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합효소연쇄 반응법에 의한 인형거대세포바이러스(human cytomegalovirus)의 신속한 검출

        김의종,오명돈,박기호,신형식,이환종,김남중,최강원 대한감염학회 1996 감염 Vol.28 No.4

        목 적 : 인형거대세포바이러스(HCMV)는 면역 저하 환자에서 폐렴, 망막염, 간염 등 치명적인 감염증의 원인이다. 전통적인 세포 배양법으로 HCMV를 분리하기까지는 1주에서 4주가 걸리므로 이 바이러스에 의한 질환이 의심되는 경우 신속한 진단법을 이용한 진단이 바람직하다. 저자들은 한국에서 분리되는 야생주 HCMV를 검출하는데 중합효소 연쇄 반응법을 이용할 경우의 진단적 유용성을 알기 위하여, 전통적인 세포배양법으로 HCMV가 분리된 검체를 이용하여 중합효소 연쇄 반응법의 특이도와 민감도를 평가하였다. 방 법 : 국내 야생주 HCMV 15주, 그리고 전통적인 바이러스 배양법으로 HCMV가 분리된 소변 15검체를 대상으로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실시하였다. 중합효소 연쇄 반응은 Towne주의 immediate early antigen의 유전자에서 유리된 primer MIE와 AD169주의 immediate early antigen의 유전자에서 유리된 primer IE를 이용하였다. 증폭 산물은 겔 전기영동 후 EtBR으로 염색하여 자외선 하에서 관찰하였다. Primer IE에 의한 증폭산물은 또한, DNA blot hybridization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결 과 : 1) 국내 HCMV 야생주 15주를 대상으로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한 결과 primer IE를 이용한 경우에는 100%(15/15)에서 177bp의 증폭 산물이 관찰되었고, 이들 증폭 산물은 모두 probe IE와 보합 결합되었다. primer MIE를 이용한 경우에는 93%(14/15)에서 435bp의 증폭 산물이 관찰되었다. 2) 세포 배양법으로 HCMV가 분리된 소변 15검체를 대상으로 primer IE를 이용하여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한 결과 direct gel analysis 법으로는 73%(11/15)에서, 보합 결합법으로는 87%(13/15)에서 관찰되었다. Primer MIE를 이용한 경우에는 direct gel analysis법으로 87%(13/15)에서 435bp의 증폭 산물이 검출되었다. 결 론 : Primer IE와 MIE를 이용한 중합효소 연쇄 반응법은 국내 야생주 HCMV를 신속히 검출하는데 유용한 검사법이다. Background : Human cytomegalovirus(HCMV) can cause pneumonitis, hepatitis, retinitis and other serious diseases in the immunocompromised patients. It takes 1 to 4 weeks to diagnose HCMV infection by conventional virus culture. Therefore, when HCMV diseases are suspected, a rapid diagnostic method such as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antigen assay or shell vial culture is desirable. We evaluate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a PCR for the rapid detection of HCMV wild strains in Korea. Methods : We used 2 sets of primers ; primer IE and primer MIE derived from the sequence for immediate early gene of AD169 strain and Towne strain, respectively. Fifteen clinical isolates of HCMV, suspended in MRC-5 cells, were amplified by PCR. Fifteen urine specimens which were positive for HCMV by conventional virus culture were also amplified. Amplification products were analyzed by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The products from PCR with primer IE were also identified by DNA blot hybridization. Results : PCR using primer IE gave the PCR products in all of the 15 HCMV wild strains. All of these were hybridized with probe IE. When primer MIE were used, 93%(14/15) of the wild strains showed amplified bands by direct gel analysis. When the urine specimens were amplified by PCR with primer IE, amplified bands were seen in 73%(11/15) by direct gel analysis ; 87%(13/15) by hybridization method. When primer MIE were used, 87%(13/15) of the urine specimens showed the PCR products by direct gel analysis. Conclusion : Polymerase chain reaction with primer IE and MIE may be a specific and sensitive diagnostic method for rapid detection of HCMV wild strains in Korea.

