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방초음파검사 및 환자용 모니터 설치에 대한 만족도 조사

        류정규,김현철,양달모 대한초음파의학회 2010 ULTRASONOGRAPHY Vol.29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patients satisfaction with a newly established video-monitor system and the associated basic items for performing breast ultrasound exams by conducting a survey among the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349 patients were invited to take the survey and they had undergone breast ultrasound examination once during the 3 months after the monitor system has been introduced.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8 questions, 4 of which were about the basic items such as age, gender and the reason of their taking the breast ultrasound exam, their preference for the gender of the examiner and the desired length of time for the examination. The other 4 question were about their satisfaction with the video monitor.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purposes of taking the exams, which were screening or diagnostic purposes. The results were compared between these 2 groups. The satisfaction with the video monitor system was assessed by using a scoring system that ranged from 1 to 5. Results: For the total patients, the screening group was composed of 124 patients and the diagnostic group was composed of 225. The reasons why the patients wanted to take the examinations in the diagnostic group varied. The questionnaire about the preference of the gender of the examiner showed that 81.5% in the screening group and 79.1% in the diagnostic group preferred a woman doctor. The required,suitable time for the breast ultrasound examination was 5 to 10 minutes or 10 to 15minutes for about 70% of the patients. The mean satisfaction score for the video monitor system was as high as 3.95 point. The portion of patients in each group who answered over 3 points for their satisfaction with the monitor system was 88.7% and 94.2%, respectively. Conclusion: Our study showed that patients preferred 5-15 minutes for the length of the examination time and a female examiner. We also confirmed high patient satisfaction with the video monitor system. 목적: 유방초음파검사를 받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유방초음파검사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과 새로이 도입된 환자용 모니터에 대한 만족도를 설문 조사를 통해 알아보고 문제점 및 개선방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새로운 환자용 모니터가 설치된 이후 3개월 동안 유방초음파실 에서 유방초음파검사를 받은 34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다. 총 8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환자의 기본적인 사항에 대한 질문 (나이, 유방초음파검사를 받는 이유, 검사자의 성별에 대한 선호도,적절한 검사 소요시간)과 모니터에 대한 만족도에 대한 질문으로 나누어 답하도록 하였다. 전체 환자를, 증상이 없이선별검사를 위한 경우 (screening group) 와 다양한 증상과 목적을 위한 진단적 검사인 경우 (diagnostic group)로 나누어 설문조사 결과를 서로 비교하여 보았다. 환자용모니터 시청에 대한 만족도는 5점 척도를 사용하여 답하도록 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 중 screening group이 124명이었고diagnostic group은 225명이었다. 유방초음파를 시행하는검사자에 대한 선호도를 묻는 질문에서, screening group 에서는 81.5%가, diagnostic group에서는 79.1%가 여자의사를 선호하는 결과를 보였다.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유방초음파 소요시간에 대하여는 전체 응답자의 약70%가 5분에서 15분 정도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니터 시청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3.97점을 나타내어 비교적 높은만족도를 나타냈는데, group별로 3점 이상의 만족도를 보인 정도를 보면 screening group과 diagnostic group에서각각 88.7%와 94.2%를 보여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결론: 유방초음파 검사를 받는 환자들은 약 5분에서 15분 정도의 검사시간과 여자 검사자를 선호하였다. 또한, 새로 도입된 환자용 모니터 시스템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 KCI등재후보

