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립운동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에 관한 연구

        서소리(Seo, Sori),조우제(Jo, U-Je)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23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 No.82

        이 연구의 목적은 독립운동 정보 시스템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이 글에서는 독립기념관에서 운영 중인 <한국독립운동 정보시스템>, <국내 독립운동•국가수호 사적지>, <국외독립운동사적지>,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각각의 시스템은 독립운동에 관한 ‘실물자료’ 및 ‘연구 성과’, ‘독립운동 장소’, ‘독립운동 인물’등 각 분야별 정보를 이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독립운동에 관한 지식의 탐구는 각 분야별 정보를 종합하고 조직하여, 그 역사적 맥락(context)을 찾아 나가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현재 독립운동에 관한 정보 시스템은 각 분야별 지식요소를 매개로 관련 정보로 확장해나갈 수 있는 상호 연계가 구현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독립운동에 관한 지식을 탐구할 수 있는 디지털 공간으로서 ‘독립운동 디지털 아카이브’의 구축을 제안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구현 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독립운동 디지털 아카이브는 복합적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시스템을 ‘다층적’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독립운동 디지털 아카이브의 상세 시스템을 시스템의 목적과 기능에 따라 Archive Layer, Semantic Data Layer, Curation Layer의 논리적 레이어로 구조화하였다. 둘째, 독립운동에 관한 지식의 상호 연계를 구현하기 위해 온톨로지 기반의 시맨틱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독립운동 지식의 관계망’을 구축하였다. 일례로서 이동휘가 안창호에게 보낸 편지 자료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지식의 관계망은 전통적으로 ‘읽고’ 이해하는 대상이었던 독립운동 관련 지식을, ‘보고’ 느끼는 대상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셋째, 독립운동 자료의 스토리텔링을 위해 ‘데이터 큐레이션 콘텐츠’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정보 이용자는 큐레이션 콘텐츠를 통해 각자의 관심사를 좇아 다양한 주제로 정보를 탐색해나갈 수 있으며, 나아가 자료의 맥락을 직접 설계해 나가는 주체자로서 각자의 큐레이션을 할 수 있다. 위에서 제시한 독립운동 디지털 아카이브의 구현은, 현재 독립기념관에서 운영 중인 개별 시스템에 대한 기능 수정이나 보완 차원에서는 구현되기 어렵다. 이보다는 디지털 아카이브의 목적과 역할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공유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독립운동 정보 시스템의 역할과 방향성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정립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to improve the independence movement information system. Specifically, in this article,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formation System,” “Domestic Independence Movement and National Protection Historic Site,” “Foreign Independence Movement Historic Site,” and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Dictionary” operated by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were studied. Each system provides users with information in each field, such as ‘real data’ and ‘research results’, ‘place of independence movement’, and ‘independence movement figures’. However, the search for knowledge about the independence movement can be made through the process of synthesizing and organizing information in each field and finding its historical context. Currently, the information system on the independence movement does not implement an interconnection that can be expanded to related information through knowledge elements in each field. Therefore,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propose the establishment of an “independence movement digital archive” as a digital space where knowledge about the independence movement can be explored, and specific implementation strategies are as follows. First, the independence movement digital archive needs to be configured ‘multi-layered’ to implement complex functions. Accordingly, the detailed system of the independent movement digital archive was structured into a logical layer of Archive Layer, Semantic Data Layer, and Curation Layer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function of the system. Second, in order to realize the interconnection of knowledge about the independence movement, an ontology-based semantic database was used to establish a ‘relationship network of independence movement knowledge’. As an example, Lee Dong-hwi presented the letter data sent to Ahn Chang-ho. This network of knowledge is an attempt to convert knowledge related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which has traditionally been an object of “reading” and understanding, into an object of “seeing” and feeling.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data curation content’ for storytelling of independence movement data. Through curation content, information users can explore information on various topics in accordance with their interests, and furthermore, they can curate themselves as subjects who design the context of the data. The implementation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digital archive presented above is difficult to implement in terms of function modification or supplementation for individual systems currently operated by the Independence Hall. Rather, the sharing of new perceptions of the purpose and role of digital archives should precede. This study was designed to newly establish a perception of the role and direction of the independent movement information system in this sense of problem.

