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순수 점액성 유방암의 초음파소견

        선현주,박정미,김선미,김민영,김학희 대한초음파의학회 2004 ULTRASONOGRAPHY Vol.23 No.2

        목적 :순수 점액성 유방암의 특징적인 초음파 소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대상 및 방법 : 1995년1월부터 2003년 5월까지 수술로 확진된 15명의 순수 점액성 유방암 환자에서 18개의 유방종괴를 대상으로 초음파상 종괴의 위치, 크기와 모양, 방향, 경계, 경계 에코, 내부 에코, 후방 음영의 특성, 주변조직의 변화, 미세 석회화 유무, 주변 임파절의 병변유무, 낭성변화 유무를 분석하여 각각의 종괴에 대해 BIRADS 분류를 하였다. 모두 여자 환자였고 유방촬영소견은 8예에 대하여 분석이 가능하였다.결과 : 종괴의 위치는 상내방(n=6, 33.3%) 또는 상외방(n=5, 27.8%)이 가장 많았다. 초음파상 장경은 0.6 cm에서 5.4 cm(평균 2.1 cm)이었다. 모양은 난원형(n=14)이 가장 많았고 그 외에 원형(n=2)과 불규칙한 모양(n=2)이 있었다. 경계는 좋은 경계(n=10)를 갖는 경우가 더많았고 좋지 않은 경계를 가진 경우에는 모두 불명확한 경계(n=8)를 보였다. 종괴는 대부분(n=16) 유방의 선조직과 평행하게 위치했고 많은 경우에 급격한 경계면을 보였다(n=12).내부에코는 복합성(n=9)인 경우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저에코를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n=6). 대개의 종괴는 후방음영증강(n=16)을 보였고 5예에서는 후방음영감쇠를 함께동반했다. 주변 조직왜곡과 미세 석회화는 각각 3예에서 동반되었고, 2예에서는 액와 림프절 비대를 동반했다. 낭성변화는 8개의 종괴에서 보였다. 유방촬영소견상 종괴는 대부분이난원형(n=6)의, 경계가 잘 지어지거나(n=3) 모호한 경계(n=3)를 갖는 고음영(n=5)의 종괴였다. 결론 : 초음파상 점액성 유방암은 경계가 좋은 난원형의 종괴로 복합성의 내부에코를 보이는 경우가 많았고 내부에 낭성변화가 잘 동반되었다. 또한 많은 경우에 후방음영증강과 급격한 경계면을 보였다. PURPOSE : To identify the ultrasonographic findings characteristic of pure mucinous carcinoma of the breast. MATERIALS and METHODS : We reviewed the sonographic findings of 18 nodules in 15 patients which were diagnosed as pure mucinous breast carcinoma during surgery from January, 1995 to May, 2003. We analyzed the location,size, shape,orientation, margin, lesion boundary, echo pattern, and posterior acoustic features of the nodules, as well as changes of the surrounding tissue, associated calcification, axillary lymph nodes, and cystic changes in the tumor masses. All the patients were female. We also analyzed the preoperative mammographic findings of the 8 nodules that were available. RESULTS : The upper inner or upper outer quadrants of the breast were the most common involved sites. The longest diameter of the tumors was between 0.6 and 5.4 (mean, 2.1) cm. The ovoid shape was most frequently found(n=14), followed by round (n=2) and, irregular (n=2) shapes. Tumor margins were more commonly well-demarcated(n=10), followed by obscured (n=8) margins. Most lesions had parallel orientations (n=16) and abrupt interfaces (n=12). The internal echogenicity was most commonly complex (n=9) followed by hypoechogenicity(n=6). Most masses showed posterior acoustic enhancement (n=16), associated with posterior acoustic shadowing in 5 cases. Associated architectural distortion was seen in 3 cases. Microcalcification was associated in 3 cases. Enlarged axillary lymph nodes were associated in 2 cases. Nine masses showed cystic change in the mass. On mammography, the masses were mostly well-defined (n=3) or obscured (n=3) or, ovoid (n=6) or of a high density (n=5). CONCLUSION : On sonography, most mucinous breast carcinoma presented as a well-demarcated ovoid complex echoic mass with cystic change, and these characteristics were associated with posterior acoustic enhancement and abrupt interface.

