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용 언어폭력 척도의 성별과 학년에 따른 구인동등성 검증 및 잠재평균 분석

        정다혜 한국교육개발원 2020 한국교육 Vol.47 No.1

        Purpos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verify construct equivalence of the Verbal Violence Scale for elementary students by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o compare the latent means across gender and grade. Design/Methodology: For this purpose,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test whether the scale had configural, metric, and scale invariance across gender and grade. Latent mean analysis was performed to test mean differences on three factors across the groups. The number of subjects was 1,178 from fourth to sixth graders nationwide. Findings/Results: First, through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struct equivalence across gender and grade was verified. Second, the result of the latent mean analysis across gender came out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ird, sixth grade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eans in Impulsive-aggression, Self-esteem, and Depression than fourth and fifth graders. Value: These results imply that this verbal violence scale could be used for elementary students regardless of gender and grade.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the pre-existing research in that it validates the verbal violence scale for elementary students by testing for construct equivalence and latent mean differences across gender and grade. 본 연구는 정다혜(2018)의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학생용 언어폭력 척도가 성별과 학년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사용 가능한 척도인지 검증하기 위해 다중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구인동등성 검증과 잠재평균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전국 단위의 4~6학년 초등학생 1,178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중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학년과 성별에 따른 초등학생용 언어폭력 척도의 구인동등성이 확인되었다. 둘째, 성별에 따른 언어폭력의 잠재평균 차이를 분석한 결과 언어폭력의 세 가지 하위요인인 충동적 공격성, 자아존중감, 우울 모두 성별 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학년에 따른 언어폭력의 잠재평균 차이 분석 결과, 6학년 학생들이 4, 5학년 학생들보다 언어폭력의 하위요인에서 높은 평균점수를 보였고, 그 차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국내 어린이 중심 과학전시 현황 파악 및 발전방향 모색

        정다혜,박영신 한국지구과학회 2017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8 No.6

        The study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in presenting the exhibition space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quo of children’s science exhibitions in order to enhance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Children’s Science Museum. For this purpose, the children’s science museum exhibition and exhibition space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hemes largely according to the exhibition contents, and an analysis framework was developed to analyze exhibition media and exhibition space. For the research subjects, we selected 7 exhibition halls targeted at children in Korea, collected data via video-taping, and analyzed based on the framework of analysis. When analyzing the display situation in which the exhibits have the contents of ‘body’, ‘peripheral things’, and ‘natural phenomena’, we found that the exhibits are composed of too difficult contents to understand, which do not fit the children's developmental level, and the major media used are observational and explaining media. Additionally, concerning the exhibition space, there is a tendency to rely on the installation elements and color effect. It is also difficult to deduce the contents of the exhibits and the entire story. We suggest that the entire exhibition planning be carefully made from the beginning to improve the current status and enhance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e Children’s Science Museum with the help of experts. 본 연구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과학전시관의 현황을 파악하고 어린이 과학관에서의 교육효과를 높이기 위한전시 공간연출의 개선방향을 제안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어린이과학관 전시물과 전시공간을 전시내용에 따라크게 3가지 주제로 분류하고, 전시매체와 전시공간을 분석하는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연구 대상은 국내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전시관 총 7곳을 목적 표집하여 선정하고, 촬영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틀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신체’와 ‘주변 사물’, ‘자연 현상’을 전시 내용으로 한 전시현황을 분석했을 때, 어린이의 발달수준에 맞지 않는 어려운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시매체 측면에서는 설명적 매체와 관찰형 매체가 주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시공간 측면에서는 설치물요소와 색상요소에 의존하는 경향이 높으며, 전시 주제에 따른 동선의 흐름이 대체적으로 전시 내용 전체 스토리를 유추하기 어렵다고 할 수 있겠다. 이를 개선하고 어린이 과학관에서의 교육효과를 높이기 위해 전시 연출의 기획단계에서부터 관련 전문가들의 협업을 통해 전반적인 진행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벽지로 간 간호사: 보건진료원의 탄생과 1970-80년대 보건의료체계의 젠더질서

