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내 호스피스.완화의료 현황 및 활성화 방안 -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 조사를 바탕으로

        경민호,장유미,한경희,윤영호,Kyung, Min-Ho,Jang, Yu-Mi,Han, Kyung-Hee,Yun, Young-Ho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0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3 No.3

        목적: 본 연구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기관 조사와 통계청 자료를 이용하여 호스피스 완화의료 기관 현황과 장애요인, 그에 따른 활성화 방안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향후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방법: 현황조사를 위해 국내 호스피스 완화의료 관련 단체 및 기관을 통해 호스피스 완화의료 제공 기관을 선정 하여 2009년 2월에서 3월까지 설문을 시행하였으며 설문내용은 기관의 일반현황, 대상자, 서비스 제공인력, 시설, 재정, 활성화 방안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필요병상수 및 병상충족률 산출을 위해 통계청의 지역별 인구수 자료를 이용하였다. 결과: 전체 53개 호스피스 완화의료 기관 가운데 42개 기관이 종합병원 이상으로 총 설문대상 기관 중 의원급 기관은 6개였다. 전체 53개 기관 중 18.8%의 기관이 수도권 지역에 분포하고 있었다. 전반적인 호스피스 완화의료 병상충족률은 21.9%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4개 광역시도의 경우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용병상이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2008년 호스피스 완화의료기관의 사망자는 전체 암사망자의 6.3%에 불과했다. 기관의 재정 관련한 설문에서 86%의 시설이 재정이 부족하다고 답변하였으며 그 외 인력수급 장애요인 및 시설기준 미충족의 원인으로도 재정 부족을 원인으로 꼽은 기관이 과반수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스피스 완화의료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지원으로 가장 필요한 부분으로 재정지원이었으며(71.2%), 기부문화 활성화 방안으로 기부금 전액 세금 공제(43.1%), 공익재단 설립(23.5%)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이처럼 기관의 현황 자료조사 및 설문조사를 통해 국내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이용률 및 병상충족률이 낮은 문제점, 지역별 병상충족률 편차가 큰 문제점 등을 파악하였으며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장애요인으로 재정부족, 인력수급 장애, 인식부족 등을 파악하였다. 또한 이를 위해 호스피스 완화의료 기관의 재정마련 방안이 필수적이며 인식 부족에 대한 개선 노력도 동시에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으로 결론지었다. 이 중 재정 부족에 대한 방안으로는 정부의 재정 지원과 기부금 전액 세금공제와 공익재단 설립이 검토해 볼 만한 대안으로 제시할 수 있겠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current status of hospice palliative care facilities in Korea. Based on the result, we attempted to suggest activation plans of hospice palliative in Korea. Methods: To conduct a survey, we obtained a list of hospice palliative care facilities from related agencies and academic societies. A surve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2009 to March, 2009. The survey was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s, manpower, facilities & equipments, and so on. In addition, we used data from Statistics Korea to estimate the number of beds required and the bed occupancy rate. Results: Total number of facilitie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were 53. Forty-two facilities were general hospitals and 6 facilities were clinics among the total 53 facilities, and 18.8% of facilities were located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Overall bed occupancy rate was rather low as 21.9%, and there were 4 provinces where bed occupancy rates were 0%. Deaths in hospice palliative care facilities during 2008 were 6.3% of total deaths from cancers. As for the questions about the financial status of facilities, 86% of facilities were answered financial insufficiency. Also more than half of the facilities gave financial insufficiency as the reason for shortage of human resource supplies and inability to achieve the standard for authorization by the government. Facilities answered in order to activate the hospice palliative care, governmental support is needed, mostly in financial support (71.2%), donation tax deduction (43.1%), and setting up a public utility foundation (23.5%).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low rates of hospice palliative care use and bed occupancy in Korea. Regional variance in bed occupancy rate was significantly high. As a roadblock for these problems, most of the facilities cited financial insufficiency. Therefore, there must be some action plans to boost financial support to activate hospice palliative care in Korea. Finally, efforts to improve these circumstances including lack of understanding about hospice and palliative care, are needed as well.

