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해방 전후기 의료계의 의학인식과 사립병원의 발전

        신규환(Sihn Kyu-hwan) 의료역사연구회 2018 의료사회사연구 Vol.1 No.1

        이 글은 일제하 사립병원의 존재양식과 해방 전후기 의료계의 의학인식 등을 통해서 재단법인 백병원 의 등장과정을 우회적으로 검토하여, 해방 전후기 한국 근대병원의 역사 속에서 백병원의 위상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해방 후 사회혼란과 국가재건의 요구 속에서 백인제는 다양한 방식으로 국가재건을 위한 방안을 모색했다. 그의 활동은 경제, 문화, 정치, 의료방면에 걸쳐 있었다. 그는 조선산업진흥주식회사를 건립하여 무역업에 관여하였고, 수선사와 수선서림을 열어 출판문화의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였고, 1948년 5·10 총선거에 출마하기도 했다. 의학의 부문에서 ‘신국가 건설과 신문화 창진’에 대비하기 위한 백인제의 활동은 재단법인 백병원 창립으로 정점에 이르렀고, 이는 개인의 사유재산을 공익법인 화한 최초의 사례에 해당한다. 백인제가 재단법인 백병원 설립한 것은 해방 이후 갑작스런 결정이라기보다는 1930-40년대 종합병원 건립에 대한 개인적인 이상과 ‘의료상업화의 극복과 의료공공성의 강화’라는 의료계의 의학인식이 반영된 결과라고 생각된다. 우선 백인제는 외과병원 인수 직후 메이요 클리닉을 방문하였고, 이를 계기로 메이요 클리닉과 같은 종합병원을 설립하거나 교육과 연구를 할 수 있는 대학병원을 건립하고자 하는 꿈을 가졌다. 해방 전후 척박한 의료환 경에서 종합병원을 건립한다는 것은 매우 이상주의적인 구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의료인들의 적지 않은 지지를 받았다. 종합병원 건설이 의료상업화를 저지하고 의료공공성의 강화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어느 정도 해소시킬 수 있다는 기대감 때문이었다. 해방 이후 새로운 국가건설의 요구 속에서 북한은 사회주의 국가의료체제를 수립해 나갔으며, 남한은 미국식 의료체제를 받아들였지만, 국공립병원 중심체제는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해방 후 일정 규모 이상을 갖춘 사립병원은 서울여자의과대학 부속병원, 경전병원, 백병원 정도에 불과했다. 해방 이후 백병원은 주변의 적산가옥을 인수하여 최대 100병상 규모로까지 확장할 수 있었는데, 백병원의 의미는 단순히 물리적인 병원 공간을 확장한 데 있는 것이 아니라 한국 최초로 개인병원을 재단법인화라는 선구적인 조치를 통해 의료의 공적 역할에 대한 관심을 제고 시켰다는 데에 있을 것이다. This paper focuses on identifying the status of Paik Hospital in the Korean modern hospital. Although Japanese colonial authorities was established centering on public hospital system, social conflicts such as lack of medical personnel, disruption of hospital facilities, disparity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due to medical commercialization, and gap between rich and poor have been amplified. Since the collapse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Korean society has not been able to resolve these social conflicts. As the two Koreas have been under the influence of the US and the Soviet Union, and each has entered into a separate regime, they have sought to construct different nations and medical systems. In the social disruption and demands of national reconstruction after the Liberation, Dr. Paik Inje sought measures for national reconstruction in various ways. His activities were in the fields of economy, culture, politics, and medicine. He established Korea Industrial Promotion Co., Ltd., became involved in the trade business, and opened the Suseon Company and Suseon Bookshop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publishing culture. He ran for a member of South Korean Constitutional Assembly in 1948. In the field of medicine, the activities of Dr. Paik Inje to prepare for the construction of a new nation and the creation of a new culture reached its peak with the founding of Korea s first incorporated foundation, Paik Hospital, and this corresponds to the first case of incorporating individual private property. I believe that the result of the establishment of Paik Hospital was not a sudden decision after the Liberation but rather the personal ideal of establishing a general hospital in the 1930s and 1940s and the medical perception of the medical profession as the overcoming of medical commercialization and the strengthening of medical publicity . Although it was a very idealistic idea to build a general hospital in a harsh medical environment before and after the Liberation, it received a lot of support from medical professionals. It was because of the expectation that the construction of general hospitals could prevent the medical commercialization and strengthen the medical publicity to some extent. After the Liberation, North Korea established a socialist state medical system, while South Korea accepted the American medical system, but the central system of national hospitals did not change much. Private hospitals with a certain size or more after the Liberation were only Seoul Women s Medical College Hospital, Gyeongjeon Hospital, and Paik Hospital. Paik Hospital was able to acquire the nearby residential houses and expand to a maximum of 100 beds. Paik Hospital was not simply to expand the physical hospital space, but to incorporate a private hospital in Korea for the first time.

