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내 자폐스펙트럼 장애의 사회성 및 사회적 상호작용에 관한 중재연구 동향분석 : 2010~2022을 중심으로

        윤가영,김화수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2022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6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 장애의 사회성 및 사회적 상호작용 중재에 관한 국내에서 이루어진 연구동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2013~2022년까지의 연구들 중 학술지에 게재된 30편을 선정하여 대상자 연령, 대상자 수, 중재횟수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대상자 연령에 따라 학령전기, 초등학생, 중·고등학생, 성인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학령전기 8편(26%), 초등학생 13편(43%), 중·고등학생 8편(26%), 성인 1편(3%)으로 나 타났다. 대상자의 수에 따라 5명 미만, 5명~10명, 11명~15명, 16명 이상으로 분석한 결과 5명 미만 19편 (63%), 5명~10명 7편(23%), 11명~15명 2편(6%), 16명 이상 2편(6%)으로 나타났다. 중재 횟수에 따라 10회 기 미만, 10~20회기, 21회기 이상으로 분석한 결과 10회기 미만 6편(20%), 10~20회기 8편(26%), 21회기 이 상 16편(53%)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내용들을 바탕으로 자폐스펙트럼 장애의 사회성 및 사회적 상 호작용에 대한 국내 연구를 종합하고 사회성 연구의 현주소와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향후 연구방 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Effect of temperature on coalescence behavior of unsupported gold nanoparticles

        윤가영,Jaegab Lee,남호석 대한금속·재료학회 2019 ELECTRONIC MATERIALS LETTERS Vol.15 No.1

        The coalescing behavior of gold nanoparticles was studied by employing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s based on a semiempiricalembedded-atom method. Investigations on the coalescing process of the faceted nanoparticles revealed that atrelatively low-temperatures, plastic deformation by slip motion was the main mechanism of coalescence, while near themelting point, coalescence was preceded by local fl uid motion. Diff erent initial confi guration and coalescing temperaturehave a substantial infl uence on the coalescing behavior, making diff erent fi nal structures such as twinned face-centered cubicor amorphous nanoparticles.

      • KCI등재

        아동의 창의적 학교 환경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교사, 학부모, 학생 요인을 중심으로

        윤가영,장재홍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3

        목적 본 연구는 창의적 학교 환경 인식을 결정하는 요인을 탐색함에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를 위하여 육아정책연구소(KICCE)에서 제공한 한국아동패널(PSKC) 12차년도(2019년) 자료를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구체적으로 교사, 학부모, 학생 측면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요인이 창의적 학교 환경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의 창의적 학교 환경 인식에 영향을 주는 교사 요인을 확인한 결과, 교사와 학생의 친밀도가 창의적 학교 환경 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의적 학교 환경 인식에 영향을 주는 학부모 요인을 확인한 결과, 부모와의 의사소통, 신뢰감이 창의적 학교 환경 인식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 요인 확인 결과, 교우관계와교사관계가 창의적 학교 환경 인식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특히, 교사와 아동의 관계는 창의적 학교 환경 인식을 예측하는 가장 중요한 변수였다. 한편, 학생이 느끼는 학업 스트레스는 창의적 학교 환경 인식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서 창의적 학교 환경 인식에는 물리적 환경 자체보다 관계성 측면이 중요한 요인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심리적 환경 조성 및 관계적 측면에서의 개선이 필요하며, 이를 지원하고 조력할 수 있는 시스템과 노력이 요구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중학교 학생의 협동적 학습양식 분석 및 영향요인 검증

        윤가영,박인우,장재홍 한국교육방법학회 2020 교육방법연구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and influence factor in middle school students. To achieve these purpose, we used Panel data that was collected from ‘A Measurement of Korean Youth Competency and International Competitive Study Ⅱ: ICCS 2016’. By using this data, we have checked indicator variables ou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and the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The research method that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latent profile analysis. In this study we set up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such as gender, learning adaptability, learning strategy, task management, relationship formation ability, emotional control, academic achievement. As a result,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were classified into four style: 'active style', 'general style', 'passive style', and 'inactive style'. As a factor influencing the learning style, First, female students belonged to more ‘passive style’ than male students. Second, the higher learning adaptability and task management ability, the higher-level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Third, in most learning styles, the higher learning strategy, the higher-level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Fourth, the higher relationship formation ability, the higher-level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Fifth, the higher academic achievement, except for the ‘inactive group’, the higher-level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has various forms, and analyzing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can help to design collaborative learning class more systematically. 본 연구는 중학교 학생의 협동적 학습양식을 분석하고 학습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함으로써, 협동적 학습양식에 따른 학습자 특성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연구Ⅱ: IEA ICCS 2016’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협동학습 관련 지표변수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협동적 학습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성별, 학습적응성, 학습전략, 과제관리, 관계형성, 정서조절, 학업성취 등의 영향요인을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협동적 학습양식은 ‘적극적 활동형’, ‘일반적 활동형’, ‘소극적 활동형’, ‘비활동형’ 4가지 학습양식으로 분류하였다. 협동적 학습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첫째, 성별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소극적 활동형’에 속하였다. 둘째, 학습적응성과 과제관리능력이 높을수록 높은 수준의 협동적 학습양식에 속하였다. 셋째, 대부분의 집단에서 학습전략이 높을수록 높은 수준의 협동적 학습양식에 속하였다. 넷째, 관계형성능력이 높을수록 높은 수준의 협동적 학습양식에 속하였다. 다섯째, ‘비활동형’ 집단을 제외하고 학업성취 수준이 높을수록 높은 수준의 협동적 학습양식에 속하였다. 본 연구는 집단 구성원의 협동적 학습양식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협동적 학습양식을 탐색하는 일은 협동학습 수업을 보다 체계적으로 설계하는 데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언어발달지연 아동을 대상으로 한 학교준비반 수업의 효과

