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생엽과 덖음녹차의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이순임(Sun-Im Lee),전동복(Dong-Bok Jeon),김재성(Jae-Sung Kim),정인선(In-Sun Jung),홍영신(Young-Shin Hong),서혜영(Hye-Young Seo),박근형(Keun-Hyung Park),김경수(Kyong-Su Kim) 한국차학회 2011 한국차학회지 Vol.17 No.3

        2010년 전남 보성군 ○○다원에서 재배한 녹차의 생엽과 생엽을 덖어서 제다한 덖음녹차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SDE로 추출하여 이를 농축한 후 GC/MS로 분석하였다. 생엽에서는 휘발성 향기성분 83종을 동정하였고 건시료기준 79.12 mg/kg으로 확인되었다. 풀냄새(green note)로 특정지어지는 (E)-2-hexenal이 다량 확인되었으며 linalool과 geraniol 등 monoterpene alcohol류 등이 주요 화합물로 분석되었다. 생엽의 주요 관능기적 분포는 leaf alcohol로 불리어지는 C6-alcohol 및 monoterpene alcohol류 등 alcohol류가 63%로 가장 많았고 23.3%인 aldehyde류가 다음을 차지하였으며, 이들 화합물이 생엽의 휘발성 향기성분에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특히 생엽에서는 지금까지 동정되지 않았던 theaspiran류가 동정되었으며 이는 osmanthus fragrance로 확인되었고 덖음 녹차에서는 동정되지 않았다. 이는 향이 진하고 독특하며 fruits, teas, 그리고 passionfruit에서 동정됨을 알 수 있었고 화장품과 식품 등에 사용되고 있다. 덖음녹차로 부터 확인된 향기성분은 총 73종으로 건시료 기준 87.40 ㎎/㎏로 확인되었다. 덖음녹차에서 확인된 주요 휘발성 향기성분으로는 4-VP와 1-ethyl-1H-pyrrole-2-carbaldehyde로 각각 총 향기성분의 6.8% 및 6.5%를 차지하였으며, benzyl alcohol, (E)-nerolidol, indole, ethyl acetate 등도 다량 분석되었다. 주요 관능기별 분포는 alcohol류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이는 주로 terpene alcohol이었다. 생엽과 덖음녹차에서 확인된 휘발성 향기성분을 비교한 결과, 생엽에서 확인된 (E)-2-hexenal과 (Z)-3-hexenol 비롯한 leaf aldehyde와 leaf alcohol 등 10여종이 덖음녹차에서는 현격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ester류, ketone류 및 함질소화합물 등은 덖음녹차에서 생엽보다 많이 동정되었는데 이는 덖음과정에서의 열처리에 의한 반응생성물로 생각되었다. 덖음과정의 열에 의해 생성되는 카라멜 화합물이나 maillard product 등 한국인의 입맛에 길들여진 구수한 향기들이 확인되어, 이러한 화합물들의 변화를 고려하여 덖음과정의 조건을 수립하는데 활용함으로서 기호성 높은 차 가공 시 유익한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 기본 생엽과 덖음녹차의 향기성분을 기본으로 과학적 자료를 축적할 수 있었으며 가공 전 생엽의 향기성분에 대한 기초자료는 발효차나 반발효차 또는 덖음차 등 여러 유형의 가공된 다류와 비교 분석하여 기호에 맞는 차를 제다할 때 응용할 수 있는 객관적 자료를 제시하였다. Volatile flavor components from fresh and roasted leaves of Camellia sinensis L. were extracted by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and extraction (SDE) method using the mixture of n-pentane and diethyl ether (1:1, v/v) as an extract solvent. The volatile extracts were analyzed by GC/MS. Identification of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was mostly based on the RI of GC and mass spectrum of GC/MS. The total number of 83 volatile flavor components were identified in fresh leaves, and (E)-2-hexenal characterized as green note was the predominantly abundant component. Also, monoterpene alcohols such as linalool and geraniol etc. were identified as major compounds. Major functional group was alcohols including C6-alcohols and monoterpene alcohols accounting for 63%, and aldehydes followed by second functional groups. They were considered as important compounds contributing fresh leaves like flavor. But unlike roasted leaves, theaspirans which is identified in Osmanthus fragrance were detected in fresh leaves.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73 were identified in roasted leaves of C. sinensis L., and the contents was 87.40 ㎎/㎏. 4-Vinyl phenol and 1-ethyl-1H-pyrrole-2-carbaldehyde were detected as the major volatile compounds accounting for 6.8 and 6.5%, respectively. Appreciable amounts of benzyl alcohol, (E)-nerolidol, indole and ethyl acetate were detected in roasted leaves. The major functional group was alcohols almost consisting of terpene alcohols. Leaf aldehyde such as (E)-2-hexenal and leaf alcohol such as hexanol detected in fresh leav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roasted leaves. Esters, ketones, and N-containing compounds produced during heating in roasting process were detected higher than in fresh leaves.