      • KCI등재

        면역적합성 환자에서 비결핵 항산균 폐질환: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의 다양한 영상 소견

        신효현,선현주,김목희,최송,송상국,신상수,김윤현,박진균 대한영상의학회 2010 대한영상의학회지 Vol.63 No.2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est CT features of nontuberculous mycobacterial (NTM) disease regardless of the specific organism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ncluded 74 consecutive patients (35 men, 39 women; mean age, 63 years; age range, 25-89 years) who were diagnosed with NTM disease according to the American Thoracic Society Guidelines (1997 and 2007) between January 2005 and July 2007. Chest CT images were randomly reviewed by two radiologists with consensus. Results: The most common organism associated with NTM disease is M. avium-intracellulare complex (87.8%), followed by M. abscessus, M. kansasii, and M. chelonae. The most common chest CT finding was a nodular bronchiectatic lesion (n = 35, 46.7%), followed by a cavitary lesion of the upper lobe (n = 21, 28.0%), combined lesions of two prior subtypes (n = 6, 8.0%), consolidative lesion (s) (n = 5, 6.7%), a bronchogenic spreading pulmonary tuberculosis-like lesion (n = 5, 6.7%), a cavitary mass lesion with small satellite nodules (n = 2, 2.7%), and a miliary nodular lesion (n = 1, 1.3%). More than 5 segments were involved in 60 cases (81.1%). Conclusion: The nodular bronchiectatic lesion or cavitary lesion of upper lobe presents with multi-segmental involvement and the occurrence of combined consolidation is indicative of NTM disease. 목적: 비결핵 항산균 폐질환의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의 영상 소견을 균주에 관계없이 알아보고자 했다. 대상과 방법: 2005년 1월부터 2007년 7월까지 비결핵 항산균 폐질환으로 진단되고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한 74명(남:여 = 35:39)을 대상으로, 영상소견을 후향적으로 분석했다. 결과: 가장 흔한 균주는 M. avium-intracellulare complex (87.8%)이었고, 이외 M. abscessus, M. kansasii, 그리고 M. chelonae 가 있었다.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주된 소견들은 결절성기관지확장증(46.7%), 상엽에 공동성 질환(28.0%), 그리고 두 소견의 병합(8.0%)이었다. 이 외에도 주로 경화성 병변 만을 보인 예, 주변의 위성 소결절과 동반된 공동성 종괴를 보인 예, 기관지 내 파급만을 보인 예 그리고 속립성 질환을 보인 예가 있었다. 81.1%에서 5분절 이상의 침범이 이었다. 결론: 다 분절을 침범하면서 결절성기관지확장증과 동반된 기관지주변 경화성 병변이 있거나 상엽의 파괴성 또는 비파괴성 공동성 병변이 있는 경우 비결핵 항산균 폐질환을 시사하는 소견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에서 발생한 신종 인플루엔자(H1N1) 연관 폐렴의 고해상전산화단층촬영의 특징

