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 환자에서 아미노산 투석액 ( Nutrineal(R) ) 의 장기간 사용이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향 - 반응군과 비반응군의 비교

        최소래(So Rae Choi),송영수(Yong Soo Song),윤수영(Soo Young Yoon),윤도식(Do Sik Yun),안수현(Soo Hyun Ahn),박형천(Hyung Cheon Park),이종호(Jong Ho Lee),강신욱(Shin Wook Kang),최규헌(Kyu Hun Choi),하성규(Seong Kyu Ha),이호영(Ho Yung Lee 대한신장학회 2002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1 No.5

        배 경 : 복막투석 환자에서 아미노산 복약투식액 (IPAA)의 사용이 영양학적 지표를 단기적으로는 개선한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장기적으로 투여하였을 때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저자들은 IPAA의 장기간 사용이 환자의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IPAA의 사용으로 영양상태의 호전을 보이는 환자들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영양실조 소견을 보이는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 환자 46명을 대상으로 하여 아미노산 복막투석액 (Nutrineal^ )을 1일 1회 12개월간 사용하면서 영양학적 지표를 12개월 동안 측정하였으며, 크레아티닌 배설량으로부터 계산된 제지방무게 (LBMCr)가 2.0 ㎏ 이상 증가하거나 전체 체중에 대한 제지방무게의 비율 (%LIBMCr)이 5% 이상 증가한 환자들을 반웅군으로 정의하여, 반응군과 비반응군 두 군에서 여러 지표를 비교하였다. 결 과 : IPAA를 12개월 사용 후 혈청 요소질소, 크레아티닌, IGF-1은 기저치와 비교하여 지속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단백질과 알부민은 의미있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혈청 총 CO_2는 IPAA 투여 후 점차 감소하여 대사성산증의 정토가 심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LBMCr, 표준 단백질소 발현을, 주관적 영양상태 평가, 운동 능력은 아미노산 투석액 투여 후 지속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여, 영양 상태의 호전을 보여주었다. IPAA 사용 후 혈청 요소질소, 단백질소 발현을, 표준화 단백질소 발현을과 주관적 영양상태평가는 반응군과 비반응군 모두에서 기저치에 비해 유의하게 상승하였으나, 반응군에서의 상승이 비반옹군보다 더욱 현저하였다. 그러나 혈청 크레아티닌, LBMCr와 %LBMCr은 반웅군에서만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운동능력은 기저치에서부터 반응군이 비반응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IPAA 사용 후 반웅군에서만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IPAA 사용 이전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던 혈청 알부민은 비반웅군에서는 계속 감하였으나, 반응군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이 둔화되어 안정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 론 : 1일 1회 1.1% TPAA의 장기간 사용은 영양실조 상태의 복막투석 환자에서 영양상태의 호전을 초래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었다. 영양실조가 진행된 환자보다 영양실조가 경한 상태에서부터, 특히 기저치 운동능력이 보전된 환자와 IPAA 사용 후에 IGF-1, LBMCr와 운동능력이 증가하는 환자에서 IPAA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영양상태의 호전을 더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Background : IPAA provide nutritional benefit, at least in the short term. However, the long-term efficacy of IPAA in PD patients remains unclear. An attempt was made to evaluate long-term efficacy of IPAA and to ascertain possible factors associated with improved nutritional status after IPAA. Methods : The 46 malnourished CAPD patients were treated with IPAA (one exchange of Nutrineal daily) for one year. Various nutritional, boichemical variables, urea kinetic study and measurement of lean body mass based on creatinine excretion (LBMCr) were carried out at baseline, and at 3month interval thereafter. Responders was defined as those patients who had an increment of mean LBMCr more than 2.0 ㎏ and/or an increase in mean %LBMCr (LBMCr/Body weight) more than 5% during IPAA treatment. Results : After administration of IPAA, BUN, Cr, LBMCr, %LBMCr, nPNA, SGA, and exercise capacity increased significantly. But, protein and albumin level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Increment of GF-1 level was significant. At baseline, responders had a significantly higher hand grip and back lift strength compared to non-responders. IPAA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in BUN, PNA and nPNA in both groups, but the increment of them was pronounced in responders. IPAA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serum creatinine (10.6±2.1 vs. 11.8±2.6 ㎎/dL, p<0.05) and %LBMCr (70.8±8.9 vs. 76.4±9.2%, p<0.05), hand grip strength (23.2±7.3 vs. 24.3±7.7 ㎏, p<0.05) and back lift strength (67.0 27.4 vs. 75.3±26.6 ㎏, p<0.05) only in responders. Serum albumin level remained stable after IPAA treatment in responders. Conclusion : IPAA treatment for 12 months provided some nutritional benefits in malnourished CAPD patients. And, our data suggest that response to IPAA is more pronounced in CAPD patients with a better preserved nutritional status, `especially in those patients with higher back lift and hand grip strength at baseline.