      • SCOPUSKCI등재
      • 비호지킨 림프종 치료 중 발생한 고립성 자발성 유미 심막증(Isolated spontaneous chylopericardium)

        이유현 ( Lee Yu Hyeon ),임석아 ( Im Seog A ),송지현 ( Song Ji Hyeon ),이지아 ( Lee Ji A ),성주명 ( Seong Ju Myeong ),박성훈 ( Park Seong Hun ),이순남 ( Lee Sun Nam ) 대한내과학회 2003 대한내과학회지 증례 특집호 65-5 부록3 Vol.0 No.-

        Although malignant pericardial effusion is a common complication of malignancy, chylopericardium is a rare entity characterized by the accumulation of chylous fluid in the pericardial sac. The lymphatic vessels of the pericardium drain into the thoracic d

      • 터널내 무선 환경에서의 통민 시스템 개발

        조군식,이순,임해진,김선형,Jo, Gun-Sik,Lee, Sun-Heum,Im, Hae-Jin,Kim, Seon-Hyeong 한국정보처리학회 1997 정보처리학회논문지 Vol.4 No.2

        This paper presents the fundamental study to implement wirdless data link system in the subway.The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mangnetic wave in the tunnel are analyzed to determine the proper radio frequncics for our system.The tunnel is modeled as a circular waveguide and then, its path loss is obtained.The dfficient communication control procesure is proposed, which is well suited to our system architecture and the subway environment.The prototype systrm shows a good performance in the data communication. 본 논문은 지하철에서의 무선 데이타 링크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주파수 선정을 위해서 터널래의 전파전파 특성을 이론적으로 분석하였고, 터널을 원형도파관으로 간주하여 진행과 방향의 거리에 따른 감쇄량을 계산하였다. 시스템 구현에 따른 새로운 통신 알고리즘을 제안하여, 간이 실험실 모델에서 데이타, 총, 수신을 수행한 결과 만족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KCI등재

        간에 발생한 상피양 혈관내피종의 나선식 CT 소견

        이원재,임효근,최동일,이순,임재훈,조재민,이민희,한부경,Lee, Won-Jae,Im, Hyo-Geun,Choe, Dong-Il,Lee, Sun-Jin,Im, Jae-Hun,Jo, Jae-Min,Lee, Min-Hui,Han, Bu-Gyeong 대한영상의학회 2003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9 No.4