        미국방사선의학회 기준에 따른 유방 초음파 영상의 질적 수준에 관한 평가

        고경희,김은경,김영아,손은주,정선양,오기근 대한초음파의학회 2003 ULTRASONOGRAPHY Vol.22 No.2

        PURPOSE : To evaluate the technical quality of breast ultrasound based on American College of Radiology(ACR) standards. MATERIALS and METHODS : Between March 2002 and July 2002, ninety three breast sonograms obtained from 73 institutions were evaluated based on ACR standards for the hardware, technical settings, labeling of the images and identification. RESULTS : Of 93 breast sonograms, a satisfactory compliance with all ACR standards in the performance of breast US examinations was documented in 31% while the remaining 69% did not fully meet all ACR standards. 4.3% of breast US examinations were performed with a convex transducers, and the focal zone was inappropriately positioned in 14.2%. Gray-scale gain was subjectively characterized as inappropriate in 26.9%, and the size of lesion was not measured in 7.5%. Anatomic location of lesions was inappropriately described in 9.3%. The orientation of an US tranducer was not properly labeled on any images in 33.3%. Inadequate recording of patient’s information was noted in 43.3%. 50% of sonograms at University medical centers and larger general hospitals fully met all ACR standards while 36.8% at radiologic clinics and 12.1% at other private clinics met all ACR standards. CONCLUSION : Overall, 69% of breast sonograms failed to meet the quality criteria of the ACR standard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educate the basic technical details in performing breast US for the quality control. 목적 : 본원에 의뢰된 외부 병원 유방 초음파에 대한 화질을 미국방사선의학회(American College of Radiology, ACR)의 지침에 준하여 평가하고, 유방 초음파 영상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 하여 노력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2년 3월부터 2002년 7월까지 73개의 기관에서 시행된 93개의 유방초음파를 대상으로 미국방사선의학회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준에 따라 초음파 장비의 수준, 기기 조 작, 초음파 영상의 표지, 신분증명에 대해 평가하였다. 결과 : 93개의 초음파 영상 중에 기준을 모두 만족시키는 초음파 영상은 31%였으며, 69%의 초음파 영상은 제시하는 기준 중 적어도 한가지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였다. 그 이유로는 총 초 음파 영상 중 4.3%에서는 곡면 탐촉자를 사용하였으며, 14.2%에서 초점 영역이 적절치 못하였고 게인 조절은 26.9%에서 부적절하였다. 7.5%에서는 병변의 크기가 전혀 측정되지 않았고 병변의 위치는 9.3%에서 불충분하게 표시되어 있었으며, 탐촉자 방향은 33.3%에서 표시 되지 않았다. 그리고 43.3%에서는 환자 정보에 관한 기록이 불충분하였다. 종합병원 및 대학병원에서 실시한 초음파 영상 중 기준을 모두 만족시키는 예는 50%(8/16)였으며, 진단 방사선과 의원의 경우는 36.8 (17/44), 그 외의 개인 의원의 경우는 12.1%(4/33)였다. 결론 : 69%의 유방 초음파가 미국방사선의학회 기준에 미치지 못하였으며, 앞으로 유방 초음파의 기본적인 기술적인 요소에 대한 교육을 통하여 정도 관리에 힘써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뒤숫구멍을 통한 신생아 두개강 초음파 영상의 해부학적 도해: 자기공명영상과 다평면 재구성 프로그램을 이용한 사위 초음파 스캔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

        오상영,이영석,유동수,장영표 대한초음파의학회 2010 ULTRASONOGRAPHY Vol.29 No.3

        Purpose: Neonatal cranial sonongraphy through the posterior fontanelle is more useful than through the anterior approach for the evaluation of posterior brain structure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neonatal cranial sonography scan planes through the posterior fontanelle, and to objectively evaluate the anatomy of neonatal cranial sonographic images. Materials and Methods: Neonates who underwent cranial sonography and MRI including 3D-SPGR axial scans and showed normal features on both modalities were enrolled. We reconstructed MR images corresponding to sonongraphic planes, then constructed anatomic models of the neonatal cranial sonographic images using axial MRI as the standard reference on the same screen. Results: We successfully created anatomic atlas that represents 8 oblique coronal and 4 oblique sagittal scans and planes that corresponded to the neonatal cranial sonographic images through the posterior fontanelle. Conclusion: The objective manner of this anatomic research provided standardized sonographic scan planes and created anatomic model through the posterior fontanelle. Cranial sonographic models through the posterior fontanelle using MRI and multi-planar reconstruction program will be helpful in the evaluation of sonographic anatomy and detection of abnormalities in the basal ganglia, thalamus and posterior part of the brain. Key words : Neonate; 목적: 뒤숫구멍을 통한 신생아 뇌 초음파 검사는 앞숫구멍을 통한 검사에서 잘 안보이는 뒤쪽 뇌구조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줄 수 있다. 신생아 뇌 초음파 사위면 영상과일치하는 자기공명 재구성 영상을 이용하여, 뒤숫구멍을통한 신생아 뇌 초음파 검사의 기준면 제시와 객관적인 해부학적 도해를 작성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뇌초음파와 3D-SPGR 축상 스캔을 포함한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시행받았던 신생아중 정상 소견을 보였던 한 명을 선정하였다. 다평면 재구성 프로그램을이용하여 초음파 사위 스캔 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재구성된 자기공명 영상을 획득한 후, 동시에 나타내어지는 축상면 영상을 참고로 뒤숫구멍을 통한 뇌 초음파 사위면 영상의 해부학적 모형을 만들었다. 결과: 대표적인 해부학적 구조물을 잘 보여줄 수 있는 뇌초음파 검사의 사위 관상면 8개 영상과 사위 시상면 4개의영상을 정한 후, 초음파 영상과 일치된 해부학적 도해서를만들었다. 결론: 뒤숫구멍을 통한 신생아 뇌 초음파영상에 대한 기준면을 제시하고 이를 다평면 영상 재구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상 신생아 뇌 초음파 사위면 영상의 해부학적 구조를 객관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기저핵, 시상 및 후두부위의 이상을 발견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 KCI등재후보