        이병찬,선현주,최송,김진웅,임효순,신상수,김윤현,박경화 대한영상의학회 2011 대한영상의학회지 Vol.64 No.4

        Purpose: To evaluate and compare the high-resolution computed tomography (HRCT) findings of patients with H1N1 influenza-associated pneumonia compared usual community acquired pneumonia (CAP),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any useful common HRCT findings predicting their prognosis. Materials and Methods: HRCT findings of 31 patients (M:F = 16:15, mean age 42 yrs) with Influenza A (H1N1) infection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for abnormal HRCT findings and compared to HRCT findings of CAP in matched patients. Patients were matched according to age and sex, from 2009 to January 2010. Results: The predominant HRCT findings of pneumonia consisted of areas of consolidation and/or groundglass opacity (GGO) which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comparing the two groups. However, the abnormalities of H1N1-related pneumonia showed higher bilaterality and multilobar or multisegmental involvement compared with CAP (p < 0.05). Internal low attenuation or air-densities in pulmonary infiltration /or lymphadenopathy was observed only in patients with CAP (p < 0.05). HRCT findings in 8 patients with poor clinical outcome had bilaterality (p=0.015), multilobar, and multisegmental involvement. Conclusion: The predominant HRCT findings of H1N1-related pneumonia were areas of consolidation and/or GGO. In addition, H1N1-related pneumonia showed higher bilaterality or multilobar/multisegmental involvement compared with CAP. The patients who presented bilaterality had a worse clinical outcome. 목적: H1N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연관된 폐렴의 흉부 고해상전산화단층촬영(HRCT) 소견을 보통의 지역사회 획득 폐렴(community acquired pneumonia, 이하 CAP)과 비교해 감별진단에 도움이 되는 영상소견이 있는지를 알아보고 영상소견에서 예후 예측인자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2009년 9월부터 2010년 1월까지 H1N1 감염으로 진단받고 흉부 HRCT에서 이상소견을 보였던 31명(남:여 = 16:15, 평균 연령 42세)과 연령대와 성별을 적합시킨 CAP 환자 31명의 영상소견을 비교 분석했다. 결과: H1N1 연관 폐렴과 CAP의 흉부 HRCT소견은 주로 폐경화, 젖빛 유리음영과 경화의 혼재, 또는 젖빛 유리음영 순이었으며, 두 군 간에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H1N1 감염 환자는 CAP 환자와 비교해 주로 양측성, 다엽성, 다분절성 폐 침윤을 보였다(p < 0.05). 폐침윤 내에 저음영 또는 공기음영이나 림프절 종대는 CAP환자에서만 보였다(p < 0.05). H1N1 감염 환자 중 8명은 기계적 호흡이 필요했던 중증도 폐렴이었고, 이들 모두에서 병변은 양측성(p=0.015), 다엽성, 다분절성 침범을 보였다. 결론: H1N1 인플루엔자 연관 폐렴의 HRCT 소견은 폐경화, 젖빛 유리음영과 경화의 혼재, 또는 젖빛 유리음영 등으로 나타나며, CAP와 비교했을 때 양측성, 다엽성 또는 다분절성의 침윤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양측성 폐 병변은 질환의 중증도를 시사했다.

      • KCI등재

        Pulmonary Invasive Mucinous Adenocarcinoma in an Asymptomatic 23-Year-Old Male: Presentation with a Large Cavitary Mass

        문성민,선현주,김윤현,박서연,송장현,최유덕,송상윤 대한영상의학회 2013 대한영상의학회지 Vol.69 No.5

        Pulmonary invasive mucinous adenocarcinoma (PIMA) formerly known as mucinous bronchioalveolar carcinoma is a relatively rare variant of pulmonary adenocarcinoma, but the incidence of this tumor is known to be rising. Imaging findings may include nodules, masses and lobar involvement of variable densities, but the majority present as air-space consolidation. We report a case of PIMA with radiological-pathological correlation in a 23-year-old male which presented as a large cavitary mass mimicking congenital cystic lung disease.gans

      • KCI등재

        Radiological-Pathological Findings of Central Sclerosing Hemangioma Initially Misdiagnosed as Papillary Adenoma by Bronchoscopic Biopsy: A Case Report

        김수현,선현주,송장현,박서연,김윤현,최유덕,송상윤 대한영상의학회 2013 대한영상의학회지 Vol.69 No.4

        Sclerosing hemangioma is relatively rare, the second most common benign pulmonary neoplasm, which usually presents the peripheral location. Central location of this neoplasm is extremely rare with only a few reports. Herein, we would like to report an extremely rare case of central sclerosing hemangioma with descriptions of radiological characteristics. It was initially misdiagnosed as a papillary adenoma by bronchoscopic biopsy and mimicked central lung malignancies such as carcinoid tumors on non-invasive image evaluations. However the patient was finally confirmed with surgery.