        윤가영,김화수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2022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12

        본 연구는 언어발달지연 아동을 대상으로 학교준비반 수업을 실시하여 학교준비도에 대한 개선을 확 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시 G기관에 다니고 있는 언어발달지연 아동 4명을 대상으로 학교준 비를 위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사전, 사후검사는 우리나라 교육과정을 반영한 척도를 사용하고자 방소영(2012)이 개발한 ‘학교준비도’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평가 영역은 기능 영역, 적응 영 역, 성향 영역, 태도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연구 결과, 사전·사후 비교 시 4가지 영역에서 모두 향 상을 보였으며 큰 격차를 보인 순으로 나열하면 태도 영역, 적응 영역, 성향 영역, 기능 영역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적은 대상자 수, 한정된 대상자(언어발달지연)로 모든 아동들에게 일반화할 수 없다 는 것과 실제 학교에 입학하였을 때 적응 및 유지하는 정도를 파악하지 못하였다는 것이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학교준비반’ 수업을 통해 언어발달지연 아동들의 학교준비도가 향상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지각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정신건강 간의 관계에서 정체성 발달의 매개효과

        윤가영,이준배,박선웅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8 No.4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identity development between perceived parental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PPAAP) and mental health. Specifically, we examined whether the relation between PPAAP and mental health is mediated by the positive or negative aspects of identity development. Participants were 110 Korean college students. They completed online self-report questionnaires that included PPAAP, identity development, personal well-being, and depression. We found that PPAAP was negatively related to personal well-being and positively related to depression. Moreover, the relation between PPAAP and mental health was mediated only by the negative aspects of identity development. In other words, PPAAP was related to the negative aspects of identity development, which, in tur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mental health.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in that it proposed identity development as a mediator between PPAAP and mental health and found that the negative, not positive, aspects of identity development mediated the relation. We suggest that institutional interventions that help develop identity can be an effective way to mitigate the negative impacts of PPAAP on mental health of children living in the highly competitive Korean society.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지각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자녀의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정체성 발달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지각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자녀의 정신건강 간의 관계가 정체성 발달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중 어느 측면을 통해 매개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 대학생 110명을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다. 참여자들은 지각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정체성 발달, 웰빙, 우울을 묻는 설문지에 응답하였다. 분석 결과, 지각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은 참여자의 웰빙과는 부적, 우울과는 정적 상관관계에 있었다. 다음으로, 학업성취압력과 정신건강 관계에서 정체성 발달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정체성 발달의 부정적 측면만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부모로부터 학업성취압력을 높게 지각한 참여자의 정체성은 제대로 발달하지 않았는데, 이는 곧 낮은 정신건강으로 이어졌다. 본 연구는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자녀의 정신건강 간의 매개변인으로 정체성 발달을 제시하며 정체성발달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중 부정적 측면이 두 변인의 관계를 매개한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입시 경쟁이 치열한 한국사회에서 정체성 형성 과정에 대한 개입이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자녀의 정신건강 간의 관계에서 부정적 영향력을 상쇄할 수 있는 방안이 될수 있음을 시사하며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Sonographic features that can be used to differentiate between small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and fibroadenoma

