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ostile Neck Anatomy를 갖는 복부대동맥류 환자에서 혈관내 동맥류 치료술 결과와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인자에 관한 연구

        정혜두,이윤영,이승진,임재훈,임남열,장남규,김재규,최수진나,정상영 대한영상의학회 2012 대한영상의학회지 Vol.67 No.5

        Purpose: To evaluate the outcomes and find the prognostic factors of endovascular abdominal aortic aneurysm repair (EVAR) in patients with hostile neck anatomy of the abdominal aorta.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was performed on 100 patients with abdominal aneurysm who were treated with EVAR between March 2006 and December 2010. We divided the patients into two groups: good neck anatomy (GNA), and hostile neck anatomy (HNA) and then compared the primary success rate and the incidence rate of complications with EVAR between the two groups. Our aim was to determine the factors related to the complications of EVAR among HNA types.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primary success rate and incidence rate of complications between the two groups. Among the types of HNA, the short neck angle [odd ratio (OR), 4.23; 95% confidence interval (CI), 1.21-18.70; p = 0.023] and large neck angle (OR, 2.58; 95% CI, 0.15-11.85; p = 0.031) showed a low primary success rate. The short neck angle (OR, 2.32; 95% CI, 1.18-12.29; p = 0.002) and large neck angle (OR, 4.67; 95% CI, 0.14-19.07; p = 0.032) showed a high incidence rate of early type 1 complication. In the case of the large neck angle (OR, 3.78; 95% CI, 0.96-20.80; p = 0.047), the large neck thrombus (OR, 2.23; 95% CI, 0.24-7.12; p = 0.035) and large neck calcification (OR, 2.50; 95% CI, 0.08-18.37; p = 0.043) showed a high incidence rate of complications within a year.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patients with hostile neck anatomy can be treated with EVAR successfully, although there was a higher incidence of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a short neck length, severe neck angulation, circumferential thrombosis, and calcified proximal neck. 목적: Hostile neck anatomy (HNA)를 갖는 복부대동맥류 환자에서 혈관내 동맥류 치료술(endovascular abdomi-nal aortic aneurysm repair; 이하 EVAR)의 시술 결과를 평가하고 예후에 영향을 주는 관련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6년 3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EVAR를 시행 받은 100명의 복부대동맥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100명의 환자를 good neck anatomy (GNA)군과 HNA군으로 나누었고, 두 군 사이의 일차시술성공률과 시술 후 합병증 발생률을 비교하였다. HNA의 형태 중 합병증의 발생과 연관성이 있는 인자를 조사하였다. 결과: HNA군과 GNA군은 일차시술성공률(p = 0.132)과 합병증의 발생률에 큰 차이가 없었다. HNA의 형태 중, 목 길이가 짧은 경우[odd ratio (OR), 4.23; 95% confidence interval (CI), 1.21~18.70; p = 0.023]와 목 각도가 큰 경우(OR, 2.58; 95% CI, 0.15~11.85; p = 0.031)에 일차시술성공률이 낮았다. 목 길이가 짧은 경우(OR, 2.32; 95% CI, 1.18~12.29; p = 0.002)와 목 각도가 큰 경우(OR, 4.67; 95% CI, 0.14~19.07; p = 0.032)에 조기 1형 합병증의 발생률이 높았다. 목 각도가 큰 경우(OR, 3.78; 95% CI, 0.96~20.80; p = 0.047)와 목 둘레 혈전(OR, 2.23; 95% CI, 0.24~7.12; p = 0.035)이 넓은 경우, 그리고 목 둘레 석회화(OR, 2.50; 95% CI, 0.08~18.37; p = 0.043)가 넓은 경우에 시술 후 1년 이내에 합병증 발생률이 높았다. 결론: HNA군과 GNA군은 일차시술성공률과 합병증 발생률에 큰 차이가 없었다. 조기 1형 endoleak의 발생률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목 길이가 짧은 경우와 목 각도가 큰 경우이며, 시술 후 1년 이내 합병증의 발생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목 각도가 큰 경우와 목 둘레 혈전 범위가 넓은 경우, 목 둘레 석회화가 넓은 경우였다.