      • KCI등재후보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이 호스피스완화의료병동 입원 환자의 자아존중감과 영적안녕에 미치는 효과

        최성은,강은실,Choi, Sung-Eun,Kang, Eun-Sil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9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2 No.4

        목적: 본 연구는 단일군 사전 사후 원시실험설계 연구로서 호스피스완화의료병동 입원 환자를 위한 전인적 호스피스간호중재 프로그램("무지개 프로그램")의 자아존중감과 영적안녕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4년 4월 6일부터 2005년 4월 20일까지 경북포항시 소재 선린병원의 호스피스완화의료병동에 입원한 만18세 이상의 성인 환자로서 의사소통이 가능하여 연구참여에 서면 동의한 27명을 대상으로 사전조사 후 2주간, 총 10회(회당 120분)로 구성된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 제공 후, 사후 조사를 실시하였다. 효과 검정을 위해 자아존중감 측정 도구로는 성인용으로 수정보완된 Self Esteem Questionnaire (SEQ), 영적안녕 측정도구로는 Spiritual Well-being Questionnaire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1. 가설 1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호스피스완화의료병동 입원환자(이하 실험군)는 실험 전보다 실험 후의 자아존중감 정도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11.554, P<0.000) 2. 가설 2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실험 전보다 실험 후의 영적안녕 정도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6.387, P<0.000). 결론: 전인적 호스피스간호중재 프로그램은 호스피스완화의료병동 입원환자의 자아존중감과 영적안녕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적이므로, 호스피스완화의료 병동에 입원한 말기환자를 위해 임상 실무에서 적용 가능하며, 호스피스 전문직의 다학제적 팀 접근 모델로 연구, 교육 측면에서도 유용하리라 생각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to testify the effects on self esteem and spiritual well-being of holistic hospic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Rainbow program") for inpatients of hospice palliative care unit. This was designed as a preliminary experimental study with one-group pre-post test. Methods: A total of 27 patients who were over 18 years old, and admitted in hospice palliative care unit of S hospital in P city, submitted informed consent for this study, participated in holistic hospic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total 10 sessions and 1,200 minutes for 2 weeks) from April 6, 2004 to April 20, 2005. To test the effects of this intervention, Self Esteem Questionnaire (SEQ) and Spiritual Well-being Questionnaire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with SPSS/WIN 12.0 program. Results: (1) Hypothesis No. 1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Rainbow program will have a higher degree of self esteem than before" was supported (t=11.554, P<0.001). (2) Hypothesis No. 2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Rainbow program will have a higher degree of spiritual well-being than before" was also supported (t=6.387, P<0.001). Conclusion: This Holistic Hospic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increasing self-esteem and spiritual well-being of patients in hospice palliative care unit. Therefore, it can actively be used and also applied to hospice palliative care practice, research, and education as a useful model of interdisciplinary team approach by hospice professionals.

      • 말기 암 환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의사들의 태도

        문도호,이명아,고수진,최윤선,김수현,염창환,Moon, Do-Ho,Lee, Myung-Ah,Koh, Su-Jin,Choi, Youn-Seon,Kim, Su-Hyun,Yeom, Chang-Hwan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6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9 No.2

