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문학과 문화콘텐츠

        김기덕(Kim, Ki-Duk) 인문콘텐츠학회 2014 인문콘텐츠 Vol.0 No.32

        본 글은 인문학과 문화콘텐츠와의 관련성을 심층 고찰함으로써, ‘인문콘텐츠학회’의 정체성을 모색해 본 것이다. 특히 기획특집으로 수록된 <문화콘텐츠, 융합교육의 현재와 미래>와 관련하여, 대학에서 문화콘텐츠학과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를 검토한 것이다. 먼저 융합교육이라고 할 때에 흔히 기술융합만을 생각하는 측면을 재검토할 것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는 문화콘텐츠 관련 교육에 있어서는 무엇보다 인문학이 결합된 문화콘텐츠 창출의 전형을 제시해줄 필요가 있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특히 그 방법에 있어서는 OSMU의 모범사례를 명확히 제시해 주어야 한다고 보았다. 현재 문화콘텐츠분야는 인문학을 바탕으로 문화콘텐츠분야와의 연결고리를 정립하는 과제와 문화콘텐츠산업의 발전과 트렌드를 잘 이해해야 하는 이중의 과제를 안고 있다. 그런데 인문콘텐츠학회가 출범한 10년 전과는 달리, 지금은 교과과정 및 수업론이 현저하게 후자에 치우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자의 과제는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는데, 그렇게 된다면 인문콘텐츠의 정체성을 상실할 우려가 있을 것이다. 본 글은 그와 같은 우려에서 담론 위주로 인문콘텐츠학회의 정체성의 문제를 문화콘텐츠학과의 인문학 교육을 중심으로 제기하여 보았다. 끝으로 이러한 논의와 관련하여 한국연구재단 융복합 분류표를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 다시 한 번 인문학 바탕의 문화콘텐츠 논리 개발 및 수업론 정립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consider the identify of the ‘Korean Humanities Contents Society’ by making an in-depth investigation of the association between humanities and cultural contents. Especially, it attempted to examine how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fo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cultural contents in college in relation to the <present situation of cultural contents education>. First, it presented the need to reexamine the aspect that Convergence education might remind us only of technology. Next, it argued that there might be a need to present the model for creation of cultural contents combined with humanities among other things in relation to the education related to cultural contents. Especially it argued the need to present the model example of OSMU in terms of its method. Currently, the field of cultural contents contains both the task of establishing the link of connecting it with humanities and the task of having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and trend of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But the problem is that unlike the situation when the Korean Humanities Contents Society was launched 10 years ago, the curriculum and teaching theory of cultural contents currently concentrate remarkably on the latter. Accordingly, the task of the former is relatively negligently treated, which may lead to the loss of identity of humanities contents. Finally,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table of fusion and combination presen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in relation to it and consequently emphasized the need to develop the humanities-based cultural contents logics and establish the teaching method.

