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인터넷 사용욕구와 심리사회변인들이 청소년의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비교

        장재홍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05 미래청소년학회지 Vol.2 No.2

        This study examined how the needs of internet use and psycho-social variables affect the Game Addiction of adolescents. The direct, indirect effects of Internet Use Needs and psycho-social variables were investigated by sex. Subjects were male 255, female 512, total 757 junior high school students who performed game addiction scale, internet use needs scale, aggression scale, self-esteem scale, communication type scale in family, and friend relationship scale. The result is as followed : First, the game addiction score, the game time a day, the duration of game use of male were higher than those of female. Second, male showed higher need for self-changing and lower need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an those of female. Third,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ggression, internet use needs, and self-esteem predicted the game addiction score in male, and that needs for internet use, aggression, and communication type in family predicted game addiction score in female. Forth, the result of path analysis showed that communication type in family and self-esteem affected the game addiction indirectly. The implication of these findings and the limit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게임중독에 대한 다양한 심리사회적 변인들의 영향력을 남녀의 성별에 따라 탐색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및 경로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게임중독에 대한 이들 변인들의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탐색하였다. 연구대상은 중학생 남자 255명, 여자 512명, 총 767명으로, 그들은 게임중독, 인터넷 사용욕구, 공격성, 자존감, 가족내 의사소통, 그리고 친구 관계에 대한 질문지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게임중독 점수, 하루 게임이용 시간, 게임중독 고위험군의 비율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았다. 둘째, 인터넷 사용욕구에 대한 성별비교에서 남자는 여자보다 자아변화욕구가 더 높았고, 여자는 남자보다 대인관계욕구와 분리·독립욕구가 더 높았다. 셋째, 인터넷 사용욕구와 심리사회적 변인들로 게임중독을 예측하는 중다회귀분석에서, 남자에서는 공격성, 자존감, 인터넷 사용욕구가 게임중독을 유의하게 예측하였고, 여자에서는 가족 내 의사소통, 공격성, 인터넷 사용욕구가 게임중독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넷째, 경로분석의 결과, 남자에서는 가족 내 의사소통의 직접효과는 없으나 자존감과 공격성에 중재되어 게임중독을 증가시키는 간접효과가 나타났고, 여자에서는 자존감이 인터넷 사용욕구에 중재되어 게임중독을 증가시키는 간접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의 함의와 연구의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학교폭력 도움요청 의도와 학생-교사관계 및 부모애착

        장재홍,오예현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8

        The aim of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willingness to seek help for school violenc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and parent attach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303 students(157 elementary school students, 146 middle school student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Willingness to Seek Help Scale, Inventory of Parent Attachment-Revised(IPA-R), and Student-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Scale(STAR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tudents showed higher than middle school students on willingness to seek help. And high academic achievement group showed higher than low academic achievement group on willingness to seek help. Second, parent attachment and student-teacher relationship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willingness to seek help.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more trust their parents and positively perceive their teacher’s sensitivity and acceptance, the higher on willingness to seek help for school violence.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폭력 발생 시 담임교사에 도움을 요청하는 학생의 의도와 부모애착 및 학생-교사관계 간의 관계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생 고학년 157명, 중학생 146명, 총 303명을 대상으로 학생의 도움요청 의도, 교사-학생애착관계, 부모애착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에 비해 초등학생의 도움요청 의도가 더 높았고, 학업성취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도움요청 의도가 더 높았다. 둘째, 부모애착 및 학생-교사관계는 학생의 도움요청 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부모관계에서 신뢰감이 높을수록, 그리고 교사관계에서 교사가 수용적이고 접근가능성이 높다고 지각될수록, 학생의 도움요청 의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청소년 게임중독 집단상담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상담자변인과 상담과정변인: 성공집단과 비성공집단의 비교

        장재홍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1 미래청소년학회지 Vol.8 No.4

        The aim of present study was to test the impacts of therapist variables and group process variable, which participants rated in their own group, on the counseling outcome. Subjects were 6 group leaders and 39 group members. Outcome measure of group counseling was the residual of K-scale. 3 success groups were compared to 3 non-success groups on the group cohesion, leader behaviors and perceived counselor rating. The t-test and repeated ANOVA were used. The current study showed three findings of interest; 1) success group leader showed higher in the congruence-empathy, conceptual input, affection, and conditionality compared to non-success group; 2) participants of success group perceived their group leaders more skillful, attractive, and trustworthy compared to those of non-success group; 3) members in success group showed higher in the group engagement.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게임중독 집단상담의 성과에 영향을 주는 상담자변인과 상담과정변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우선, 실시한 15개 집단 중 상담성과를 토대로 성공집단 3집단과 성공적이지 않은 3집단을 선택하였다. 그리고 성공집단과 비성공집단 간에 집단응집력, 리더행동과 집단원이 평정한 상담자평가에서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 t 검증과 반복측정 일원변량분석이 사용되었다. 연구대상은 집단리더 6명, 중학생 집단원 39명이었다. 집단상담의 성과는 K-척도의 사전․사후 변화량으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성공집단의 리더는 덜 성공적인 집단의 리더에 비해 더 공감적이며 개념적 설명을 더 잘하며, 집단규준을 더 잘 수립하며, 집단원에 대한 관심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공집단의 집단원들은 자신의 리더를 더 전문적이고, 호감이 가고, 신뢰로운 사람으로 평가하였다. 셋째, 비성공적 집단에 비해 성공집단 집단원의 집단참여가 더 높았다. 인터넷 중독 집단운영과 관련된 시사점과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인터넷 과다사용 예방을 위한 청소년 집단상담 프로그램