        목적: 본 연구는 말기 암 환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의사들의 태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과 경지지역의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전문의를 대상으로 호스피스 완화의학 연구회에서 자체 개발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말기 암 환자에서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였다. 설문지는 총 1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실수, 중앙값과 백분율로 분석되었다. 결과: 총 81명(남자 46명, 여자 35명)이 설문지에 응답하였으며 나이의 중앙값은 35세였다. 내과가 36명(44.4%)으로 가장 많았다. 전문의 경력의 중앙값은 4년이었다. 1주일에 진료를 하는 환자 수는 거의 환자를 보지 않는 경우가 43명(53.2%)으로 가장 많았다.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정확한 정의를 알고 있는 의사수는 37명(45.6%)이었다.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필요성에 대하여 80명(98.8%)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이 중에 73명(91.2%)이 완화의학 전문의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말기 암 환자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의뢰하겠는가에 대한 질문에 55명(67.9%)이 그렇게 하겠다고 응답하였으며 이 중 17명(30.9%)은 주저한 경험이 있는데 이유로 가족의 반대가 6명(35.3%)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환자를 포기하는 것 같아서'로 응답한 의사가 4명(23.5%)이었다. 적극적으로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의뢰하지 않은 22명(27.2%)에 대하여 이유로 '환자를 포기하는 느낌'과 기타 사항으로 '절차를 모른다'가 각각 6명(27.2%)으로 가장 많았다. 37명(45.7%)의 의사가 임종 전 3개월에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받는 것이 가장 좋다고 응답하였으며 가장 도움을 받는 것은 정신적, 심리적 조절이라고 응답한 의사가 58명(71.6%)으로 가장 많았다. 결론: 대부분의 의사들이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으나 말기 암 환자에 대한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의뢰하는 적극적인 자세는 부족하였다. 의사들에게 지속적인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교육과 정보, 홍보가 필요하리라고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understand the doctor's attitude toward hospice and palliative care for terminal cancer patients. Methods: Specialists who work at general hospital were surveyed with questionnaires about hospice and palliative care for terminal cancer patients. The questionnaires comprise 17 items.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s: Eighty one doctors responded. Their median age was 35 years old. Thirty six doctors (44.4%) were from internal medicine. The median of specialist's experience was 4 years. Forty three respondents (53.2%) have rarely examined and treated cancer patients even a week. Thirty seven respondents (45.6%) knew the exact definition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Eighty respondents (98.8%) felt that hospice and palliative care is necessary, and 91.2% of them responded the necessity of palliative medicine specialist. As to the question 'Do you positively referred terminal cancer patient to hospice and palliative care?', 55 respondents (67.9%) responded 'Yes' and 22 (27.2%) 'No'. Among the 'Yes' respondents 17 (30.9%) had an experience of hesitation for referring patients to hospice and palliative care; the most common reason was the disagreement of family members (6, 35.3%). As for the reasons of responding 'No', 6 doctors (27.2%) did so because of their 'feeling of abandoning the patients' and the other f for the 'lack of information on the referral procedure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Thirty seven specialists (45.7%) thought it is most desirable for the patients to have hospice and palliative care for 3 months before death. Fifty eight specialists (71.6%) responded that hospice and palliative care help controlling the patient's psychological symptoms before all. Conclusion: While most doctors recognize the need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for patients with terminal ranter, their attitude toward hospice and palliative care was rather reserved. We suggest that continuing education, information and promotion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hould be provided for doctors.

      • KCI등재

        한국 호스피스.완화의료기관 실태 조사

        윤영호,최은숙,이인정,이영선,이정석,유창훈,김현숙,백유진,Yun, Young-Ho,Choi, Eun-Sook,Lee, In-Jeong,Rhee, Young-Sun,Lee, Jung-Suk,You, Chang-Hoon,Kim, Hyun-Sook,Paek, Yu-Jin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2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5 No.1

