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를 활용하는 한국어 자음 지도 방안

        Ji Meng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3412799

        한글은 철학적 원리, 음운론적 지식을 바탕으로 상형의 원리를 이용하여 창제한 소 문자이다. 특히 자음자인 경우는 글자 모양이 조음기관의 모양(조음위치), 조음방법을 상형하여 만들어진 문자인데 제자 원리를 알게 되면 그 발 요령을 동시에 터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어 음운현상을 설명하는 데도 유용하다. 이에 본 논문은 초급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훈민정음의 제자원리를 활용하는 한국어 자 지도방안을 고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I장에서는 한국어의 발 교육에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고 본 논문의 연구목적과 연구대상을 밝힌다. II장에서는 훈민정음의 창제 취지와 『訓民正音』에서자음자와 관련된 제자 원리를 살펴본다 III장에서는자음자가 조음위치와 조음방법을 상형하는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를 활용하여문자 모양을 통해서 해당 자음의 요령과 자음간의 대립 관계를 인식시키고 한국어 교육의 초기 단계에서한글 자모 (字母) 교육과 함께 발 교육을 시행하는 자 체계에 따른지도방안을 제시한다. IV장에서는 자음에 관련된 음운현상에 대하여 역시 훈민정음의 제자원리를 최대한 활용하여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음운현상에 따른 지도방안을 제시한다. 자음군단순화는‘牙 舌 脣 齒 喉’의 훈민정음의 초성자 조음위치 순서를 활용하여그 순서 중 앞에 있는 자음이 남고 뒤에 있는 자음이 탈락한다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경음화는 ‘평+평=경’의 훈민정음 제자원리를 이용하여 경음화을 지도하고 있다. 격음화는 평음자에 가획하여 격음자를 만드는 원리로 설명하고 있다. 비음화는 문자모양과 자음의 상대적인 세기 사이의 유사성과 자 강도 이론을결합하여 해석하고 있다. V장에서는 논의를 요약·정리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과 전망을 제시한다. Hangul, a kind of phoneme language created by using the hieroglyphic principle, is based on philosophical principle and phonology. Especially for consonant, the character style is determined by the articulator's shape (pronunciation positions) and pronunciation method. By learning this principle, we’ll master the key points of pronunciation, which will be helpful to interpret phonetics chang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plans for Korean consonant-studying with the unrestrained use of "Hunminjeongeum" for foreign beginners. In Chapter I, the paper analyses research related to Korean past pronunciation teaching and raises its purpose and object. In Chapter II, the paper analyses the intention of word - formation and the principle of consonant word-formation in the book "Hunminjeongeum". In Chapter III, the paper introduces the teaching scheme of applying freely "Hunminjeongeum" word-formation principle in the primary stag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cluding simultaneously word and pronunciation education. In Chapter IV, for phonetics changes relevant to consonant, the paper puts forward the systemic and effective guidelines for making flexible use of "Hunminjeongeum" word-formation principle. In Chapter V, the paper makes a conclusion and shows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 Phnologie historiquw du coreen autour du XYe siecle : KIM YONG SOOK

        KIM YONG SOOK Univ. de Paris III (Univ. Sorbonne Nouvelle) 1976 해외박사

        RANK : 3412763

        한국어 고유 을 표기하기 위해 만들어진 훈민정음을 중심으로 현대국어의 고유한 모음체계, 자음체계를 조성하기까지 그 변천 및 전이 과정을 음운론적 측면에서 분석하였고 특히 한국어 어휘의 60%를 차지하고 있는 한자어의 유입시기나 그 영향 범위를 15세기 한국어 성조체계와 자음체계의 특징을 통해 연구하였다. 도입부 1. 알타이어족과 한국어 특징 대조 2. 중국어의 영향 3. 향찰, 이두, 토 한글문자 1. 한글탄생 2. 한글 문자 기원의 이설 자음체계 1. 훈민정음의 제시 2. 알타이어들과의 비교 3. 향적 분류 4. 자음군 5. 사잇소리 모음체계 1. 훈민정음의 제시 2. 모음전이 3. 소멸과 출현 모 조화 15세기 한국어, 현대 국어 및 알타이어들과 비교 성조 변조와 변형 현대한국어의 성조(지방어)

