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한국공업화학회의 필연적 탄생과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의 그 역할
이호인 한국공업화학회 2020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20 No.-
학회 창립년인 1990년으로부터 30년이 지난 2020년은 우리 한국공업화학회의 학회사에서 잊을 수 없는, 회원 모두의 오랜 숙원이었던 쾌적한 새 보금자리를 장만한 귀한 한 해로 기록될 것입니다. 일제 식민지 시대를 거쳐 해방과 더불어 본격적으로 도입된 서양의 과학기술은 우리 사회에 엄청난 변화의 파장을 던져 주었습니다. 이 물결 속에 과학기술 분야는 우후죽순처럼 신학문을 접하면서 거기에 걸맞은 학술단체를 구성하기에 바빴습니다. 이 틈바구니에서 탄생한 화학분야의 첫 학회가, 1946년에 탄생한 대한화학회입니다. 시대의 흐름과 학문의 발전 추이에 따라 기초학문을 다루는 대학화학회만으로는 화학관련 분야를 모두 섭렵할 수 없었습니다. 이에 응용학문을 다루는 한국화학공학회가 자생적으로 1962년에 탄생하였습니다. 계속되는 사회의 다양성 변화에 발맞춰 14년 뒤인 1976년에 한국고분자학회가 탄생하였고, 14년 후인 1990년에 한국공업화학회가 또 한 번의 변화를 주도하며 그 뒤를 이어 탄생하기에 이르렀습니다. 기존의 기초학문과 응용학문의 양 극단 영역안에서 뚜렷한 자신의 자리를 매김할 수 없었던 공업화학(Chemical Technology)은 늘 이쪽 저쪽 기웃거리는 객의 역할이 전부였고 떠돌이 방랑자 신분 그 자체였습니다. 그러나 시대의 흐름은 공업화학인에게 커다란 기회를 주었습니다. 이에 공업화학 본연의 역할인 두 극단적 분야의 가교역할을 충실히 감당하면서, 미래에 우리가 맞이해야 할 4차 산업혁명시대에 부응하는 융복합학문의 발빠른 접수와 함께 공업화학분야의 필연적 소명으로 다가서도록 하였습니다. 이렇게 후발 학회로서 탄생한 한국공업화학회는 지난 30년 동안 수많은 어려움을 극복하고 오늘에 이르기까지 자랑스러운 세계적 학술단체로 성장하였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여기서 안주해서는 안 됩니다. 4차 산업혁명의 엄청난 발전속도에 발맞춰, 찾아온 기회를 놓치지 말고 공업화학의 고유 기능과 특성에 가장 적합한 융복합 과학기술 발전에 힘을 모아 전진해야 합니다. 모처럼 찾아온 이 좋은 기회를, 한국공업화학회가 한 단계 크게 도약하는 기회로 잡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이철태 한국공업화학회 2020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20 No.-
동도서기론은 19세기 말 우리 조상의 나라 조선이 전통적인 우리의 정신은 지키면서 서양의 기술을 가져다가 나라를 발전시키자는 이론이었습니다. 그러나 동도서기론은 실패하였으며 나라마저 잃었습니다. 100년 후인 오늘 우리들의 나라 대한 민국은 근세기 최고의 경제발전을 해왔으나 100여 년 전 조선의 현재진행형과 비슷한 형국에 빠져 있습니다. 지정학적으론 여전히 4대 열강 속에 있으며, 세계 최고의 기술을 갖고 있다고 하는 반도체 산업조차도 백색국가 제외라는 원천기술 식민지를 벗어나지 못하는 상태에 이르렀습니다. 이러한 원인의 핵심은 우리에게 원천 기초기술 연구를 할 수 있는 시간도 없었고 여유도 없었기 때문입니다. 시간을 역으로 돌릴 수 없습니다. 이제 새로운 동도서기론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오늘날 세계 어디에도 우리에게 원천기초기술을 주려는 나라는 없습니다. 그러나 가능성이 있는 나라가 러시아입니다. 이것이 신동도서기론의 핵심입니다. 오늘날 원천기초기술의 이전은 국가안보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러시아로부터 원천기초기술의 이전도 한반도 주변의 관계를 계산하여야 합니다. 한반도 지정학적 위치에서 우리 나라의 최적 생존전략은 연미(聯美), 친중(親中), 화일(和日), 교러(交露) 입니다. 우리의 유일한 원천기초기술의 제공처인 러시아와의 교류는 지정학적, 지경학적·지전략적 관점에서 절대적 요소입니다. 본 강연자는 러시아와 교류를 위해 25년간 35차례 러시아를 방문한 바 있습니다. 그 교류의 지난 과정을 우리 한국공업화학회와의 인연을 중심으로 소개하고자 하며, 우리 학회의 활용방안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Synthesis of density-controlled graphene oxide-coated silica sphere and its electrorheological study
한국공업화학회 한국공업화학회 2014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4 No.1
Density-controlled graphene oxide-coated mesoporous silica spheres (GO/SiO<sub>2</sub>) are investigated to study the influence of particle density on electrorheological (ER) activity. In particular, various silica spheres are fabricated with Stöber, surfactant template, and swelling agent incorporation methods to create different sized pores on the surface of silica spheres. Graphene oxide sheets are successfully coated on the surface of silica spheres via electrostatic interaction to enhance the ER efficiency. Under our experimental condition, GO/SiO<sub>2</sub> with lowest particle density exhibits most increased ER activity due to increased particle mobility. Interestingly, the shear stress inversion phenomenon is observed to deviate from the utilized trend. This newly designed ER study offers an insight into the effect of the particle density on the ER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