      • KCI등재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인문콘텐츠 분야의 의미연결망 분석

        황동열(Hwang, Dong-Ryul),황고은(Hwang, Go-Eun) 인문콘텐츠학회 2016 인문콘텐츠 Vol.0 No.43

        이 연구는 인문콘텐츠학회지가 발간되고 13년이 흐른 현 시점에서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해 인문콘텐츠 분야에 대한 의미와 역할의 변화 과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3년 창간호부터 2015년까지 발간된 인문콘텐츠학회 논문의 초록을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R프로그램의 다양한 패키지를 활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텍스트 분석과 시각화를 도출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문콘텐츠 분야는 ‘문화 콘텐츠’와 관련한 연구를 다방면으로 실시하였다. ‘문화 콘텐츠’를 근간으로 ‘산업, 미디어, 스토리텔링, 디지털’ 등에 관련한 연구들이 꾸준히 시도되었다. 둘째, 인문콘텐츠 분야의 의미와 역할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주목할 만한 변화를 보였다. 인문콘텐츠학회 연구들은 ‘문화’, ‘콘텐츠’를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초기 연구들은 ‘문화 원형’과 ‘한류’ 등에 관련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문화 콘텐츠’에 대한 산업적인 측면인 ‘경제’, ‘정책’ 등과 관련한 연구들이 성장세를 보였다. 또한 ‘문화 기술’과 관련한 주제들이 급부상하여 ‘디지털’, ‘스마트’ 등과 연계된 연구들이 눈에 띄게 나타났다. 이는 인터넷, 모바일,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이 발달하고 정보 기술이 발전하여 디지털 콘텐츠의 수요가 급증하였기 때문이고, 앞으로 ‘문화 산업’, ‘문화 기술’과 관련된 연구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인문콘텐츠학회의 연구 주제들이 점차 확장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초기 연구에서는 매개 중심성 값이 존재하지 않았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값이 발생하였다. 매개중심성의 발생은 다른 단어와 조합되어 새로운 연구 주제로 재생산되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융합’, ‘경제’, ‘정책’, ‘교육’, ‘도시’ 등이 이에 해당하며, 앞으로 인문콘텐츠 분야 연구에서 ‘문화’, ‘콘텐츠’와 연계되어 주요하게 의미 확장의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향후 인문콘텐츠 분야 연구들은 시대상에 맞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함께 지속적인 논의가 이뤄질 것이며, 다양한 영역, 다학제간 융 · 복합적 연구 성과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investigate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to understand the of Humanities Contents and (2) to examine the degree to which words, word clusters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semantic map within the Humanities Contents. Toward this goal, we performed semantic network analysis on a total of 39 volumes of the Human Contents of Association, which were published between 2003 and 2015. The total number of papers included in the current study were 510 with 53, 983 words. The word appeared in Title analyzed the semantic network by using the R program of Big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appeared significant change in the intellectual network of Humanities Contents studies. The words and relationship networks in accordance with the periodic step was changing. There was notable paradigm shift in Humanities Contents. Second, only a few top words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semantic map within the Human Contents Association studies for the past 13 years. Those words with high degree centrality included: ‘culture’, ‘contents’, ‘industry’, ‘digital’, ‘media’, ‘storytelling’. Words with betweenness centrality were very variety. As time goes by, It increased more and more. Semantic network analysis result, research in early studies was simple. To Latter increasingly complex and studies have been gradually embodied.

      • KCI우수등재

        인문콘텐츠의 확장을 위한 인공지능인문학 시론(試論)

        이유미(Yi, Yu-Mi) 인문콘텐츠학회 2020 인문콘텐츠 Vol.0 No.56

        이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 시대라 일컬어지는 인공지능 시대에 새로운 인문학의 한 영역으로 정의하는 인공지능인문학이란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있다. 또한, 기술의 발달과 함께 발전한 인문학의 새로운 학문 영역인 인공지능인문학은 인문콘텐츠와 어떤 관계에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인문콘텐츠가 무엇인지 이해할 필요가 있다. 20년 가까이 발전해 온 인문콘텐츠를 이해하기 위해 콘텐츠, 문화콘텐츠, 인문콘텐츠를 키워드로 발간된 논문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인문콘텐츠의 정의를 확인하였다. 인문학 본연의 정신을 기술에 담아 새로운 형태의 인문학을 정의해 내고자 노력한 학문인 인문콘텐츠의 관점에서, 인공지능인문학은 인간이란 무엇인가를 고민하는 인문학이 기술의 발전과 함께 방법론적 변화를 통해 나타난 학문 영역인 문화콘텐츠와 인문콘텐츠의 확장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인공지능인문학의 분야로는 인공지능 관계 · 소통학, 인공지능 데이터 해석학, 인공지능 기술 · 비평학, 인공지능 윤리 · 규범학, 인공지능 사회 · 문화학이 있다. 이들 학문은 결국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와 활용을 통해 인공지능 시대를 이해하고 진단하며, 미래를 예측한다는 점에서 AI 리터러시의 특징을 갖는다 하겠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artificial intelligence (AI) humanities, which is a novel field defined as the humanities in the era of AI, or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addition, the curr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ities contents and AI humanities, which is a new discipline of humanities in the context of technological advances. AI humanities is seen as the expansion of the humanities-a set of disciplines that explores the human nature-in terms of cultural and humanities contents through the academic disciplines created through changes in methodologies. The field of AI humanities includes AI relations and communication, AI data analysis, AI technology criticism, AI ethics and norms, and AI sociology and culture studies. These academic fields fall within the realm of AI literacy, and they aim to understand and diagnose the era of AI, in addition to predicting the future, by studying and utilizing AI.