        장재홍 한국카운슬러협회 2002 相談과 指導 Vol.37 No.-

        인류문명에 혁명적인 변화를 몰고 온 인터넷은 현재 세계 3억 인구가 이용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고, 현재 10대와 20대를 중심으로 월 100만명씩 사용인구가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과 더불어 인터넷 과다 사용으로 인한 폐해가 점점 확산되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많은 청소년들이 인터넷을 지나치게 사용하거나 인터넷에 중독적으로 몰입함으로써 다양한 부적응의 문제를 낳고 있다. 신체적인 증상의 문제를 비롯해서 가족과의 갈등, 안전하지 못한 대인관계, 정상적인 학교생활이 어려움, 학업성적이 떨어짐을 비롯하여 비행문제나 정신건강의 문제에 이르기까지 문제의 양상은 실로 다양하다. 인터넷은 매우 유용한 인간의 창조물이어서, 중독적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해서 멀리하라고만 할 수 없다. 우리는 인터넷의 위험을 알기 전에 이미 인터넷에 익숙해져 버렸다. 이런 상황에서 많은

      • KCI등재후보

        아버지의 자녀양육행동과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및 자녀양육태도간의 관계

        장재홍,김태성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02 청소년상담연구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father's parenting behavior on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attitude. For the study we measured father's participation in parenting, parenting attitude and father's satisfaction for father's parenting behavior. The respondents were 356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total of 1059.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re fathers participated in parenting, more positive in parenting attitude and satisfied at the role of the father the more mothers showed receptivity, liberality in parenting attitude and gave less achievement pressure. Also father's parenting attitude significantly predicted 23.6% of mother's receptive-disapproval attitude, 42% of liberal-control attitude and 27.5% of achievement pressure attitude. Second, the multiple regression predicting father's parenting attitude of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show that the participation of father in parenting, role satisfaction and receptive-disapproval attitude significantly predicts 35.2% of the variance of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Third, though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was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parenting attitude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s, it provided little explanation of the relationship. Rather, father's parenting attitude and father's satisfaction for their parenting behavior gave more effect on mother's parenting attitude.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아버지의 자녀양육행동이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및 자녀양육태도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는 탐색적 연구이다. 연구자는 아버지의 자녀양육행동을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아버지의 자녀양육태도, 아버지 역할만족도로 측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중학생 자녀 356명과 그의 아버지와 어머니로, 총 1,059명이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가 자녀양육에 더 많이 참여할수록, 자녀양육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아버지역할에 대해 더 만족할수록, 어머니의 자녀양육태도는 더 수용적, 자율적이며 덜 성취압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버지의 자녀양육행동은 어머니 수용-거부태도의 23.6%, 자율-통제태도의 42.2%, 성취압력태도의 27.5%를 유의하게 예언하였다. 둘째, 아버지의 자녀양육행동으로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를 예측하는 중다회귀분석 결과,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역할만족도, 수용-거부적 태도가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총 변량의 35.2%를 유의하게 예언하였다. 셋째,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아버지의 자녀양육행동들과 어머니의 자녀양육태도간을 유의하게 매개하고 있었지만 그 설명력은 미미했으며, 오히려 아버지의 자녀양육태도 및 아버지 역할만족도가 어머니의 자녀양육태도에 직접 영향을 주는 부분이 많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부모의 자녀양육태도가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인터넷 사용욕구를 매개로

        장재홍 한국상담학회 2004 상담학연구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parent's rearing attitudes influenced the needs of internet use and internet addiction among adolescent. For the purpose, researcher developed the Need Scale of Internet Use and examined those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it was examined that the needs of internet use was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rearing attitude and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 : first, the Need Scale of Internet Use was composed of 22 items. In factor analysis, five factors, the self changing need, reality avoidance ne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need, sensation seeking and information getting need, separation and independence need are extracted. The range of those internal consistency was from .641 to .874. In multiple regression, Sensation seeking and information getting need, reality avoidance need, self changing ne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need predicted 40.0% of internet addiction scale's variance. Second, parent's receptive- disapproval attitude, liberal-control attitude and achievement pressure attitude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needs of internet use and internet addiction. In path analysis, parent's rearing attitudes had no relationship with internet addiction. Rather, the needs of internet use was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rearing attitude and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자녀양육태도가 중학생의 인터넷 사용욕구를 매개하여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우선, 인터넷 사용욕구척도를 개발하고 이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상관분석과 경로분석을 이용하여 부모의 자녀양육태도가 중학생의 인터넷 사용욕구 및 인터넷 중독에 어떤 방식으로 영향을 주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사용욕구 척도는 22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요인분석을 한 결과 5개 요인, 즉 자아변화욕구, 현실회피욕구, 대인관계욕구, 감각추구 및 정보획득욕구, 분리·독립욕구가 산출되었다. 둘째, 인터넷 사용욕구들의 내적 합치도는 Cronbach α값 .641~.874로 적절한 신뢰도를 나타냈다. 셋째, 인터넷 사용욕구들로 인터넷 중독지수를 예언하는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현실회피욕구, 감각추구 및 정보획득욕구, 자아변화욕구, 대인관계욕구가 인터넷 중독지수 변량의 40.0%를 설명하였다. 넷째, 부모의 수용-거부적 태도, 자율-통제적 태도, 성취압력적 태도는 자녀의 인터넷 사용욕구 및 인터넷 중독지수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고 있었다. 다섯째,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모의 양육태도는 자녀의 인터넷 사용욕구를 통해 인터넷 중독에 간접적 방식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