      • KCI등재

        초음파 유도하 핵생검시 관상피내암 저평가율

        정혜두,임효순,정세희,정수진,선현주,김진웅,윤정한,박진균,강형근 대한초음파의학회 2011 ULTRASONOGRAPHY Vol.30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underestimation rate of ductal carcinoma in situ (DCIS) on sonographically guided 14-gauge core needle biopsy of the breast and to investigat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is underestimation.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2990 consecutive lesions that underwent sonographically guided 14-gauge core needle biopsy between January 2005 and December 2008. Among them, 61 lesions were pathologically proven to be DCIS (2.04%). A total of 50 DCIS lesions (mean patient age: 50.7 years old, age range: 36-79 years old) that underwent surgical resectio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fter surgery, the lesion proven to be invasive was defined as being in the underestimated group and the lesion proven to DCIS was defined as being in the correctly diagnosed group. We determined the underestimation rate of DCIS and we retrospectively reviewed and compared the clinical, pathologic and radiologic features of the two groups. Results: The underestimation rate of DCIS was found to be 28% (14 of 50 lesions). The underestimation of DCIS was significantly frequent for a clinically palpable lesion (78.6% (11/14) vs. 30.5% (11/36), respectively, p = 0.002). The sonographically maximal diameter of a lesion was significantly larger in the underestimated group than that in the accurately diagnosed group (28.4±14.0 mm vs. 17.6 ±10.3 mm, respectively,p = 0.017) and underestimation was significantly frequent when the sonographic lesion size was > 20 mm (p = 0.01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age, the lesion type, the Breast Imaging-Reporting and Data System (BI-RADS) category or the pathologic feature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 underestimation rate of DCIS was 28% for sonographically guided 14-gauge core needle biopsy of the breast. Clinical symptoms such as a palpable lesion and a sonographic lesion size > 20 mm were the factors related with the underestimation of DCIS. 목적: 유방 병변에 대한 초음파 유도하 경피적 핵생검에서 관상피내암 저평가율과 저평가를 예측할 수 있는 관련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14게이지 바늘을 이용하여 초음파 유도하 핵생검을 시행하였던 2990예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중 관상피내암으로 진단된 61예(2.04%) 중 최종적으로 수술을 시행하였던 50예(연령분포, 36-79세; 평균연령, 50.7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후 침윤성 관상피암으로 진단된 경우를저평가 그룹으로 하였고, 수술 후에도 관상피내암으로 진단된 경우를 정확히 진단된 그룹으로 하였다. 14게이지 바늘을 이용한 초음파 유도하 핵생검에서 관상피내암의 저평가율과 저평가 그룹과 정확히 진단된 그룹 간의 임상적,병리학적, 그리고 영상의학적 소견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초음파 유도하 핵생검에서 관상피내암으로 진단되고 수술을 시행하였던 50명의 환자 중 14명에서 수술후 침윤성 관상피암으로 진단되어 관상피내암 저평가율은28%였다. 저평가 그룹과 정확히 진단된 그룹은, 이학적검사상 촉지성 종괴를 보이는 경우(78.6% (11/14) vs. 30.5% (11/36), p = 0.002)와 종양의 크기가 큰 경우(28.4 ± 14.0 mm vs. 17.6 ± 10.3 mm, p = 0.017)가저평가 그룹에서 많았으며, 특히 병변의 크기가 20 mm 이상일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 = 0.012). 환자의 나이, 병변의 형태, Breast Imaging-Reporting and Data System (BI-RADS) 범주, 핵등급은 두 그룹간에 의의있는 차이는 없었다. 결론: 14게이지 바늘을 이용한 초음파 유도하 핵생검에서 관상피내암의 저평가율은 28%였다. 촉지성 종괴와 크기가 큰 종괴, 특히 20 mm 보다 큰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관상피내암 저평가와 연관성이 높았다.