        목적 : 연구의 목적은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표준화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국내 호스피스 완화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기관 및 비의료기관의 서비스 대상자, 시설 인력구성, 서비스 내용 및 재정적 문제 등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방법 : 설문조사는 2001년 7월부터 10월까지 이루어졌으며, 연구자들이 기존 연구를 참조하여 개발한 총 39항목의 설문지를 반송봉투를 넣어 우편으로 발송하여 조사하였다. 회신이 되었지만 내용을 재확인할 필요가 있는 부분과 회신이 안된 기관은 전화를 통해 설문을 완성하였다. 64개 기관이 설문에 응답하였다. 결과 : 국내에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기관이 40개, 비의료기관이 24개 있었다. 의료기관 중 11개 기관은 병원연계 및 독립 또는 별도병동이 었고, 비의료기관 중 6개는 입원이 가능한 독립시설에서 호스피스 완화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다. 호스피스 완화의료 서비스를 받는 대상자 대부분은 암환자였지만 일부는 말기 질환이 아닌 경우도 포함되어 있었다. 전체 64개 호스피스 완화의료 서비스 기관 중 24개만이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및 성직자가 있었다. 가정호스피스 기관으로서 의뢰체계가 있는 경우는 의료기관 89.7%, 비의료기관 73.7% 였다. 24시간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은 의료기관 65.0%, 비의료기관 37.5%였다. 가족을 위한 휴식공간은 병원중심 호스피스완화의료 프로그램의 50%에서 있었다. 전체 호스피스 완화의료기관의 73.9%는 재정적인 문제가 있었으며, 610%는 정부로부터의 재정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결론 : 64개 호스피스완화의료 프로그램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아직도 인력, 서비스의 질 및 시설 측면에서는 문제점이 있었다. 말기환자를 위한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고 의료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을 촉진하기 위해 호스피스 완화의료 서비스의 표준화와 제도화가 필요하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esent status of hospice palliative care programs in Korea as a basic database for standardization of hospice palliative care. Method : The data was collected from July to October, 2001. The instrument used for this study was the questionnaires which was consisted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 recipient of service, manpower, contents of service, financial conditions and facilities. Sixty-four hospice palliative care programs answered the questionnaires, confirmed by telephone. Results : They were 40 hospital-based hospice palliative care programs and 24 nonmedical hospice palliative care programs. 11 Hospital-based hospice palliative programs have isolated unit or hospital affiliated free standing hospice. 6 Non-hospital hospice palliative programs have a free standing hospice. Major subjects of hospice palliative program were terminal cancer patients but patients with non-terminal illness were also included. Only 24 of 64 hospice palliative programs had all of the essential professionals : physicians, nurses, social workers, and clergies. Home hospice palliative care programs have a referral system in hospital based (89.7%) and nonmedical programs (73.7%). 24hr hospice are were provided in 26 hospital-based (65.0%) and 9nonmedical programs (37.5%). There were rooms for family in half of hospital-based programs. 73.9% of hospice palliative care programs have financial problems. 62.0% of Hospice palliative care programs need financial support from government. Conclusion : 64 Hospice palliative care programs provided hospice palliative services but had many problems in manpower, quality of care and facility.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erminal patients' life and promoting the cost effectiveness of health care resourc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tandardiz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hospice palliative care.

      • KCI등재

        국내의 비암성 질환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적용에 대한 전문가의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 만성 폐쇄성 폐질환, 간경화를 중심으로

        신진영,윤석준,김선현,이언숙,고수진,박진노,Shin, Jinyoung,Yoon, Seok-Joon,Kim, Sun-Hyun,Lee, Eon Sook,Koh, Su-Jin,Park, Jeanno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7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20 No.3

