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P(Rapid Prototype) 개발 방법론을 활용한 업·직종별 중장년 생애경력설계 프로그램 개발 -제조업 생산직과 서비스직을 중심으로-

        이진구,정홍전,오인용,송해림 한국직업교육학회 2020 職業 敎育 硏究 Vol.39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Life-based career design program for career management of workers in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To achieve this goal, the researcher analyzed previous program designed for office workers and developed customized career management program. The researcher applied the rapid prototype development methodology to develop a highly acceptable program in the field. Through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ss, career management cases of those two industries were discovered, career development paths and statistical data were presented, and differentiated modules were added for each industry. As the output of the final prototype, we developed a program design, lecture slides, instructor manuals, supplementary instructional materials for learners, case videos, and educational video materials. This study is significant that it has developed a Life-based career design program that applies to many non-office workers, supports their career management, and broadens the scope of instructors to utilize the program. 이 연구의 목적은 업․직종별 생애경력설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으로 국내 여러 업·직종 중 가장 큰 규모를 차지하는 제조업 생산직, 서비스 직종의 특성 및 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하여 생애경력설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무직종 재직자에 맞추어서 개발되었던 생애경력설계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프로그램의 사용자, 참여자, 의뢰인 등 여러 이해관계자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현장에서 수용도 및 만족도 높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래피드 프로토타입 개발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두 직종에 맞는 직종 적합 사례와 경력개발경로 및 통계자료 등을 제시하였고, 직종별 차별화된 모듈을 추가하였다. 이 연구는 사무직 외의 많은 근로자들에게 적용 가능한 생애경력설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했다는 것과 사무직종 외의 재직 근로자들의 경력관리를 지원하고, 교수자인 컨설턴트의 프로그램 활용 폭을 넓혀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업·직종별 40+, 50+ 생애경력설계 프로그램의 성공적 운영을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중장년 고용지원 컨설턴트의 역량모델 개발 연구

        이진구,정홍전 한국직업교육학회 2020 職業 敎育 硏究 Vol.3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mpetency model of the employment support consultants for the middle-aged and elderly.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generic model overlay method of Dubois. As a result of competency modeling, 12 competencies were derived, including 'support for career development, counseling for career and vocational, conducting psychological tests, managing and utilizing employment information, operating and teaching employment support programs, exploring and managing recruitment company, job placement, establishing employment networks, personality and quality of counselor, ethics of job counseling, self-development, employment-related laws and policies'. In addition, 44 behavioral indicators were presented for 12 competences. Based on the above results, a proposal was made on how to utilize the results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우리 사회가 초고령화 사회가 되어감에 따라 중장년층이 더욱 오랜 기간 동안 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중장년을 위한 고용지원 정책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장년에 특화된 개인별 맞춤형 고용지원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하며, 이러한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중장년 고용지원 컨설턴트의 역량과 그들의 역량 개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중장년 고용지원 컨설턴트에게 필요한 역량과 행동지표를 포함하는 역량모델을 개발하고, 개발된 역량모델의 활용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중장년일자리희망센터와 고령자인재은행에서 근무하는 컨설턴트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진로・직업상담 및 취업알선상담 분야에 종사하는 상담사를 대상으로 진행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중장년 고용지원 컨설턴트의 역량모델 1차안을 개발하였고, FGI에서 직무전문가의 검토를 통해 역량모델 2차안을 도출하였다. 이후 설문조사를 실시해 컨설턴트 217명의 데이터로 타당성을 검증하여 최종 역량모델을 완성하였다. 역량모델링 결과 중장년 고용지원 컨설턴트의 역량으로 ‘진로개발 지원, 진로 및 직업상담, 심리검사 수행, 고용정보 관리 및 활용, 취업지원 프로그램 운영 및 강의, 구인업체 탐색-관리, 취업알선, 지역사회 고용 네트워크 구축, 상담자 인성 및 자질, 직업상담 윤리, 자기개발, 고용관련 법령 및 정책 이해’ 등 12개의 역량이 도출되었고, 12개 역량에 대하여 44개의 행동지표를 제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결과의 활용방안과 향후의 연구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 KCI등재

        조직개발 연구동향 분석: 최근 20년(2000-2019) 간 AHRD 학술지를 중심으로

        이진구,정홍전 한국인력개발학회 2020 HRD연구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 of papers on organization development from 2002 to 2019, published in four representative journals of the AHRD conference,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research on organization developmen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total of 79 papers were analyzed for research methods, research topics, intervention levels of the organization development, intervention focus of the organization development, and intervention areas of the organization development. As a result of the research, organization development research were mainly focused on theoretical research and qualitative case studies. In the analysis of the level of organization development intervention, most of the studies were focused on the organizational level and the individual level, and the analysis of the focus of the intervention showed that the focus was on holistic/transformational change. In the area of ​​intervention, the area of ​​strategic change was the most important.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irection and implications for domestic organization development studies were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AHRD 학회의 대표적인 4개 학술지에 게재된 2000년부터 2019년까지의 조직개발에 관한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경향을 살펴보고, 국내 조직개발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총 79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방법, 연구주제, 조직개발 개입 수준, 조직개발 개입 초점, 조직개발 개입 영역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직개발의 연구는 주로 이론적 연구 및 질적인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연구주제는 성공적으로 조직개발을 하게 된 요인이 무엇인지에 초점을 두는 내용(content)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조직개발 개입의 수준에 대한 분석에서는 대부분의 연구가 조직수준과 개인수준에 맞추어져 있었으며, 개입의 초점에 대한 분석에서는 총체적/변혁적 변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입의 영역에서는 전략적 변화 개입의 영역이 제일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조직개발 연구에 대한 방향성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기업현장교사의 역량기반 교육훈련체계 개발