      • KCI등재후보

        근대 의사(醫事)제도와 대전지역의 의료 : 대전의 의료인과 도립대전의원을 중심으로

        김영수(Kim, Young-Soo) 의료역사연구회 2021 의료사회사연구 Vol.8 No.1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경부선의 부설로 신흥도시로 성장한 대전의 의료환경의 변화에 대하여 주목하고자 하였다. 대전의 사례는 근대 도시로 성장해 나아가는 신흥 도시의 의료환경이 어떻게 조성되는지 살펴볼 수 있는 사례일 뿐만 아니라, 조선총독부가 각지에 설치한 자혜의원 및 도립의원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설치되었고, 운영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사례이기도 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도립대전의원이 설립되기까지의 과정과 도립의원 설립까지 대전지역에서 활동하던 의료인의 수와 분포를 파악하여 도립대전의원이 대전 지역에서 갖는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도립대전의원의 규모와 기능 확대를 살펴보면서 지역의료에서 차지하는 도립대전의원의 위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의료사 연구인 동시에 지역사 연구에 의료사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를 다룬 사례연구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의료사와 지역사 연구의 접점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medical environment of Daejeon, a city that emerged with the opening of the Gyeongbu Line in 1905. Daejeon’s case not only permits an examination of how a new medical environment is created in an ascent city that is growing into a modern urban space, but also offers a microhistory of the Jahye hospital (Charity hospital) and provincial hospital, which was established and opera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nd its provincial administration. This article explores the significance of the provincial Daejeon Hospital in that area. To clarify this, this article traces the process leading to the establishment of the hospital, the scale of medical personnel working in the Daejeon area and the location of other local hospitals up to the establishment of the provincial hospital. In addition, in order to confirm the status of the provincial Daejeon hospital in the broader context of local medical care, the size and range of functions of the hospital are analyzed. This research offers both a case study for integrating medical history into local history as well as offering a contribution to the broader field of medical history allowing historians to reflect on the contact point that links medical history research and local history research.

      • 남북전쟁 이전 미국 해군병원과 공중보건: 찰스턴과 뉴올리언스를 중심으로

        공혜정(Kong, Hyejung Grace) 의료역사연구회 2019 의료사회사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남북전쟁 이전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찰스턴 시와 뉴올리언스 시의 해군병원 사례를 고찰 하여 해군병원이 미국 공중보건 역사에서 차지하는 의미를 찾고자 한다. 미국의 해군병원 의료체제는 미국 역사상 최초의 건강 관련한 국가적 노력의 결실이었고, 남북전쟁 이후 연방의무감(Surgeon General)이 관장하는 공중보건 국(Public Health Service)의 전신이었다. 1798년 연방 의회가 설립한 미국 해군병원 체제는 아프거나 장애가 있는 해군이나 선원들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립 되었다. 미국 역사에서 연방권과 주권(州權, states’ rights) 의 갈등은 다양한 사안을 둘러싸고 주(州) 정부와 연방 정부, 주권(州權)과 연방권 사이의 갈등을 야기하였고, 그사안 중 하나가 바로 공중보건과 건강이었다. 이런 맥락에서 찰스턴과 뉴올리언스 해군병원의 역사는 연방 정부와 주(州) 정부, 또는 연방 정부와 민간 의료기관 사이의 갈등과 협상 과정이었다. 찰스턴 해군병원의 역사는 찰스턴시 당국과 연방 정부 간의 공중보건을 둘러싼 끊임없는 경쟁 관계를 보여주었다. 뉴올리언스 해군병원의 주도권은 독립적인 해군병원이 설립되기 전과 후에도 사설 병원 과의 협의를 통하여 이전되고 변경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marine hospitals in Charleston, South Carolina and New Orleans, Louisiana, in order to reveal the floating nature of public health governance system in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antebellum period. The Marine Hospital Service was an organization of marine hospitals dedicated to the care of ill and disabled seamen. It was also the predecessor of the current U.S. Public Health Service. The marine hospitals, initially established by the federal government in 1798, was to provide medical care for sick or injured seamen. It was the first federal health-related measure, which authorized a tax-the deduction of twenty cents per month from the wages of the seamen. In US history, the conflict between the national and state governments over sovereignty caused a wide range of issues including that of public health. The histories of marine hospitals in New Orleans and Charleston were the story of the disputes or negotiations between the federal and state governments, or between the federal authority and private medical institutions over the issue of public health. The establishment of Charleston Marine Hospital showed unrelenting competition between municipal and federal authorities for the control of medical service over the sick seamen. In New Orleans, the focus of medical care for sick crews shifted from place to place according to contracts with private and public agencies.