        목적: 2017년 8월부터 말기 암 이외에도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 만성 폐쇄성 폐질환, 간경화 환자들에게도 호스피스 완화의료가 적용될 예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암성 질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세 가지 질환에서의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목표, 내용 및 적용 방법에 대한 심층 면담을 통해,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생각, 인식, 태도에 대해 살펴보아, 국내 실정에 맞는 비암성 호스피스 완화의료 진료 모델 마련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반구조적 심층 면담조사를 통한 질적 연구이다. 암환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담당하는 네 명의 임상 의사가 85편의 문헌 검색을 통해 핵심 질문을 선정하여 총 11명의 비암성 질환 전문가들에게 면담을 하고 질적 연구 방법에 따라 분석되었다. 결과: 전문가들은 비암성 질환의 말기환자를 정의하기 어렵다고 하였고,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목표와 내용은 암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것과 다르지 않다고 하였지만, 통증보다는 다른 신체 증상과 정서적 문제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말기라고 진단할 수 있는 시점에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적용해야 한다고 하였다. 질환 별로 특수한 점들(AIDS 환자들의 항바이러스제 사용, COPD 환자들의 호흡곤란, LC 환자들의 간이식)과 의료진들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였다. 호스피스 완화의료 적용 시 환자들이 자신을 포기한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고 하였고 정부의 재정 지원 문제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결론: 비암성 질환에 대한 호스피스 완화의료 도입의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심도 있는 논의를 통해 비암성 질환의 말기환자에 대한 정의를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비암성 말기환자들을 돌보는 의료진과 현재 말기 암환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담당하고 있는 인력의 협력이 필요하다. Purpose: From August 2017, hospice-palliative care (HPC) will be provided to patients with 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AIDS),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and liver cirrhosis in Korea. To contribute to building a non-cancer (NC) hospice-palliative care model, NC specialists were interviewed regarding the goals, details, and provision methods of the model. Methods: Four physicians specializing in HPC of cancer patients formulated a semi-structured interview with questions extracted from literature review of 85 articles on NC HPC. Eleven NC disease specialists were interviewed, and their answer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ss. Results: The interviewees said as follows: It is difficult to define end-stage NC patients. HPC for cancer patients and that for NC patients share similar goals and content. However,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alleviating other physical symptoms and emotional care rather than pain control. Timing of the care provision should be when patients are diagnosed as "end stage". Special issues should be considered for each NC disease (e.g., use of anti-retroviral drugs for AIDS patients, oxygen supply for COPD patients suffering from dyspnea, liver transplantation for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and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healthcare professionals. NC patients tend to negatively perceive HPC, and the government's financial assistance is insufficient.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fine end-stage NC patients through in-depth discussion to minimize issues that will likely accompany the expansion of care recipients. This requires cooperation between medical staff caring for NC patients and HPC givers for cancer patients.

      • KCI등재

        가정호스피스·완화의료 제도 도입을 위한 국민 인식도 조사

        최정규,태윤희,최영순,Choi, Jung-Kyu,Tae, Yoon-Hee,Choi, Young-Soon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5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8 No.3

        목적: 본 연구에서는 가정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파악하고 이 인식과 관련된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방법: 2014년 8월 19일부터 30일까지 2010년도 인구센서스를 기반으로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거주하는 만 20세 이상 성인 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가정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인지하고 있는 대상자는 15.9%였고, 가정호스피스 완화의료 이용 의향이 있는 대상자는 61.3%였다. 가정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거주지역, 종교 및 민간보험 가입여부이다. 서울, 광주/전라, 부산/울산/경남에 거주하는 대상자의 가정호스피스 완화의료 대한 인지도는 인천/경기에 거주하는 대상자에 비해 높았다. 종교를 보유한 대상자의 가정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지도는 종교를 보유하지 않은 대상자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민간보험 가입자의 가정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지도는 민간보험 미가입자에 비해 높았다. 결론: 가정호스피스 완화의료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호스피스에 대한 국민과 의료진의 인식 개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요양기관과 지역사회 보건소가 일정 요건을 갖춘 호스피스 완화의료팀을 구성하여 가정을 방문하여 돌봄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법제화하고, 이를 건강보험 수가에 적용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또한, 요양기관과 보건소가 가정호스피스 제공이 어려운 지역에서는 호스피스 전문간호사 중심의 가정 방문 호스피스 센터 설치에 대한 고민도 필요한 시점이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public perception of home-based hospice and identify related factors. Methods: Between August 19, 2014 and August 30, 2014, data were collected using an E-mail questionnaire that was filled by 1,500 adults who were over 20 years of ag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hi}^2$-test and logistic regression. Results: Among the respondents, 15.9% were aware of home-based hospice care, and 61.3% were willing to receive home-based hospice care.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participants' willingness to use home-based hospice services included residential district, religion and private health insurance. Respondents who lived in Seoul (OR: 1.56, 95% CI: 1.04~2.33), Gwangju/Jeolla province (OR: 2.02, 95% CI: 1.23~3.32), Busan/Ulsan/South Gyeongsang province (OR: 1.81, 95% CI: 1.17~2.82) were more well-aware of home-based hospice care than those who lived in Incheon/Gyeonggi province. The faithful were more informed about the services than those without non-faithful participants (Roman Catholics (OR: 2.03, 95% CI: 1.30~3.17), Protestants (OR: 1.76, 95% CI: 1.22~2.53). Participants who had a private health insurance plan knew more about the services than those without one (OR: 1.45, 95% CI: 1.03~2.04). Conclusion: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perception of the public and healthcare providers regarding home-based hospice care. The government should review a measure to institutionalize operation of a palliative care team at hospitals and community home-based hospice care centers.

