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에 나타난 공동연구 네트워크의 구조에 관한 연구

        한혁,권오진,강혜진,심위,노경란,Hahn, Hyuk,Kwon, Oh-Jin,Kang, Hye-Jin,Shim, We,Noh, Kyung-Ran 한국전자통신학회 2013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8 No.5

        전 세계적으로 공동연구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공동연구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를 통해서 나타나는 공동연구 네트워크가 어떤 구조를 보이는지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2006년부터 2013년 2월까지 한국전자통신학회지에 게재된 공동연구 논문을 분석한다.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에 게재된 논문의 저자들을 12개의 서브 네트워크로 구성하여 분석한 결과, 서브 네트워크는 주로 지역성에 기반한 공동연구 네트워크임을 밝혀내었다. The rise of collaboration in science or technology has increased the need to understand collaboration network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structure of collaboration research networks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To accomplish this purpose, we have collected and analysed the data from co-authored papers published from 2006 to 2013 in this journal. It shows that there are 12 collaboration sub-networks based on the locality of authors in this journal.

      • KCI등재

        스마트 철도 통신 표준화 동향과 지향점

        김종기(Jong-Ki Kim) 한국전자통신학회 2022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7 No.2

        철도 교통시스템은 최근 들어 각 구성 요소의 자동화 단계를 넘어 지능화를 추구하는 스마트 철도로 발전하고 있다. IoT(: Internet of Things), 빅데이터, 딥러닝, AI(: Artificial Intelligence), 블록체인 등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s Technology) 기술에 기반한 스마트 철도는 국내외 철도 기술에 많은 발전적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스마트 철도 시스템(SRS: Smart Railway System)의 근간을 이루는 철도 통신 기술의 국내외 표준화 동향에 대해서 살펴보고 향후 우리나라 철도교통시스템에서의 열차제어 기술(CBTC)이 세계 철도산업에서의 선도 기술이 되기 위한 지향점(UBTC)에 관하여 논한다. The rail transport system is developing into a smart railroad that pursues intelligence beyond the automation stage of each component in recent years. Smart railways based on ICT (: Information & Communications Technology) technologies such as IoT (: Internet of Things), big data, deep learning, AI (: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lock chain are expected to cause many developmental changes in domestic and foreign railway technologies. In this paper, we look at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trends of railway communication technology, which forms the basis of such smart railway system, and discuss the direction for train control technology(CBTC) in Korea s railway transportation system to become a leading technology(UBTC) in the world railway industry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한글의 정보처리 및 통신용 부호 최적화를 위한 한국어 분석

        홍완표,Hong, Wan-Pyo 한국전자통신학회 2015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0 No.3

        본 논문은 정보처리 및 전송용으로 사용되는 한글의 부호화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한국어를 연구하였다. 본 논문은 한국어 구성하고 있는 한글의 구성현황과 그 한글들에 대한 각각의 사용빈도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본 연구결과 분석된 한글의 구성현황을 한국 KS 문자 표준과 국제 문자표준인 유니코드로 부호화되어 있는 한글 문자와 비교하였다. 연구를 위해 사용된 한국어는 국립국어원의 "현대국어사용빈도조사결과"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보고서에 수록된 한국어는 총 58.437개이다. 분석결과 한국어 총58,437국어를 구성하고 있는 한글은 총1,540개였다. 이 총1,540개 한국어 중에서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글자는 "다"로서 전체 사용빈도의 15%였다. 사용빈도가 가장 낮은 글자는 "휫"으로서 전체사용빈도의 0.00003%였다. 한국어를 구성하고 있는 한글 글자수는 유니코드 한글문자 부호를 구성하고 있는 한글 수 보다 약 7.2배, KS X 1001 한글문자 부호를 구성하고 있는 한글 수보다 약 1.5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is studied the Korean language to optimize the Hangul character coding for information processing i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transmission in network. The paper analyzed Hangul character in Korean language and use frequency of each character. The paper also compared the analysis result to Hangul characters which are coded in standard in Korean character and Unicode. This study referred "Modern Korean Use Frequency Rate Survey Result" issu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There are total 58,437 Korean words in the report. As a result of this paper, the Korean word 58,437ea are consisted of Hangul character total 1,540ea. The highest use frequency character is "다" and its use frequency to total use frequency rate is 15%. The lowest use character is "휫"and its use frequency to total use frequency rate is 0.00003%. The number of analyzed Hangul character 1,540 is less 7.2 times and 1.5 times than Korean and Unicode standard respectively.