      • KCI등재

        문화콘텐츠의 등장과 인문학의 역할

        김기덕(Kim, Ki-Duk) 인문콘텐츠학회 2013 인문콘텐츠 Vol.0 No.28

        본 글은 인문콘텐츠학회 10주년을 맞이하여 몇 가지 쟁점을 시대변화와 결부하여 제시하여 본 것이다. 먼저 디지털혁명이라는 시대변화와 문화콘텐츠의 등장을 필자 나름대로 해석해 보았다. 그리고 인문학의 위기라는 담론에서 문화콘텐츠에 주목한 과정을 제시하였다. 둘째, 인문콘텐츠학회의 성립과정을 기술해 보았다. 이것은 학회 10주년의 기록이라는 의미도 갖고 있으므로, 實名과 함께 당시 사정을 서술하였다. 셋째, 콘텐츠, 문화콘텐츠, CT, 인문콘텐츠의 개념을 검토해 보았다. 용어는 현상으로 붙인다는 관점에서 콘텐츠를 내용물, 문화콘텐츠를 문화적 내용물로 일단 이해한 후에 좀더 의미를 부여하여 이해한다고 해도 전혀 문제될 것이 없음을 밝혔다. 넷째, 인문학 전반과 문화콘텐츠학과의 관련성을 제시해 보았다. 아마도 이 부분은 가장 논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필자의 주된 요지는 기존 인문학 계열의 학과들은 필요한 경우 콘텐츠 교과목을 보완하던가 문화콘텐츠 연계전공을 병행한다면 전부 범(凡)문화콘텐츠학과화(化)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반면 기존의 문화콘텐츠학과는 전부 인문콘텐츠학과로 시작하였지만, 원칙적으로 융합과 종합을 목표로 하는 학과를 지향해야 한다는 점을 밝혔다. 다섯째, 문화콘텐츠학과의 교육방향을 4가지 제시해 보았다. 인문정보학에 대한 재검토, 역(逆)추적의 인문학 시도, 전문기획자와의 협업, 융합 시도의 강조 등이 그것이다. 끝으로 문화콘텐츠의 덕목을 공론(公論)에 입각한 열린 사고와 쌍방향적 인식을 체득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이 점은 교육에도 적용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There are five points tackled with in this article. First, the new social phenomena called the digital revolution, and the emergence of the Cultural Contents, are examined as a ‘social change motivator.’ Second, the foundation of the ‘Humanities Contents Society’ is chronicled. Third, the concept of ‘contents’ is discussed in comprehensive terms. Fourth, the overall relationship between Humanities studies and the Department of Cultural Contents is examined here as well. The primary argument of this article is that the existing Humanities Departments should add contents classes to their curricula, or affiliate curricula with other Cultural content programs. And in the meantime, the existing Department of Cultural Contents, which mostly began as Humanities Contents Departments, should endeavor to include convergence and comprehensiveness in their curricula. Fifth, the direction of education that should be taken by Cultural Contents Departments are presented. 4 directions can be discussed. Reexamination of the Humanities/Information studies, Humanities studies aiming backward, cooperation with professional planners, and emphasis put upon cohesion and convergence. And finally, the values behind Cultural Contents should be learned. Public consensus and communicative methods should be acquired.