      • KCI등재

        상급종합병원근무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미치는 영향요인 -장기기증·이식의 지식 및 태도, 죽음에 대한 인식,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지식 및 인식-

        제남주,화정석,Je, Nam Joo,Hwa, Jeong Seok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8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21 No.3

        목적: 본 연구는 병원 근무자의 연명치료 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장기기증, 장기이식, 죽음,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지식, 태도 및 인식을 알아본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K도 J시에 위치한 일개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228명의 대학병원 근무자를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으로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 의식관련 지식은 연령, 학력, 직종, 근무부서, 생명의료윤리 교육유무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뇌사 장기기증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은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지식,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인식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관한 태도는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지식,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인식, 연명치료 중단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죽음에 대한 인식은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지식,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인식, 연명치료 중단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인식은 연명치료 중단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연명치료 중단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호스피스 병동 근무와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관한 태도,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인식으로 연명치료 중단 태도를 32.5% 설명하였다. 결론: 연명치료 중단 태도에 호스피스 병동 근무와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관한 태도,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이 관련이 있었으며, 생명의료윤리에 기반을 둔 다양한 교육과정의 개발 및 적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Purpose: This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factors that affect hospital workers in their decision to withdraw from life-sustaining treatment, such as knowledge, attitude, and perception of organ donation, transplantation, death and hospice palliative care. Methods: A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28 workers of a tertiary general hospital,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by using SPSS 21.0. Results: The subjects' knowledge of biomedical ethics awareness differed by age, education level, occupation, affiliated department, and biomedical ethics education. Their knowledge of brain death,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ttitudes toward tissue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knowledge of hospice palliative care, and perception of hospice palliative care. Their attitudes toward tissue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knowledge of hospice palliative care, perception of hospice palliative care, an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Their awareness of death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knowledge of hospice palliative care, perception of hospice palliative care an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The perception of hospice palliative car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Factors associated with their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were work at the hospice ward (32.5%), attitudes toward tissue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and perception of hospice palliative care. Conclusion: This study has shown that work at the hospice ward, attitudes toward tissue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and perception of hospice palliative care were related to attitudes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More research is needed to further develop various curriculums based on biomedical methods.

      • KCI등재후보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자격인증방안과 교육과정개발을 위한 설문조사

        강진아,김도연,신동욱,김시영,이순남,Kang, Jin-A,Kim, Do-Yeun,Shin, Dong-Wook,Kim, Si-Young,Lee, Soon-Nam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0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3 No.1

