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한민국 산모의 지카바이러스 항체 유병률

        차지민,홍수빈,김명신,박인양 대한산부인과학회 2020 대한산부인과학회 학술대회 Vol.106 No.-

        Objective: 지카바이러스는 임신 중 감염되면 심각한 태아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지카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 발생국으로 여행을 피하는 것뿐아니라 인구집단 별 항체 유병률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그러나, 우리나라 인구집단에서 지카바이러스 항체 유병률에 대해 보고된 바 없다. 이에 우리는 대한민국 산모의 지카바이러스 항체 유병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Methods: 2015년동안 서울성모병원 산부인과를 내원한 임산부 107명을 대상으로 임신 중기 산모 혈액을 수집하였다. 지카바이러스 특이 면역글로불린 G의 항체가를 효소결합면역흡착측정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Results: 107명 산모중에 지카바이러스 항체 양성을 보인 산모는 4명 (3.7%) 이었다. Conclusion: 2015년 대한민국 산모에서 지카바이러스 항체 유병률은 3.7% 이다. 이는 지카바이러스 예방에 대해 경각심을 갖기 시작한 2016년 이전에 지카바이러스 토착지역을 여행하여 감염되었을 가능성에 대해 시사한다. 2016년 세계보건기구의 지카바이러스에 대한 국제공중보건 비상사태 선언 이후에 지카바이러스 항체 유병률에 대한 지속적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 자궁내막증 유도 마우스 모델을 이용한 Uterine residual NK cell의 평가

        차지민,강희진,정인철,기은영,김수미,정유현,유지근 대한산부인과학회 2022 대한산부인과학회 학술대회 Vol.108 No.-

        Objective: 자궁내막증에 의한 난임에는 여러 면역요인이 연관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되나 관련 기전은 명확히 밝혀진 바 없고 특히 NK cell을 비롯한 여러 면역세포의 역할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이에 자체적으로 개발한 자궁내막증 마우스 모델을 활용하여 자궁내막증이 존재하는 개체의 자궁내막 환경에서의 면역/염증반응, 난임 간 상관관계를 모색하고자 한다. Methods: 지난 연구에서 생쥐의 좌측 자궁을 절개, 외번하여 생식선에 부착함으로써 자가조직으로 자궁내막증 병변을 유도하는 모델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 쥐의 자궁조직, 수술을 통해 유도된 자궁내막증 병변, 그리고 자궁내막증이 유도된 개체의 우측 정상 자궁조직을 획득하였다. 면역세포의 활성과 염증반응, 특히 uterine NK cell의 역할을 확인하고자 mRNA sequencing을 시행하였고, NK cell의 활성을 표현하는 marker을 선정하여 qPCR을 시행하였다. GnRH agonist 및 Dienogest 치료군을 추가하여 각각의 결과값 또한 확인하였다. Results: 자궁의 외번 및 부착을 시행한 개체에서 m-RNA sequencing sampling을 시행하여 면역 및 염증반응에 해당하는 gene을 확인하였고, 그 중 human-mouse gene 간 homology가 비교적 알려져 있는 LILRB3, IL2RB, NKp46을 선정, 각 마커에 대해 qPCR을 시행하였다. NK cell inhibitory marker인 LILRB3와 NK cell activating marker인 IL2RB는 자궁내막증 유도모델에서 각각 증가와 감소를 보였다. 반대로 NK cell activating marker인 NKp46은 자궁내막증 유도모델에서 발현이 증가되었다. 결과는 GnRH agonist 및 Dienogest 치료군에서도 비슷한 양상으로 확인되어 치료 후에도 NK cell marker 활성이 원래 수준으로 회복되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Conclusion: 본 실험에서 자궁내막증이 유도된 마우스개체의 정상자궁 내의 NK cell 활성이 특이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궁내막증 유도모델과 비교했을 때 GnRH agonist 및 Dienogest 치료군에서 NK cell marker의 변화가 자궁내막증 유도 전과 같이 돌아오지 않았는데, 이는 대표적인 자궁내막증 치료제인 Dienogest의 임신/출산율 개선 여부가 뚜렷하지 않은 여러 임상결과들과 부합한다. 이후 유력한 NK cell marker들의 추가적 확인과 cytokine들의 변화와 NK cell 또는 다른 면역세포간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qPCR 및 면역염색을 진행하고 있으며 가까운 시일 내에 추가적인 결과가 나올 예정이다.