        비촉지성 유방 결절에 대한 초음파 진단의 유용성

        이영경,김선미,박정미 대한초음파의학회 2003 ULTRASONOGRAPHY Vol.22 No.2

        목적 : 비촉지성 유방 결절에 대한 초음파 진단의 유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2000년 1월에서 2001년 6월까지 511명의 환자의 610 예의 비촉지성 유방 결절에 대한 초음파를 시행하였다. 초음파 소견을 전향적으로 311예의 양성, 299예의 비양성(악성 과 불확실성)으로 분류한 소견을 분석하였다. 초음파 진단의 정확도는 병소의 크기에 따라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결절은 초음파 유도 세침 흡인 검사로 진단 되었으며 12예에서는 수술적 생검을 시행하였다. 결과 : 전체적으로 143예의 세포 검사로 진단된 악성 결절 중 136(95.1%), 467예의 세포 검사로 진단된 양성 결절 중 304예에서(65.1%) 시술 전 초음파 진단이 정확하였다. 전체적인 초음파 진단의 정확도는 72.1%였으며, 1-2 cm크기의 병변에 대한 초음파 진단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 예측도, 음성 예측도, 정확도가 가장 높았다(각각 98.1%, 70.1%, 47.7%, 99.2%, 76.2%). 위음성유방암은 7(4.9%)예였으며 그 중 4 예가 1 cm미만의 소결절들이었다. 위 음성유방암의 초음파 소견은 난양 또는 원형 모양, 분명한 경계, 균질한 내부 에코였다. 불확실성 결절에서 흔히 보인 초음파 소견들은 불분명한 경계, 미세 분엽상 경계, 각진 변연, 현저한 내부 저에코 등이었으며 이 중에서 86%가 양성 결절로 진단되었다. 결론 : 비촉지성 유방 결절에 대한 감별진단에 있어서 초음파는 유용한 검사법이며 특히 1-2 cm 크기의 결절의 경우에 가장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었다. 그러나 양성 결절에서도 악성 결절을 시사하는 초음파 소견들이 자주 발견되었다. PURPOSE : We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ultrasonography (US) in differential diagnosis of nonpalpable breast nodules. MATERIALS and METHODS : From January 2000 to June 2001, US-guided fine needle aspiration biopsy (FNAB) was performed in 610 nonpalpable breast nodules from 511 patients. Pre-biopsy US diagnosis was divided into 311 benign and 299 non-benign (malignant and indeterminate) categories. Diagnostic accuracy of Pre-biopsy US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size of lesion. All lesions were pathologically diagnosed by US-guided FNAB while excisional biopsy was performed in 12 cases. RESULTS : Overall, 136/143 FNAB-proven malignant nodules (95.1%) and 304/467 FNAB-proven benign nodules (65.1%) were correctly predicted by US. The overall diagnostic accuracy was 72.1% while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negative predictive value and accuracy were highest for the nodules sized between 1-2cm in the longest diameter (98.1%, 70.1%, 47.7%, 99.2% and 76.2%, respectively). The number of false negative malignancies were seven (4.9%); four of them, smaller than 1cm. False negative malignancies showed ovoid or round in shape, well defined margin and homogeneous echogenecity. Meanwhile, frequent US findings of indeterminate nodules included ill-defined margin, microlobulated border, angular margin and marked hypoechogenecity; however, 86% of them were proved to be benign. CONCLUSION : Ultrasonography is an effective diagnostic method in differential diagnosis of nonpalpable breast nodules, especially for 1-2 cm sized nodules. However, US characteristics suggestive of malignacy were also frequently seen in benign lesions.