      • 제주도 관광열차 입지 선정 및 발전방향 제안

        정혜두,최영빈,유태준,김승빈,신현정 한국경영과학회 2015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4

        제주도는 한국의 대표 관광지로서 그 세계적인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급증하는 관광수요 대비 제주도 내 관광인프라의 구축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를 해소하기 위안 방안으로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에 자기 부상열차를 도입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를 위한 기초 안으로서, 관광열차의 정차역 및 각 역의 테마를 선정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을 수행한다. 정차역 선정을 위해서는, 도내 주요 관광지와의 접근성 및 역 주변 발전가능성에 대한 변수들로 적합된 회귀모형의 예측 결과를 활용한다. 선정된 역의 최적 테마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주변지역의 특색을 프로파일링(profiling)한 군집분석 결과를 활용한다. 본 연구는, 제주도 관광인프라 확충을 위한 과학적 접근 사례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제주도 관광열차 입지 선정 및 발전방향 제안

        정혜두,최영빈,유태준,김승빈,신현정 대한산업공학회 2015 대한산업공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4

        제주도는 한국의 대표 관광지로서 그 세계적인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급증하는 관광수요 대비 제주도 내 관광인프라의 구축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를 해소하기 위안 방안으로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에 자기 부상열차를 도입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를 위한 기초 안으로서, 관광열차의 정차역 및 각 역의 테마를 선정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을 수행한다. 정차역 선정을 위해서는, 도내 주요 관광지와의 접근성 및 역 주변 발전가능성에 대한 변수들로 적합된 회귀모형의 예측 결과를 활용한다. 선정된 역의 최적 테마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주변지역의 특색을 프로파일링(profiling)한 군집분석 결과를 활용한다. 본 연구는, 제주도 관광인프라 확충을 위한 과학적 접근 사례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맞춤형 스텐트-그라프트를 이용한 감염성 복부 가성 대동맥류의 혈관 내 치료: 증례 보고

        정서인,정혜두,임재훈,임남열,장남규,김재규,최수진나 대한영상의학회 2011 대한영상의학회지 Vol.65 No.3

        Abdominal aortic aneurysms located around the major branch of the aorta were treated surgically rather than by endovascular treatment due to the complex anatomy. Recently, the treatment modality evolved towards a customized stent-graft. We report on a case of a mycotic pseudoaneurysm originating in the abdominal aorta at the level of superior mesenteric artery, which was treated with a customized stent-graft. 복부 대동맥의 주요 혈관 기시부 주위에 발생한 대동맥류는 해부학적인 이유로 혈관 내 치료보다는 수술로 치료되었다. 최근에는 맞춤형 스텐트-그라프트를 이용하여 주요 혈관 기시부 주위에 위치한 대동맥류의 치료가 시도되고 있다. 저자들은 감염에 의해 발생한 상장간막동맥 기시부의 복부 가성 대동맥류를 맞춤형 스텐트-그라프트로 성공적인 치료를 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 KCI등재

        Balloon angioplasty in a pediatric renal artery occlusion

        송화영,정혜두,김정은,이상민,홍원주,이관섭 대한영상의학회 2018 대한영상의학회지 Vol.79 No.6

        Renal artery injury is a rare complication in blunt trauma, but can cause devascularization of the kidney, leading to renal failure. It requires early diagnosis and management. The treatment of renal artery injury still remains controversial, but recent studies have reported the successful treatment outcome with endovascular stent placement. Nevertheless, there is no standard treatment strategy in cases of pediatric patients. We report a case of a 16-year-old girl with right renal artery occlusion associated with a grade IV liver laceration. She was treated with only balloon angioplasty, and the kidney showed marked improvement of parenchymal perfusion with normalized renal function. Treatment with only balloon angioplasty can be a treatment option in pediatric patients with renal artery injury.