      • KCI등재

        한중교류 척독의 시각화 방안 시론

        구지현,서소 열상고전연구회 2016 열상고전연구 Vol.50 No.-

        본 논문은 한중교류 척독 자료의 시각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이다. 조선시대 조선인과 중국인 사이의 척독 교환은 주로 연행(燕行)을 통해 이루어졌고, 후대 임오군란이 계기가 된 바 있다. 여기에서 교류척독은 편지글과 함께 서로에게 증여한 모든 형태의 문장과 창화시로 된 척독까지 포함된다. 척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편지라는 텍스트를 이해하는 데 요구되는 수신자, 발신자, 수발신자의 맥락, 수발신자가 공유한 코드에 관한 정보와 함께, 수집자에 의해 척독이 수집‧편집된 맥락에 관한 정보를 유기적으로 파악해야만 한다. 더욱이 한중 교류 척독은 두 나라 사이에 오고간 자료이기 때문에 척독 연구의 메커니즘을 한층 복잡하게 만든다. 이러한 척독의 특성을 고려하여 한중교류 척독 시각화는 크게 두 가지 맥락에서 구현될 수 있다. 첫 번째는 한중교류 척독 정보의 관계망을 시각화하는 것이다. 척독 정보 요소들 간의 관계를 명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의미망을 시각적으로 구현함으로써 척독 정보에 관한 종합적인 이해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두 번째는 한중 지식인의 교류 양상을 분석할 수 있는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것이다. 인물 네트워크 데이터, 척독 교류의 공간 정보 데이터, 지식인의 문헌 교류 데이터 등을 시각적으로 구현함으로써 한중 지식인의 교류 분석을 위한 토대 자료가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is a study to present measures on visualizing letters exchanged between Korea and China. Letters exchanged between Koreans in the Chosŏn period and Chinese were mostly done through emissaries to Beijing, and later the Imo Military Uprising of 1882. The letters exchanged include personal letters as well as those composed in various kinds of writing styles and poems. In order to fundamentally understand the text of letters, the sender, recipient, the context of the sender and recipient, the information on the code shared between them, and organically grasp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xt of edited and compiled letters between the sender and recipient. Moreover, as the letters were exchanged between two countries, it adds another layer of complexity in the mechanism of studying these letters. In considering their characteristics, visualizing Korean-Chinese letter exchange can be done in two contexts. The first is visualizing the information network of Korean-Chinese exchanged letters. Visually realizing a semantic network can clearly identify elements of information between relationships of letters, making possibl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on these letters. The second is visualizing data that can be used to analyze the exchange between Korean and Chinese intellectuals. Visualizing personal network data, data on spatial information of exchanged letters, and data on the works exchanged by intellectuals will furnish a foundation for analyzing exchange between Korean and Chinese intellectuals.

      • KCI등재

        용인학과 스토리텔링

        임영상(Yim, Young Sang),서소리(Seo, Sori) 인문콘텐츠학회 2015 인문콘텐츠 Vol.0 No.36

        국내의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한 지역학 연구가 본격화 된 것은 1993년 서울학연구소의 설립 이후이다. 그러나 도시의 특성을 반영하는 한편 지역의 정체성 확보라는 차원에서 지역의 대학생들에게 지역의 명칭을 딴 교양과목이 개설된 것은 2009년 천안학이 처음이다. 이후 국내의 지역학 연구는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게 되었다. 기존의 지역학들이 연구에 초점을 두었다면, 2009년 처음 대학의 교양과목으로 개설된 ‘천안학’은 주로 지역의 커뮤니티 주체와 소통이란 측면을 더 중요시한 특징이 있다. 2010년부터 시작해온 한국외대의 용인학 강의도 연구로서의 용인학보다 소통으로서의 용인학에 역점을 두었다. 먼저, 이 글은 용인학 주관교수인 제1저자가 ‘용인학’ 강의에서 스토리텔링-용인사회문화구술총서 간행과 용인문화원 스토리텔링 공모전 주관-을 통해 지역사회와 소통해온 바를 소개하고자 했다. 이어서 ‘디지털 인문학’의 중요성을 고려, 한국외대의 2014년 겨울계절학기 <문화테크놀로지개론> 팀티칭 강의에 도우미로 참여한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정보학 박사과정 학생(제2 저자)이 수강생들의 『용인신문』 기사 활용을 통한 ‘용인중앙시장 지식맵(Knowledge Map) 구축’을 지도한 바를 적었다. ‘디지털인문학’이 학문적인 수준을 제고시킴과 동시에 ‘스토리텔링의 자원화’를 제공함으로써 그 연구 성과를 일반대중이 쉽게 활용하게 해줄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Korea’s regional studies that focus on cities and regions began in 1993 upon establishment of the Institute of Seoul Studies in the University of Seoul. But it was in 2009 when “Study of Cheonan”, an elective class that used the name of a region as a course title was opened. It was the first undergraduate course that reflected characteristic of the city and secured its regional identity within its title. That was the turning point in regional studies in Korea. If previous studies in regional studies focused on research, ‘Study of Cheonan” focused more on regional community itself and communication aspects. The ‘Study of Yongin,’ a course that started in 2010 i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also stresses on communication aspects rather than research. In this study, the main instructor of the “Study of Yongin” course who is also the first author of the paper explains about the ways in which Yongin has been communicating with the local community by discussing the publication of Collection of Oral Statements: Storytelling-Yongin Community Culture, and Yongin Cultural Center’s Storytelling contests. Then, the second author, who was the teaching assistant of Cultural Technology course, discusses about the ways in which undergraduates used Yongin Newspaper articles to construct Knowledge map of Yongin Central Market (the 2nd author is a Ph.D student in Cultural Informatics a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Digital Humanities’ boasts academic standards and by providing ‘storytelling as resources,’ the result of researches will become easier for the general public to utiliz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