      • KCI등재

        급성 폐혈전색전증의 중증도 평가에 있어 이중 에너지 전산화단층촬영의 진단적 유용성에 관한 연구

        문성민,선현주,백장미,이승진,윤연홍,김윤현 대한영상의학회 2015 대한영상의학회지 Vol.72 No.1

        Purpose: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dual-energy computed tomography (DECT) in severity assessment of patients with acute pulmonary thromboembolism (APTE). Materials and Methods: We evaluated 61 patients diagnosed as APTE from 2011 to 2012 in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severity assessment indices according to Criteria by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as well as pulmonary CT angiographic obstruction score (OS) and lung perfusion index (pulmonary perfusion defect score; DS) by DECT. The correlation between OS, DS and the severity of pulmonary thromboembolism was evaluated using logit analysis. Results: Patients with high OS also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S values (p < 0.001).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both the OS and DS values and the severity of the pulmonary thromboembolism using simple sequence logit analysis (p < 0.001). However, only the DS value showed a very high correlation with the severity of pulmonary thromboembolism using multiple sequence logit analysis. Conclusion: DECT provides a more useful marker for the diagnosis and severity assessment of pulmonary thromboembolism by checking the degree of lung perfusion as well as determining the existence of APTE in patients with suspected pulmonary thromboembolism. 목적: 급성 폐혈전색전증 환자의 중증도 평가에 있어 이중 에너지 전산화단층촬영(dual-energy computed tomography; 이 하 DECT)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했다. 대상과 방법: 2011년부터 2012년까지 급성 폐혈전색전증으로 진단된 6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했다. 대상 환자의 중증도 평가와 함께 DECT를 이용해 폐동맥 혈전색전지수(pulmonary CT angiographic obstruction score; 이하 OS)와 폐 관류결손지수(pulmonary perfusion defect score; 이하 DS) 정도를 평가했고 서열 로짓 분석을 통해 OS, DS, 그리고 폐혈전색전증의 중증도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했다. 결과: 높은 OS를 가진 폐혈전색전증 환자는 DS도 높은 값을 보였다(p < 0.001). 단순 서열 로짓 분석 때는 OS와 DS 모두 폐혈전색전증의 중증도와 높은 상관 관계(p < 0.001)를 보였지만 다중 서열 로짓 분석 이후에는 DS만이 폐혈전색전증의 중증도와 매우 높은 상관 관계를 보였다. 결론: 폐혈전색전증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DECT는 급성 폐혈전색전증 유무를 확인하는 동시에 폐 실질의 관류 정도를 확인하여 폐혈전색전증의 진단뿐 아니라 중증도 평가에 더 유용한 지표를 제공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PET-CT에서 측정한 비소세포 폐암의 FDG 섭취 정도 차이가 갖는 임상적 의의