      • KCI등재후보

        다기관 기능부전을 초래한 치명적인 삼일열 말라리아 증례

        박상원,김동우,박주원,이순일,신영학,김의종,오명돈,최강원 대한감염학회 2005 감염과 화학요법 Vol.37 No.2

        삼일열 말라리아는 국내에서 재유행하고 있는 감염질환으로, 일반적으로 양성의 임상경과를 거친다. 저자들은 특이한 질병력이 없이 건강하였던 젊은 성인이 국내에서 삼일열 말라리아에 걸린 후 다기관기능부전과 폐출혈으로 사망한 증례를 경험하였다. 환자의 중증 임상경과를 설명할 만한 특이한 인자가 발견되지 않았다. Vivax malaria is a re-emerging infectious disease in Korea with cumulating 19,416 cases as of December 2003 since 1993. Vivax malaria is generally a benign disease with few severe complications. Even in the worldwide literature, there are only small number of case reports on severe complications. We experienced a fatal vivax malaria in a previously healthy young adult with severe multi-organ failure and fatal massive pulmonary hemorrhage. The patient presented with abdominal pain and shock. There were splenic hemorrhage,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oliguric acute renal failure requiring dialysis, and pulmonary hemorrhage leading the patient finally to death. The initial parasitemia was 2,046/μL. Thin smear and PCR revealed only Plasmodium Vivax. There was no explainable cause of death except for the only serological suggestion of Mycoplasma pneumoniae infection without correlating clinical evidence. This is a first case of fatal vivax malaria in Korea since its re-emergence in 1993. Further case monitoring is needed to define whether this is a index case or an isolated one.

      • KCI등재후보

        성인의 만성 기침에 대한 감별진단으로서의 백일해

        박완범,박상원,이기덕,이창섭,장희창,김홍빈,김의종,오명돈,최강원 대한감염학회 2004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6

        목적 : 백일해는 소아기에 발생하는 전염병으로 오랫동안 알려져 왔다. 그러나, 미국과 유럽에서는 1990년대에 들면서 성인에서도 백일해가 유행하며, 만성 기침 환자의 20% 정도가 백일해를 앓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저자들은 국내에서 성인 만성기침의 원인으로 백일해의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2002년 9월부터 2003년 5월까지 서울의 일개 대학보건진료소 또는 일개 시립병원 외래를 방문한 환자 중 기저 폐질환 없이 1주 이상 기침을 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Bordetetlla pertussis에 대한 배양검사와 중합효소 연쇄반응검사(PCR)를 시행하였다. 결과 : 1주 이상의 기침을 하는 성인 102명 중 배양검사에서 양성인 환자는 없었으나 3명(2.7%)에서 PCR 양성이었으며 이들 모두 3주 이상 기침이 지속되었고 백일해의 특징적인 증상을 호소하였다. 결론 : 국내에도 성인에서 백일해가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따라서 성인 만성기침의 원인으로 백일해를 감별 진단해야 한다. Background : Pertussis was long considered a childhood illness. However, in the last two decades, it has been reported as a cause of prolonged cough in adolescents and adults in other countries. Infection of Bordetella pertussis was prospectively searched among adults with a persistent cough. Materials and Methods : Adult patients, who visited either the outpatient clinic of a municipal hospital or a university health service center due to cough of more than six days' duration without underlying pulmonary disease, from September 2002 to May 2003, were enrolled. The culture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were used for confirming of B. pertussis infection. Results : 102 adult patients with persistent cough were evaluated. 3 (2.9%) patients were PCR positive for B. pertussis. There were no patients with positive culture. All patients with positive PCR had one or more classic symptoms of pertussis and their cough persisted for 3-7 weeks. Conclusion : We confirmed the morbidity of pertussis in Korean adults with persistent cough. Pertussis should be considered as a differential diagnosis of chronic cough in adults.

      • KCI등재후보

        국내 다기관에서 조사한 지역사회획득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알균의 빈도와 임상적 특성

        송진수,최평균,송경호,조재현,김성한,방지환,이창섭,박경화,박경운,신수,최희정,김의석,김동민,이미숙,박완범,김남중,오명돈,김의종,김홍빈,최강원 대한감염학회 2006 감염과 화학요법 Vol.38 No.6