      • KCI등재

        북한 사회보험제도와 의료국영화: 무상치료의 원형, 이상과 현실(1945~1950)

        김진혁 의료역사연구회 2022 의료사회사연구 Vol.10 No.1

        해방 직후 북한의 사회보험제도 실시는 무상치료제도 구현의 시작이었다. 북한지도부는 ‘전면적 무상치료제’를 바로 실시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노동자, 사무원과 이들의 부양가족으로 대상을 제한하여 제도를 단계적으로 확대해갔다. ‘사회보험제도에 의한 무상치료제의 실시’는 의료국영화를 수반했다. 보건의료에 활용할 수 있는 자원이 충분하지 않았던 탓이었다. 의료국영을 통해서 의료 공급의 문제를 개선시켜 사회보험을 통해서 조직된 의료 수요를 해결해 나가야 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차원에서 사회보험제도가 의료국영화와 맞물려가며 무상치료제의 원형을 만들었던 기반을 파악하고자 했다. ‘사회보험제도에 의한 무상치료제의 실시’는 이후 ‘전면적 무상치료제도’로 확대될 단초를 남기고 있었는데, 헌법 조항에서 사회보험제도의 대상을 “공민”으로 규정하여 제도의 적용대상을 확대시키면서 전체 대중을 포괄될 가능성이었다. 다른 하나는 국영병원은 사회보험 적용대상이 아니더라도 사회보험제도의 혜택을 일괄 적용되도록 한 점이었다. 의료국영화가 완료되면, 사회 보험 대상 여부와 관계 없이 사회보험제도의 수혜를 받게 되는 것이었다.

      • KCI등재

        고려시대 요(遼)⋅송(宋)⋅금(金)⋅원(元)과의 의료 교류 -‘중국의학’ 중심의 시각에 대한 재검토-

        이경록 의료역사연구회 2023 의료사회사연구 Vol.12 No.-

        기존의 가장 일반적인 연구시각에서는 한국 전근대 의료사를 한의학의 역사[漢醫學史]로 설명해왔다. ‘중국의학’ 중심인 한의학사의 관점에서 고려시대 의료에 접근하면, 중국을 중심부로 인식하고 한국을 그 주변부에 배치하게 된다. 이러한 중심-주변부론의 시각에서는 중국에서 발원한 ‘한의학(漢醫學)’이 고려에 대해 항상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그 영향력의 범위와 방향은전면적인데다 일방적이었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고려와 요(遼)⋅송(宋)⋅금(金)⋅원(元) 사이의 약물, 의료인, 의학지식 교류를 구체적으로추적하였다. ‘한의학사’ 관점이 고려시대의 역사적인 사실과 부합하는가를 확인하기 위해서이다. 기록을 토대로 요약하자면, 중국대륙 여러 나라와 고려사이의 의료 교류는 항상적이지는 않고 단속적으로 진행되었다. 그리고 상대국의 의료는 전면적이라기보다는 각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용되었다. 아울러 그 교류의 흐름은 일방향이 아니라 쌍방향으로 전개되었다.즉 고려를 비롯한 동아시아의 여러 나라는 모두가 서로영향을 주고받는 행위체였다. ‘중국’이라는 가상의 정치체가 항상 ‘중심부’에 자리잡은 채 인접국들을 ‘주변부’ 에 위치시키면서 ‘한의학’을 영구적으로 공급하는 구조는 아니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한의학’ 혹은 ‘중의학’ 개념은 이론적인 정합성도 갖추지 못한 데다, 전근대 의료 교류의 양상이나각국의 의료체계를 모두 설명하기에는 미흡하다. 동아시아의 전통 의학을 충분히 설명하기 위해서는 ‘한의학’ 개념을 뛰어넘는 새로운 개념과 논리 구조가 필요하다. In the most common research perspective, Korean pre-modern medical history has been explained as the ‘history of Chinese medicine’. If we approach medical care during the Koryo Dynas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Chinese medicine’, we can see that China was in the center and Korea was in the periphery. From this perspective of the center-periphery theory, it has been argued that ‘Chinese medicine’, which originated in China, always had an influence on the Koryo Dynasty, and that the scope and direction of its influence were comprehensive and one-sided. Therefore, this article specifically traced the exchange of medicinal materials, medical personnel, and medical knowledge between Koryo and Liao, Song, Jin, and Yuan. It was to confirm whether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Chinese medicine’ corresponds to the historical facts during the Koryo Dynasty. The available records show that the medical exchanges between Koryo and various Chinese countries were intermittent, not consistent. Moreover, the medical care method of one country was accepted selectively according to the needs of each country rather than as a whole. In addition, the flow of exchange developed in both directions, not in one direction. In other words, many countries in East Asia, including Koryo, were actors whose influences reached each other. It was not a structure in which the hypothetical political body called ‘China’ was always located in the ‘center’ and permanently supplied ‘Chinese medicine’ to Koryo while placing neighboring country in the ‘periphery.’ Therefore, the concept of ‘Chinese medicine’ does not have theoretical consistency, and it is insufficient to explain both the reality of pre-modern medical exchanges and the medical system of each country in East Asia. In order to fully explain the traditional medicine of East Asia, a new concept and a logical structure that go beyond the concept of ‘Chinese medicine’ are needed.