        정다혜 의료역사연구회 2022 의료사회사연구 Vol.9 No.1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 (CHP) system reveals that nurses were involved in reorganizing the health care system through the assumption of a new role and reflects gendered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nursing in the 1970-1980s. At this time, the status and treatment of public health nurses in the public health system continued to worsen despite the increasing presence and need for public health nurses in public health administration and public health works. To resolve this, nurses actively participated in establishing an alternative public health system to secure the position of nurses and enhance nurses' stature in healthcare. Key figures in the nursing profession viewed the debate over the administration of primary medical practice by CHPs to be symbolic/representative/reflective of the solidarity among males with vested interests and the struggle to promote rights of nurses against them. Beginning in 1981, CHPs were officially dispatched to remote areas and were permitted to serve as primary healthcare providers, offering primary treatment for their communities. Although the societal gender norms were a double-edged sword, the CHPs attempted to use their commitment to the community and gender identities as an adaptation strategy. 보건진료원 제도의 도입과 초기 전개과정은 1970-80년대 보건의료체계 재편을 둘러싼 간호계의 입장을 보여주며, 당시 간호 및 간호사에 대한 젠더화된 인식이 보건의료제도에 어떻게 반영되고 수행되었는지를 드러낸다. 간호계는 1970년대 중반 정부가 새로운 보건체계를 수립하려는 국면에서 지역사회건강사업을 중심으로 한 보건 체계를 제안하고 간호사가 주요한 행위자가 될 수 있도록 정책 수립에 적극적으로 관여하였다. 이는 기존의 보건행정과 보건사업에서 간호사들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음에도 오히려 입지가 축소되는 상황을 벗어나 독자적인 간호 영역을 확보하고 보건사업에서 간호사들의 주도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었다. 간호계는 보건진료원의 일차진료권 부여를 둘러싼 논쟁을 기득권 남성들의 연대와 이에 맞서는 간호사의 권리신장 과정으로 보았다. 간호계의 적극적인 정책 참여와 정치활동으로 보건진료원은 벽⋅오지 지역에서 일차적인 진료행위를 포함하여 지역사회의 건강 관리를 전담하는 직역으로 제도화될 수 있었다. 1981년부터 파견된 보건진료원들에게 여성간호사에 대한 성별화된 인식과 규범은 양날의 검으로 작용했다. 그들은 여성 간호사의 전문성에 대한 지역사회의 의심을 헌신성과 돌봄의 실천으로 극복하며 주민들에게 인정받고자 했다. 동시에 지역사회의 성별화된 역할구조와 관계에 순응하며 젠더 규범을 충실히 수행함으로써 지역사회에 적응하고 건강사업을 수행해나갔다. 보건진료원의 지역사회 건강관리자로서의 자긍심은 당시의 성별화된 규범과 실천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으며 보건의료체계의 안정성에 따라 흔들리고 있었다.

      • Constructionof artificial pathway for production of phenol from p-coumaric acid in Burkholderiaglumae BGR1

        정다혜,김병기 한국공업화학회 2014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4 No.1

        B.glumae BGR1 can degrade p-coumaric acidand produce p-hydroxybenzoate as intermediate. And, Enterobacterclorae reversibly catalyzes decarboxylation of4-hydroxybenzoate. In this study, vanillate decarboxylase from Enterobacter clorae were cloned and expressed in B.glumae to produce phenol from p-coumaric acid, which isthe one of the basic monomer of lignin biomass. Engineered B.glumae converts 10 mM of 4-hydroxybenzoate to phenol with 43.6% conversion yield. And, it uses also 10 mM p-coumaric acid to produce phenol with 37.7% conversion yield. Furthermore, production of phenol was improved bymetabolic engineering of B.glumae.