      • KCI등재

        창조적 문화와 문화콘텐츠의 창발을 위한 인문학적 기반 연구

        김동윤(Kim Dong-Yoon) 인문콘텐츠학회 2010 인문콘텐츠 Vol.0 No.19

        이 글은 창조적인 문화콘텐츠의 개발을 위한 문화적 기반과 조건에 대한 인문학적연구이다. 본고는 시대적 요청에 따라 태동한 신생 ‘문화콘텐츠학’이 본격적인 학문으로 통합적 체계성을 갖추는데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인문적 사유 기반과 교육적비전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문화 콘텐츠학은 학제적 학문으로서 분과학문의 체계를 넘어서 다양한 학문들 간의 관계를 이어주고 그 경계에서 창조적인 에피스테메를 구성한다. 21세기 신문명은 분과적인 학문들 간의 벽을 허물고 이들을 횡단적으로 관통하는 새로운 ‘콘셉트’와 철학을 창발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문화콘텐츠 연구와 교육은 융합학제적 인문학을 바탕으로 문화 예술, 문화산업을 맥락적으로 연결시키는 작업이 될 것이다. 오늘날 문화는 디지털 테크놀러지와 정보 통신 혁명으로 인한 글로벌화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TV 드라마, 음반, 게임, 영화, 캐릭터, 만화, 애니메이션 등 이른바 문화콘텐츠는 산업적으로 큰 수요를 유발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와 교육, 그리고 학문적 기반 구축이 요구된다. ‘문화 콘텐츠’ 연구는 기존 분과학문들과 달리 창조(creativity)와 혁신(innovation)으로 여러 학문분야를 통합하면서 하나의 원천지식(원 소스)을 다양한 쓰임새(멀티 유시즈)로 활용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풍부한 원천지식으로부터 길어올린 창의성과 그로부터 형성된 문화적 기반이 고품질의 콘텐츠 창출의 기반 조건이기 때문이다. 손 안의 인터넷인 스마트폰의 급속한 보급과 각종 소셜미디어(페이스북, 트위터, 블로그 등)의 발달로 인해 문화콘텐츠에 대한 시장의 요구는 더욱 커지고 있다. 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현상이 로컬의 차원이 아니라 글로벌의 차원에서 이뤄지고 있다는 점이다. 과거에는 문화가 문화상품의 원천이었다면, 오늘날 시대는 테크놀러지 기반의 문화콘텐츠가 새로운 문화환경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이것은 ICT 혁명으로 가능해진 것이다. 첨단 IT 기제와 커뮤니케이션 확산의 큰 흐름 기저에서 주목해야 할 것은 매가트랜드를 구성하는 시대정신과 문화적 감성의 패러다임 변화이다. 21세기 문명 자체가 문화 예술적 감성을 중시여기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는 것이다. 시대정신과에토스(ethos)는 혼종성, 감성, 공감(empathy), 심미성, 다양성, 공동체적 유대감으로 정의된다. 이것은 도구적 합리성, 포드시스템, 맥도날드 세계화로 대변되는 메마르고 비인간적인 산업사회가 배제했던 인간과 사회의 정서적, 심미적, 정신적 가치인 것이다. 이러한 문명사적 패러다임의 심층적 변화로 인해, 우리는 종래까지 근대적 학문기반의 인식론(에피스테메)과 인문사회의 모든 분야를 총체적으로 점검하고 담론을 재구성해야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 이미 서구 근대학문(인문사회학과 연관분야)의 근간은 후기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던 해체 담론에 의해 학문적 기반과 정당성이 크게 흔들인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20세기 후반 거대담론의 후퇴 이후 삶의 세계를 일상성 문화로 재구성하려는 움직임과 동시에 급부상한 문화산업으로 인해 이른바 ‘문화적 전회’(Cultural turn) 현상이 목도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중심 논의는 문화와 콘텐츠를 인문학(the Humanities)과 절합하는 동시에 보다 견실한 연구와 교육기반을 모색하는 일이다. 이를 위해 통찰과창의성을 특징으로 하는 학제적 성격의 융합인문학(cross-fertilized humanities)의 관점에서 문화와 문화콘텐츠를 접근이 필요하다. 논의의 핵심은 창의적 문화와 문화콘텐츠의 연구의 학문적 기반을 보다 공고히 하기 위해 인문학에서 가치와 인간적 차원(human dimension)을 잘 어울리는 일이다. 인간이 문화를 만들어 내고 문화콘텐츠를 창발한다면 인간의 본질적인 다양한 차원이 핵심적인 요소임을 부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문화콘텐츠 연구가 산업과 경제의 논리에 봉사했다면 미래의 ‘문화콘텐츠 2.0’은 학제적인 동시에 보다 튼실한 인문적 기반위에 서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산업적이고 상업적 뉘앙스와 울림이 강한 ‘콘텐츠’를 인문과 문화의 중심에 위치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문화콘텐츠 연구가 진정한 의미의 ‘인문콘텐츠’ 연구로 정립 될 경우에 가능한 것이다. 인문정신을 바탕으로 한 문화콘텐츠학이 단순한 문화산업의 ‘시녀’가 아닌 융합학문으로서 자리잡기 위해서는 문명사적 아젠다를 학문적, 교육적 의제로 삼아야 한다. 예컨대 환경위기와 기후변화, 인간적 차원, 초월적 차원의 소멸, 정보통신 혁명 등 전지구적이고 동시에 국지적인 문제를 아우르는 동시에 인간적 차원에서 귀중한 인문적 가치와 문화적 자산 등을 통찰하고 모색하는 과정에서 그 방향을 찾아야 할 것이다. 이것은 지금까지 역사 문화재 원형복원이나 한국적인 테제에 머물렀던 문화콘텐츠를 동북아 지역의 교류와 협력은 물론 글로벌이라는 보다 보편적인 세계로 열리는 계기가 될 것이다.