      • KCI등재

        유방 병변의 감별에서 탄성초음파와 회색조 초음파의 진단 성적 비교

        강지영,이진화,김은경,신수영,김병권,조진한,하동호,박병호,최순섭 대한초음파의학회 2012 ULTRASONOGRAPHY Vol.31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ultrasound (US) elastography and conventional B-mode US for discrimination between benign and malignant breast lesions. Materials and Methods: During a 13-month period, 277 women with 335 sonographically visible breast lesions who were scheduled to undergo biopsy were examined with US elastography. Elastographic findings were classified as benign or malignant based on the area ratio, with 1.00 as the threshold. Findings on conventional Bmode U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BI-RADS category, as follows: lesions of BIRADS categories 2 and 3 were considered benign, while those in categories 4 and 5were considered malignant. Statistical analysis included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PPV), negative predictive value (NPV), accuracy, and ROC curve analysis for comparison of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US elastography and conventional B-mode US. Results: Of the 335 breast lesions, 85 (25.4%) showed malignancy on pathology. Findings on B-mode US showed malignancy in 264 (78.8%) and elastographic findings showed malignancy in 102 (30.4%).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PV, NPV, and accuracy of B-mode US and elastography were 98.8%, 28.0%, 31.8%, 98.6%, and 79.4% and 69.4%, 81.2%, 57.8%, 88.8%, and 79.4%, respectively. Elastography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pecificity and PPV and lower sensitivity and NPV, compared with B-mode US (p < 0.001). The area under the ROC curve (AUC value) was 0.761 for elastography, and 0.634 for B-mode US (p < 0.001). Conclusions: US elastography can improve specificity and PPV of B-mode US,but with significant sacrifice of sensitivity and NPV. Therefore, US elastography may complement B-mode US for differentiation of breast masses. 목적: 유방의 악성 및 양성 종괴의 감별에 있어서 탄성초음파와 회색조 초음파의 진단 성적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3개월 동안 본원에서 유방 초음파를 시행한환자 중 종괴가 발견되어 조직검사가 계획된 277명의 환자,335개의 유방 종괴를 대상으로 탄성초음파를 추가로 시행하였다. 탄성초음파에서 양성 및 악성 종괴에 대한 평가는 단면적비 1.0을 기준으로 진단하였다. 회색조 초음파에서는 BIRADS에근거하여 범주 2와 범주 3에 해당하는 유방 종괴는양성으로, 범주 4와 범주 5의 종괴는 악성으로 분류하였다. 회색조 초음파와 탄성초음파의 진단성적을 비교하기 위해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 음성예측도 및 정확도를 구하고, ROC curve를 분석하였다. 결과: 병리 결과에서 335개의 종괴 중 악성은 85개(25.4%)이었다. 회색조 초음파에서는 264예(78.8%)를 악성종괴로 진단하였고, 탄성초음파에서는 102예 (30.4%)를 악성으로 진단하였다. 회색조 초음파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 음성예측도, 정확도는 각각 98.8%, 28.0%, 31.8%, 98.6%,79.4% 이었고, 탄성초음파는 각각 69.4%, 81.2%, 57.8%,88.8%, 79.4% 이었다. 탄성초음파는 회색조 초음파와 비교하여 특이도와 양성예측도는 높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민감도와 음성예측도는 낮았다 (p < 0.001). ROC curve 분석에서 탄성초음파와 회색조 초음파의 AUC 값은 각각 0.761과0.634 (p < 0.001) 이었다. 결론: 결론적으로 공간 상관도 기법을 이용한 탄성초음파는회색조 유방초음파와 비교하여 특이도와 양성예측도를 향상시키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민감도와 음성예측도를 낮추므로유방 병변의 진단에 있어 탄성초음파는 회색조 초음파의 보완적인 검사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3차원 유방 초음파의 관찰자 일치도 및 진단적 정확성

