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거이의 중은사상과 원림조영

        이원호 ( Won Ho Lee ),안혜인 ( Hye In Ahn ),신현실 ( Hyun Sil Shin ),하태일 ( Tae Il Ha ),김소현 ( So Hyeon Kim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5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3 No.1

        본 연구는 조경학 관점에서 백거이의 중은사상과 원림을 살펴보고 백거이의 조영활동이 갖는 의미와 그의 원림에서 나타난 사상과 조영방식이 후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백거이의 ‘중은설’은 은일이론을 향상시켰으며 ‘중은’이론의 탄생은 사대부들의 문화예술 뿐만 아니라 원림 예술까지 발달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산 속에 은거하여 원림을 조영하던 이전과는 달리 도회지로 나와 원림을 조영하게 되는 전환점을 마련하였다. 둘째, 백거이의 원림에 나타난 ‘호중천지’의 공간원칙은 화려하고 웅장했던 이전의 원림과는 달리 한정되고 소형화된 공간에서 바위의 배치, 동산의 조형, 꽃의 배치 등 자연을 끌어들이기 위한 하나의 수단이자 원칙이었다. 원림은 외부 경관만이 아니라 내면세계가 반영된 ‘심원’의 공간이 되었다. 셋째, 백거이의 시에 나타난 정원조영 행위와 사상은 후에 시가 차운되고 인용되면서 그림으로 그리고 자신의 정원으로 표현되었다. 결과적으로 백거이의 문학적 예술관과 사상은 자신의 원림을 경영했다는 실천적인 활동을 통해 후대 문인원림의 유행과 그 양식적 특징의 형성에 기반을 마련하였다. 넷째, 백거이의 유교적 체득의 경지와 섬세한 미의식은 산체와 수체의 융합, 가산 쌓는 법, 태호석의 미의식 발견을 통해 원림 경관의 의미를 부여하였고, 이후 원림 문화 형성에 영향을 끼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at the Jungeun-sasang(中隱思想) and garden of Bai Juyi in the perspective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inquiry the meaning of Bai Juyi``s construction activities, thought shown in his gardens, and how his construction method influenced later an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Jungeun-sasang(中隱思想)`` of Bai Juyi improved the Eunil-sasang(隱逸思想) and the birth of ``Jungeun-sasang(中隱思 想)’ became a clue to be developed up to the garden art. In addition, different from before that built gardens hiding in mountains, it prepared the turning point to build gardens in cities. Second, the space principle of ``paradise`` shown in the garden of Bai Juyi was a means and principle to absorb the nature such as positioning rocks, formation of mounds, and positioning of flowers in the limited and small spaces different from previous gardens of splendid and magnificent. The garden became not only outer scene but also the ‘Simwon(心園) that reflected the inside world. 12) Third, the gardening act and thought appeared in the poem of Bai Juyi were expressed in pictures and his own gardens as his poem was borrowed and quoted. As a result, Bai Juyi``s literary view on the art and thought prepared the base in the popularity of literary gardens and forming of characteristic styles through practical activities that he managed his own gardens. Forth, Bai Juyi``s level of Confucianism realization and delicate aesthetical consciousness gave meanings to the scene of gardens through the discovery of the fusion of mountains and creeks, ways of adding, and the aesthetical consciousness of Taihushi(太湖石)and influenced in the forming of garden culture later on.

      • KCI등재

        『관폭도(觀爆圖)』를 통해 본 경관인식에 관한 기초 연구

        이원호 ( Won Ho Lee ),안혜인 ( Hye In Ahn ),김재웅 ( Jae Ung Kim ),김동현 ( Dong Hyun Kim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5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3 No.1