      • KCI우수등재

        인문학에서 인문콘텐츠학으로의 확장: 문화콘텐츠학 1세대의 논의를 중심으로

        신광철 인문콘텐츠학회 2022 인문콘텐츠 Vol.- No.64

        Cultural content studies occupy a unique position in Korean academia. Cultural content studies has a history of almost simultaneously launching conferences and departments. Academic societies and departments were established by existing humanities scholars who discovered the importance and possibility of cultural content phenomena. The first generation of cultural content studies were humanities scholars represented by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Ahead of the 2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Humanities Contents Society, it will be meaningful to reflect on the legacy left by the first generation of cultural content studies. In order to reflect on the legacy of first-generation cultural content scholars, I reflected on the academic work of Park Sang-cheon of literature, Kim Ki-deok of history, and Lee Ki-sang of philosophy. This study explored themes such as recognition of the background and context of their cultural contents phenomenon, definition of cultural contents concept, and composition and prospects of cultural content studies. Each of them extended the perspectives of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to expand from the humanities to the humanities content studies. The flow of cultural content studies as a complex science proposed by Park Sang-cheon, cultural content studies as a humanities convergence science by Kim Ki-duk, and cultural content studies as an integration science by Lee Ki-sang each have their own characteristics,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from the humanities branch of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한국 학계에서 문화콘텐츠학은 독특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문화콘텐츠학은 학회와 학과가 거의 동시에 출범한 역사를 지니고 있다. 문화콘텐츠 현상의 중요성과 가능성을 발견한 기존 인문학자들에 의해 학회와 학과가 세워졌다. 문화콘텐츠학 1세대는 문학, 사학, 철학으로 대표되는 인문학자들이었다. 인문콘텐츠학회 설립 20주년을 앞두고 있는 지금, 문화콘텐츠학 1세대가 남긴 유산을 되새기는 작업은 의미 있는 일이 될 것이다. 1세대 문화콘텐츠학자들의 유산에 대한 성찰을 위해, 문학의 박상천, 사학의 김기덕, 철학의 이기상 선생(先生)의 학문적 작업을 반추해 보았다. 금번의 연구에서는 이들의 문화콘텐츠 현상의 배경 및 맥락에 대한 인식, 문화콘텐츠 개념 정의, 문화콘텐츠학의 구성과 전망 등의 주제를 천착해 보았다. 이들은 각각 문학, 사학, 철학의 관점을 연장하여 인문학에서 인문콘텐츠학으로의 확장을 도모하였다. 박상천이 제기한 복합학으로서의 문화콘텐츠학, 김기덕이 제기한 인문융합학으로서의 문화콘텐츠학, 이기상이 제기한 통합학으로서의 문화콘텐츠학의 흐름은 각각 나름의 특징을 지녔으며, 그 특징은 문학, 사학, 철학이라는 인문학의 분과 학문으로부터 비롯된 것이었다.

      • KCI등재

        디지털 인문학

        김현(Kim, Hyeon) 인문콘텐츠학회 2013 인문콘텐츠 Vol.0 No.29

        인문콘텐츠학계와 전통적인 인문학계가 공동으로 관심으로 가져야 할 과제로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의 가능성에 주목해 볼 것을 제안한다. 디지털 인문학이란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의 도움을 받아 새로운 방식으로 수행하는 인문학 연구와 교육, 그리고 이와 관계된 창조적인 저작활동을 지칭하는 말이다. 이것은 전통적인 인문학의 주제를 계승하면서 연구 방법면에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연구, 그리고 예전에는 가능하지 않았지만 컴퓨터를 사용함으로써 시도할 수 있게 된 새로운 성격의 인문학 연구를 포함한다. 순수 인문학의 입장에서 보면 디지털 인문학은 인문지식의 사회적 확산을 돕는 길이고, 인문콘텐츠학의 입장에서 보면 그것은 문화산업에 응용할 방대한 인문학 지식을 가장 효과적으로 획득하는 방법을 마련하는 일이다. 미국과 유럽, 심지어는 가까운 일본과 대만의 상황을 보더라도 디지털 인문학의 육성은 범인문학계(인문학+인문콘텐츠학)의 자연스러운 발전 궤도상에 있는 과제이다. 인문콘텐츠학이 디지털 인문학을 수용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은 문화콘텐츠학과에서 배출하는 인력의 일부를 인문정보기술의 운용 능력을 갖춘 지식코디네이터로 육성하는 일이다. 이들은 인문지식에 대한 기본적인 소양뿐 아니라 그곳에서 생산되는 지식을 디지털 콘텐츠로 조직화하는 정보 처리 능력을 갖추고 있는 사람들이다. 디지털 인문학의 전문 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우리나라 현실에서 대학마다 독립적으로 이 분야의 정규 교과 과정을 운영하기는 힘들다. 하지만 학회 차원에서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개방적인 교육 기회를 마련한다면, 소수의 교수 인력만 가지고도 다수에게 그 지식을 전달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will argue that a cooperation is necessary between the fields of humanities contents and traditional humanities in exploring the potential of digital humanities. Digital humanities refers to all new types of humanities research, education, and creative projects enabled by information technology. The definition is not limited to studies of traditional humanities topics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as a research method; but it also includes completely new forms of humanities research realized by the use of computers. Digital humanities can be beneficial to both humanities and cultural contents. For the traditional humanities studies, digital humanities will contribute to a wide dissemination of humanities knowledge in society; for cultural contents, digital humanities will provide the most efficient medium to acquire humanities knowledge for application in the cultural industry. In order for the cultural contents to contain digital humanities, I suggest that education programs of the cultural contents departments should train some of their students in information technology to raise them as humanities knowledge coordinators. These coordinators should be equipped with not only the basic humanities knowledge, but also the information-processing skills to systemize the knowledge into digital contents. In case of Korea, where there is a shortage of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digital humanities, it is difficult for colleges to independently run digital humanities programs. But with open educational opportunities such as Digital Humanities Conference, it will be possible with just a few human resources to distribute knowledge and ideas to a large audience.