      • KCI등재

        추모 박물관 속 패러독스

        차지민 새한철학회 2020 哲學論叢 Vol.99 No.1

        This study investigates memorial museum experience through aligning and un-aligning feelings of an individual. Guided by Sara Ahmed’s theory of collective feeling and Brian Massumi’s “physiologically split”, this study reconsiders individuals’ feelings that align, but also un-align with the collective in memorial museums. Thus, while the current museum studies cast an overwhelming emphasis on the feeling that aligns with the collective—aligning feeling—this study inspects the co-existence of aligning and un-aligning feelings in museum experience. By analyzing the affective paradox—un-aligning feeling that aligns—this study provide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n memorial museum experienc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reconsider memorial museums by engaging museum studies with cultural studies along with affect theory and aspires to suggest a new path that can lead the understanding of memorial museums to new direction. 추모 박물관을 방문한 경험이 있다면, 전시 속 희생자들의 고통에 공감하며 그들과 일종의 유대감을 느끼고, 방문을 마친 후에는 이들의 이야기에 감동을 느낀 경험이 한번쯤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방문객들의 감정에 집중하여, 방문객들이 전시에 공감하는 현상과 모순되는 감정, 즉 어째서 고통의 공간인 추모 박물관에서 감동이라는 긍정적인 감정이 촉발되는지에 대해 탐색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추모 박물관에서 경험되는 감정현상을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한다. 첫째, 다양한 개인의 감정들이 어떻게 “공감된 느낌들(feelings-in-common)”을 통해 한 집단과 유대감을 형성하며 감동을 느끼도록 하는지 살펴보고, 둘째, 어떻게 상반되는 감정들, 즉 슬픈 감정이 감동으로 바뀌는지와 같은 감정의 움직임에 대해 논의한다. 이를 위한 분석은 문화이론가인 사라 아메드(Sara Ahmed)의 집단적인 감정(collective feeling)에 대한 이론과 감정이론가인 브라이언 마쑤미(Brian Massumi)의 “생리학적 분열(physiologically split)”을 통해 진행한다. 지금까지의 박물관 경험에 대한 논의가 방문객들을 전시가 의도하는 감정의 흐름에 따르는 수동적인 존재로 해석했던 것과는 달리, 본 연구는 지금까지 간과되어왔던 박물관에서 경험되는 모순되는 감정들을 토론에 포함시킴으로써 박물관 경험 뿐 만 아니라 추모 박물관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킨다. 따라서 문화이론과 감정이론을 추모 박물관 연구에 접목시킴으로서 본 연구는 박물관 경험을 이해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박물관 경험을 재해석함으로써 추모 박물관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도모한다.

      • KCI등재

        양극성장애 입원 환자에서 약물 사용의 변화: 일 대학병원에서 1998~2001년과 2009~2012년의 비교

        차지민,심인희,우영섭,전태연,박원명 대한정신약물학회 2014 대한정신약물학회지 Vol.25 No.3

        ObjectivezzThe aim of this study was to monitor changes of prescription trends for bipolar disorder in inpatient settings in one university hospital. MethodszzA retrospective chart review was performed and data of 188 cases (2009–2012) and 118 cases (1998–2001) with a diagnosis of bipolar disorder were collected. Data on demographic variables, duration of hospitalization, kinds of psychotropic medications and the patterns of prescription over each four-year period were analyzed. ResultszzThe proportion of patients with manic episode was decreased, whereas those of mixed and depressive episodes were increased. The use of lithium was decreased with the increased use of valproate. Increased use of lamotrigine in depressive episode was prominent. The use of combination treatment with mood stabilizers and antipsychotics was almost same level in both periods. The use of typical antipsychotic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at of atypical antipsychotics was increased. Especially, the use of quetiapine showed great increase. In bipolar depression, the use of antidepressant was increased. Conclusionzz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changes have occurred in the prescription patterns in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in the last four years. These results seem to reflect the accumulating evidence-based data for the treatment of bipolar disorder, and will provide the useful information to clinicians in practical situations. 본 연구에서는 1998~2001년, 그리고 2009~2012년에 양극성장애 진단하에 입원 치료를 받은 환자군에서 약물 사용의 경향을 일 대학병원을 대상으로 검토하였고 각 4년간의 약물 치료 경향 및 10여 년간의 변화 동향을 조사 분석하여 실제 임상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우선 삽화의 구성에 있어 10년 이전에 비해 최근 4년간 조증 삽화에 비해 혼재성 및 우울삽화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기분조절제로는 lithium의 사용이 감소하였고 valproate의 사용이 증가하였다. 우울삽화에서는 lamotrigine의 두드러진 사용 증가가 나타났다. 기분조절제와 전체 항정신병약물의 병합은 비슷한 수준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으나 항정신병약물 중 비정형 항정신병약물 처방은 증가하고 정형 항정신병약물 처방은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비정형 항정신병약물 중에 risperidone의 사용은 큰 폭으로 감소하고, quetiapine과 ar-ipiprazole의 사용이 크게 증가하였다. 항우울제의 경우, 1998~ 2001년에 비해 2009~2012년에는 양극성 우울증에서 항우울제의 사용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변화들은 치료진과 환자, 그리고 환자 보호자들의 빠른 치료에 대한 기대, 신속한 치료 효과 및 약물의 안전성과 내약성에 대한 축적된 연구 결과들을 반영한 결과라 생각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처음 연구 목적과도 같이 임상 현장에서 치료 계획을 세울 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추모 박물관 그리고 현대소비사회 : “가장 악의적”인 공간 속 “붕괴”에 관하여