        관폭도를 대상으로 폭포에 대한 인식적 측면에 대한 기초연구를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폭포의 비율에 따라 물이 가져다주는 미감의 차이가 있는데 화면에 폭포가 20%이상 차지하는 관폭도는 폭포를 한층 더 집중시킴으로써 자연과 직접적인 교감을 통한 경관의 인식을 가져다준다. 둘째, 화면에 나타나는 폭포의 대각구도는 폭포와 폭포를 관조하는 인물이 대칭되어서 표현되어지며, 그 영향으로 조망점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또한 조선후기는 진경산수화의 영향으로 화면의 여백이 점점 없어지며 화면을 전체적으로 사용하는 전면구도가 성행하게 되는데, 이는 안정감 있는 구도로 편파구도와 중립구도로 배치함으로써 균형감과 폭포가 갖는 의미를 고조시킨다. 셋째, 조선시대 관폭도에는 원경에서 폭포를 관조하는 형태가 다수 나타났는데, 조선 후기로 갈수록 폭포와 그림 속 인물은 가까워지면서 폭포는 더 이상 관념속의 이상향이 아닌 실재하는 자연과의 직접적인 교감을 통한 미감과 미적관조를 표현하게 되었다. 넷째, 조선시대 관폭도에는 폭포를 바라보는 인물의 표현한 그림이 다수 나타났으며, 수평경, 앙감경, 부감경, 그리고 언뜻 보는 조망행동이 나타났다. 다섯째, 관폭도에 나타난 산수요소 중 바위는 폭포에 생동감을 부여해주고, 음(陰), 양(陽)으로 표현되어 폭포와 암벽의 대비로 폭포가 쏟아지는 절경을 극대화시킨다. 여섯째, 관폭도에 표현 된 식생 중 소나무가 표현된 그림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소나무는 당대 사대부들의 지조와 절개를 상징화하는 것으로 폭포의 상징성과 부합되어 자연을 초탈한 굳은 의미를 강조하고 있다. The findings of basic study on the awareness of falls in terms of Gwanpokdo(Paintings of Viewing Falls) were drawn as follow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in an esthetic sense that water brings depending on the ratio of falls, and Gwanpokdo(Fall Landscape) in which falls take up more than 20% of the canvas focuses more on falls so that it brings about the awareness of landscape through direct communication with nature. Second, the diagonal composition of the canvas has symmetry between falls and a person viewing the falls, which makes view point even clear. In addition, margins of the canvas were missing due to the effect of True-View Landscape Painting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and overall composition of using the entire canvas became popular. This overall composition is stable and disposed with lopsided composition, so this heightens sense of balance and the meaning of falls. Third, Gwanpokdo(Paintings of Viewing Falls) of Josoen Dynasty showed various types of viewing falls in distant view, but as the distance between falls and persons got closer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Dynasty, falls were no longer utopia but it expressed a sense of beauty and aesthetic contemplation through direct communication with real nature. Fourth, Gwanpokdo(Paintings of Viewing Falls) of Joseon Dynast had many drawings of a person viewing falls and viewing behaviors such as Supyeong gyeong(level landscape), Amgang gyeong(lower landscape), Bugam Gyeong(higher landscape), and glimpse viewing.7) Fifth, rocks out of landscape elements make falls vivid and are so expressed as yin and yang that falls and rocks are well contrasted with each other, maximizing beautiful scenery of falls. Sixth, woody plant of Gwanpokdo(Paintings of Viewing Falls) was mostly pine trees which symbolized the literati’s fidelity and integrity at that time and emphasized the firm meaning of transcending the nature, matching with symbolization of falls.

      • KCI등재
      • KCI등재

        전통공간 재현을 위한 광한루원의 수목정비방안 연구

        이원호 ( Won Ho Lee ),김동현 ( Dong Hyun Kim ),김재웅 ( Jae Ung Kim ),안혜인 ( Hye In Ahn ),김대열 ( Dae Yeol Kim ),조운연 ( Un Yeon Cho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4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2 No.3