      • KCI등재

        서독의 대한(對韓) 개발원조와 1970-1980년대 보건의료지원의 성격

        정다혜 의료역사연구회 2022 의료사회사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1970-80년대 서독 정부의 한국에 대한보건의료 원조양상을 공적원조와 민간원조 차원을 포괄하여 분석함으로써 그 성격과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1970년대에 접어들면서 서독은 ‘사회정의’를 내세우며 사회개발 분야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였고, 공적원조와 민간원조 모두에서 이전시기와 비교해 보건의료에 대한 원조비중이 늘어났다. 보건의료 영역에서 사회정의는 지역별⋅ 계층별 의료불균형을 해소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민간 차원에서 서독의 보건의료 원조를 적극적으로 확보한 것은 천주교 및 개신교 네트워크를 활용한 보건의료인들이었다. 그들은 한국의 보건의료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 의료취약계층을 위한 병원을 설립하거나 지역사회보건사업을 실시하고자 했고 서독 기독교개발원조기구에 원조를 요청했다. 한국정부는 이러한 보건의료 활동이 정치적저항운동으로 발전하지 않는 선에서 협조하고자 했다. 한편 서독정부는 한국의 민간 의료기관에 병원건립과 보건사업을 위해 재정차관과 기술원조를 제공했다. 서독의 공적원조가 표방한 지향성은 민간 기독교개발원조기구들의 지원 원칙과 유사했다. 하지만 서독정부의 의료원조는 한인간호사와 관련한 국내문제를 해결하려는 현실적인 목표에서 시작된 것이었고, 한국정부는 차관을 통해 세워진 민간의료기관들의 역할과 운영에 대한 구체적 대책이 부재했다. 보건의료 지원을 둘러싼 ‘사회정의’라는 명분은 의료공공성에 부합하는 것이었지만, 현실적으로 정부의보건의료 문제 해결에 대한 낮은 책임성과 의료 시장화의가속화 속에서 그 의미는 형해화되었다.