        정민영,선현주,최송,김윤현,정아리 대한영상의학회 2009 대한영상의학회지 Vol.61 No.6

        Purpose: To examine the degree of fluorodeoxyglucose (FDG) uptake in non small cell lung cancers (NSCLCs) and its implications according to the cell type, tumor differentiation, size and stage. Materials and Methods: From February 2004 to February 2008, 161 patients (117 males, 44 Females) with surgically proven NSCLCs who underwent preoperative FDG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and curative surgery (stage I-IIIA)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degree of FDG uptake of NSCLCs was evaluated retrospectively by measuring the maximum standard uptake values (max SUVs) in PET-CT according to the cell type, tumor differentiation, size and stage. Results: Squamous cell carcinomas (SCCs, n=75) had higher max SUVs than the adenocarcinomas (ADCs, n=86) (p<0.01). Poorer tumor differentiation was related to higher max SUVs in ADC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well and poorly differentiated ADCs (p=0.02). Larger tumors tended to have higher max SUVs (p<0.01) in NSCLC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ax SUVs and stages. Conclusion: SCCs had a higher metabolic rate than ADCs. The higher degree of FDG uptake in ADCs can suggest a poorer tumor grade. Larger tumors have a tendency for higher FDG uptake in NSCLCs. 목적: PET-CT에서 비소세포 폐암의 조직학적 세포형, 분화도, 크기, 그리고 병기에 따른 FDG(fluorodeoxyglucose) 섭취 정도를 조사하여, 어떠한 의미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했다. 대상과 방법: 2004년 2월부터 2008년 2월까지 비소세포 폐암으로 수술 전 PET-CT를 시행한 총 161명(남자: 117명, 여자: 4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조직학적 세포형, 분화도, 크기, 그리고 병기에 따라 PET-CT에서 최대 표준섭취계수 (maximum standard uptake value, max SUV)값을 후향적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편평세포암(75명)의 경우 선암(86명)보다 더 높은 max SUV 값을 보였다(p < 0.01). 선암은 분화도가 낮을수록 높은 max SUV 값을 보였으며(p < 0.05), 그 중에서도 고분화도와 저분화도 사이에 의의 있는 차이를 보였다(p = 0.02). 비소세포 폐암은 크기가 증가할수록 높은 max SUV 값을 보였으며(p < 0.05), 3 cm 미만의 종양과 5 cm 이상의 종양 사이에 의의있는 max SUV 값의 차이를 보였다(p < 0.01). 병기와 FDG 섭취 정도의 관련성은 없었다. 결론: PET-CT에서 편평세포암은 선암에 비해 높은 대사율을 보이며, 선암에서 높은 FDG 섭취는 낮은 분화도를 의미한다. 또한, 비소세포 폐암에서 조직학적 세포형과 관계없이 종양의 크기가 클수록 높은 FDG 섭취를 보인다.

      • KCI등재

        양측성 다발성 폐결절과 미만성 폐포출혈로 나타난 비전형적 영상소견의 폐결핵: 증례 보고

        정서인,선현주,최송,김윤현 대한영상의학회 2011 대한영상의학회지 Vol.65 No.6

        Pulmonary tuberculosis presenting as bilateral multiple lung nodules or diffuse alveolar hemorrhage is very rare. Here, we report a case of pulmonary tuberculosis presenting as bilateral multiple lung nodules and diffuse alveolar hemorrhage mimicking granulomatous vasculitis, such as Wegener’s granulomatosis. 폐결핵이 양측성 다발성 결절로 나타나는 것은 매우 드물며, 미만성 폐포출혈로 나타나는 것은 더욱 드물다. 저자들은 양측성 다발성 폐결절과 미만성 폐포출혈로 나타나서, 베게너 육아종증과 같은 육아종성 혈관염으로 오인되었던 폐결핵의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 KCI등재

