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기차(EV) 시장, 승자는 누가 될 것인가? 자동차사-배터리 제조사-소재사들의 주도권 경쟁과 시사점

        우정헌,이상명 한국생산성학회 2023 生産性論集 Vol.37 No.5

        친환경 경제로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전기차 시장도 본격 개화하고 있다. 전기차는 내연기관 자동차와 달리 배터리를 동력원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전기차 시대의 자동차 산업은 기존의 완성차 업체뿐만 아니라 배터리 제조사, 배터리 소재 공급업체 등 보다 확장된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즉, 기존의 자동차 산업과 달리 산업 주도권이 기존완성차 업체에서 다른 밸류체인 플레이어로 이동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존의 자동차 제조업체는 내연기관 시대와 마찬가지로 전기차에서도 산업 리더십을 계속 유지하고자 할 것이다. 그러나 배터리가 자동차의 핵심부품이 되면서 배터리 제조업체들은 전기차 밸류체인에서 더 강력한 입지를 확보하고자 시도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소재 공급업체와 원재료 생산업체 역시 변화된 산업구조 하에서 보다 강한 협상력을 행사하고자 할 수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자동차 산업의 변화에 있어 완성차 업체, 배터리 업체, 배터리 소재 및 원재료 공급업체 간협력과 경쟁의 변화를 살펴보고, 나아가 향후 산업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밸류체인 플레이어들간 경쟁과 협력이비즈니스의 역학 구도를 어떻게 변화시켜 나갈지 분석해 보고자 한다. With the transition to an Green-Economy, the era of electric vehicles is started. Unlike internal combustion engine cars, the power source of EVs is battery. Therefore, the automobile industry in the EV era needs to be approached from a more expanded perspective, including not only automakers, but also battery manufacturers and battery material suppliers. This means that unlike the traditional automotive industry, the industrial leadership can move from traditional automakers to another value chain players. In these situation, Automakers will continue to maintain their industrial leadership in EVs, likewise as in conventional internal combustion era. However battery manufacturers will try to acquire more powerful position in EV Value-chain. Also battery materials suppliers and raw material producers, which are also important in battery manufacturing value-chain, will also seek to increase their bargaining power in the overall industrial structu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cooperation and competition among automobile maker, battery maker and battery material suppliers. And We try to analyze how the competition and cooperation of the players in EV value chain to gain industrial leadership will shape the business dynamics of the future.

      • KCI등재

        Long‑term historical trends in air pollutant emissions in South Korea (2000–2018)

        우정헌,김진석,박준희,허혜정,Monica Crippa,Diego Guizzardi,Satoru Chatani,Junichi Kurokawa,Tazuko Morikawa,여소영,진형아 한국대기환경학회 2023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AJAE) Vol.17 No.1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previous air quality improvement policies on historical emission changes by examining long-term emission trends in Korea. Annual emissions from 2000 to 2018 were estimated using Korea’s official emissions inventory, the Clean Air Policy Support System (CAPSS). To ensure a consistent comparison, standardization of the method for calculating emissions and unification of the reported emission sectors were conducted each year. Furthermore, Korea’s emissions history was compared with that of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China and Japan. The annual emissions of these countries were acquired from the HTAPv3 emissions inventory, an international long-term emission trend study. For comparison, the emission source classification of Korea was matched with that of HTAPv3. As a result of the analysis, NOx and SOx emissions in Korea have shown decreasing trends, whereas 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 have indicated a gradual increasing trend since 2000.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of implementing South Korea’s air quality improvement policy, changes in NOx and SOx emissions, which are combustion-related pollutants, showed a relationship with the policy’s timeline. However, noncombustion- related pollutants such as VOCs did not exhibit such a relationship. It was concluded that the related policies were not as effective in reducing VOCs as planned in the policy. By comparing the emission trends of Japan, Korea, and China, it was confirmed that Japan was the first country to experience a decrease in combustion-related pollutants emissions, followed by Korea and China. Additionally, combustion-related pollutants decreased in all three countries, whereas VOCs decreased only in Japan. VOC is a precursor material generating secondary PM2.5 and Ozone; considering that, if relevant policies are additionally implemented to control future PM2.5 concentrations, and to reduce emissions efficiently and effectively, Japan’s VOC reduction policies can be applied to Korea’s emission reduction policies.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serve as important references when establishing future air quality improvement policies in Korea.