      • KCI등재후보

        한국전쟁 이후 강원지역 의료보건환경의 변화와 가톨릭 의료선교

        이원희(Lee, Won-Hee),김대기(Kim, Dae-Gi) 의료역사연구회 2020 의료사회사연구 Vol.5 No.1

        한국전쟁 이후 1970년대 중반까지 한국의 의료보건환경은 부족한 부분이 많았다. 강원도에서는 무엇보다 도립병원과 지역 보건소 등에서 의사와 간호사가 부족한 상황이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1962년에 의료법시행령 제정으로 공의제도가 마련됨으로써 의사 부족현상이 완화되는가 싶었지만, 1965년 3월, 의료법이 개정되면서 의사동원령이 해제되었다. 이로 인하여 공의부족사태는 1973년, 의료법이 전부개정 되어 무의촌 공의근무를 의무화할 수 있는 법적근거가 마련될 때까지 장기간 지속되었다. 가톨릭 교회가 1955년 강원지역에서 춘천을 시작으로 병원을 설립하면서 그 공백을 일정 부분 보완해나가기 시작하였다. 강원지역 가톨릭 의원의 설립 위치를 보면 강릉, 삼척, 정선, 원주, 춘천인데, 춘천을 제외하고 나머지 네 곳은 시멘트, 석탄 등 광산지역과 연관이 깊다. 이들 지역에서는 교통이 불편하고 폐결핵 환자가 많았다는 공통점이 발견되었다. 가톨릭 교회에서 이들 지역에 의원을 설립한 이유와 역점을 둔 분야가 결핵치료사업이었다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가톨릭 의원들은 1980년대 들어서면서 변곡점을 맞았다. 그 주요 배경은 1977년 7월에 시작된 의료보험제도의 시행에서 찾을 수 있다. 1980년대 들어서면서 강원지역 가톨릭 의원은 하나 둘 폐원하거나 다른 대안을 모색하였다. 1980년대를 지나 1990년대에 한국사회가 핵가족사회로 진입하면서 가톨릭 의원은 병원의료선교에서 호스피스, 요양원 선교활동으로 변화하기 시작했다. Most medical resources were destroyed during the Korean War. The medical and healthcare environment of Korea had many deficiencies until the mid-1970s and the biggest problem was the lack of medical practitioners, including physicians and nurses. In Gangwon Province, provincial hospitals and healthcare centers lacked physicians and nurses. As the Healthcare Law was enacted in 1962 and the public physician (public healthcare physician) system was established, the deficiency of physicians seemed to have been alleviated for a while. The Healthcare Law was amended in March 1965 and eliminated the legal grounds to mobilize the physicians. For that reason, the deficiency of public physicians continued until the legal grounds to make it mandatory to dispatch physicians to rural towns with no physicians in 1973. The Catholic Church of Korea established hospitals in Gangwon Region, starting with the one in Chuncheon opened in 1955, to fill in the absence of regional healthcare systems. Most Catholic clinics provided free examinations to patients in poverty. They relied on the funds and medicines sent from Ireland, USA, Australia, Germany, and more as rescue aids. In Gangwon, Catholic hospitals were established in Gangneung, Samcheok, Jeongseon, Wonju, and Chuncheon. Except for Chuncheon, all of the places were related to the mines for cement or coal. In Wonju, there was the Wonju Parish in charge of Gangneung, Samcheok, and Jeongseon. Because they were mining towns, they commonly had inconvenient transportation and many patients suffering from pulmonary tuberculosis. It is significant that the Catholic Church established hospitals in these towns to fight tuberculosis. The Catholic clinics were gradually changed in the 1980s. It was because of the health insurance system that began in 1977. More individual clinics and general hospitals were added to the local communities, leading to a natural decrease in the number of patients for the Catholic clinics. Also, less aid was received from abroad. The Catholic clinics suffered from financial difficulties and difficulties hiring medical practitioners. Entering the 1980s, the Catholic clinics in Gangwon Region started to shut down or look for alternative plans. As the Korean society entered the era of nuclear families in the 1990s, the Catholic clinics shifted from mission on medicine through hospitals to mission through Hospice and senior homes.