        목적 : 최근 전세계적으로 지역사회획득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알균(community-associat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CA-MRSA)의 보고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CA-MRSA 감염증에 대한 증례보고만 있을 뿐 아직까지 체계적인 연구결과가 없는 실정이다. 저자들은 국내에서 CA-MRSA의 빈도, 감염증의 임상적 양상, 분리된 균주의 항균제내성 양상을 조사하였다. 재료 및 방법 : 2005년 1월부터 2005년 6월까지 7개 병원에서 MRSA가 분리된 환자의 명단을 파악한 후 의무기록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를 검토하였다. 외래나 응급실에서 혹은 입원 후 72시간 이내에 균주가 분리되고 MRSA 획득과 관련된 위험인자가 없는 경우 CA-MRSA로 정의하였으며, 분리된 균주의 임상적 의미에 따라 원인병원체(pathogen), 집락화(colonizer), 미결정(undetermined)으로 분류하였다. Penicillin과 oxacillin을 제외하고 3개 이상의 다른 계열 항균제에 내성이면 다제내성으로 정의하였다. 결과 : 연구기간동안 총 3,251주의 황색포도알균이 분리되었으며, 이 중 MRSA는 1,900주(58.4%)였다. MRSA 가운데 CA-MRSA는 114주(6.0%) 였으며, 이들이 분리된 부위는 귀(62주), 비뇨기계(14주), 피부 및 연부조직(11주), 호흡기계(10주), 혈액(3주) 등이었다. CA-MRSA 균주 가운데 집락균은 22주, 원인병원체는 22주였으며, 나머지 균주에 대해서는 그 임상적 의미를 결정할 수 없었다. 항균제 감수성 검사를 시행한 73균주 중 47주(64.4%)는 다제내성이었다. CA-MRSA 감염증 22예 중 피부 및 연부조직 감염(9예)과 중이염/외이도염(9예)이 가장 흔하였다. 침습적 감염증(invasive infection)은 4명(원발성 균혈증 3예, 감염성 관절염 1예)에서 확인되었지만, CA-MRSA 감염증으로 사망한 환자는 없었다. 결론 : 병원내 감염증에서는 MRSA가 심각한 문제이지만, 아직까지 지역사회 감염증에서 CA-MRSA는 흔하지 않았다. Background :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nfection has emerged in patients who do not have the established risk factors. In Korea, little is known about the epidemiology and clinical features of community-associated MRSA (CA-MRSA). Material and Methods : Clinical microbiology laboratory databases of 7 hospitals were reviewed to identify the patients from whom MRSA was isolated during the period of January to July 2005. Only one isolate per patient was enrolled. In order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of MRSA acquisition, the medical records and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databases were reviewed. CA-MRSA was defined as MRSA isolated from patient without established risk factors. We analyzed patient demographics, underlying medical conditions, characteristics of infection,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profiles. Results : Of total 3,251 S. aureus isolates, 1900 (58.4%) were MRSAs. Of the MRSA isolates, 114 (6.0%) were CA-MRSA. Of 114 CA-MRSA isolates, 22 (19.3%) were colonizers, 22 (19.3%) were pathogens, and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remaining 70 (61.4%) could not be determined. Median age of the 22 patients with CA-MRSA disease was 47 years. Nine patients had skin and soft tissue infections, 9 ear infections, 3 bacteremia, 1 septic arthritis. Seven patients had underlying medical disease. None died of the CA-MRSA infections. Of the 73 isolates of CA-MRSA, 47 (64.4%) were resistant to more than 3 classes of antibiotics besides β-lactams. Conclusion : Although MRSA is highly prevalent among hospital-associated S. aureus infection, CA-MRSA infections are not common.

      • KCI등재

        자궁경부암종에서 방사선치료의 반응성과 p53 , bcl - 2 및 bax 단백질 발현

        이의돈(Eui Don Lee),이광범(Kwang Beom Lee),석원익(Won Ik Suk),최준렬(Jun Ryeoul Choi),이종민(Jong Min Lee),이지성,박찬용(Chan Yong Park),하승연(Seung Yeon Ha),이규찬(Kyu Chan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10