      • 중고시기 중국어 일모(日母)와 한국 15세기 ㅿ의 음가 비교연구

        LI YE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3412795

        The purpose of the study although there were many studies on phonetic value of Chinese sound of Mediaeval times, this has been a controversial part in the field as there is still no unified opinion. This thesis aims to look for the historical relationship of Korean period semi-dental ㅿ to re-construct its phonetic value. The Korean Peninsula borrowed Chinese characters a long time ago and changed them according to the Korean phonology during the period and Chinese characters had a great influence on Korean phonology as well. Based on this cultural exchange, the thesis looks for the clue of pronunciation of Mediaeval times Chinese sound by means of the background that‘ㅿ’set as sound in Korean period and its phonetic change. Historic cultural exchange relations between Chinese and Korean can be known from the data on 15th Century Korean semi-dental ‘ㅿ’ and record on pronunciation of Mediaeval times Chinese sound. Through the change of Korean semi-dental‘ㅿ’by phonology phenomenon etc. after late 16 century, this thesis considers Chinese sound pronunciation of Mediaeval times should not be treated as voiced sound /ㅿ/ and approximant /ㅿ/ but should be treated neither voiced sound nor unvoiced sound just like Korean semi-dental ‘ㅿ’. ChapterⅠis introduction that describes purpose , method, background of research and advanced research. Final part will introduce the raise of question and research significance briefly. Chapter Ⅱ will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initials system of Mediaeval times Chinese and sound system of Korean and it was presumed that phonetic value of Chinese semi-dental sound and Korean semi-dental ‘ㅿ’was similar in 15th Century. Chapter Ⅲ organizes and concludes the scholars' argument on Chinese and Korean sound at first. Then it will compare and analyze change of phonetic value of Chinese sound and Korean ‘ㅿ’according to the diachronic period. The final part of this chapter is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hinese sound and Korean sound. The conclusion of this chapter is that the greatest similarity on phonetic value of Chinese sound and Korean semi-dental ‘ㅿ’was the period that <Hunminjeongeum> created. And after this period, both changed due to their language environment. And then it will organize the contents of this chapter. Chapter Ⅳ is the conclusion part of this research which will come up with the opinion of this thesis and will conclude above contents. This thesis considers phonetic value of Chinese sound of 15th century should not be treated as voiced sound /ㅿ/ or approximant /ㅿ/ but should be treated neither voiced sound nor unvoiced sound /z/ like Korean semi-dental ‘ㅿ’. This thesis studies historical evidence on phonetic value of Chinese sound in Mediaeval times by the way of transliteration and through the research of phonetic value on Korean ‘ㅿ’ of Middle Ages. This thesis expect that scholars will amend the deviations generated during phonetic value prediction on Chinese sound of Mediaeval times. 중고시기 중국어 일모(日母)의 가에 대한 연구는 매우 많지만 아직 통일된 견해가 없어서 학계에서는 쟁론이 되고 있는 부분이다. 본고에서는 조선시기 반치 ㅿ과의 통시적 상관성을 찾아 그의 가를 재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반도는 오래 전부터 한자를 차용하여 왔으므로 그 과정에서 중국어가 한국어의 어음체계에 맞추어 변화되어 왔고 또 중국어도 한국어의 어음체계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문화교류의 배경에서 본고에서는 조선시기 일모(日母)를 ‘ㅿ’로 설정한 배경과 그 음의 변천을 통해 중고 시기 중국어 일모(日母)의 발음에 대한 실마리를 찾고자 하였다. 15세기 한국어의 반치 ‘ㅿ’에 관한 자료와 중고시기 중국어 일모(日母) 발음에 대한 기록을 통해, 중국어와 한국어의 역사적인 문화 교류 관계를 알 수 있다. 그리고 한국어 반치 ‘ㅿ’이 16세기 후기에 변화된 음운현상 등을 통해 중고시기 중국어 일모(日母)의 발음은 탁찰(濁擦音) /z/와 무찰통(無擦通音) /i/로 처리할 것이 아니라 한국어의 반치 ‘ㅿ’와 같이 불청불탁으로 처리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Ⅰ장에서는 서론 부분은 연구목적, 연구방법 및 연구 배경과 선행연구로 이루어졌다. 그리고 마지막 부분은 본고의 문제제기, 연구의의에 대하여 간단하게 소개할 것이다. Ⅱ장에서는 중고시기 중국어의 성모체계와 중세기 한국 한자음의 초성체계의 대응을 연구하고 15세기 당시 중국의 반치 일모의 가와 조선의 반치‘ㅿ’의 가가 유사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Ⅲ장에서는 먼저 중한 일모(日母)에 대한 연구학자의 논의를 정리하고 귀납하다. 그 다 중국어 일모(日母)의 가와 한국어 ‘ㅿ’이 역사적 시기의 변화에 따라서 비교하고 분석했다. 본론의 마지막 부분은 중국어 일모(日母)과 한국어 일모(日母) 상관성의 분석 내용이다. 이 장의 결론은 중국어 일모와 한국어 반치 ‘ㅿ’는 <훈민정음>의 창제 시기의 가 유사성이 제일 크다. 그 후에 양국 각자의 언어 환경의 영향을 받아 각자 변화되어졌다. 그리고 이장의 내용에 대해 정리한다. Ⅳ장은 본 연구의 결론 부분인데 본고의 관점을 내놓고 위의 내용에 대하여 귀납하였다. 본고는 15세기 중국어 일모(日母)의 가는 탁찰 /z/이나 무찰통 /i/으로 처리할 것이 아니라 한국어의‘ㅿ’와 같은 불청불탁으로 /z/표기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본고는 역 방법으로 한국 중세기 ‘ㅿ’의 가에 대해 연구를 통해서 중국 중고시기 일모의 가를 다시 고증한다. 본고의 연구 성과는 학자들은 중고 중국어의 가를 의측할 때 나온 편차를 수정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 한자 수용 양상과 한자 어소 의미 인지 상관성에 관한 연구 : 한국과 베트남의 사례를 중심으로