      • 근대 동아시아 프로테스탄트 의료선교의 보편성과 특수성: 한·중 비교를 중심으로

        조정은(Jo Jeongeun) 의료역사연구회 2019 의료사회사연구 Vol.4 No.1

        이 논문의 목적은 근대 한·중 의료선교사업의 흐름을 비교 고찰함으로써 양국의 의료선교사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동아시아적 관점에서 의료선교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파악하기 위한 실마리를 찾는 것이다. 서로 이웃한 중국의 의료선교활동과 한국의 의료선교활동은 밀접한 관계에 놓여 있을 수밖에 없었다. 중화박의회의 지부로 한국의료선교협회가 설립되었다는 점은 중국에서의 의료선교 경험이 한국에서 의료선교를 수행해 나가는데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한국과 중국의 의료선교사업 토착화 과정을 비교해 보면, 의료선교활동의 주체가 서양인 의료선교사에서 현지인으로 이행하는 모습은 중국이나 한국이나 다를 바 없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토착화의 움직임을 구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중국과 한국 사이에 서로 다른 배경과 원인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의 경우 제1차 세계대전과 뒤이은 세계대공황으로 인한 본국 교회의 지원 감소와 같은 외부적 요인과 함께 중국 내 민족주의와 반기독교 운동, 중국교회의 본색화[本色化, 토착화] 운동으로 토착화가 빠르게 진행되었다. 경제적으로 자립하기 위해 여유가 되는 사람에게는 치료비를 받고, 중국인이 미션계 병원이나 의학교의 주요 직책을 담당하기 시작한다. 한편 한국의 의료선교사업은 일제의 영향이 컸다. 식민지 정부는 의료를 일본의 영향력 아래 두고자 도립병원을 설립하고 의료선교 활동에 제약을 가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의료선교사는 의료선교 본래의 목적을 지키기 위해서는 토착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한국인 의사 수는 계속해서 증가하였고 경제적 자립을 위한 노력도 이어졌다. 그러나 식민지 정부의 영향력에서 벗어날 수는 없었다. 중국과 한국의 정치적 상황은 달랐으나, 서양인 의료선교사들이 기본적으로 품은 생각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현지에서 자신들은 매우 중요하고 필요한 존재이며, 자신들을 대체하기에 현지인의 능력이나 신앙이 아직 부족하다는 생각이었다. 그러나 의료선교사업의 토착화는 의료선교사의 예상과는 다른 방향으로 흘러갔다. 의료선교사들은 반강제적으로 자신들이 활동하던 선교지에서 떠나야 했고, 토착화의 끝은 혼란스러웠다. This study aims to better understand medical missionary works in China and Korea and find a clue to grasp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medical missionary works from an Eastern Asian perspective by comparing the flow of modern medical missionary works in Korea and China and considering. It was natural that medical missionary works in China and Korea that are adjoining were closely connected with each other.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 Medical Missionary Association, as a Korean Branch of The China Medical Missionary Association, implies the possibility that the experiences of medical missionary works in China might influence medical missionary works in Korea. When comparing the indigenization process of medical missionary works in China and Korea, both China and Korea showed a the change in main doer of medical missionary works from Western medical missionaries to locals. But a detailed investigation of the indigenization aspects demonstrates there were different backgrounds and reasons between China and Korea. In the 1910s to 1920s, along with some external factors, including the decreased aid from home churches caused by the 1st World War and economic panics, the nationalism and the anti-Christian movement in China and the indigenous church movement of Chinese churches accelerated the indigenization. On the other hand, medical missionary works in Korea were absolutely influenced by Japan.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founded a provincial hospital and started putting restrictions on medical missionary works to exercise its influence over the Korean medical industry. Under this situation, medical missionaries recognized the need for the indigenization to achieve the original purpose of medical missionary works. Although the political situations in China and Korea were different, there was no big difference in the fundamental notions of Western medical missionaries. They believed they were very important and necessary locally and locals still lacked abilities or faith to substitute for themselves. However, the indigenization of medical missionary works developed against their expectations. Almost involuntarily, medical missionaries had to leave the mission fields and the end of the indigenization was confusing.