        윤가영,차주희,김학희,신희정,채은영,최우정 대한초음파의학회 2018 ULTRASONOGRAPHY Vol.37 No.2

        Purpose: Our study investigated whether any sonographic findings could be useful for differentiating between small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TNBC) and fibroadenoma.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approved by our Institutional Review Board, which waived the requirement for patient consent. From January 2009 to December 2010, the sonographic features of 181 pathologically proven TNBC tumors and 172 fibroadenomas measuring less than or equal to 2 cm in the longest dimension were review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fifth edition of the Breast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 (BI-RADS) lexicon. Mean tumor roundness was also measured using in-house software. Results: The median longest lesion dimension was 16 mm (range, 13 to 18 mm) in TNBCs and 13 mm (range, 10 to 16 mm) in fibroadenomas. In comparison to fibroadenomas, small TNBC tumors presented with a higher incidence of irregular shapes (66.9%), noncircumscribed margins (91.7%), hypoechoic echotexture (59.1%), posterior acoustic enhancement (65.2%), and associated features (24.4%). Most TNBCs were classified as BI-RADS category 4 (65.2%) or 5 (28.2%). The mean tumor roundness of small TNBCs was greater than that of fibroadenomas (60%±12% vs. 53%±13%).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older patient age, irregular shape, nonparallel orientation, posterior acoustic enhancement, associated features, a BI-RADS final assessment category of 4 or 5, and greater tumor roundness were significant independent factors indicative of TNBCs. Conclusion: TNBC tumors tend to demonstrate more suspicious sonographic features and greater tumor roundness than fibroadenomas. These features may have the potential to help differentiate between small TNBCs and fibroadenomas.

      • KCI등재

        국내 교육공학 연구 동향 분석 및 키워드 분석 연구: 2014~2022년「교육공학연구」를 중심으로

        윤가영,유하원,김효정,박인우 한국교육공학회 2022 교육공학연구 Vol.38 No.4

        This study explored research trends in educational technology in Korea by analyzing publications in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a leading academic journal in educational technology in Korea. For this purpose, 270 articles published from March, 2014 to March, 2022 were analyzed and coded, using a revised analysis framework that had been constructed and utilized in two previous literature reviews conducted for the periods from 1985 to 2004 and 2005 to 2014. The research findings were supplemented with keyword analyses to provide a more comprehensive overview of research trends from 2002 to 2022 using a word cloud visualization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design” was related to the most studies, and few studies were related “development.” Furthermore, the little research conducted regarding “evaluation” and “instructional consulting” showed a promising increase. A range of research methods were seen, including quantit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mixed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The results of keyword analyses were used to visualize the periodical changes and flow in educational technology. From 2002 to 2006, common keywords were “e-learning,” “remote education,” “cyber university,” “ICT using education,” “web-based learning.” From 2007 to 2011, “e-learning,” “online discussion,” “digital textbook” were common, and from 2012 to 2016 “e-learning,” “flipped learning, “SW education,” and “maker education” were derived from keywords. This study was adopted to follow the two preceding literature reviews using the same framework to map the following decade and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교육공학연구』에 출판된 논문을 대상으로 교육공학 분야의 연구 동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2014년 3월부터 2022년 3월까지『교육공학연구』에 출판된 270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보다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연구 흐름 분석을 위해 2002년부터 2022년의 기간 동안 이루어진 교육공학 연구의 주요 키워드를 분석하였고, 워드클라우드로 시각화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공학 연구영역은 “설계”영역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에 비해 “개발”영역은 현저히 낮은 비중을 보였다. “평가”영역도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아니나 수업컨설팅이라는 새로운 영역을 확장하면서 연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었다. 연구방법은 양적연구, 질적연구, 혼합연구, 문헌연구 등 정량적․정성적 측면으로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2002년부터 2022년 3월까지 약 10년간『교육공학연구』에 게재된 학술지 키워드 분석결과를 보면, 2002-2006년 ‘이러닝’, ‘원격교육’, ‘사이버대학’, ‘ICT활용교육’, ‘웹기반학습’ 등, 2007-2011년 ‘이러닝’, ‘온라인토론’, ‘디지털교과서’ 등, 2012-2016년 ‘이러닝’, ‘학업성취도’, ‘대학교육’ 등, 2017-2019년 ‘플립드러닝’, ‘SW교육’, ‘메이커교육’ 등, 2020-2022년 ‘COVID19’, ‘원격수업’, ‘온라인수업’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키워드분석 결과 웹 환경과 매체 중심의 기술의 발전, 교육의 시대적 변화 및 흐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에서 정립한『교육공학연구』의 문헌연구 틀을 계승․발전시켜 교육공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이어나가는데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초고층 비정형 평면구조물의 횡변위 거동에 관한 연구

        윤가영,박성수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2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4 No.4

        비정형 평면의 경우, 정방형 평면보다 횡변위 방생 방향과 횡적 거동을 예측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적절한 구조적 보완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횡력저항 강성증가 방법과 횡력저항 구조요소를 추가하는 방법 등에 대한 실제 구조설계의 수행을 통해 Y형 평면을 가진 초고층 구조시스템을 구성하는 횡력저항 요인들의 효과를 정적해석으로 해석하여 횡변위 저감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횡력저항 강성변화 방법에는 여러 요소들이 있으나 코어 단면, 콘크리트 강도 변화를 통하여 구조물의 강성 변화에 따른 횡적거동 특성을 비교·분석 하였다. 또한, 횡력저항 구조요소로는 현재 국내의 초고층 건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아웃리거, 벨트 시스템, FIN WALL을 비정형 Y형 평면에 도입하여 그 효율성을 검토해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