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빅데이터를 활용한 직업능력개발 정책의 키워드 및 토픽 분석

        정일찬,이진구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021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keywords and topics of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policies shown in press articles and press releases from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by policy period by using the big data analysis method for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policies.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keyword analysis in press articles, the words ‘support’, ‘education’, and ‘occupation’ were high in TF and the words ‘disabled’, ‘job’, and ‘training’ were high in TF-IDF in all policy periods.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s release, the words ‘support’ and ‘company’ were high in TF, and ‘disabled’ words were high in TF-IDF in all policy periods. Second, as a result of topic modeling, 20, 19, and 16 topics were derived for each policy period in press articles, and 16, 21, and 12 topics were derived from the press release.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keywords and topics used in press articles and press releases by policy perio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academic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직업능력개발 정책에 대해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정책 시기별로 언론기사, 고용노동부 보도자료에서 나타난 직업능력개발 관련 정책의 키워드와 토픽을 분석하는 것이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키워드 분석 결과 언론기사에서는 모든 정책 시기에서 TF에서는 ‘지원’, ‘교육’, ‘직업’ 단어가, TF-IDF에서는 ‘장애인’, ‘일자리’, ‘훈련’ 단어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보도자료에서는 모든 정책 시기에서 TF에서는 ‘지원’, ‘기업’ 단어가, TF-IDF에서는 ‘장애인’ 단어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토픽모델링 결과 언론기사에서는 정책 시기별로 20개, 19개, 16개 토픽이, 보도자료에서는 16개, 21개, 12개 토픽이 도출되었다. 셋째, 정책 시기별로 언론기사와 보도자료에서 중요하게 사용되는 키워드 및 관심 토픽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직업훈련교·강사 보수교육에 관한 인식 및 요구 조사 연구

        이진구,정일찬,오인용,송해림,이재철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20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mands for supplementary training for the heads of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and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and instructor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supplementary training. To this end, a surveywas conducted with 130 heads of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and 535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and instructors. As a resultof the survey, most respondents were sympathized with the need for supplementary training in both group, and their training needswere high to acquire new skills and improve their skills as teachers. In addition, opinions were gathered on measures to encourageparticipation in supplementary training and factors that hinder participation in supplementary training. Based on this, suggestionswere made for the direction of supplementary training. 본 연구는 직업훈련기관장과 직업훈련교·강사를 대상으로 보수교육에 관한 요구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수교육의 운영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직업훈련기관장 130명과 직업훈련교·강사 5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두 그룹 모두 보수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공감하였으며, 신기술 습득 및 교사로서의 역랑향상에 대한 교육니즈가 높았다. 또한 보수교육 참여를 위한 장려방안 및 보수교육 참여 장애요소에 대해서도 조사결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보수교육 운영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기반 학습모델 연구

        이진구,이재영,정일찬,김미화,Lee, Jin Gu,Lee, Jae Young,Jung, Il Chan,Kim, Mi Hwa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digital transformation-based learning model that can be used in universities based on learning digital transformation in order f to be competitive in a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Literature review, case study, and focus group interview were conducted and the implications for the learning model from these are as follows. Universities that stand out in related fields are actively using learning analysis to implement dashboards, develop predictive models, and support adaptive learning based on big data, They also have actively introduced advanced edutech to classes. In addition, problems and difficulties faced by other universities and K University when implementing digital transformation were also confirmed. Based on these findings, a digital transformation-based learning model of K University was developed. This model consists of four dimensions: diagnosis, recommendation, learning, and success. It allows students to proceed with learning by diagnosing and recommending various learning processes necessary for individual success, and systematically managing learning outcomes. Finally,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bout the research results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DACUM기법을 활용한 물리적방호 분야 일반보안 직무의 교육 요구분석

        이진구(Jin Gu Lee),정일찬(Il Chan Jung),박민주(Min Ju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5

        이 연구의 목적은 핵물질 및 원자력시설에 가해지는 위협들에 대응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물리적방호 분야 일반보안 직무 교육대상자의 직무분석 결과를 도출하여 직무기반 교육과정의 주요 교과목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직무분석 단계에서는 7명의 내용전문가를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여 8개 책무(duty)와 55개 과제(task)를 도출하고 과제별로 지식과 기술을 도출하였다. 교육 요구분석 단계에서는 일반보안 직무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t-검정과 Borich 요구분석을 통해 상위 25위까지의 교육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핵심작업 선정 및 필수/선택 내용 정리 단계에서는 설문을 통한 55개 과제(task)의 중요도와 난이도 평정결과를 바탕으로 둘 다 평균 이상이거나 둘 중 하나라도 평균 이상인 총 42개의 과제를 핵심작업으로 도출하였다. 또한, Borich 요구분석에서 도출된 상위 25위까지의 교육 우선순위를 함께 적용하여 공통으로 적용되는 과제는 교과목 설계 시 필수 내용으로, 둘 중 하나만 적용되는 과제는 선택 내용으로 정리하였다. 필수/선택과목 및 주요 교육내용 도출 단계에서는 앞서 도출한 필수/선택 내용을 비슷한 과제끼리 유목화하여 4개의 필수과목과 5개의 선택과목을 도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학문적, 실천적 시사점 및 향후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main subjects of the job-based curriculum by deriving the job analysis results of general security job workers in the physical protection field responsible for responding to threats to nuclear materials and nuclear facilities. In the job analysis stage, FGI was conducted on 7 content experts to derive 8 duties and 55 tasks. In addition, knowledge and skills were drawn for each task. In the analysis of educational needs, surveys were conducted for workers in general security jobs to derive the top 25 educational priorities through t-test and Borich needs assess model. At the stage of selecting core tasks and organizing required/optional contents, 42 tasks, both above average or at least one of them, were derived as core tasks based on the result of evaluation of importance and difficulty ratings of 55 tasks through a questionaire. In addition, tasks applied to the top 25 rankings derived from Borich needs assess model were applied as the required contents when designing courses, and tasks which applied only one of them were selected as optional contents. At the stage of required/optional modules and educational contents, four required modules and five optional modules were derived by drifting similar tasks between the required and optional content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study suggested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suggestions.