      • KCI우수등재

        인문콘텐츠분야 연구의 경향 분석 : 토픽모델링과 의미연결망분석을 중심으로

        황서이(Hwang Se-oI),박정배(Park Jeong-Bae),김문기(Kim, Mun-Ki) 인문콘텐츠학회 2020 인문콘텐츠 Vol.0 No.56

        본 연구는 인문콘텐츠분야에 대한 연구경향을 파악하고자 빅데이터 분석방법인 토픽모델링과 의미연결망분석을 활용하였다. 국내 인문콘텐츠분야의 대표적 학술지인 ‘인문콘텐츠’에 수록된 2003년부터 2018년까지 총 622편의 논문명, 주제어, 초록을 분석대상으로 삼아 학계에 나타난 연구토픽들과 토픽 간의 관계, 그리고 토픽의 추세를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오픈 소프트웨어인 R과 표준 통계 소프트웨어 SPSS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문콘텐츠분야 연구는 ‘문화’, ‘콘텐츠’가 최상위 빈도로 나타났고, ‘문화콘텐츠’, ‘의미’, ‘산업’, ‘개발’, ‘영상’, ‘미디어’, ‘사회’, ‘디지털’ 등의 주요단어가 뒤를 이었다. 둘째, 토픽모델링 분석결과, ‘문화일반’, ‘문화콘텐츠교육’, ‘지역문화’, ‘디지털콘텐츠’, ‘문화교류’, ‘축제/이벤트’, ‘전시/박물관’, ‘게임’ 순으로 총 8개의 연구토픽이 도출되었다. 그 중 인문콘텐츠분야 연구에서 점차 활발히 실시되는 토픽은 ‘지역문화’ 와 ‘문화일반’ 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의미연결망 분석결과, 인문콘텐츠분야 연구는 ‘콘텐츠’를 중심으로 ‘디지털’, ‘문화’, ‘기술’, ‘공간’ 등의 주제어들이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였으며, 6개의 하위구조로 군집화 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고,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 및 융합연구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opic modeling based on Topic Model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humanities contents. This study analyzed ‘Humanities Contents’ which is the representative academic paper in domestic humanities contents field. The subjects of analysis are the title, thesis and abstract of the humanities contents. For the temporal scope, a total of 622 papers were analyzed from 2003 to 2018. The analysis used open software R program and standard statistical software SP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field of humanities content, "culture" and "contents"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Second, Topic modeling analysis revealed eight topics. Finally,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results, key words such as "digital", "culture", "technology", and "space" centered on "contents". And the semantic network structure is clustered into six sub-structur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and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for convergence research is presented.