        류채연,김선미,장미정,김성원,강은영,박소연,문우경 대한초음파의학회 2011 ULTRASONOGRAPHY Vol.30 No.3

        Purpose: We wanted to evaluate the interobserver variability and diagnostic performance of 3-dimensional (3D) breast ultrasound (US) as compared with that of 2-dimensional (2D) US. Materials and Methods: We included 150 patients who received US-guided core biopsy and 3D US between June 2009 and April 2010. Three breast imaging radiologists analyzed the 2D and 3D US images using the Breast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 (BI-RADS) lexicon. The intra-observer agreement and inter-observer agreement were calculated.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2D and 3D US were evaluated. Results: The intra-observer agreement between 2D and 3D US was mostly slight or fair agreement. However, in terms of the final category, there was substantial agreement for all three radiologists. The inter-observer agreement of 3D US was similar to that of 2D US (moderate agreement for shape, orientation, circumscribed margin and boundary; fair agreement for indistinct margin, angular margin, microlobulated margin, echo pattern and final category). The sensitivity of 3D US for breast cancer was higher than that of 2D US for two radiologists (2D vs. 3D for reader 2: 55.8% vs. 61.5%, 2D vs. 3D for reader 3: 59.6% vs. 63.5%), and the specificity of 3D US was lower than that of 2D US for all the readers (2D vs. 3D for reader 1: 90.8% vs. 86.7%,2D vs. 3D for reader 2: 90.8% vs. 87.8%, 2D vs. 3D for reader 3: 94.9% vs. 90.8%),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p ≥ 0.05). Conclusion: The interobserver variability and diagnostic performance of 3D breast US were similar to those of 2D US. 목적: 유방 병변에 대한 3차원 초음파의 관찰자 일치도와 진단적 정확성을 기존의 2차원 초음파와 비교해 보고자한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6월부터 2010년 4월까지 초음파유도 하 조직 생검과 3차원 초음파를 모두 시행한 환자 중종괴성 병변을 가진 15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초음파 소견은 유방영상의 판독과 자료체계 (Breast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 BI-RADS) 지침을 기준으로, 3명의 유방 영상 전문의가 분석하였다. 관찰자 내 일치도와 관찰자 간 일치도, 각 초음파 진단법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각 판독의별 2차원과 3차원 초음파 분석 소견은대부분 불량 또는 보통의 일치도(관찰자 내 일치도)를 보였으나, 최종 카테고리에서는 3명의 판독의 모두 우수한일치도를 보였다. 초음파 소견의 각 항목에 대한 판독의들간의 일치도 (관찰자 간 일치도)는 2차원 초음파와 3차원초음파에서 비슷한 정도를 보였다 (불분명한 변연, 각진변연, 미세소엽형 변연, 에코양상, 최종 카테고리에서는 2차원과 3차원 모두 보통의 일치도; 모양, 방향성, 국한성변연, 병변 가장자리에서는 모두 중증도 일치도). 민감도는 판독의 두 명에서 2차원 보다 3차원 초음파가 더 높았고 (판독의2: 55.8%와 61.5%, 판독의3: 59.6%와63.5%), 특이도는 모두 2차원이 3차원 보다 높았으나 (판독의1: 90.8%와 86.7%, 판독의2: 90.8%와 87.8%, 판독의3: 94.9%와 90.8%),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p ≥0.05). 결론: 3차원 초음파 영상은 2차원 초음파 영상과 비슷한수준의 관찰자 간 일치도와 진단적 정확성을 보였다.

      • KCI등재
      • 태아 선천성폐종괴 퇴화의 산전 초음파소견과 출생후 전산화단층촬영소견

        송미진,조병제 대한초음파의학회 2002 ULTRASONOGRAPHY Vol.21 No.1

        =Evolution of Fetal Lung Masses Assessed by Sonography and CT ScanMi Jin Song, M.D., Byung Jae Cho, M.D. 목적 : 산전 초음파 추적검사에서 발견된 태아의 선천성폐종괴의 자연 경과를 관찰하여 자발적 퇴화의 빈도와 퇴화정도 및 시기를 분석하고, 이를 출생후 흉부 CT 소견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산전 초음파상 폐종괴가 발견되어 3-4주 간격으로 규칙적인 초음파 추적검사를 시행하고 분만한 16예를 대상으로 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산전 초음파 검사에서 폐종괴의 크기, 에코변화를 관찰하였고 색도플러 초음파검사를 병행하여 대동맥에서 기시하는 이상혈관유무를 검사하였다. 출생후 흉부 CT를 실시하여 폐병변의 크기와 성격을 분류하였고 산전초음파 소견과 비교하였다. 결과 : 산전 초음파검사에서 진단 당시 크기는 31.4×25.1×35.5 mm 였고, 전예가 고에코 종괴였으며 이중 9예에서 낭종이 동반되었다. 색도플러 초음파검사상 대동맥에서 기시하는 이상동맥을 4예에서 발견하여 선천성 낭성 선종양 기형 12예, 폐분리증 4예로 추정 진단하였다.추적검사에서는 63% (10예)에서 종괴가 소실되었고, 25% (4예)는 변화가 없었다. 6% (1예)에서 크기가 감소하였으며, 6% (1예)에서 증가하였다. 출생후 흉부 CT에서 평균 크기는 32.3×21.7×28.3 mm였고, 폐경결과 공동이 혼합된 예가 7예, 폐경결이 5예, 폐공동이1예, 간유리 음영이 1예, 폐기종이 1예, 무기폐가 1예 등이었다. 결론 : 태아의 선천성폐종괴는 추적 초음파 검사상 69%에서 임신 30.4주에 크기가 감소하고, 63%에서 임신 34.4주에 완전히 소실된다. 그러나 출생후 CT에서는 초음파에서 종괴가 소실된 경우에도 전예에서 병변이 남아있으며 38%에서는 크기가 감소하고 나머지는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뒤가쪽숫구멍을 통한 신생아 두개강 초음파 영상의 해부학적 도해