      • SCOPUSKCI등재

        투석 환자에서의 결핵의 임상상

        윤수영 ( Soo Young Yoon ),최소래 ( So Rae Choi ),강이화 ( Ea Wha Kang ),구영석 ( Young Seok Goo ),김범석 ( Beom Seok Kim ),윤현진 ( Hyun Jin Youn ),강신욱 ( Shin Wook Kang ),최규헌 ( Kyu Hun Choi ),이호영 ( Ho Yung Lee ),한대석 ( 대한신장학회 2003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2 No.1

        목적 : 우리나라 투석 환자에서의 결핵의 특징적인 임상 양상을 알아보고자 후향적으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82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세브란스병원에서 투석을 시작한 환자 중 결핵으로 확진된 34예를 대상으로 그 임상 양상을 조사하였다. 결과 : 대상 환자는 남자가 16명, 여자가 18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52.4세였고, 평균 투석기간은 36.4개월이었다. 혈액투석 환자가 14명, 복막투석 환자는 20명이었고, 원인 신질환으로는 당뇨가 9명 (26.5%)으로 가장 많았다. 부위별로는, 폐결핵이 14명으로 41.2%였고, 폐 외 결핵 20명 중 임파선 결행기 10명 (50%), 복막염이 4명 *20%), 속립성 결핵이 3명 (15%), 그 외척축, 심낭과 하지 근육의 결핵이 각각 1명씩이었다. 폐결핵의 경우 호흡곤란과 권태감이 뚜렷하였고, 임파선 결핵을 제외하고는 발열, 체중 감소 등 결핵 환자의 전형적인 증상을 보이는 경우는 드물었다. 백혈구의 증가는 없었으나, 빈혈, 체중간소 등 결핵 환자의 전형적인 증상을 보이는 경우는 드물었다. 백혈구의 증가는 없었으나, 빈혈, 저알부민혈증과 더불어 급성기 반응 물질의 증가가 현저하였다. 결핵균이 동정된 경우 3명 (8.8%0이었고, 폐 외 결핵의 경우는 조직검사로 진단된 경우가 가장 많았다. 항결핵제 복용 중단의 원인은 소화 장애가 가장 많았다. 10명은 완치되었고, 12명은 현재 치료 중이며, 4명이 사망하였고 1명에서 재발이 관찰되었다. 결론 : 투석 환자에서의 결핵은 폐 외 결핵의 발생 빈도가 높고, 임상 양상이 전형적이지 않아 진단이 어려우나, 적절히 치료하면 재발은 흔하지 않으므로 결핵이 의심되는 환자에서는 적극적인 진단 및 치료가 요구된다. Background : A retrospective study of the clinical features of tuberculosis in patients undergoing maintenance dialysis was performed. Methods : We reviewed medical records of patients. Results : Among thirty-four patients, fourteen were on hemodialysis and twenty were on peritoneal dialysis. Mean age was 52.4±13.8 years, and interval between initiation of dialysis and onset of tuberculosis ranged from 1 to 146 months. There were 14 cases of pulmonary tuberculosis, 10 cases of tuberculous lymphadenitis, 4 cased of tuberculous peritionitis, 3 cases of miliary tuberculosis, 1 case of spinal tuberculosis, 1 case of tuberculosis of thigh.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usually presented with dyspnea and malaise. But typical symptoms of tuberculosis such as fever, cough, sputum, and weight loss were rarely observed. Leukocytosis was absent but anemia, hypoalbuminemia and significant increase in acute phase reactants such as ferritin and C-reactive protein was obvious. Diagnosis was established by positive AFB in 3 patients, and in cases of extrapulmonaty tuberculosis, 13 among 20 patients were diagnosed by typical histologic characteristics on a tissue biopsy. Antituberculous treatment consisted of isoniazid, rifampicin, pyrazinamide, and occasionlly ethambutol. And in several cases, incision and drainage, pericardiocentesis, or removal of peritoneal catheter were performed. Among the patients, just one recurrence was observed and four patients died while on antituberculous treatment. Conclusion : In dialysis patients, extrapulmonary tuberculosis is common and diagnosis of tuberculosis is difficult for its atypical manifestations. Therefore, early diagnosis and prompt initiation of treatment is needed in patients with high suspicion of tuberculosis.