        목적: 나선식 CT에서 간이 상피양 혈관내피종(epithelioid hemangioendothelioma)의 형태적 특징과 조영증강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7명의 환자들(남:여=4:3, 평균연령: 41세)에서 조직병리학적으로 진단된 간의 상피양 혈관내피종의 나선식 CT 소견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2명의 환자에서 단일시기 나선식 CT 영상을, 또 다른 2명의 환자에서 이중시기 나선식 CT 영상을, 3명의 환자에서 삼중시기 나선식 CT 영상을 얻었다. 영상 분석은 상피양 혈관내피종의 형태적 특징 및 조영증강 양상에 대해 다음의 지표들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형태적 특성들은 종양의 개수, 크기, 위치, 모양, 경계, 표면, 주위 간 피막의 수축, 석회화, 혈관 포위(vascular encasement), 융합하는 모습의 종괴 형성이었다. 조영증강 양상은 동맥기 혹은 문맥기에서 조영증강 모양과 정도를 분석하였고, 문맥기와 평형기에서 조영증강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결과: 6명의 환자들은 다발성 병변을 보였고, 1명의 환자는 단일 종야이었다. 병변의 크기는 0.5-12.0 cm (평균: 3.2 cm)이었다. 모든 예에서 거의 대부분의 종양들이 간의 주변부에 위치하였다. 종양의 모양, 경계, 표면은 다양하게 보였으나, 불분명한 경계와 평탄한 표면이 각각 4예에서 보였다. 주위 간 피막의 수축을 동반한 경우는 7예 중 5예에서 관찰되었다. 주변에 혈관들이 보였던 6예 중 5예에서 혈관 포위 소견을 보였다. 추적 검사를 시행한 3예 모두에서 다발성 종양들이 커지면서 융합하는 모습을 보였다. 모든 환자들의 많은 상피양 혈관내피종들은 조영증강 후 종야의 면연부에 결절형(n=3) 또는 불규칙적인(n=4) 조영증강을 보였으며, 다중시기 나선식 CT 영상을 얻은 5예 모두에서 구심성 조영증강을 보였다. 결론: 이 연구의 결과에서 상피양 혈관내피종의 대부분은 다발성 종양으로 간 주변부에 위치하며, 주위 간 피막의 수축을 동반하는 경우가 흔했다. 또한 대부분 혈관 포위 소견과 구심성 조영증강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나선식 CT 영상에서 이와 같은 소견이 보인다면 상피양 혈관내피종을 감별진단에 포함시켜야 하겠다. Purpose: To describe the morphologic features and enhancement patterns of the helical computed tomography (CT) observed in patients with epithelioid hemangioendothelioma (EH) of the liver. Materials and Methods: Seven patients (four men and three women; mean age, 41 years) with pathologically proven EHs underwent monophasic (n=2), biphasic (n=2) or triphasic (n=3) helical CT, and the findings were retrospectively analysed. The morphologic features to which attention was directed were tumor number, size, location, shape, margin, surface, the presence of adjacent capsular retraction, vascular encasement and confluent mass formation, while the enhancement pattern was examined in terms of the appearance and degree of enhancement during the arterial or portal phase, and enhancement change during the portal and equilibrium phases. Results: Six patients had multiple tumors, and one had a single lesion. The maximon diameter of these tumors ranged from 0.5 to 12.0 (mean, 3.2) cm, and almost all occurred in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liver. The shape, margin and surface features of the tumors varied: in four patients, the margin was poorly defined and the surface was smooth, while in five, adjacent capsular retraction was observed. Vascular encasement was noted in five of six patients with hepatic vessels abutting the tumors, and in all three who were follow up, the growth pattern involved confluent mass formation. In all patients, many tumors showed either nodular (n=3) or irregular (n=4) peripheral enhancement. In all five patients who underwent multiphasic CT, centripetal enhancement was demoustrated. Conclusion: Our results disclosed that most patients with EH had multiple tumors, and that almost all were located in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liver and involved capsular retraction. The other common CT findings were vascular encasement and a centripetal enhancement pattern. When these CT findings are observed in patients with hepatic tumors, EH should be included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 KCI등재

        전자선 조사한 자두의 휘발성 유기성분 변화

        정인선 ( In Seon Jeong ),이순임 ( Sun Im Lee ),전동복 ( Dong Bok Jeon ),홍영신 ( Young Sin Hong ),김재성 ( Jae Sung Kim ),최성화 ( Sung Hwa Choi ),노은영 ( Eun Yeong Nho ),최지연 ( Ji Yeon Choi ),김병숙 ( Byung Sook Kim ),김경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 구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 ) 2012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19 No.2

        The changes in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plum after its electron beam irradiation and storage were determined using the simultaneous distillation extraction method and gas chromatograph-mass spectrometry. There were 44, 46, 45, 47, and 38 volatile compounds in the 0-, 0.25-, 0.5-, 0.75-, and 1 kGy irradiated samples, respectively. Also,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the plum that was stored for 30 days were identified as 48, 40, 40, 39, and 40 components. The compositions of the volatile compounds of the control and irradiated samples showed a similarity after the storage. Especially, the more important volatile flavor of the plum was identified as hexanal of the C6compounds, (E)-2-hexenal and (Z)-3-hexenal. In particular, hexanal, (E)-2-hexenal, and (Z)-3-hexen-1-ol increased in all the doses, where as hexanol and (E)-2-hexen-1-ol decreased. Among the lactone compounds, γ-hexalactone, γ-octalactone, and γ-decalactone were identified during the storage period in the raw samples. Hexanonic acid and 2-hexenoic acid were not identified during the storage of the samples, and 2-methylprrole was detected only when the storage samples were irradiated at a dose higher than 0.5kGy. Therefore, it was shown that there was no effect on the variation of the volatile organic component suntil 1 kGy in the plum was irradiated with an electron be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