 구상나무 등 수목에 대한 수고, 흉고, 수관폭 등의 측정과 함께 수목활력도, 고사여부, 어린나무의 발생현황 및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조사도 병행하였다. 한라산 구상나무림내 고사목을 포함한 수목의 개체수는 평균 3,124.2본/ha이며, 이중 구상나무는 64.9%인 평균2,028.3본/ha, 구상나무 외 수종은 35.1%인 평균 1,095.8본/ha의 밀도를 보였다. 구상나무에서 살아있는 개체수는 전체 구상나무의 54.1%인 평균 1,098.3본/ha이며, 고사목은45.9%인 평균 930.0본/ha으로 나타났다. 고사목을 포함한구상나무의 개체수는 남벽등산로 백록샘일대가 평균2,716.7본/ha으로 가장 많았고, 관음사등산로 해발 1,750m왕관릉일대는 1,108.3본/ha으로 가장 적었다. 살아있는 구상나무는 백록샘일대가 평균 1,908.3본/ha으로 가장 많았고, 성판악등산로 해발 1,800m일대가 875.0본/ha으로 가장적게 나타났다. 살아있는 구상나무의 평균 수고는 4.4m였으며, 흉고직경은 14.1㎝로 나타났는데, 지역에 따라 생육상황에 많은 차이를 보였다. 구상나무의 고사목은 성판악등산로 해발 1,800m 일대가 1,625.0본/ha으로 가장 많았고, 관음사등산로 해발 1,750m 왕관릉일대가 500.0본/ha으로 가장 적었다. 한라산 구상나무림내 수목활력도는 전체적으로 건강하고 곧추서서 자라는 수목이 50.1%로 가장 높았으며, 곧추 선채로 죽은 나무가 15.5%, 기운형태로 살아있는 나무가 11.4% 순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어린나무의 발생상황은 전체적으로 성판악Ⅱ일대(1,700m)에서 평균 908본/ha으로 가장 많았으며, 윗세오름과 백록샘일대에서는 치수 발생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지역별로 차이를 보였다. 구상나무 조사지 토양의 화학적 성질은 표토(0~15cm)에서 평균 토양 pH 4.8, 전기전도도 0.76 dS/m, 유기물함량27.94%, 총 질소 0.85%, 유효인산함량 16 mg/kg, 교환성양 이온 K 0.35c㏖c/㎏, Ca 0.79c㏖c/㎏, Mg 0.4 c㏖c/㎏, Na0.22c㏖c/㎏, 양이온교환용량 29.66c㏖c/㎏이었다. 심토(15~30cm)에서 평균 토양 pH 5.3, 전기전도도 0.59dS/m, 유기물함량 20.10%, 총 질소 0.60%, 유효인산함량 7mg/kg, 교환성양이온 K 0.20c㏖c/㎏, Ca 0.37c㏖c/㎏, Mg0.20 c㏖c/㎏, Na 0.23 c㏖c/㎏, 양이온교환용량 27.06 c㏖c/㎏이었다. 구상나무 고사율이 높은 성판악Ⅲ일대(1,800m)와 치수발생이 많은 성판악Ⅱ일대(1,700m)에서는 전체조사구 토양의 평균 화학성분 함량과 비슷하거나 다소 낮았으나 유기물함량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고사율이 낮은 백록샘일대에서는 전체 조사구 토양의 평균 화학성분 함량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탄질(C/N)비는 구상나무 고사율이 높고 치수발생이 많은 지역은 18~62 범위로 상대적으로 질소가 부족하여 구상나무와 토양 미생물간의 경쟁으로 인한질소기아 현상으로 식물생장이 불량할 수 있다. 구상나무고사율이 높은 지역은 7~12 범위로 에너지원인 탄소는 많으나 영양원인 질소가 부족하므로 미생물 활성이 떨어져 유기물의 분해 속도가 느릴 것으로 생각된다. 한라산 구상나무림은 자생지의 입지환경 특성, 제주조릿대의 확장, 기후변화 등에 의하여 고사 및 생장쇠퇴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보이며, 향후 구상나무의 천연갱신 등 생육동태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제주 산양 곶자왈의 생태지질학적 특징

        이연제 ( Yun-jae Yi ),김대신 ( Dae-shin Kim ),고석형 ( Suk-hyung Ko ),이근철 ( Keun Chul Lee ),이정숙 ( Jung-sook Lee ),김종식 ( Jong-shik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23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3 No.0

        Gotjawal is a volcanic landform found in Jeju Island. Surface lava flows repeated freezing, weathering, and collapsing over a long period of time, and developed an uneven topography. Sanyang (SY) Gotjawal, located in the western part of Jeju Island, is the most well-developed Gotjawal, with uneven topography caused by numerous collapses of lava flows. The base topography of SY Gotjawal consists of large and small rock masses, so its soil development is very poor; however, constant high humidity contributed to high biodiversity in Gotjawal. Despite its ecogeological value, Gotjawal forest is threatened by human activities, and conservation is needed. The photograph is one of the easiest ways to record nature’s characteristics and convey an appreciation of nature. However, forest vegetation hides geological features in photographs, so we chose illustration as an alternative method to describe the Gotjawal’s overall features. We first took photographs at SY Gotjawal, western Jeju Island, and utilized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its vegetation and geological features. We used Clip Studio 1.12.0 to illustrate the natural features. To reveal the complexity of the Gotjawal, we separated plant and geological parts in the illustration. We drew a cross section of its unique soil layer, including lava flows. In addition to geological sketches, we also described the vegetation and soil chemical characteristics along SY Gotjawal’s elevation. We drew a cross-section of Gotjawal's unique layers, including lava flows. In addition to an eco-geological approach, we described the dominant vegetation and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forest layers (trees, shrubs, and herbs) in Gotjaw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