      • KCI우수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 콘텐츠와 문화콘텐츠

        김기덕 인문콘텐츠학회 2019 인문콘텐츠 Vol.0 No.52

        It can be said that it was around 2000 that the concept of contents and cultural contents emerged in Korean society including the Human Contents of Association. This period was in sync with the atmosphere of the times when digital technology spread on a full scale. The full-scale spread of this digital technology in this period is currently defined as the 3rd industiral revolution. Therefore, the emergence of such terms as contents, cultural contents and human contents and their social utility are closely related to the 3rd industrial revolution. This study attempted to discuss this relatedness from a perspective of the 'media'. That is, the full-scale spread of digital technology understood as the 3rd industrial revolution led to the diffusion of the media as its specific presentation, which is thought to have necessarily resulted in requiring contents contained in the media, and furthermore cultual contents and human contents. This study started by asking a question of 'how contents, cultural contents and human contents emerging in the 3rd industrial revolution will take shape if current technological development can be said to b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is study, the cor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is thought to be the context. Technologies currently presented as the emblem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actually the deepening of digital technology in the 3rd industrial revolution. Accordingly, there are arguments that negate its classification. But technolog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not simply the extension of digital technology but also its intelligence. The core of intelligence consists in collecting and grasping the user's context and assisting in applying it. The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an be the heyday of the contents specialist. If technolog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xtract the user's context, the importance of contents will also be presented in planning cultural contents based on it and the planning of cultural contents will be made even easier. More ardent discussion over the orientation of cultural content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expected to set the direction for cultural contents studies and human contents studies. In addition, the accurat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he core of technogie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expected to make it easier to create contents in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and produce the more abundant outcome. 한국사회에서 콘텐츠, 문화콘텐츠 개념이 출현한 것은 2,000년이었다. 이 시기는 디지털기술이 본격적으로 확산되는 시대분위기와 맞물려 있었다. 이 시기 이러한 디지털기술의 전면적 확산을 현재 3차 산업혁명이라고 규정한다. 필자는 3차 산업혁명의 핵심을 ‘미디어’의 차원에서 정리하여 보았다. 즉 3차 산업혁명으로 이해되는 디지털기술의 전면적 확산은 그 구체적인 표상으로서 미디어의 확산을 가져왔으며, 그 결과 필연적으로 그 미디어에 담기는 콘텐츠, 더 나아가 문화콘텐츠·인문콘텐츠를 요청할 수밖에 없었다고 생각한다. 과연 3차 산업혁명시대에 출현한 콘텐츠, 문화콘텐츠, 인문콘텐츠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서는 어떻게 될 것인가. 필자는 그것을 해명하기 위해 4차 산업혁명 기술의 핵심은 컨텍스트(context)라고 보았다. 현재 4차 산업혁명의 표상으로 제시되는 기술들은 실제로는 3차 산업혁명시대 디지털 기술의 심화이다. 따라서 그 구분을 부정하는 주장도 나오는 것이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의 기술들은 단순한 디지털기술의 확장만이 아니라 지능화(intelligence)되었다는 점에 있다. 지능화의 핵심은 사용자의 컨텍스트(context)를 수집하고 파악하여, 그것을 응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는 점에 있다. 그렇다면 4차 산업혁명시대는 오히려 콘텐츠전문가의 전성시대가 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의 기술들이 이용자의 컨텍스트를 추출해준다면, 그에 기반한 문화콘텐츠 기획에서는 역시 콘텐츠의 중요성이 제기될 것이고, 또한 문화콘텐츠 기획이 더 용이해질 것이다. 마지막 장에서는 이러한 이해선상에서 연구와 교육을 수행하는 인문콘텐츠학회 구성원들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보았다. 그것은 기술친화적인 연구와 교육으로 압축될 수 있다. 아무쪼록 본 글을 계기로 4차 산업혁명시대 문화콘텐츠의 향방에 대한 보다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져서, 문화콘텐츠학에 대한 방향정립과 함께 인문콘텐츠학회가 이 시대 문화콘텐츠산업을 선도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 KCI등재