      • SCOPUSKCI등재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 환자의 영양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한 단면적 연구

        강이화 ( Ee Wha Kang ),구영석 ( Young Suck Goo ),이상철 ( Sang Cheol Lee ),한승혁 ( Seung Hyeok Han ),윤수영 ( Soo Young Yoon ),최소래 ( So Rae Choi ),박형천 ( Hyeong Cheon Park ),강신욱 ( Shin Wook Kang ),최규헌 ( Kyu Hun Choi 대한신장학회 2002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1 No.6

        목 적 :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 치료를 받는 환자들의 17-56%에서 단백질-열량 영양실조를 보이며, 영양실조는 이환율 및 치사율을 결정하는 주요 인자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는 복막투석 환자에서 영양실조의 유병율과 영향을 미치는 인자 및 인자들간의 상호 연관성을 규명하여 영양 실조의 발생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유용한 지침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말기 신부전증으로 진단 받고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최소한 3개월 이상 정기적인 외래 추적관찰을 받았고, 임상적으로 안정된 1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영양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주관적 영양상태 평가방법, 인체 계측, 운동 능력, 혈청 생화학적 분석, 요소 동력학 모형의 지표, 식이 섭취정도를 단면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자의 평균 연령을 50.7±11.4세이었고, 남녀 비는 1 : 1이었으며, 평균 투석기간은 67.3±39.7개월이었다. 주관적 영양상태 평가방법에 따라 세 군으로 나누었을 때, 정상 영양상태를 보이는 환자 (Ⅰ군)는 75명 (59.0%), 경도의 영양실조를 보이는 환자 (Ⅱ군)는 30명 (33.6%)이었으며, 중등도 내지 중증의 영양실조를 보이는 환자 (Ⅲ군)는 22명 (17.4%)이었다. 임상적 특성 중, 환자의 나이 (P<0.01), 투석기간 (p<0.05)에 Ⅰ군 보다 Ⅲ군에서 유의하게 높아 연령이많고 투석기간이 길수록 영양실조의 빈도가 많았다. 혈청 생화학적 검사 중, Ⅰ군보다 Ⅲ군에서 혈청 크래아티닌, 중성지방, 단백질, 알부민, prealbumin, IGF-1, traansferrin, 등이 유의하게 낮았고 (p<0,01), 반대로 CRP,, ferritin, IL-6 등은 의의있게 높았다 (p<0,05). 알부민은 세 군간에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1). 인체 계측치와 운동 수행능력 평가에서는 체중, 이상체중에 대한 백분율, 체지방량, 체질량비, 중완둘레, 피부측벽두께, 중완 근육면적 등이Ⅰ군에비해 Ⅱ, Ⅲ군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다 (p<0.05), 다변량 희귀분석법으로 분석한 결과, 영양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적인 인자는 혈청 알부민, leptin, CRP이었다 결론 :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을 받는 약 40%의 호나자들이 경중 이상의 영양실조를 보였으며, 여러 임상적, 혈청 생화학적 인자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중 독립적으로 연관이 있는 인자는 혈청 알부민, CRP, leptin이었는데, 세 군간에 투석량과 식이 섭취에 차이가 없었기 때문에 급성 및 만성 염증 반응이 영양 실조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중 leptin의 역할에 대해서는 향후 많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Protein-calorie malnutrition is common in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CAPD) patients and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morbidity and mortality. This cross-sectional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prevalence of protein-calorie malnutrition in Korean CAPI) patients. Other purposes were to ascertain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nutritional parameters and to evaluate factor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malnutrition in CAPD patients. Methods : Subjects were clinically stable 127 patients who have been on CAPD for more than 3 months. Nutritional status was assessed by subjective global assessment (SGA), biochemical, anthropometric, and urea kinetic parameters. Results :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50.7±11.4 years with sex ratio (M : F) 1:1, and mean duration of dialysis was 67.3±39.7 months. Patien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SGA group Ⅰ(normal nutrition, n=75, 59.0%), group Ⅱ(mild malnutrition, n=30, 23.6%) and group Ⅲ (moderate to severe malnutrition, n=22, 17.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CAPD duration, peritonitis rate and hospital-days per year between group Ⅰ and group Ⅲ. Among biochemical variables, serum creatinine, triglyceride, protein, albumin, prealbumin, IGF-1, transferrin and leptin were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Ⅲ compared to group Ⅰ (p<0.05), and CRP, ferritin, and IL-6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Ⅲ than group Ⅰ.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rum albumin among all three group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Kt/Vurea, nPNA and SCCr among three groups.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idual renal function (p<0,05) and PNA (p<0.05) between group I and group Ⅲ. Among anthropometric variables, body weight, %IBW, BMI, %body fat mass, MAC, TSF, BSF, CAMA, and TBM were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Ⅲ than the other two groups (p<0,05). But, there was no differences in exercise capacity and food intake among the three groups. To evaluat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parameters used for assessing malnutrition, we conducted Pearson`s rank correlation test. Sen albumin (γ=0.45), age (γ=-0.29), %JBW (γ=0.52), leptin (γ=0.32), CRP (γ=-0.24), TSF (γ =0.45) and CAMA (γ=0.41)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GA.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lbumin, leptin, and CRP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malnutrition (p<0.05). Conclusion : About 40% of CAPD patients were malnourished according to SG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serum albumin, leptin and CRP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malnutri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ute and chronic inflamniatory respons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protein-calorie malnutrition in CAPD patients with comparable food intake and dialysis does.