        목적 : 자궁경부암종에서 방사선 치료의 예후 판정에 apoptosis 관련인자인 p53, bcl-2 및 bax 등이 유용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함. 연구 방법 : 1998년 1월부터 2000년 5월까지 가천의대 길병원에 내원한 국소적으로 진행된 자궁경부암 (stage Ⅱb와 Ⅲ)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방사선치료를 받기 전에 자궁경부 조직 생검을 실시하여 Bcl-2, p53 및 bax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였다. 결과 : 1. P53의 발현은 방사선 치료의 비관해군에서 관해군에 비하여 많이 관찰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0.43). 2. Bcl-2의 발현은 방사선 치료의 비관해군에서 관해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많이 관찰되었다 (p=0.001). 3. Bax의 발현은 방사선 치료의 관해군에서 비관해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많이 관찰되었다 (p=0.04). 결론 : Bcl-2와 bax의 발현은 방사선치료의 반응성과 관련이 있으며 자궁경부암종에서 예후인자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p53은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Objective :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53, bcl-2 and bax protein expressions and clinical response to radiation therapy in patients with cervical squamous cell carcinoma and possibility of using them as an useful marker for sensitivity of radiation therapy. Methods : This study included 30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cervical squamous cell carcinoma (stage Ⅱb and Ⅲ). The specimens were obtained from cervical squamous cell carcinoma before radiation therapy by colposcopic directed biopsy and processed for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against p53, bcl-2 and bax. Results : 1. P53 was more expressed in nonresponders than responders to radiation therapy,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p=0.43). 2. Bcl-2 was significantly more expressed in nonresponders than responders to radiation therapy (p=0.001). 3. Bax was significantly more expressed in responders than nonresponders to radiation therapy (p=0.04). Conclusion : Expression of bcl-2 and bax are correlated with the clinical response to radiation therapy and would be considered as an useful marker for sensitivity of radiation therapy. However, it is necessary to further evaluate p53.

      • KCI등재

        만병초와 구상나무 추출물의 RBL-2H3 세포 탈과립, 싸이토카인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정의만 ( Eui Man Jung ),김재우 ( Jae Woo Kim ),박미진 ( Mi Jin Park ),이성숙 ( Sung Suk Lee ),최돈하 ( Don Ha Choi ),이정복 ( Jung Bok Lee ),정의배 ( Eui Bae Jeung ) 한국목재공학회 2013 목재공학 Vol.41 No.6

        본 연구는 만병초와 구상나무 추출물의 항알러지 효과에 대해 조사하였다. 비만세포 RBL-2H3에 concanavalin A (Con A)를 처리하여 면역반응을 유도한 후 만병초와 구상나무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IL-4, IL-13의 mRNA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또한 β-hexosaminidase 분비를 측정하여 탈과립 유도효과를 평가하였다. IL-4의 발현은 만병초 10-7, 10-5, 10-3% 농도와 구상나무의 모든 농도에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으며, IL-13의 발현은 만병초와 구상나무 모든 농도에서 유의성 있게 감소되었다. 만병초 추출물과 구상나무 추출물의 10-5, 10-3% 농도에서는 β-hexosaminidase 분비가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만병초와 구상나무 추출물이 면역반응 표적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면역반응에 의해 유도되는 탈과립유도 효과도 감소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만병초와 구상나무 추출물이 항알러지 효과가 있음을 제시하는 결과이다. Ethanol extracts from Rhododendrom brachycarpum and Abies koreana were investigated for their anti-allergic activities using RBL-2H3 cell line. After treatment with ethanol extracts of various concentrations on the immune response induced mast cell by concanavalin A (Con A), the expressions of cytokine interleukin-4 (IL-4), interleukin-13 (IL-13) were determined by using RT-PCR and the degranulation of mast cells was determined by measuring B-hexosaminidase release. Expression level of IL-4 was decreased by the extract from Rhododendrom brachycarpum in 107, 10-5 and 10-3% concentrations. Exoression level of IL-13 was also decreased by both extracts. B-Hexosaminidase release by RBL-2H3 cells was ingibited at the 10-5 and 10-3& concentration of extracts from Rhododendrom brachycarpum and Abies koreana, respectivel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ethanol extracts of Rhododendron brachycarpum and Abies koreana exert anti-allergic effects by regulating the reduction of IL-4 and IL-13 genes expression and also the secretion of B-hexosaminidast.