        본 연구는 전통공간의 수목정비방안 마련을 위해 광한루원을 사례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전통공간의 수종 선정과 수목정비 동향에 대한 이론적 고찰이 선행되었으며, 광한루원의 현장조사를 통한 식재현황을 분석하고, 과거 문헌 및 기록 등에 나타나는 수종 및 식재경관을 토대로 광한루원의 수목정비방안을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공간의 수종 선정과 수목정비에 관한 동향을 살펴본 결과, 전통공간 내에 식재된 외래수종에 대하여 맹목적인 지양은 한계가 있으며 전통공간의 수종 선정에 대한 논의는 오늘날까지 이어져오고 있는 시점에서 수목정비에 대한 외래수종의 무분별한 제거 및 향토식물의 맹목적 식재 등의 이분법적 정비방안 및 비검증된 사료의 맹신은 배제되어야 한다. 둘째, 광한루원 내에 식재된 수종을 조사한 결과 소나무, 느티나무, 은행나무, 배롱나무 등 전통공간에서 애용되었던 수종들이 주로 식재되어 있으나 각 공간의 성격을 고려할 때, 광한루 일대를 제외한 광한루원 경내의 수목 식재는 전통공간의 성격과는 무관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문헌이나 문학작품 등에서 나타나는 광한루원의 수목식재 관련 기록을 살펴본 결과, 현재 광한루원 내에 식재된 수종 중 버드나무류, 배롱나무, 대나무(이대), 연꽃만이 나타나고 있어 고증을 통한 수목정비에는 무리가 따른다. 넷째, 광한루원의 각 권역별 수목정비방안을 모색한 결과, 광한루 권역은 역사적 시대성과 장소성을 지니고 있으며 오늘날 그 모습을 복원해나가고 있어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완월정 권역은 광한루의 건조물군과 유사한 형태로서 자칫 원형으로 오인될 수 있으므로 완충식재를 통한 전이 공간 조성 등 광한루 권역과는 다른 별도의 장소성 확보가 필요하다. 월매집 권역과 잔디광장 권역은 과거 성외 장시이자 대규모의 숲으로서 율림의 상징적 복원과 동시에 경내의 편의시설 및 관리시설의 집적을 통해 성외 장시의 모습을 재현하도록 하며, 완월정 동측 잔디광장은 완월정 권역과 연계하여 활용적 측면에서 현재와 같이 개방된 형태를 유지하는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광한루원 경계 권역은 고증의 측면과 현존요소의 진정성 여부를 살펴보았을 때 전통공간의 장소성과는 연관 짓기 어려운 장소로서 과거 문학작품에서 나타나는 문화경관을 반영하는 것 또한 하나의 정비방안으로 고려할 만하다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draw up measures to planting tree and maintain a landscape in traditional space. Preceding comprehensiv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selected species of trees and tree maintenance. And analysis of present condition of planting in cases of Gwanghalluwon Garden, then draw a maintenance plans of planting through species of trees and landscape of planting recorded in literatu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nalysis of selected species of trees and tree maintenance that traditional space. A dispute about the selection species of trees in traditional space has been continued until today. Because unconditional reject of foreign trees are limited. In this context, should be sublated that hasty blind faith of records and dichotomous preparation plans such as removal of foreign trees and implicitly planting of native plants. Secondly, Planted trees in Gwanghalluwon garden was investigated and found to the species of trees used in traditional space such as Pine(Pinus densiflora S. et Z.), Sawleaf Zelkova(Zelkova serrata), Ginkgo(Ginkgo biloba), Crape Myrtle(Lagerstroemia indica L.). But, present planting irrelevant to traditional space, except Gwanghallu pavilion area from the spatiality. Thirdly, A look at the records or literature that maintenance of planting through historical research are limited. Because literature was recorded Salix spp., Crape Myrtle, Bambusoideae(Pseudosasa japonica), lotus only among planted trees in Gwanghalluwon garden. Fourth, Gwanghallu zone have nature of history and sense of place. And It was going to restore the appearance on historical. Consequently maintenance plan of planting of Gwanghallu zone should be maintain the current state. Wanwol pavillion zone can be recognized as the original form because they look similar to the Gwangallu zone``s building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sense of place different from Gwanghallu zone by buffer planting for composition of transition space. Wolmaejip zone and lawn zone was marketplace in outside of castle and large forest. Accordingly, this area should be symbolic restoration of the Yulrim(.林) and representation of the marketplace in outside of castle through aggregation of facilities and administrative facilities in Gwanghalluwon garden. East lawn of the Wanwol pavilion zone is should be maintained the current state that opened place in terms of using thought linked with the Wanwol pavilion zone. Boundary zone of the Gwanghalluwon garden is difficult to associate in terms of historical research and authenticity. Therefore, application of cultural landscape that appeared in literature is be worth.

      • KCI등재

        광한루원의 경관변화양상에 관한 고찰

        이원호 ( Won Ho Lee ),김동현 ( Dong Hyun Kim ),김재웅 ( Jae Ung Kim ),안혜인 ( Hye In Ahn ),김대열 ( Dae Yeol Kim ),조운연 ( Un Yeon Cho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4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2 No.2