        차지민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2021 탈경계인문학 Vol.14 No.1

        이 논문은 추모 박물관을 현대소비사회 안에서 고찰한다. 기존의 박물관 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는 박물관이 속한 사회를 토론에 포용함으로써 보다 포괄적인 시각으로 박물관에 대해 논한다. 논의는 크게 세 가지로 이루어진다. 쟝 보드리야르의 이미지에 대한 이론을 통해 첫째, 추모 박물관 전시가 사실과 구분이 불가능해지는 현상이 어째서 “가장 악의적”일 수 있는지 둘째, 추모 박물관 전시 속 이미지가 어떻게 박물관의 메시지를 “완전히 무관심하게” 만드는지 셋째, 보드리야르의 현대소비사회에 관한 이론을 바탕으로 추모 박물관이 소비가 만연한 현대사회에서 어떻게 즐겁게 소비되는지 탐색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지금까지 간과되어왔던 현대소비사회를 추모 박물관과 연결하여 분석함으로써 박물관을 이해하는 새로운 관점을 제안한다. 연구의 논의는 대표적인 추모 박물관으로 손꼽히는 미국 워싱턴 디시의 홀로코스트 박물관과 칠레의 수도 산티아고에 있는 칠레 인권박물관을 통해 진행된다. This research investigates memorial museums in the context of consumer society. Unlike the existing studies, which focus mainly on the exhibition, this research differentiates itself from the current studies by inviting society to its examination. Based on Jean Baudrillard’s critical views on image and consumer society, this study tackles memorial museums in a new light largely in three aspects. First, this study inspects why the phenomenon of “indistinguishability” can be “most diabolical.” Second, this research examines how the image in memorial museum’s exhibition replaces the past with “artificial memory” by causing visitors to become “totally indifferent” to the message the museum is trying to convey. Third, based on Baudrillard’s theory on the consumer society, this research locates memorial museums in consumer society to explore how museums are consumed happily by visitors, who enter the museum from where consumption is prevalent. Thus, this research proposes a new perspective for understanding museums by connecting the museums to consumer society, which is an aspect that has been overlooked so far in the discussion of memorial museums. For the discussion, cases of the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in Washington, D.C. and Museum of Memory and Human Rights in Santiago, Chile will be introduced.

      • KCI등재

        소비사회 속 추모 박물관: 추모 박물관이 주는 즐거움에 대하여

        차지민 철학연구회 2019 哲學硏究 Vol.0 No.127

        This study investigates memorial museum as a place of consumption rather than commemoration by locating the museum in the context of consumer society. The current museum studies heavily focuses on museum itself, such as its exhibit, historical background, and administrators, who planned and structured the museum, and pays little attention to how museum is understood within a society. In other words, existing museum studies conducts museum research separate from society hence proceeds the analysis in isolation, which often produces a conception that museum is a place of the past and irrelevant to the present. The disconnection between museum and society and the misconception that museum is a space that remains in the past is precisely what this study takes an interest in because museum does not function independently from society. Thus, this study takes a closer look on visitors as they are bridging the museum to society and past to present. Consequently, this study converts the direction that remained mostly inside a museum(past) to outside(society, present) and explores how memorial museum is consumed by visitors, who step into the museum from consumer society. For the discussion of consumer society, the study utilizes Jean Baudrillard’s theory on consumption and expands the discussion to how the simulacrum of memorial museum is consumed by visitors. Focusing on visitors’ experiences the study addresses why visitors consume memorial museum as if it is a product. Also, through Baudrillard’s theory, the study examines how visitors practice their habit of consumption inside the museum space. Following Baudrillard’s definition of consumption as a “pleasure” and “duty”, the study discusses how these factors provoke happiness by falsely persuading visitors to conceive memorial museum as a symbol of happiness that represents “a perfect end” of human rights violations. Therefore, this study argues that the simulacra that trigger pleasure and happiness through consumption can unintentionally mask the unabiding atrocities that are occurring around the world as a result planting a false impression to visitors that human rights abuses are terminated.