        ‘한류인문학’을 제창한다

        김기덕(Kim, Kiduk),배상준(Bae, Sangjoon) 인문콘텐츠학회 2017 인문콘텐츠 Vol.0 No.45

        본 글은 한류에 대한 인문학적 고찰의 필요성을 강조한 글이다. 한류는 말 그대로 ‘한국 흐름(Korean Wave)’이지만, 한류를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문화적인 현상’과 ‘경제적인 현상’으로 크게 나뉘어진다. 그 결과 대중문화를 중심으로 한 전통적인 한류를 ‘문화한류’로 칭하고, 전자산업 및 휴대폰산업 등을 통해 한국의 이미지가 높아지는 현상을 ‘경제한류’로 정의하기도 한다. 한편 KOTRA는 문화한류에서 경제한류로의 도약을 위해 ‘비즈니스한류“라는 개념을 제시하기도 했다. 최근 조사된 한류산업의 지역별 총 수출액은 54억 6천만 달러이다. 이처럼 한국에서 만들어진 대중문화상품 한류가 아시아를 넘어 전세계를 강타하고 있다. 드라마, 영화, K-pop을 중심으로 전개되다가, 그 범위가 음식문화를 중심으로 생활문화에 까지 확대되었다. 물론 한류의 전파가 과연 전 세계적인 현상인가, 또한 한류가 앞으로도 계속 지속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의문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근현대 세계사적 문화교류의 차원에서 이름없는 문화변방에 머물러 있었던 한국의 대중문화가 최근 20년 동안 이 정도의 영향력을 발휘한다는 것은 연구자들의 입장에서도 중요한 연구주제가 될 것이다. 이러한 한류에 대한 연구자들의 분석논문은 한류의 시작에 비해서는 많이 늦었지만, 2013년까지 조사된 바에 의하면 주요 전문학술지에 526편이 검색된다. 본 글의 작성을 위해 2017년 5월 현재 RISS 한 군데에서만 ‘한류’를 검색해 보면 학위논문 2390편, 국내학술지논문 4686편, 단행본 2638편, 연구보고서 103편이 나온다. 한류 관련 영문 학술지 논문도 45편, 영문 단행본도 23권이 검색된다. 본 글은 이러한 한류 연구상황에서 인문학 차원의 한류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무엇보다 그 역할을 인문콘텐츠학회가 주도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기한 것이다. 아울러 학술연구와 연동되는 국가기관의 정책연구 측면에서도 한류인문학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류인문학의 최종 지향점은 한류산업의 활성화나, 인문학 역할의 증대라는 현실적인 목표가 될 수는 없다. 그것은 필자가 일찍이 인문콘텐츠의 목표로 제시했던 인류의 共同善, 인간화․인간해방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한류인문학은 결국 한류라는 것을 한국이라는 국가적 차원을 넘어 세계인의 마음을 치유하는 인류자산의 하나로 자리매김하게 만들 것이다. This study attempts to emphasize the need for humanistic investigation of the Korean Wave, or "Hallyu". The Korean Wave literally meaning the "flow of Korea" is broadly divided into the "cultural phenomenon" and the" economic phenomenon" from a perspective of taking a look at it. In consequence, the traditional Korean Wave revolving around the popular culture is referred to as the "cultural Korean Wave" and the phenomenon of getting the image of Korean enhanced through electronic industry and smartphone industry is defined as the "economic Korean Wave". On the one hand, KOTRA has presented the concept of the "business Korean Wave" for the purpose of take-off from the economic Korean Wave to the "business Korean Wave". The total amount of exports of industries related to the Korean Wave recently surveyed by region accounts for USD 5,460,000,000. Like this, the Korean Wave of popular culture products manufactured in Korea is sweeping over the whole world beyond Asia. It has revolved around dramas, films, K-pop and then extended to the living culture focused on food culture. Naturally, the question could exist as to whether or not the diffusion of the Korean Wave is the global phenomenon or whether or not the Korean Wave can continue to last in the future. But the Korean popular culture, which had long belonged to the unknown cultural backwater from the dimension of cultural exchanges in modern and contemporary world history, has exercised this influence over the world for the recent 20 years, which would an important research subject for researchers. Analytic articles of this Korean Wave have been presented later compared to the beginning of the Korean Wave, but 526 articles are found to have been presented in important academic journals up to 2013. For the purpose of writing this paper, an attempt was made to search the Korean Wave only in one site of RISS as of May, 2017. As a result, it brought about 2390 theses and dissertations, 4686 papers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2638 books and 103 research reports. In addition, it brought 45 articles in English and 23 books in English about the Korean Wave. It indicates that with the popularity of the Korean Wave, researchers have poured out their research products. This study puts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humanistic research on the Korean Wave in this situation and presents that the Association of Human Contents needs to take the lead in performing its role among other things. In addition, it presents the plan for revitalization of the humanities of the Korean Wave in terms of the policy research of national agencies related to academic research. The final goal of the humanities of the Korean Wave can not be a realistic goal of revitalizing the Korean Wave industry or increasing the role of the humanities. It will be the common goodness of mankind, humanization and human liberation as the researchers have set as the goal of humanity contents. Therefore, the humanities of Korean Wave will ultimately turn the Korean Wave into one of the human assets that heals the minds of the world people beyond the national dimension of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