      • KCI등재

        치료 후 임상적으로 무병상태인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FDG-PET scan의 임상적 유용성에 관한 연구

        이재규(Lee Jae Kyu),김법종(Beob Jong Kim),황순혁(Soon Hyunk Hwang),유상영(Sang Young Ryu),김종훈(Jong Hoon Kim),김병기(Byoung Gie Kim),박상윤(Sang Yoon Park),이의돈(Eui Don Lee),이경희(Kyung Hee Lee),최창운(Chang Woon Choi),임상무(Sa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9

        목적: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재발의 조기 진단방법으로 FDG-PET scan의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술 후 혹은 방사선치료 후 임상적으로 무병상태인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FDG-PET scan을 시행하여 재발의 조기 진단에 있어 FDG-PET scan의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자궁경부암으로 원자력 병원에서 수술 후 혹은 방사선치료 후 임상적 무병 상태로 추적 검사 중인 환자 중 전신 FDG-PET scan을 시행한 101명을 대상으로 이학적 검사, 종양표지자, 컴퓨터 단층촬영 등의 기존의 추적 관찰방법과 FDG-PET scan의 영상소견을 비교 분석하였다. 전신 FDG-PET scan의 촬영은 GE advance scanner를 이용하였고, 370-555MBq(10-15mCi)의 FDG를 주사한 후 50분 후부터 촬영을 시작하였으며, 전신 영상을 얻은 후 20분간 국소 영상을 얻었다. 국소 관심 영역의 표준 섭취 계수를 구하여 값이 3.0 이상이거나 주변조직에 비해 높은 섭취율을 보인 경우에 양성으로 판정하였으며 CT, MRI 및 가능한 경우에 경피적 천자술을 시행하여 재발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 PET scan에서 양성소견을 보인 17명(16.8%)중 8명(47.1%)에서 추후 임상적 소견 및 컴퓨터 단층촬영에서 재발이 확인되었으며 이중 2명에서 조직학적으로 재발이 확인되었다. PET scan에서 양성소견을 보인 부위는 종격동 림프절에서 5예, 폐실질에서 5예, 골반림프절에서 4예, 중앙병소에서 3예, 쇄골하 림프절에서 2예로 종격동 림프절과 폐실질에서 가장 많았다. 무병상태로 추적관찰중인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조기재발을 진단하는데 있어 PET scan의 민감도는 100%였으며, 특이도는 90.3%이었다. 양성 예측율(positive predictive value, PPV)은 47.1%(8/17), 음성 예측율(negative predictive value, NPV)은 100%(84/84), 위양성율(false positive rate)은 52.9%(9/17)였다. 결론: FDG-PET scan은 기존의 방사선 검사나 종양 표지자로서 발견하지 못한 전이 또는 재발을 임상적으로 무병상태인 환자의 7.9%(8/101)에서 발견 할 수 있었다. FDG-PET scan은 높은 위양성율에도 불구하고 전신 영상을 함께 얻을 수 있으며 작은병소 혹은 여러 부위에서 전이 또는 재발한 경우 진단이 쉽고 예상치 못한 부위의 원격전이를 찾아낼 수 있어 자궁경부암 환자의 재발의 조기진단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을 사료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feasibility of FDG-PET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scan in patients with clinically no evidence of disease after treatment of cervical cancer. Methods: One hundred and one patients with clinically NED(no evidence of disease) state after treatment of cervical cancer underwent PET scan. FDG-PET scan was obtained with a GE Advance Scanner, beginning at 50 minutes after injection of 370-555 MBq(10-15 mCi) of 18F FDG. Regional scan was also obtained with emission image. Uptake exceeding 3.0 SUV was determined as a positive finding. Recurrence was confirmed by CT, MRI, and needle biopsy if possible. Results: Among 101 patients showing no evidence of disease, 17 patients(16.8%) showed abnormal PET scan findings. Clinically, 8 patients(7.9%) were confirmed to have recurrent lesion by CT, MRI or by needle biopsy. PET scan could detect recurrent lesions in the mediastinum or lung(10/17), pelvis(7/17), and supraclavicular lymph node(2/17).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PET scan in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showing no evidence of disease were 100% and 90.3%, respectively.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negative predictive value and false positive rate were 47.1%, 100% and 52.9%. Conclusion: PET scan could detect 7.9% of early recurrence in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with NED status. FDG-PET scan may be a useful method in detecting metastases or recurrence of a cervical cancer showing no evidence of disease by routine conventional imaging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