      • KCI등재

        습식공정을 이용한 ZnS:Mn<sup>2+</sup>계 QD의 합성 조건에 따른 광 특성 변화 연구

        차지민,이윤지,문성철,이성의,Cha, Ji Min,Lee, Yoon Ji,Moon, Seong Cheol,Lee, Seong Eui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7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30 No.1

        In this study, the phys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ZnS:Mn^{2+}$ Quantum Dot prepared by wet-process condition with Mn/Zn ratio was valuated. The powder characteristics and optical behavior were investigated through XRD, TEM and Photo spectrometer exicted by various UV light source. We found the main peak of ZnS (111) was shifted by 0.8 degree to low angle position with increasing stirring energy from 200 RPM to 600 RPM, which is thought to be the increase of lattice defects during wet process. The photo luminescence at 600 RPM shows also higher blue intensity which is well correlated with XRD results. With increasing Mn/Zn ratio, the PL intensity become higher and shifed by 8.5nm to right side, by the increment of substitutional $Mn^{2+}$ ions.

      • KCI등재

        Five Months Follow-up Study of School-based Crisis Intervention for Korean High School Students Who Experienced a Peer Suicide

        차지민,김지은,김민아,심보영,차명진,이정재,한덕현,정운선 대한의학회 2018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33 No.28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ost-traumatic stress, depression, anxiety, and complicated grief i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who experienced a peer suicide. Methods: A total of 956 students were included in the statistical analysis. One week after a peer suicide, a school-based crisis intervention program was conducted. The cohort was followed-up at one week and five months after a peer suicide. The program consists of screening tests, educational sessions, and further interview with psychiatric specialists for the selected group. Screening tests were conducted for all students to measure the Child Report of Post-traumatic Symptoms (CROPS), the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reaction index; UCLA-PTSD-RI), the anxiety symptoms (The Korean-Beck Anxiety Inventory; K-BAI), the depressive symptoms (The Korean-Beck Depression Inventory-II; K-BDI-II), and the complicated grief reaction (The Inventory of Complicated Grief; ICG).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SPSS Statistics 21.0 program was used. Results: At baseline and five months follow-ups, 8.6% and 2.9% of the students showe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t five months follow-up,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line in the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xiety, depression, and complicated grief among the ‘trauma group.’ A higher proportion of the female students showe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fter the incident of peer suicide than the male students. Conclusion: School-based crisis intervention helps improvement of trauma-related symptoms. It might be an effective way to prevent suicide spreading among students by alleviating trauma-related symptoms.

      • KCI등재

        추모 박물관과 엔터테인먼트 그리고 소비사회 -홀로코스트의 오락적 소비에 관하여-

        차지민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人文科學 Vol.- No.84

        This study is aimed at providing insight into how memorial museums and museum experiences are affected by the entertainment industry and consumer society in contemporary society. In particular, the author pays attention to the Holocaust, which has been popularized and entertained through the entertainment industry. Through two recent cases that occurred at memorial museums, this research analyzes the phenomenon in which the boundary between the Holocaust (real) exhibited by the memorial museum and the Holocaust (fake), which the entertainment industry has recreated and reproduced, has disappeared. By doing so, this study offers a new perspective on understanding museums and museum-goers. Moreover, this research examines the consumption of commemoration by examining whether individuals living in contemporary society, characterized by rampant consumption, are consuming, rather than accepting, the message the museum is attempting to convey. By introducing a correlation between memorial museums, the entertainment industry, and consumer society, this study proposes to reconsider whether it is effective for museums to stick to the conventional exhibition methods. The discussion will focus much on the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in Washington, DC as a case study. 본 연구는 추모 박물관과 박물관 경험이 엔터테인먼트 산업과 소비사회에 의해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통찰한다. 특히 저자는 엔터테인먼트 산업을 통해 대중화되고 오락화된 홀로코스트에 주목한다. 추모 박물관을 배경으로 발생한 두 가지 사례를 통해 본 논문은 추모 박물관이 전시하는 홀로코스트(진짜)와 엔터테인먼트 산업이 흥미롭게 각색하여 재탄생하고 재생산한 홀로코스트(가짜) 사이의 경계가 사라진 현상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박물관과 방문객을 이해하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또한, 소비가 만연한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이 박물관이 전하려는 메시지를 수용하기보다 소모하고 있지는 않은지 살펴봄으로써 추모의 소비에 관해 고찰한다. 이처럼 추모 박물관과 엔터테인먼트 산업 그리고 소비사회의 상관관계를 소개함으로써 본 연구는 박물관이 기존의 관습적인 전시 방식을 고수하는 것이 효과적인지에 관해 재고할 것을 제안한다. 논의는 미국 워싱턴 디시의 홀로코스트 박물관(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