        이진구,박윤희,정홍전,박진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8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0 No.3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for the effective training of the workplace trainers who are in charge of the on-the-job training of the learning workers in the work and learning dual system participant enterprises. For the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three stages of development of competency model, analysis of educational needs,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The first step was to develop the competency model draft of the workplace trainer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competency model was completed through the Delphi survey, and the validity was verified through questionnaires. In the second step, we used the t-test, the Borich needs analysis to derive competency priorities for the training of workplace trainers. In the third step, we developed the training system based on knowledge(K), skills(S) and attitude(A) by competency. The competency modeling revealed 6 roles and 22 competencies: lecturer, evaluator, counselor, learning facilitator, instructor designer, and research developer. The training needs analysis showed that it was found that the competencies of training planning,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and lecture guidance development were the highest in the order of 1, 2, and 3 respectively. And also followed by the competencie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maintaining job expertise.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for workplace trainers were divided into two types: elementary course and advanced course. The elementary course was designed as a basic course of 50 hours, and the advanced course was designed to choose the course of the development of training course in work and learning dual system, on-the-job training design and training method, creative workplace teaching method, NCS competency evaluation, and learning worker counseling course.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일학습병행제 참여기업에서 학습근로자의 현장훈련을 담당하는 기업현장교사의 효과적인 양성을 위한 역량기반 교육훈련 체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역량모델 개발, 교육요구도 분석, 교육훈련 체계 개발의 3단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1단계로 문헌연구를 통해 기업현장교사의 역량모델 초안을 개발하였고, 델파이 조사를 통해 역량모델을 완성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2단계로 t-검정, Borich 요구도 분석을 실시하여 기업현장교사의 교육훈련을 위한 역량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3단계로 역량별 지식(K), 기술(S), 태도(A)를 바탕으로 교육훈련 체계를 개발하였다. 역량모델 검증 결과 강사, 평가자, 상담자, 학습촉진자, 교수설계자 및 연구개발자의 6가지 역할 및 22가지 역량이 도출되었다. 교육요구도 분석 결과 훈련계획 수립 역량, 훈련프로그램 개발 역량, 강의지도안 개발 역량이 각각 1, 2, 3 순위로 교육요구가 높은 역량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현장교사로서의 전문성 개발 역량, 업무 전문성 유지 역량이 뒤를 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반영하여 기업현장교사의 역량기반 교육훈련 체계는 양성교육과 심화교육으로 구분하여 개발하였다. 양성교육은 50시간의 기초과목으로 설계하였고, 심화교육은 일학습병행제 훈련과정 개발, 현장훈련 설계 및 훈련방법, 창의적 일터학습 교수법, NCS 역량평가, 학습근로자 상담의 교육과정을 선택하여 수강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 KCI등재

        프로티언 경력에 관한 통합적 문헌 고찰 - 국내·외 양적연구를 중심으로 -

        박윤희 ( Park Yoon-hee ),정홍전 ( Jeong Hong-jeon ),오미래 ( Oh Mi-rae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8 HRD연구 Vol.20 No.3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양적연구를 중심으로 프로티언 경력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을 하는 것이다. 프로티언 경력 연구에 관한 통합적 문헌 고찰을 통해 프로티언 경력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연구 대상, 연구 방법, 관련 변인 등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첫째,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된 프로티언 경력에 관한 양적연구 논문에서 연구 대상, 하위요인, 측정도구, 연구방법을 분석하였고, 둘째,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된 프로티언 경력에 관한 양적연구 논문에서 프로티언 경력 관련 변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Torraco(2005, 2016)의 통합적 문헌 분석 방법 및 절차에 따라 2017년 6월 시점 기준까지 국내·외 학술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프로티언 경력 관련 키워드로 양적연구 논문을 검색하여, 논문의 목적에 부합되는 총 43편의 논문(국내논문 27편과 국외논문 16편)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논문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프로티언 경력에 관한 양적연구는 해외에서 2008년에, 국내에서 2010년 이후에 논문 발표가 시작되어 현재까지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둘째, 연구분야 측면에서는 인적자원개발뿐 아니라 경영, 심리, 관광 분야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프로티언 경력 연구가 진행되었다. 셋째, 연구 대상은 주로 근로자 및 학생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방법 측면에서는 개인 수준의 연구와 횡단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므로 앞으로는 개인수준과 팀 수준 및 조직수준을 포함한 다수준 연구와 종단 연구가 확대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프로티언 경력은 독립변인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초로 향후 연구 방향 및 논의점, 그리고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about protean career with an emphasis on empirical studies published in Korea and abroad.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1) to analyze samples, dimensions, measures, and methods, and 2) to analyze related variables with protean career. According to the Torraco’s guidelines (2005, 2016) of conducting the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the methods and procedures of the research were carried out. The keywords related to protean career were used to search the literature in databases such as DBPia, Kiss, EBSCO (Business Source Premier), and ProQuest. Through these procedures, a total of 43 articles were finally remained for the analysis based on criteria of retaining the literature retriev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as follows. First, the empirical studies on protean career has been conducted since the year of 2008 abroad and since the year of 2010 in Korea. Second, the previous studies of protean career have been conducted in the various academic disciplines such as business administration, psychology, tourism,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ird, the most research samples were employees and students. Fourth, the research methods employed cross-sectional design rather than longitudinal design. Additionally, previous literature of protean career heavily focused on individual level rather than using multi-level approach. Finally, the protean career was mostly us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Based on the resul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