      • KCI등재

        직업능력개발훈련 교·강사 역량 설문조사 도구 개발 및 요인분석을 통한 타당화 연구

        정혜경,이진구,윤중헌,김해리,정일찬,옥영진,박민주 한국인력개발학회 2022 HRD연구 Vol.24 No.3

        As an effort to improve the quality of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labor market influenced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urvey instrument for measuring pedagogical competencies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VET) teachers/instructors. Thus,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e survey consists of four main sub-domains: basic competency, competency for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student management and administrative competency, and digital competency. Second, a pilot study was conducted for data collection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 total of 66 survey items were developed, consisting of 10 questions on basic competency, 20 questions on the competency of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14 questions on student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competency, and 22 questions on digital competency. Finally, the strengths, possible ap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of follow-up studies.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노동시장과 고용시장의 변화에 대응하여 데이터에 기반한 직업능력개발훈련의 질 제고를 위해 우선적으로 직업능력개발훈련 교·강사 역량 조사도구를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주요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첫째 기존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직업능력개발훈련 교·강사의 역량을 기본역량과 교수학습평가 역량, 학생관리 및 행정 역량, 디지털 역량으로 구분하여 조사도구를 개발하였다. 둘째, 파일럿 시행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하위 역량별로 기본역량 10문항, 교수학습평가 역량 20문항, 학생관리 및 행정 역량 14문항, 디지털 역량 22문항으로 구성된 총 66문항의 조사도구를 개발하였다. 끝으로 조사도구의 활용 방안 및 개선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 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기관패널 표집설계를 통한 훈련 교·강사 실태조사 방안 연구

        정혜경 ( Hye-kyung Jung ),정일찬 ( Il-chan Jung ),이진구 ( Jin-gu Lee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21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훈련 교·강사를 모집단으로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직업훈련기관 수준에서의 패널조사 표집설계 방안을 제시하여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훈련 교·강사 실태조사의 기초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인 조사 설계를 위한 요소인 목표 모집단과 표본추출틀을 제안하였으며, 전문가 자문과 실증 자료 분석을 토대로 데이터의 대표성, 자료 수집의 효율성 및 지속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표본추출단위, 외층변인과 내층변인을 고려한 표본추출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패널의 단위를 직업훈련기관으로 하여 패널로 선정된 기관과 그 기관에 소속된 훈련교·강사가 설문조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2단계 층화 비례 표집 방안을 마련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패널조사 표본 설계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 of designing a systematic panel survey at the institutional level to lay the foundation for data-based decision-making using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and instructors as the population. In this study, the target population and sampling frame, which are the main elements necessary for planning a panel survey, are proposed. Also based on expert advice and empirical data analysis, the sampling unit and sampling method taking into account the outer and inner variables are presented,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representativeness of data, the efficiency and sustainability of data collec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with the unit of the panel as a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 a two-stage stratified proportional sampling plan is proposed so that the institution selected as the panel and the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and instructors belonging to the institution can participate in the survey. Based on this, implications for the panel survey sample design are presented.

      • KCI등재

        플립러닝 기반 대학수업에서 팀학습활동,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 성취도 간 구조적 관계

        이진구(Jin Gu Lee),정일찬(Il Chan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4

        본 연구의 목적은 플립러닝 수업에서 팀학습활동,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 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팀학습활동, 자기주도학습을 플립러닝의 주요 변인으로 상정하고 학습몰입과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K대학에서 플립러닝을 적용한 A과목을 수강한 학부생 42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수거된 설문지 중 연구목적에 부적합하다고 판단된 31부를 제외한 395부에 대해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팀학습활동은 자기주도학습 및 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플립러닝 수업에서 팀학습활동은 학습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주도학습은 학습몰입 및 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팀학습활동은 학습몰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자기주도학습이 이들 사이를 완전 매개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팀학습활동은 성취도에 직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자기주도학습을 매개로 하여서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llege students’ team activity, self-directed learning, learning flow, and learning performance in flipped learning course. We collected data from 426 students of A class of K university in Chung-nam region, and used the response of 395 students for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m activity was statistically positively significant related to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ing performance. Second, team activity was not statistically positively significant related to learning flow. Third, self-directed learning was statistically positively significant related to learning flow and learning performance. Fourth, team activity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indirect effect on learning flow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conforming that self-directed learning has been found to play a full mediator role between team activity and learning flow. Fifth, team activity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direct & indirect effect on learning performance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conforming that self-directed learning has been found to play a partial mediator role between team activity and learning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