      • SCOPUSKCI등재

        IgA 신증의 예후인자로서 선택적 단백뇨지수의 의의

        구영석(Young Suck Goo),강이화(Ea Wha Kang),이상철(Sang Cheol Lee),한승혁(Seung Hyeok Han),경희두(Hee Doo Kyung),정재헌(Jae Hun Jung),윤수영(Soo Young Yoon),최소래(So Rae Choi),노현정(Hyun Jung Roh),박형천(Hyeong Cheon Park),강신욱(Sh 대한신장학회 2001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0 No.5

        목 적 : 선택적 단백뇨지수(selective proteinuria index , SPI)는 신증후군 환자의 조직학적 변화 및 스테로이드 치료에 대한 반응을 알 수 있는 예후인자로 알려져 있다. 단백뇨를 보이는 IgA 신증 환자에서 사구체 기저막의 음전하 소실이 나타나고, 신기능이 저하된 IgA 신증 환자에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가 비선택적 공(pore)의 반경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선택적 단백뇨지수의 개념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신증후군 환자에서 선택적 단백뇨지수가 사구체 손상 뿐만 아니라 세뇨관간질의 손상 정도를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IgA 신증의 예후가 사구체경화와 세뇨관간질의 손상 정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IgA 신증 환자에서 선택적 단백뇨지수가 사구체와 세뇨관간질의 손상 정도를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본 연구는 IgA 신증에서 선택적 단백뇨지수와 다른 예후인자들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선택적 단백뇨지수가 예후인자로서 의미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0년 1월부터 2000년 1월까지 연세의료원에 내원하여 신장 조직 검사로 IgA 신증을 진단 받은 환자들 중 진단 당시에 신기능이 정상이었으며, 24시간 소변검사와 선택적 단백뇨지수를 측정한 81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자들을 선택적 단백뇨지수 정도에 따라 고선택성(SPI≤0.1, n =6), 중등도 선택성(0.1< SPI≤0.2, n =33), 비선택성(SPI> 0.2, n =42)군으로 나누어 임상 소견과 신부전의 발생 차이를 비교하였다. Kaplan - Meier 생존곡선을 이용하여 예후인자에 따른 신부전의 발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혈청 크레아티닌이 1.5 mg/ dL 이상이고 진단 당시보다 혈청 크레아티닌이 2배 이상 증가한 경우를 신부전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IgA 신증에서 신증후군을 보인 28명을 대상으로 선택적 단백뇨지수에 따른 스테로이드나 세포 독성 약물 치료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결 과 : 1) 선택적 단백뇨지수에 따라 분류한 세군에서 24시간 단백뇨(0.52±0.35, 1.85±1.55, 2.79±2.51 g/ day, p<0.05), 고혈압(0, 4, 11명, p< 0.05), Haas 분류법(Ⅰ+Ⅱ : 5명, 21명, 6명, Ⅲ : 1명, 9명, 13명, Ⅳ+Ⅴ : 0명, 3명, 23명, 각각 고선택성, 중등도 선택성, 비선택성, p=0.01)은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연령, 성별, 추적관찰 기간, 혈뇨, 24시간 크레아티닌 청소율, 혈청 크레아티닌은 세군간에 통계학적인 차이가 없었다. 2) Cox의 비례위험 회귀모형으로 분석하였을 경우, 신부전으로의 진행은 혈청 크레아티닌 (Exp (B)=4.2, p<0.001), 24시간 크레아티닌 청소율(Exp (B)=2.1, p<0.05), 선택적 단백뇨지수 (Exp (B)=1.7, p<0.05), 고혈압(Exp (B)=1.6, p<0.05)과 연관이 있었다. 3) IgA 신증에서 신증후군 소견을 보인 환자는 28명으로 고선택성 단백뇨군에서는 신증후군의 발생이 없었다. 약물 치료 결과는 중등도 선택성 단백뇨군에서 신증후군 양상을 보인 9명 중 N/A