      • KCI등재후보

        현대 중국의 의료 제도 엿보기 : 영화 『나는 약신이 아니다(我不是藥神)』를 중심으로

        유연실(Yu, Yon-Sil) 의료역사연구회 2021 의료사회사연구 Vol.8 No.1

        2018년 7월 18일 중국에서 개봉한 나는 약신이 아니다(我不是藥神)는 만성골수성백혈병(Chronic Myelogenous Leukemia, CML) 치료제인 글리벡(Glivec)을 매개로 벌어지는 백혈병 환자들의 애환을 다룬 영화이다. 이 영화는 백혈병 환자였던 ‘루용(陸勇)’이 글리벡의 인도산 복제약을 중국에 불법으로 들여와 환자들에게 공급하다 2013년 8월 체포되었던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원무예(文牧野) 감독은 ‘루용’ 사건을 토대로 영화 속에서 다국적 제약회사의 항암치료제 독점 생산, 인도산 복제약의 유통, 질병과 빈곤의 악순환 등 다양한 중국의 의료 문제를 폭로하였다. 무엇보다 이 영화는 글로벌 제약회사의 환자 생명권을 담보로 한 지적재산권 행사 문제 및 중국 의료보험제도의 모순을 고발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본고는 이 영화를 통해 의료와 관련된 두 가지 측면을 중점적으로 검토하였다. 첫째, 다국적 제약회사의 의료 시장 독점과 환자의 ‘생명권’ 보장이라는 문제를 검토하였다. 스위스의 다국적 제약회사인 노바티스사(Novartis)가 개발한 글리벡은 인류 최초의 표적 항암제로서 백혈병 환자들에게 생명의 희망을 안겨 주었지만, 천문학적인 약값으로 인해 환자들에게 ‘절망의 약’으로 불리게 되었다. 이와 같은 다국적 제약회사의 횡포에 대항하여, 중국에서는 루용으로 대표되는 백혈병 환우 집단이 자신들의 생명권을 수호하기 위해 인도산 복제약을 수입하여 비밀리에 유통시키는 불법적인 행동을 전개하였다. 이 사건을 계기로 중국 정부는 21세기 생명정치의 변동 속에서 환자의 생명권과 제약회사의 경제적 이익을 어떻게 양립시킬 것인가라는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둘째, 권력의 병리학과 관련된 의료의 불평등 문제이다. 중국 의료보험제도의 계층적⋅지역적 불평등과 수입 항암제에 대한 높은 관세로 인해 환자들은 질병에 걸리면 높은 약값과 치료비를 충당하기 위해 경제적 빈곤에 허덕이고, 또한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람들이 의료적으로 소외되어 더욱 쉽게 질병에 걸리는 악순환이 반복되었다. 루용 사건을 계기로 중국 정부는 의료보험의 보장성 확대, 수입 항암제에 대한 규제 완화, 복제약의 생산 증대 등 다양한 측면에서 의료제도의 개선을 위해 노력하였다. 그러나 중국 정부는 의약품에 대한 연구 개발 투자 확대, 제약회사의 이익 규제, 환자집단의 자율성 보장 등 측면에서 여전히 많은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역설적으로 사회주의 체제하에서 자본에 의해 독점되는 의료 시장과 질서가 ‘약신’을 필연적으로 만들어 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국가 권력이 의료의 불평등 문제 해결과 의약품의 공공성 확대를 위해 어떠한 노력을 전개해야 할 것인가라는 해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Dying to survive(我不是藥神)” released in China on July 18, 2018. This movie tells the sorrow and pain of chronic myeloid leukemia(CML) patients who use an expensive anticancer drug called Glivec. The film is made on the basis of actual events, that is, the real protagonist “Lu Yong(陆勇)” of the film is unable to pay for the expensive medicine because he suffers from leukemia. Since 2004, he has imported generic drugs produced in India and illegally circulated them to patients. He supplied India-made generic drugs to patients at the original price, but was arrested by the police in August 2013 for the crime of selling counterfeit drugs. Based on the “Lu Yong” incident, director Wen Muye(文牧野) exposed various Chinese medical problems in the film such as the exclusive production and sales of anti-cancer therapeutics by multinational pharmaceutical companies, the circulation of illegal generic drugs, the vicious circle of disease and poverty. Most importantly, this film exposes the conflicts between the pursui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ecured by multinational pharmaceutical companies and the Chinese medical insurance system. This article focuses on two issues through this film. First, this article analyzes the monopoly of the medical market by multinational pharmaceutical companies and the protection of patients “right to life”. Glivec, developed by Novartis of Switzerland, is the first new anti-cancer drug that targets the tumorigenesis mechanism in humans, it brings hope of life to leukemia patients. However, due to the excessively expensive drug fees, it is called by the patients “The Medicine of Despair”. Facing the rampant dominance of multinational pharmaceutical companies, China s leukemia patient group represented by “Lu Yong” imported Indian-made generic drugs for secret circulation in order to protect their right to life. After Lu Yong was arrested by the Procuratorate, the leukemia patient requested the Chinese government to release Lu Yong and exposed the difficult situation of the leukemia patient to the media. In this 21st century biopolitical change, the Chinese government is faced with the problem of how to balance the patient’s right to life with the economic interests of pharmaceutical companies. Second, this article explores the issue of medical inequality. Due to the inequality of China’s medical insurance system and the high tariffs on imported anti-cancer agents, leukemia patients become poor in order to pay high drug and treatment fees after suffering from the disease, and it is difficult for people with financial difficulties to enjoy medical services. So it is more likely to suffer from the vicious circle of disease recurring. After the “Lu Yong” case, the Chinese government has improved the medical security system in a number of ways, including expanding the coverage of medical insurance, relaxing restrictions on imported anticancer agents, and increasing the production of cloned drugs. However, the Chinese government still needs to solve many problems in terms of investment i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pharmaceuticals, control of the interests of pharmaceutical companies, and protection of activeness and behaviorality of the patient. Paradoxically, if one considers that the medical market and order monopolized by capital under the socialist system will inevitably create a “medicine god(藥神)”, the state power should do its utmost to solve the problem of medical inequality and expand the publicness of pharmaceutical products.