      • 핵심역량에 대한 오해 바로잡기

        우정헌 포스코경영연구원 2017 POSRI 이슈리포트 Vol.2017 No.6

        ○ 4차 산업혁명 등 전통적 산업구조의 지각변동이 진행 중인 현 시점에도 한 기업이 오랜 시간 형성해온 `핵심역량`은 여전히 성공의 열쇠 - 인수합병을 통해 변화에 대응하려는 움직임도 있지만, 현 상황과 같이 비즈니스 변동성이 높을 때에는 오히려 리스크가 가중될 수 있음 - 이러한 급변적 시기에는 무엇보다 차별화된 고객가치 창출이 가장 중요한데, 이는 자사민의 핵심역량을 기반으로 할 때 가능하기 때문 ○ 과거와 현재를 막론하고 여러 사례를 통틀어 볼 때, 성공한 기업은 자사의 핵심역량을 기반으로 차별화에 성공하였음 - Honda는 핵심역량인 Power Technology를 통해 차별적 제품을 생산/판매하기 위한 경영관리 체제를 구축해 왔음 - 최근 4차 산업혁명을 리드하고 있는 GE, Amazon 등은 자사가 가장 잘하는 영역에 스마트 기술을 더해 차별적 경쟁력을 높여 나가고 있음 ○ 본고에서는 기업들이 핵심역량을 활용하여 미래 비즈니스 환경변화에 잘 대응하도록 도움을 주고자 핵심역량에 대해 가지고 있는 몇 가지 오해들을 소개하고자 함 1. 핵심역량을 지나치게 넓게 또는 극도로 좁게 정의하고 있지 않은가? ☞ 너무 넓을 경우 아이디어의 남발로, 너무 좁게 보면 사고의 경직으로 귀결 2. 핵심역량을 보유하면 저절로 성과가 난다고 믿고 있지 않은가? ☞ 시장은 늘 변화하기 때문에 핵심역량을 통한 차별화를 항상 고민해야 함 3. 전혀 관련 없는 영역에도 핵심역량을 꼭 활용해야 한다고 오해하고 있지 않은가? ☞ 가장 중요한 것은 핵심역량의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판단기준으로 활용하는 것 ○ 핵심역량을 고객관점에서 다시 정의해 보고 기존사업 경쟁력 향상에 활용하는 한편, 신사업 발굴 시 차별화된 비즈니스 모델 개발에 활용 필요 - 각 사업 수준(Business Unit)별로 고객과 시장의 입장에서 핵심역량을 재정의. 실제 고객이 경쟁사를 두고 우리에게 돈을 지불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고민 - 핵심역량을 토대로 제품화, 서비스 전략 등 고유 비즈니스 모델의 차별화에 주력 - 신사업 탐색 시, 사업의 매력도뿐 아니라 핵심역량을 활용해 경쟁기업 대비 차별화된 비즈니스 모델 창출 가능성을 집중 검토할 필요

      • 철강 생태계 강건성 측정을 위한 접근방법 모색

        우정헌,정이선 포스코경영연구원 2019 POSRI 이슈리포트 Vol.2019 No.4

        ○ 수요침체와 설비과잉에도 불구 업체간 과당 경쟁, 수입재 유입 지속 등 철강 생태계의 취약성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음 - 수요산업 침체와 소재가격 상승으로 하공정밀이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장기화될 경우 상공정 또한 타격에 노출될 수 있음 - 이에 따라 철강 생태계 강건화가 시급한 과제로 부상 - 또한 이미 성숙기로 접어드는 철강산업의 생태계 강건성 유지는 업계 차원에서 보면 내수시장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과제 ○ 생태계의 강건성이란 기업간 네트워크의 ①생산성, 외부 충격에 대한 ②견고성, 그리고 가치증대를 위한 생태계의 ③혁신성을 의미함 - 비즈니스 복잡성이 증가할수록 생태계 경쟁력에 따라 기업성과가 달라질 수 있음 - 학계/연구기관들을 중심으로 개발된 타 분야 생태계 강건성 측정지표 사례를 검토하고 철강산업의 특성을 반영해 강건성 측정지표를 수정해 활용하고자 함 ○ 철강의 중간재 특징, 진입/퇴출의 경직성, 산업 성숙도를 감안해 철강 생태계 강건성 측정 지표를 도출 - 주로 매출성장률로 측정되는 생산성은 중간재 성격을 감안하여 업종별 부가가치를 적용(총요소생산성, 인당 부가가치, 총자본투자효율) - 견고성은 사업체 생존율 등으로 측정하나 퇴출장벽이 높은 철강산업 특성을 반영하여 주요 소재 가격변동에 따른 세부업종별 수익변동성을 측정 - 혁신성은 산업 성숙도를 고려, 업계 내 신규창업보다는 철강기술 R&D, 수요산업 공동 제품개발, 철강전문서비스 만족도 등 활용 - 실제 적용을 위해서는 정량지표의 활용가능성 및 정성요인 측정을 위한 설문개발과 함께 측정결과 활용목적에 따른 지수화 방안 모색 필요 ○ 철강 생태계 강건성 측정은 생태계 관련 정책개발과 정책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진단 Tool로서 활용 가능 - 구체적 정책목표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데이터의 시계열화 누적이 되면 도입된 정책의 실행 효과성 측정에도 활용 가능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