      • KCI등재

        통합 통신망 관리를 위한 TINA manager와 TMN agent의 연동방안 연구

        김호철,김영탁 한국통신학회 2000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25 No.5

        차세대 정보통신망의 중요한 요건으로 이동성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제공이 지적되고 있으며, 이러한 통신망 자원의 효율적인 운영, 관리를 위해서는 통신망 관리시스템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현재 ATM과 SDH 기반의 초고속 통신망과 IP 기반의 인터네트워킹 기술이 차세대 정보통신망의 주축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정보 통신망 요소 시스템들(교환기 및 전송장비, 단말장비, 라우터 등)의 관리는 TMN(Telecommunications Management Network)과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을 기반으로 하는 agent들이 적용될 것이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통신망 관리 agent를 갖는 통신망 자원들을 통합관리하고 광역 정보통신망의 효율적인 구성을 위해서는 분산환경을 기반으로 한 통신망 관리체계가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이러한 요건을 만족하는 통신망 구조가 TINA(Telecommunications Information Networking Architecture) 체계의 통신망 관리구조이다. 본 논문에서는 통합 통신망 관리를 위한 TINA manager와 TMN agent 사이의 연동(interworking)방안 및 기능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된 연동구조는 관리객체를 변환하는 기 맛\ulcorner방식과는 달리 TINA 체계의 통신망관리 계층중 EML(Element Management Layer)의 서브네트워크 관리동작을 통신망 요소 시스템의 TMN agent 관리 동작으로 변환하는 것을 기본 개념으로 하고 있다. 이는 specification translation을 수행하는 JIDM(Joint Inter-Domain management) 구조에 비하여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시스템의 처리부담이 작은 장점을 갖는다. In the forthcoming next generation highspeed networks, the provisioning of broadband mobile multimedia services is the most important issue while an efficient 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 which can manage the network resources efficiently, is essential. The next generation highspeed networks will be composed of the ATMand SDH-based transport network systems and the H-based interworking systems. The management functions of these network systems are implemented various technologies, such as TMN and SNMP. In order to integrate these network resources efficiently with heterogeneous management functions, the distributed 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 such as TINA is most appropriate. In this pape, we propose an interworking architecture for TINA manager and TMN agent. where the TINA-based EML subnetwork management operations mapped into the 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of the TMN NE agent. The proposed interworking architecture is simpler than JIDM, and the processing overhead is minimized.

      • KCI등재후보

        충돌회피를 위한 드론택배 시스템의 통신망 토폴로지 및 성능평가

        조준모 한국전자통신학회 2015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0 No.8

        최근 기업에서는 드론을 이용하여 다양한 상업적인 서비스를 시도하고 있다. 특히, 드론을 이용한 택배서비스가 그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드론 택배시스템은 사람들이 활보하는 거리 위에서 무거운 물건들을 배송하는 일이기 때문에 서로 충돌로 인한 소포가 떨어지는 등 다양한 사안을 고려해야만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드론간 통신을 활용하고자 하며 예상되는 드론의 통신망 토폴로지를 Opnet 시뮬레이터로 구현하고, 해당 통신망의 성능을 시뮬레이션하고 분석하였다. 추가적으로 자유 운동적(random mobility)인 이동경로의 토폴로지도 구현하여 제안한 드론망의 성능과 비교분석하였다. Recently, many companies try to offer various services using drones. Especially, the drone delivery system is a good example. However, the drone delivery service has some problems since the heavy parcels flies over the people walking down streets, so many things must be considered such as dropping mails by collision of drones. To resolve the problem, in this paper, a inter-drone network communication will be used to design the topology and to simulate in the Opnet simulator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Additionally, the topology with random mobility of trajectory of drones is also designed and simulated for the result.