        김봉만,이영석 대한초음파의학회 2011 ULTRASONOGRAPHY Vol.30 No.3

        Purpose: Neonatal cranial sonongraphy performed through the mastoid fontanelle is more useful to evaluate the peripheral structures at the convexity of the cerebral hemispheres and brainstem rather than that performed through the anterior fontanel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anatomy of the extracerebral CSF space and brainstem and to suggest appropriate scan planes for performing neonatal cranial sonography through the mastoid fontanelle using MRI and multiplanar reconstruction programs. Materials and Methods: A neonate with normal features on ultrasonography and good image quality on MRI, including the 3D-SPGR axial scans, was selected. We made the reconstructed MR images corresponding to the sonongraphic planes and the anatomic models of the neonatal cranial sonographic images by using axial MRI as the standard reference on the same screen. We demonstrated the sonographic images at the levels of the body of the caudate nucleus and lentiform nucleus, the head of the caudate nucleus and thalamus, the third ventricle and midbrain, and the midbrain and cerebellar vermis on the oblique axial scans. Four oblique coronal images at the levels of the periventricular white matter, basal ganglia, thalamus and tentorium were also obtained. Results: We illustrated the anatomic atlas with including four oblique axial scans and four oblique coronal scans that corresponded to the neonatal cranial sonographic images through the mastoid fontanelle. Conclusion: We objectively analyzed the anatomy of the extracerebral CSF space and brainstem by using MRI and multiplanar reconstruction programs and we provided the standardized sonographic scan planes through the mastoid fontanelle. This study will be very helpful for evaluating the abnormalities of the peripheral structures at the convexity of the cerebral hemispheres and brainstem. 목적: 뒤가쪽숫구멍을 통한 신생아 뇌 초음파 검사는 앞숫구멍을 통한 검사에서 잘 보이지 않는 대뇌반구 가쪽부위와 뇌간 등을 평가하는데 유용하다. 신생아 뇌 초음파 사위면 영상과 일치하는 자기공명 재구성 영상을 이용하여,뒤가쪽숫구멍을 통한 신생아 뇌 초음파 검사의 기준단면을 제시하고 객관적인 해부학적 고찰을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정상 뇌초음파 소견을 보이고 3D-SPGR 축상 스캔을 포함한 자기공명영상 검사에서 좋은 해상도를 보인 신생아 한 명을 선정하였다. 다평면 재구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초음파 사위 스캔 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재구성된 자기공명 영상을 획득한 후, 동시에 나타나는 축상면 영상을 참고로 뒤가쪽숫구멍을 통한 뇌 초음파 사위면영상의 해부학적 모형을 만들었다. 사위 축상면에서는 꼬리핵 몸통과 렌즈핵, 꼬리핵 머리와 시상, 셋째뇌실과 중뇌, 중뇌와 소뇌충부를 중심으로, 사위 관상면에서는 뇌실주위 백색질, 기저핵, 시상, 천막을 중심으로 영상을 획득하였다. 결과: 대표적인 해부학적 구조물을 잘 보여줄 수 있는 뇌초음파 검사의 사위 축상면 4개 영상과 사위 관상면 4개영상을 정한 후, 재구성된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해부학적 분석을 통해, 초음파 영상에 대한 도해서를 만들었다. 결론: 다평면 영상 재구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상 신생아 뇌 초음파 사위면 영상을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고, 뒤가쪽숫구멍을 통한 신생아 뇌 초음파영상에 대한 기준면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대뇌반구 가쪽부위와 뇌간을평가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