      • KCI등재

        오금하동맥 폐색 환자에서 경피적 경혈관 풍선 혈관성형술: 임상적 결과 및 영향인자

        송장현,이승진,정혜두,임재훈,장남규,이근배,임남열,김재규 대한영상의학회 2011 대한영상의학회지 Vol.65 No.3

        Purpose: To assess the efficacy of 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PTA) in patients with infrapopliteal arterial disease, and to determine the influencing factor for prognosi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55 patients (60 limbs) with infrapopliteal arterial stenosis or occlusion underwent PTA. Atherosclerotic risk factors, clinical symptoms, TransAtlantic Inter-Society Consensus (TASC) classification, and vascular wall calcification were evaluated before PTA. The number of patent infrapopliteal arteries was estimated, and the outcome was evaluated by symptom relief and limb salvage. Results: Technical success was achieved in 53/60 limbs (88.3%) and 81/93 arteries (87.1%), TASC classification (p = 0.038) and vascular calcification (p = 0.002) influenced on technical failure. During follow-up, 26 of 55 limbs (47%) achieved symptom relief and 42/55 limbs (76%) underwent limb salvage. Non-diabetic patients (9/12, 75%) were superior to diabetic patients (17/43, 40%) in terms of symptom relief (p = 0.024). TASC classification and vascular wall calcification influenced on symptom relief and limb salvage. The number of patent infrapopliteal arteries after PTA influenced symptom relief (p < 0.001) and limb amputation (p = 0.003). Conclusion: PTA in patients with chronic critical limb ischemia is worthwhile as a primary treatment. The influenc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before PTA, and PTA should be performed in as many involved arteries as possible. 목적: 오금하동맥의 협착 또는 폐색이 있는 환자에서 시행한 경피적 경혈관 풍선 혈관성형술(PTA)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 PTA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오금하동맥의 협착 또는 폐색이 발생하여 PTA를 받았던 55명의 환자, 60 하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시술 전 동맥 경화성 위험인자, 임상 증상, TASC 분류, 혈관 석회화와 시술 전과 후의 정상적 혈류를 가지는 오금하동맥의 수를 평가하였고, 시술 후 증상 개선율과 하지 보존율을 추적하였다. 결과: 기술적인 성공은 53/60 하지(88.3%), 81/93개 혈관(87.1%)에서 있었고, TASC 분류(p = 0.038)와 혈관 석회화(p = 0.002)가 심할수록 실패 확률이 높았다. 시술 후 26/55 하지(47%)에서 증상 호전이 있었고, 42/55 하지(76%)에서 하지를 보존하였다. 당뇨병 환자(17/43, 40%)에 비해 비당뇨병 환자(9/12, 75%)에서 증상 개선율이 높았다(p = 0.024). TASC 분류와 혈관 석회화가 심할수록 증상 개선율과 하지 보존율이 낮았고, PTA 후의 정상적 혈류를 보이는 오금하동맥의 수가 많을수록 증상 개선율(p < 0.001)과 하지 보존율(p = 0.003)이 높았다. 결론: 만성 중증 하지 허혈 환자에서 PTA는 일차적 치료로서 충분한 유용성을 가진다. 또한 시술 전 PTA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하며, 시술시 가능한 많은 병변에 재개통술이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천대퇴동맥 스텐트 골절 발생의 위험요인 및 임상적 연구: Prote′ge′GPS 스텐트