      • KCI등재후보

        부분차등변조 방식을 이용한 협력통신 전송기법

        조웅,Cho, Woong 한국전자통신학회 2014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9 No.7

        Cooperative communication, which transmit signal via arbitrary number of relays, enhances the overall communication performance by providing virtual Multi-Input Multi-Output (MIMO) gain without imposing multiple antennal limitation in physical system. There are two representative relaying protocols, i.e., Amplify-and-Forward (AF) and Decode-and-Forward (DF), where we analyze the performance of cooperative communication by adopting DF relaying protocol applying partially differential modulation. The performance is based on symbol error rate (SER), and the effect of relay location on the performance is analyzed. We also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cheme with the system which uses differential modulation scheme. 중계기를 이용해서 신호를 전송하는 협력통신은 여러 개의 안테나를 사용해야하는 물리적인 시스템의 제약없이 가상 다중입출력 이득을 제공함으로서 전체적인 통신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두 개의 대표적인 중계 프로토콜로는 증폭 후 전송방식과 복조 후 전송방식이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복조 후 전송 중계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부분적으로 차등변조 방식을 사용하는 협력통신기법의 성능에 대해 분석한다. 성능분석은 심볼오류율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며 중계기의 위치가 통신성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또한 제안된 부분차등변조 방식과 기존의 차등변조 방식의 성능을 비교한다.

      • KCI등재

        수중 MANET에서 비디오 트래픽의 전송성능

        김영동(Young-Dong Kim) 한국전자통신학회 2019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4 No.1

        음향채널을 주로 사용하는 수중통신환경은 지상통신환경과 달라 통신 서비스를 구축함에 있어 수중환경에 적합하게 전송성능을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며, 통신망의 일반적 성능 뿐 아니라 통신 서비스별 전송 대상 트래픽의 전송성능을 분석하여 통신서비스에 적절한 트래픽처리 방안의 강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수중 MANET(Mobile Ad-hoc Network)에서 비디오 트래픽의 전송 성능을 분석하고 이 결과를 토대로 비디오 트래픽 전송 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NS(Network Simulator)-3에 기반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수행하며, 전송 성능으로는 처리율, 전송지연, 패킷손실율을 사용한다. Since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environment, which is used mainly in acoustic channel, is different from terestrial communication, it needs to analyze the appropriate transmission performance in underwater environment to implement the communication services. Appropriate traffic process method for a communication service is required through transmission performance of object traffic for the communication service. In this paper, transmission performance of video traffic on underwater MANET(Mobile Ad-hoc Network) is analyzed and video traffic configuration scheme on underwater MANET with results of performance analysis is suggested, This study is done with computer simulation based on NS(Network Simulator)-3. throughput, transmission delay, packet loss rate is used for transmission performance.

      • KCI등재

        통신망의 효율적인 번호배분에 관한 연구

        김석태,최영상 한국정보통신학회 1998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 No.4

        통신망 번호는 각종 통신망의 분류와 통신망 사업자를 식별하고, 통신망 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선택하는데 사용된다. 최근에는 전화망내에 새로운 통신망이 추가되면서 이들간의 식별을 위한 새로운 번호체계가 요구되고 있다. 현재의 국내 통신망 번호체계는 망번호 고갈, 지역번호 과다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먼저 전화망내의 유 .무선전화망, 무선호출망과 개인번호를 통신망이라 지칭하여 통신망 번호체계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본다 그 후 효율적인 번호배분방안으로 첫째, 현 10개의 통신망 번호체계를 통신서비스 특성이 동일한 점을 이용하여 5개로 통합하고, 둘째, 8Digit의 가입자번호 통일과 144개의 과다 지역번호를 5개로 광역화시키며, 셋째, 개인번호 서비스를 세기별로 교차 할당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본 방안을 현실화시키기 위한 기술적 전환방안과 제도적 전환방안을 살펴보고 제안된 번호체계의 기대효과를 고찰한다 본 번호계획을 시행시 통신망 가입자 번호가 8자리로 일원화되고, 통신망 번호 $\ulcorner$01X$\lrcorner$ 대에 5개의 예비번호가 확보되어 가입자번호도 2배 이상 배분 가능하다. 또한 지역번호 광역화로 번호수용이 23,760만에서40,000만으로 늘어나며, 개인번호는 세기별, 10년 단위까지 구분이 가능하고 수용번호도 2배로 늘어 통일 및 향후 인구증가까지 대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ommunication network numbers are used in classifying each kind of network,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companies and choosing services that are supplied by the companies. In the present, a new numbering system is needed to distinguish a new additional communication network. However the present numbering system of domestic communication network has some problems such as exhaustion of network number, excessive local numbers, and so forth So, in this thesis we call the wire and the wireless telephone network, the pager network and the personal number as communication networks, and consider the present condition and problems of our country, Korea, and foreign countries. Then we propose the efficient numbering plan. Firstly, the present 10 numbering systems that are distributed, such as communication networking number $\ulcorner$01X$\lrcorner$ are diminished into 5 communication network numbers that have same quality. Secondly, subscriber numbers are united to 8 digit and 144 area codes are made into widened 5 area codes. Thirdly, the personal numbering services are cross-distributed by century. And we examine the technical convening plan and the legal converting plan and investigate expecting efficiency of proposed numbering system. If this numbering plan is executed, subscriber's number on communication networks are unified at 8 digits, 5 reserve numbers are secured in exhausted communication network number of $\ulcorner$01X$\lrcorner$, and they can distribute subscriber numbers over twice as much. In addition, number acceptability is enlarged from 237,600 thousands to 400,000 thousands. Personal number can be classified at not only century but also a decade. Accordingly, acceptable numbers are increased two folds enough to provide unification and population increase. We were able to confirm all the efficiencies.