        목적: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인력의 질 관리를 위해 요구되는 자격인증체계 마련을 위해 전문인력들을 대상으로 자격인증체제의 필요성 및 구체적 방안에 대한 설문조사결과를 분석 제시하여 제도 마련의 기초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방법: 국립암센터와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학회에서는 2009년 6월 17일부터 23일까지, 보건복지가족부지정 34개 암환자 완화의료기관에 등록된 전문인력인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성직자와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학회 회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중 총 220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결과: 의사는 90% (46/51)가 자격인증이 필요하다고 하였고, 간호사는 84% (113/134), 사회복지사의 경우 89% (31/35)가 자격인증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자격인증 방안에 관해서는 의사의 경우 일정한 교육만 받으면 인정의 자격을 부여해 주는 방법을 가장 선호하였고(46%), 사회복지사의 경우도 일정교육을 받은 의료사회복지사에게 자격을 부여하는 것을 가장 선호하였다. 자격인증 주체에 있어서는 의사의 경우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학회 또는 보건복지가족부가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각각 45%로 가장 많았고, 간호사와 사회복지사의 경우 보건복지가족부가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응답이 각각 50%, 66%로 가장 높았다. 교육프로그램개발 및 인정주체에 관한 의견으로는 의사의 경우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학회가 51%로 가장 높았고, 간호사의 경우 보건복지가족부(또는 국립암센터)와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학회가 함께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23%로 가장 높았다. 사회복지사의 경우 보건복지가족부(또는 국립암센터)와 대한의료사회복지사협회가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37%로 가장 많았다. 마지막으로 교육운영방식은 세 직종 모두 주말을 이용한 강의와 일부 실습이 결합된 형태를 가장 선호하였다. 결론: 국내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인력은 자격인증체제에 대한 높은 요구도를 가지고 있으며, 각 직종별요구를 반영하는 적절한 자격인증체제 및 교육프로그램개발이 시급하다. Purpose: The survey was aimed to provide basic data to develop a certification system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professionals. Methods: National Cancer Center (NCC) and the Korean Society for Hospice & Palliative Care (KSHPC) conducted the survey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professionals who worked at 34 Palliative care unit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MW) and the members of the KSHPC. The survey was conducted via e-mail from June 17 to 23, 2009. Total 220 professionals were surveyed. Results: Most of the hospice and palliative care professionals reported a great need for certification system: Physician, 90% (n=51) nurse, 84% (n=134) social worker, 89% (n=35). In regard with the requirement for the certification, a majority of physicians (46%) preferreddiploma course, while social workers (46%) preferred training course for medical social workers. Concerning the certification body, physician (45%) preferred the KSHPC and the MW almost equally, while nurses (50%) and social workers (60%) preferred the MW highly. As for the body to develop and accredit advance training course for each professionals, most of the physicians (51%) preferred the KSHPC, whereas nurses and social workers preferred collaboration of the MW (or NCC) with the professional society, such as the KSHPC (23%), the Korean Hospice & Palliative nurses association for nurses (21%), or the 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social workers (37%). Lastly, all respondents preferred the course format of once a week, full day, and some field study at weekend. Conclusion: Korea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professionals identified the great need for the certification system, therefore, the adequate system development must be followed to reflect their voice.

      • KCI등재

        호스피스·완화의료 사회복지사의 심리사회적 사정항목에 대한 중요도 인식

        김원철,황명진,Kim, Won-Chul,Hwang, Myung Jin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4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7 No.4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심리사회적 표준사정항목을 개발하기 위한 예비연구로써, 심리사회적 사정항목의 중요도에 대한 호스피스 완화의료 사회복지사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의료기관의 유형과 사회복지사의 자격조건에 따라 심리사회적 사정항목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방법: 2013년 5월 30일부터 10월 31일까지 전국 55개 완화의료지원기관에 정부인증 호스피스 완화의료기관 10곳의 사회사업초기면접 기록지와 선행연구결과를 반영하여 8개 범주 80개 항목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메일로 발송하였다. 이 중 조사 참여에 동의한 31개 기관(56%)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심리사회적 사정영역의 8개 범주 중 가족사항에 대한 평균치가 4.53으로 가장 높고 경제적 사항이 4.06으로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또한 사회복지사 자격증, 의료사회사업수련,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담여부등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자격특성과 병원의 유형에 따라 중요도에 대한 인식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특히 본 연구결과 심리사회적 사정항목의 수행도가 기관마다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사정항목을 중요하게 인식함에도 사정하고 있지 않는 등의 편차가 나타나 표준사정항목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법적 제도화를 통해 사회복지사의 자격기준과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전담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고 전문교육을 강화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Purpose: This preliminary study is aimed at developing standardized tools for psycho-social assessment of patients in needs for hospice/palliative care. To accomplish the purpose, investigators examined effects of perceptions of social workers on the importance of psycho-social domains of assessment in hospice/palliative care settings. Moreover, investigators paid attention to variances of perceptions of social workers' along with types of institution and credentials of those family settings. Methods: A form of questionnaire was first explored from an initial interview assessment of 10 government-certified hospice care providers and a literature review, second constructed with eight domains and 80 items, and sent by e-mail to 55 institutions and hospitals providing hospice/palliative cares in Korea. Lastly, a total of 31 agencies returned with a completed responses and consent form (56% response rate). SPSS program (version 18.0) was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Study found that social workers perceived patients' family background (m=4.53, 5-point scale) as the most important assessment domain, whereas economic conditions (4.06 point) the least important. Social workers' perception varied by credentials (i.e., license types, training, full-time position, types of care facility). Conclusion: Based upon study findings, investigators can conclude strong needs for developing a assessment tool that measures multiple domains (i.e., psychological, social and ecological aspects) of patients. A standardized assessment tool should be structured with 2 axis (center/core and expanded/peripheral) and tailored for institution type. Second, professional trainings must be provided by strengthening legal institutionalization and fostering qualified social workers with full responsibilities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patients.