      • 조선초기의 성리학적 의료관과 의료의 위상

        이경록(Lee, Kyung-Lock) 의료역사연구회 2018 의료사회사연구 Vol.1 No.1

        이 글에서는 여말선초 성리학과 의학의 상호관계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의료의 위상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성리학적 의료관을 생리론(生理論), 병인론(病 因論), 치료론(治療論)으로 구분하여 검토하였다. 성리학의 생리론에서는 천도(天道) 혹은 리(理)에서 기원한 음양오행이라는 기(氣)가 내재함으로써 인체가 만들어진다고 보았다. 즉 천도 → 음양오행 → 오상 → 오장의 논리로 인체가 이해되었다. 선험적인 원리에 따라 인체, 질병, 치료방식이 규정되는 상수학(象數學)의 본말론 (本末論) 속에서 의학은 말업(末業)으로 인식되었다. 그리고 성리학의 병인론에서는 음양오행의 개념에 가치 판단을 개입시켜 질병을 설명하였다. 음양을 공-사, 남-녀, 군자-소인, 선-악의 구조로 확장하면서 음양의 조화가 깨질 때 질병이 발생된다는 이해였다. 음이 과도해지는 것은 몸의 조화를 깨뜨리는 것이므로 질병은 죄악으로 간주되었다. 또한 삼강오륜의 사회질서를 깨뜨리는 행위도 질병을 야기하기 때문에 악한 것이었다. 그런데 직분 론에 의거해 국왕과 지배층은 사회질서를 존속시킬 책무가 있으므로, 조선에서 의료는 중시되어야 했다. 성리학의 치료론은 음양오행의 조화와 삼강오륜의 사회질서를 회복함으로써 질병을 극복한다는 논리이다. 여말선초에는 의료기구의 정비나 의학교육의 강화 같은 중앙집권적인 의료정책이 강조되었다. 아울러 인(仁)·경(敬)·대중 지정지도(大中至正之道) 같은 수양론이 주목되기 시작하였다. 반면 의료인 개인의 역할은 소의(小醫)의 활동이라고 축소되었다. 여말선초에 대의소의론(大醫小醫論)과 수양론이 부각되면서 의료인의 천시는 부득이했던 것이다. In this article, I discusse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Neo-Confucianism and medicin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y examining the theory of physiology, pathogenesis, and therapy of Neo-Confucianism. In the physiology of neo-Confucianism, we have seen that the human body is created by the inheritance of Yinyang( 陰陽 ) and Wuxing( 五行 ), originating from Tendo( 天道 ) or Li( 理 ). At this time, neo-Confucianism and medicine were positioned as ‘fundamental’ and ‘terminal’, and the means of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was Xiangshu xue( 象數學 ). Medical was considered a minor field as the human body, disease, and treatment were defined by a priori principles of neo-Confucianism. According to the theory of pathogenesis of Neo-Confucianism, disease occurs when the harmony of Yinyang( 陰陽 ) and Wuxing( 五行 ) is broken. The disease was perceived as a sin, because the overcoming of the yin( 陰 ) was to break the balance of the body. Likewise, the act of breaking the three bonds and the five moral disciplines in human relations, which is a hierarchical order, was also evil because it caused disease. Therefore, based on the functional order of status, the king and the ruling class had to maintain the social order, so medical care was emphasized in Joseon. The therapeutic theory of Neo-Confucianism is the logic of treating diseases by restoring the social order of Yinyang( 陰陽 ) and Wuxing( 五行 ) and the three bonds and the five moral disciplines in human relations. Of course, the most common response to disease was medical treatment. However, more importantly, centralized medical policy, such as the maintenance of medical bureau, the strengthening of medical education, the publication of official medical books, and institutional measures against infectious diseases were emphasized. In addition,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of Neo-Confucianism began to attract atten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atmosphere of suspicion of the qualifications of the medical officers, the role of the medical individual had been reduced to the activity of ordinary doctor, and the medical personnel had been abando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