      • KCI등재

        선박의 밀폐된 선내에서 해상관제를 위한 스마트 위성·무선 복합통신시스템 구현

        박흠,이창범,안승문,Park, Heum,Lee, Chang Bum,An, Sung Mun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9 No.8

        기존 선박 통신시스템은 위성통신을 이용한 음성, FAX, ISDN 등이 대부분으로 선박 해상관제 업무에 집중되고 있지만, 최근의 레저선박 통신시스템의 경우는 더 높은 품질의 스마트 통신 서비스 및 통신환경을 요구하고 있다. 기존 통신시스템을 활용하여 통신 환경을 실험한 결과, 선상에서는 위성통신이 가능하나, 밀폐된 선내에서는 위성통신을 중계한 음성통신만 가능하고 스마트 앱이나 이메일 사용은 불가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선상뿐 만아니라 선내에서도 음성, 문자, 이메일, 대규모 파일 전송, 해상관제 앱 실행이 가능한 통신시스템 구현을 제안한다. 본 연구를 통해 위성통신단말기와 스마트폰이 결합한 듀얼 복합 통신단말기와 선내에서도 대용량 이메일 및 스마트 앱 사용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실험 결과 선박 어느 위치에서나 다양한 통신이 가능하였다. The existence communications of vessel focused on voice, FAX, ISDN, etc. using satellite on the existent most communications on the ships, and recently, the ships need high quality smart communication service environments. In the results of experiments using the existent system, it could access on board, but in the closed room of vessel, was impossible to access e-mail and smart apps except voice communication. In the present paper, we implemented a novel communication system that can access voice, text, e-mail, file, vessel monitoring apps, etc. It consists of a convergent communication terminal combined with satellite and communication for Smartphone, and smart communication environment on the closed room. As the results, we can access a variety of smart communication in anywhere on board.

      • KCI등재후보

        해상 데이터통신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GMDSS를 중심으로

        황운택,Hwang, Woon-Taek 한국전자통신학회 2011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6 No.6

        In this paper, a design and implemented of the data communication system on the entails inherent safety with the distress and urgency of maritime data communication services that are required for functional limitations of the existing mounting equipment and services to determine the likelihood MF/HF, VHF, Inmarsat satellite communication has a diversification of the GMDSS ship communication equipment. Proposed role and direction of the GMDSS on the communication media by the communication cost, throughput, communication speed and processing services available, communication range, etc. by conducting a performance analysis and evaluation in the future maritime communications environment. 본 논문은 다변화하고 있는 GMDSS 본연의 임무인 조난 및 긴급 안전과 병행하여 요구되고 있는 해상의 데이터통신 서비스를 위한 선박통신장비인 MF/HF, VHF, Inmarsat 위성통신 등 기존 탑재 장비들의 기능적 한계와 서비스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으며, 통신 매체별 통신비용, 처리율, 통신 속도, 처리 가능한 서비스, 통신 가능 범위 등에 대한 성능 분석 및 평가를 실시하여 미래 해상 통신 환경에서의 GMDSS의 역할과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