        이다운,김재규,정혜두,허태욱,임남열,오현준,장남규,최수진나 대한영상의학회 2010 대한영상의학회지 Vol.63 No.6

        Purpose: To evaluate the occurrence of superficial femoral artery stent fractures, the risk factors of stent fractur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ractures and clinical findings. Materials and Methods: Of the 38 patients who underwent treatment with Prote′ge′GPS stenting due to arterial occlusions on the superficial femoral artery, 17 also underwent a clinical analysis. Forty-three stents were inserted in the 17 superficial femoral arteries, ranging between 15 and 50 cm in length, with a mean treated length of 26.4 cm (15-50 cm). A fracture was evaluated by taking a PA and lateral simple radiography, as well as a follow-up evaluation accompanied with a CT angiography, DSA, and a color Doppler sonography. The examination involved the assessment of the difference between bone fractures due to length, placement, and frequency. Results: Fractures occurred in 13 of 43 stents (30.2%). A total of 10 (71.4%) occurred in the upper third, compared to 4 (28.6%) in the lower third of the superficial femoral artery. In addition, 10 stents (71.4%) had a single strut fracture, whereas 4 (28.6%) had multiple strut fractures. A stent fracture occurred more frequently when the stents and lesions were longer (p=0.021, 0.012) and the stents were inserted near the joint.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tent numbers and the fractures (p=0.126). When the stents were inserted along the popliteal artery, a stent fracture occurred more frequently in the lower third of the artery. The stent fractures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patency rate of the stented artery (p=0.44)Conclusion: Prote′ge′GPS stents in the superficial femoral artery revealed a considerable number of fractures and the fracture frequency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length of stents and lesions. The closer stent insertion was to the joints, the more frequently fractures occurred. There were no evident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 presence of stent fractures and the patency of the stented arteries. 목적: 천대퇴동맥 스텐트(Prote′ge′GPS) 골절의 발생빈도를 평가하고, 스텐트 골절과 원인 인자 및 임상 양상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천대퇴동맥에 발생한 동맥경화성 폐쇄 또는 협착을 Prote′ge′GPS 스텐트 삽입으로 치료하였던 환자 38명 중 스텐트 모양의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17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남자 15명, 여자 2명, 평균연령 72.8세). 총 17개의 천대퇴동맥에 43개의 스텐트가 삽입되었고, 병변의 평균 길이는 약 26.4 cm (15-50 cm) 이었다. 시술에 사용되었던 혈관 조영기기를 이용하여 전후, 측면 단순 영상을 획득 후 골절을 평가하였으며, 동시에 색 도플러 초음파, 카테터혈관조영술 또는 CT혈관조영술을 이용하여 스텐트 내부 혈류를 평가하였다. 스텐트의 길이, 위치 및 수 등에 따른 골절 발생률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골절과 개통률의 차이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과: 스텐트의 골절은 43개의 스텐트 중 14개(30.2%)에서 발생하였다. 10개의 스텐트(71.4%)가 천대퇴동맥의 상부 1/3, 4개의 스텐트(28.6%)가 하부 1/3에서 골절이 발생하였다. 단일 strut 골절이 10예(71.4%), 2개 이상의 strut 골절이 4예(28.6%) 있었다. 병변 및 삽입된 스텐트의 길이가 길수록 스텐트 골절의 발생빈도가 높았다(각각 p=0.021, 0.012). 관절과 가까이 스텐트가 삽입될수록 골절 발생빈도가 높았으며 오금동맥까지 연장하여 스텐트가 삽입될수록 하부 1/3에 골절이 잘 발생하였다(hip joint; p=0.01, knee joint: 0.029, insertion in popliteal a.: 0.015). 스텐트 개수와 골절간의 유의한 상관관계는 보이지 않았으며(p=0.126), 골절 여부에 따른 혈관 개통률은 의의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44). 결론: 천대퇴동맥에 삽입했던 Prote′ge′GPS 스텐트는 추적기간에 비교적 많은 골절이 발생하였고, 병변과 스텐트의 길이 및 관절과의 거리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골절 여부와 개통률 사이에 의미 있는 관계는 없었다.

      • KCI등재

        선택적 동맥 색전술을 이용한 난치성 비출혈의 치료 : 임상분석 13예

        이주한,최병길,김병준,이준영,김선미,김정은,정혜두,공일규 대한이비인후과학회 부산,울산,경남 지부회 2019 임상이비인후과 Vol.30 No.1

        Background and Objectives:We analyzed the clinical data of 13 patients with selective arterial embolization for refractory epistaxis and reported the results. Materials and Methods:Data from 13 patients who underwent selective arterial embolization for refractory epistaxis between 2009 and 2016 at Hallym University Sacred Heart Hospital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In all patients, initial epistaxis control by cauterization or posterior packing was ineffective. Selective arterial embolization was conducted by intervention specialist of radiology department. Embolization procedure was done at extravascular leakage of contrast sites using PVCs, gelfoams and caligels. Results:The mean age of 13 patients (9 men and 4 women) was 51.2±7.58 years. Success rate of embolization for bleeding control was 92.3% (12 patients). In one patient, epistaxis recurred immediately after embolization, re-embolization was carried out successfully. No serious complications after embolization were reported in our cases. Selective arterial embolization has a success rate of 71-97% as studies and our study showed similar high rate (92.3%) without complications. Conclusions:If readily available, selective arterial embolization can be considered an effective treatment option for intractable nasal blee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