        영상소견에서 폐암의태성의 폐결핵: 조직병리학적으로 진단된 76명의 환자에서 흉부 전산화단층촬영(CT) 소견에 대한 연구

        김형욱,선현주,이다운,신상수,김윤현,강형근 대한영상의학회 2012 대한영상의학회지 Vol.67 No.3

        Purpose: To evaluate chest CT features of pulmonary tuberculosis mimicking lung malignancy.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chest CT findings for 76 consecutive patients (21-84 years, average: 63 years; M : F = 30 : 46) who underwent an invasive diagnostic procedure under the suspicion of lung cancer and were pathologically diagnosed as pulmonary tuberculosis by bronchoscopic biopsy (n = 49), transthoracic needle biopsy (n = 17), and surgical resection (n = 10). We categorized the chest CT patterns of those lesions as follows: bronchial narrowing or obstruction without a central mass-like lesion (pattern 1), central mass-like lesion with distal atelectasis or obstructive pneumonia (pattern 2), peripheral nodule or mass including mass-like consolidation (pattern 3), and cavitary lesion (pattern 4). CT findings were reviewed with respect to the patterns and the locations of the lesions, parenchymal abnormalities adjacent to the lesions, the size, the border and pattern of enhancement for the peripheral nodule or mass and the thickness of the cavitary wall in the cavitary lesion. We also evaluated the abnormalities regarding the lymph node and pleura. Results: Pattern 1 was the most common finding (n = 34), followed by pattern 3 (n = 23), pattern 2 (n = 11) and finally, pattern 4 (n = 8). The most frequently involving site in pattern 1 and 2 was the right middle lobe (n = 14/45). However, in pattern 3 and 4, the superior segment of right lower lobe (n = 5/31) was most frequently involved. Ill-defined small nodules and/or larger confluent nodules were found in the adjacent lung and at the other segment of the lung in 31 patients (40.8%). Enlarged lymph nodes were most commonly detected in the right paratracheal area (n = 9/18). Pleural effusion was demonstrated in 10 patients. Conclusion: On the CT, pulmonary tuberculosis mimicking lung cancer most commonly presented with bronchial narrowing or obstruction without a central mass-like lesion, which resulted in distal atelectasis and obstructive pneumonitis. 목적: 기관내 폐결핵을 포함한 폐암의태성의 폐결핵의 다양한 흉부 CT 소견을 알아보고자 했다. 대상과 방법: 조직병리학적으로 폐결핵으로 진단된 76명의 환자(21~84세, 평균: 63세, 남 : 여 = 30 : 46)에서 흉부 CT 소견을 후향적으로 분석했다. 폐결핵의 병리조직학적 진단은 기관지내시경을 통한 조직검사(n = 49), 경피적 절단 생검술(n = 17), 그리고 수술적 절제(n = 10)를 통해 이루어졌다. 폐병변의 양상(pattern)은 중심성 종괴양 병변을 동반하지 않은 기관지의 협착이나 폐쇄(pattern 1), 원위부 무기폐나 폐쇄성 폐렴을 동반한 중심부 종괴양 병변(pattern 2), 종괴양 폐경화를 포함한 주변부 결절 또는 종괴(pattern 3), 그리고 공동성 병변(pattern 4)으로 분류했다. CT 소견은 폐병변의 양상(pattern), 폐병변의 위치, 병변 주변 폐의 이상, 주변부 결절 또는 종괴인 경우에는 병변의 크기, 경계 그리고 조영증강 양상, 또한 공동성 병변인 경우에는 공동벽의 두께를 분석하였다. 또한 림프절과 흉막의 이상 유무도 평가하였다. 결과: Pattern 1(n = 34)이 가장 흔한 소견이었고 pattern 3(n = 23), pattern 2(n = 11), 그리고 pattern 4(n = 8)의 순서였다. Pattern 1과 2의 경우에는 병변이 우중엽에 가장 많았으나(n = 14/45) pattern 3과 4의 경우에는 우하엽의 상분절에 가장 많았다(n = 5/31). 병변 주변이나 다른 분절에 경계가 좋지 않은 위성 소결절이나 융합성 결절은 31명(40.8%)에서 보였다. 커진 림프절은 우 기관주위(n = 9/18)에 가장 많았고 흉막삼출은 10명의 환자에서 보였다. 결론: CT에서 폐암의태성의 폐결핵은 중심부에 종괴양 병변을 동반하지 않은 기관지의 협착이나 폐쇄로 인한 원위부 무기폐나 폐쇄성 폐렴으로 보이는 경우가 가장 흔하였다.