      • KCI등재

        가파도 청보리 축제의 경제적 가치 추정 연구: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적용하여

        정다혜,임화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019 관광레저연구 Vol.31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economic value of Gapado green barley festival in order to set up the proper admission fee of the Gapado green barley festival us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WTP for the admission fee of the festival was 3,262 won. The economic value of the Gapado green barley festival, which was derived by applying the WTP amount to the number of visitors calculated through the three scenarios, was 133,255,962 won, 116,342,492 won, and 124,797,596 won, which is higher than the festival budget, demonstrating the applicability of the admission fee as one of the festival's self-sustaining measures. Thus now it is time to change from the dependence of public budget on the festival budget to the local festival which is self-operated, and it is hoped that the discussion about the self-sustaining methods of local festival should be continued in the future.

      • KCI등재

        초등학생의 공격성, 친구관계와 언어폭력 간의 관계: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한 모형 비교

        정다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9 교육논총 Vol.3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ggression, friendship and verbal violence based on different model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157 fourth-to-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rvey of AQ-K, Friendship Test and Verbal Violence Scale were used in this stud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compare two different models. In the first model, aggression impacts verbal violence with friendship serving as a full mediating variable. In the second model, the impact is partially mediated by friendship. Based on the final model of full mediation, higher aggression was related to lower friend bond, and lower friend bond was associated with more verbal violence. These results imply that aggression impact on verbal violence in a rather indirect fashion, with friendship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ggression and verbal violence.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공격성, 친구관계, 언어폭력 간의 관계를 모형 비교를 통해 검증한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4~6학년 1,157명의 학생들의 데이터가 표집되었다. 변인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공격성 검사, 친구관계 검사, 언어폭력 검사를 활용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초등학생의 공격성이 친구관계를 완전 매개하여 언어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모형(모델 1)과 공격성이 친구관계를 부분 매개하여 언어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모형(모델 2)을 비교하였다. 최종모형(모델 1)에 의하면, 공격성이 높을수록 친구 간의 유대는 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친구 간의 유대가 낮을수록 언어폭력성은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공격성이 언어폭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친구관계가 두 변인 간의 관계가 성립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혀낸 것에 의미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참조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어린이과학관 전시 개선 모형 개발 및 적용에 따른 과학교육에서의 제언: 누리과정을 중심으로

        정다혜,박영신,Jeong, Da-Hye,Park, Young-Shin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7 科學敎育硏究誌 Vol.41 No.2

        본 연구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어린이과학관의 전시 모형을 개발하여 어린이과학관 전시 연출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시 평가 분석틀과 유치원 교육과정을 기초로 하여 전시 주제로 '신체', '주변 사물', '자연 현상'을 전시 내용으로 한 전시를 제안하였다. '신체'를 주제로 한 전시의 연출은 동선과 색상 요소가 중요하며, '자연 현상'을 주제로 한 전시의 연출은 색상과 조명의 연출을 적용한 상황적 매체의 활용이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주변 사물'을 주제로 한 전시의 연출은 사물을 대상으로 탐구할 수 있도록 단서나 설치물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개발한 전시 모형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시 모형의 '거울'전시물에 대한 전시 연계프로그램을 개발하여 G과학관의 어린이관 방문 관람객에게 적용한 결과, 전시 모형을 통해 반사의 개념을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관람 대상에 적합한 전시 내용과 전시 매체, 전시 공간의 연출을 통해 전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전시 기획이 필요하며, 전시 기획에 있어 기초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xhibition model of children's science museum for children and to present the guideline for the exhibition of children's science museum. To this end, we proposed an exhibition of 'body', 'surrounding things', and 'natural phenomenon' as exhibition topics based on the exhibit evaluation framework and kindergarten curriculum. The direction and color elements are important for the exhibition of 'the body', and the presentation of the 'natural phenomenon' is suitable for the use of contextual media applying color and lighting. And it can be said that it is important to provide clues and fixtures for exploring objects based on the theme of 'surrounding objects'. In addition, in order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exhibition model, we developed an exhibition link program for the 'mirror' exhibition of the exhibition model and applied it to visitors to the Gwangju Museum of Science. Therefore, it is meaningful that it provides the basic guidelines for exhibition planning, and it is necessary to plan exhibition to maximize the exhibition effect by directing exhibition contents, exhibition media and exhibition space suitable for the aud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