        본 연구는 누원(樓園) 조성의 관점에서 광한루원의 경관변화양상을 파악하고자 관련 문헌을 바탕으로 공간구조 중심의 변화과정을 4시기의 공간변화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현존하지 않거나 기록에서 나타나지 않는 경관요소를 설화나 소설에서 나타나는 상상환경에 도입하여 도식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광한루가 처음으로 조성되는 시기는 광한루(廣寒樓)의 전신인 광통루(廣通樓)가 조성되는 기간으로, 작은 개울을 근경으로 그 일대의 지리산을 원경으로 하는 등 경관이 수려한 장소에 위치하고 있으며, 문헌을 통해 광한루는 광통루의 경관을 그대로 계승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둘째, 광한루가 원(園)의 성격을 가지는 시기는 1582년 이후로. 신선사상이 반영된 이상세계 구현을 위하여 삼신산을 조성하고, 은하수를 상징하는 호수와 오작교를 조성하였다. 셋째, 광한루원이 복구되는 시기는 정유재란 이후부터 일제강점기 기간으로 광한루원의 원형을 회복하는 과정은 매우 부분적으로 진행되어 오랜 시간에 걸쳐 진행되었다. 이 당시 기록에서 나타나는 광한루원은 정유재란 이전의 경관을 계승하여 여전히 선경의 모습에 비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근대에 이르러 광한루는 춘향전의 배경으로 관광지의 성격을 지니게 되었으며, 세 차례에 걸쳐 권역이 확장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다섯째, 광한루원의 각 시기별 변화양상은 광한루를 중심으로 외부로 확장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나, 외부로 확장되는 요소는 관아누각인 광한루원의 진정성과는 무관한 시설이 다수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여섯째, 광한루원 일원의 주요 요소들이 설화와 소설 속에 내재된 상상환경에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당시의 정원문화가 묘사되고 있는 것을 통해 문헌상의 한계로 인해 확인할 수 없었던 광한루원의 문화경관을 추정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comprehend that Gwanghalluwon for aspects of landscape change in terms of construction garden(樓園). Transformation focused on the spatial structure is divided into four periods based on literature. And reflect of landscape elements in defunct or unattributable records from tale and nove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beginning of Gwanghanllu pavilion(廣寒樓) was the composition of the Gwangtongnu Pavilion(廣通樓). The pavilion is located amid beautiful scenery such as the close-range view of a small stream, and distant view Jiri Mountain. Analysis of literature shows that Gwanghallu pavilion was in succession to Gwangtongnu Pavilion`s landscape. Secondly, Gwanghallu(廣寒樓) pavilion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 of the garden since 1582. Built the Samsinsan(三神山), Construct Lake and bridge that represents the galaxy for realization of utopia reflect in Taoist ideology. Thirdly, Gwanghalluwon garden was recovered when from Jeong-yu-jae-ran(丁酉再亂) to the Japanese Ruling Era. It took Gwanghalluwon garden a long while to recover from original form. According to records, Gwanghalluwon garden is still being likened to the landscape of fairyland by inheriting landscape in the previous of Jeong-yu-jae-ran(丁酉再亂). Fourth, By the modern times, Gwanghalluwon Garden has personality of tourist attractions. Until now, the area of the Gwanghalluwon garden has been expended during the processes of three times. Fifth, Aspect of landscape change of Gwanghalluwon is wide-spreading mainly Gwanghallu pavilion. But elements of external expansion in garden by introduced into the facility irrelevant to the authenticity of the garden. Sixth, Comprehension the cultural landscape of the garden are limited by deficient records. But, the main elements in the Gwanghalluwon garden are commonly appeared on imaginary environment within a tale and a novel. In addition, culture of garden at the time was depicted in tale and novel. In this sense, cultural landscape in garden was able to estimate through imaginary environment within novel.

      • KCI등재

        증례 : 소화기; 십이지장 구부에 발생한 심재성 낭종성 장염에서 지방종을 동반한 1예

        이대성 ( Dae Sung Lee ),정해룡 ( Hae Ryong Jeong ),김진옥 ( Jin Ok Kim ),태혜진 ( Hye Jin Tae ),최호순 ( Ho Soon Choi ),안혜인 ( Hye In Ahn ),백승삼 ( Seung Sam Paik ) 대한내과학회 2014 대한내과학회지 Vol.86 No.3

        Enteritis cystica profunda (ECP) is a very rare hyperplastic benign lesion of the small intestine. Histologically, it is characterized by mucin-filled cystic spaces frequently lined by benign epithelium within the submucosa and muscularis propria. ECP occurs much less frequently than gastritis cystica profunda (GCP) or colitis cystica profunda (CCP). It is most often seen in adults with Crohn`s disease, Peutz-Jeghers syndrome, hamartomatous polyp, or congenital anomalies. We encountered a case of ECP (90 × 15 mm) accompanied by an elongated lipoma in the duodenal bulb, in the absence of any other disease. An endoscopic polypectomy proved sufficient for diagnosing and treating the ECP.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ed case of ECP accompanied by a lipoma in the duodenal bulb in the absence of any other intestinal dise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