      • KCI등재

        악성 고립성 폐결절: 역동적 조영증강 전산화단층촬영에서의 조영증강 형태와 조직병리 소견에 관한 연구

        조영민,김윤현,선현주,박진균,김재규,정광우,강형근 대한영상의학회 2006 대한영상의학회지 Vol.55 No.2

        Purpose: We wanted to evaluate the potential role of dynamic incremental computed tomography (CT) for making the diagnosis of malignant solitary pulmonary nodule (SPN) by investigating the dynamic enhancement patterns. Materials and Methods: Forty patients with presumed malignant SPN (diameter < 30 mm) were selected for dynamic incremental chest CT scanning. Histopathologic diagnoses of the malignant SPNs were obtained by surgical excision (n=8) and transthoracic needle biopsy (n=32), and they were squamous cell carcinoma (n=16), adenocarcinoma (n=14), small cell carcinoma (n=5), bronchioloalveolar carcinoma (n=3), and large cell carcinoma (n=2). CT scans were performed at the region of interest (ROI) of the lung nodule before and after contrast enhancement. The dynamic incremental CT scans after contrast enhancement were performed at 15 seconds, 30 seconds, 45 seconds, 60 seconds, 90 seconds, 2 minutes, 3 minutes and 4 minutes. The degree of contrast enhancement according to the time course and the time of maximum enhancement of the malignant nodules were recorded by measuring the Hounsfield Unit (HU) of the nodules at the ROI. We assessed the differences of the contrast enhancement patterns among the histopathologic subtypes of malignant SPN. Results: In malignant SPN, the average time of maximum contrast enhancement was 62.2±16.2 seconds, and the average degree of maximum contrast enhancement was 66.4±22.17 HU. Most primary lung cancer showed rapid contrast enhancement with slow washout. The differences of the enhancement patterns among the histopathologic subtyp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5). Conclusion: Dynamic incremental chest CT was useful for making the diagnosis of malignant SPN that showed an established dynamic contrast enhancement pattern regardless of the histopatholgic subtypes. 목적: 악성 고립성 폐결절(Solitary Pulmonary Nodule, 이하 SPN)의 조영 증강 양상을 분석하여 이의 진단에서 역동적 조영 증강 흉부 전산화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이하 CT)의 잠재적 역할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역동적 조영증강 흉부 CT를 시행한 30 mm 미만의 악성 SPN을 가진 4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각각의 결절에 대해 수술적 절제(n = 8) 또는 경피적 세침 조직검사(n= 32)를 시행하여 병리조직학적 결과를 얻었으며, 이들의 조직병리학적 아형들은 편평상피세포암(n = 16), 선암(n = 14), 소세포암(n = 5), 세기관지폐포암(n = 3), 그리고 대세포암(n = 2) 이었다. SPN의 관심영역(region of interest, ROI)에 대해 조영전과 후에 역동적 조영증강 CT를 시행했다. 역동적 조영증강 CT는 조영제 주입 후 각각 15초, 30초, 45초, 60초, 90초, 2분, 3분, 4분에 시행하였다. SPN의 관심구역(region of interest, ROI)에서 하운스필드 수치(HU)를 측정함으로써 결절의 시간경과에 따른 조영증강 정도와 최대 조영증강에 이르는 시간을 기록했다. 각각의 악성 SPN의 조직병리학적 아형에 따른 조영증강 양상의 차이를 평가하였다. 결과: 악성 SPN의 최대 조영증강 시간의 평균은 62.2±16.2초이었고 최대 조영증강 정도의 평균은 66.42±22.17 HU이었다. 대부분의 악성 SPN은 빠른 조영증강과 함께 느린 씻음을 보였으나, 이들의 조직병리학적 아형에 따른 조영증강 형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p > 0.5). 결론: 역동적 조영증강 CT는 악성 SPN의 조직병리학적 아형들 간에 차이를 보여주지는 않았지만, 조영증강 양상에 의한 이들의 진단에 유용하리라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