      • KCI등재

        호스피스 간호 관련 국내 연구 동향

        이영은,최은정,Lee, Young-Eun,Choi, Eun-Joung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1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4 No.3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호스피스 간호 연구 동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1985년부터 2009년까지 24년 동안 발표된 국내 호스피스 간호 관련 논문 총 183편으로 간호학위논문 62편과 비학위논문으로서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121편이었다. 본 분석대상 논문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제공하는 학술정보서비스(http://www.riss.kr)를 이용하여 호스피스(완화) 간호, 말기(암)환자의 핵심어를 조합하여 검색하였다. 검색결과 호스피스 관련 국내 학위논문과 대한간호학회지, 아동간호학회지, 정신간호학회지, 성인간호학회지, 병원간호사회지, 행정간호학회지, 종양간호학회지,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학회지, 호스피스 학술지, 호스피스 논집 등에 게재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학위논문 중 학술지에 게재된 것은 학술지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단, 종설과 인터넷으로 원문수집이 불가능한 논문은 제외하였다. 결과: 호스피스 간호 관련 논문 수가 급증하였고, 연구설계 유형은 양적연구가 질적연구보다 월등하게 많았다. 분석대상 논문에서 도출된 주요어는 5개 영역에서 총 74개가 도출되었고, 총 225개의 주요어를 사용하였다. 자료수집시 윤리적 고려는 서면동의가 많았고, IRB를 통과한 연구가 극소수이며, 다학제간 연구 지원금은 점차 증가하였다. 결론: 결론적으로 말기암환자의 간호문제나 현상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조사연구보다는 질적연구 방법의 접근이 많이 필요하고, 연구개념도 삶의 질과 더불어 죽음의 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중재연구에 있어서는 말기암환자의 가장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통증완화, 기타 주요 신체간호, 그리고 보완대체요법에 관한 간호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간호학 연구를 넘어 다학제적 팀 연구가 더 많이 수행되어야 하며, 마지막으로 아동호스피스에 관한 연구가 매우 미비한데, 이에 관한 연구가 더 시행되어야함을 제안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a trend in studies of hospice care in Korea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Methods: This study analyzed a total of 183 studies related to hospice care which were found at http://www.riss.kr. Results: Of the 183 studies, 62 (33.9%) were for thesis studies for a degree, 121 (66.1%) for academic journals. There were 159 (87.8%) quantitative studies, 18 (8.9%) qualitative studies, and 6 (3.3%) Q-Method studies. The most frequently used study design was a descriptive study. The majority of study participants were terminal cancer patients, patients' family members and health care personnel. The thesis articles were searched by using key words as follows: health, nursing, environment, children's hospice, and others. Conclusion: The number of studies of hospice care has increased, and research key words varied. Furthermore, more experimental research is needed on nursing intervention such as pain relief, alternative therapies and hospice care for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