      • 기관지천식 환자에서 흡입성 알레르겐에 대한 피부반응도의 변화양상

        이재훈,최소래,홍천수,박중원,김철우,정혜원,정준원 대한알레르기학회 2001 천식 및 알레르기 Vol.21 No.2

        Background : Skin prick test has been the primary diagnostic tool used to recognize causative allergens, and there is some evidence that skin reactivity to allergens can be altered by changes in the environment. Objective : We performed this study to evaluate whether there are changes in skin reactivity to inhalant allergens among patients with bronchial asthma. Materials and method : We reviewed the skin prick test results of 384 bronchial asthmatics tested in the early 1990s (June 1992-May 1994) with 52 common inhalant allergens and compared the results of 500 asthmatics tested in the mid 1980s (Jan 1984 - May 1987) with the same kinds of allergens provided by the same manufacturer. Results : Of the 384 subjects tested in the early 1990s, 276 subjects(71.9%) had positive reaction to one or more inhalant allergens and the positive rate was not different from that of the mid 1980s(74%). But, skin reactivity to pollen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individual allergens, house dust mite(D. farinae and D. pteronyssinus) was the most reactive allergen (52.3%, 43.2% respectively) in the early 1990s. Significant differences in skin reactivity to ragweed (10.0% vs 22.1%, p$lt;0.05) and cockroach (12.7% vs 25.0%, p$lt;0.05) were found when the results of the 1980s and the 1990s were compared. Conclusion : House dust mite was the most important allergen in asthmatics from the mid 1980s to the early 1990s. There was increased sensitization to cockroach and ragweed allergen in the early 1990s. Further prospective immunologic and environmental studies are recommended for proper interpretation of the changes in skin rea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