        Nguyen, Ngoc Tuyen 中央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박사

        RANK : 3412763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ceptant shapes of Chinese characters and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Sino-morpheme of Korean and Vietnamese speakers. Today, the Sino-vocabulary accounts the greatest part of the vocabulary structure in Korean language as well as Vietnamese language as a result of thousands years of accepting Chinese characters. In Korean language, the Sino-morpheme makes up about 70% of the vocabulary distrubition of organization. While in Vietnamese case, the percentage is about 60%. However, in Korea, up to now, the pros and cons of teaching Chinese character in schools have never given out any conclusion for this. For the case of Vietnam, after more than a half of a century cutting off with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recently there are more and more voices asking for the reviving of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These phenomena in both countries happened as in order to develop the use of Sino-vocabularies, it is needed to mention about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which are the root of these Sino-vocabularies. In order to establish a more rational education method of Sino-vocabulary, Korea as well as Vietnam should refer to the situation of Chinese character-Sino vocabulary of other country in the so called “Chinese characcter cultural sphere”. With that meaning, after comparing the acceptant shape of Chinese characters in Korea and Vietnam, as well as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two countries speakers about Sino-morpheme, the study will suggest some implications related to the matter of Sino-vocabulary education in both countries. There were historical, social factors as well as linguistic factors that affect the acceptance of Chinese characters in Korea and Vietnam. Located next to China, Korea and Vietnam accepted Chinese characters from the very early days. If Korea accepted Chinese characters for the purposes of record, Vietnam had to accept the Chinese characters as the country was under the domination of China for one thousand years. The difference in the acceptant attitude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early days affected to the assimilating process of Sino vocabulary in two countries. In 10th century, together with the inflow of Confucianism and the introduction of Imperial examination, Chinese character became the official character in both Korea and Vietnam. Despite of the appearance of the borrowed notations such as Hyangchal (향찰), Idu (이두), Kugyeol (구결) of Korea and Chu Nom of Vietnam, as well as the phonetic characters such as Hunminjeongeum (Hangeul) of Korea and chu Quoc ngu of Vietnam, until the 20th century, Chinese character remained as the official character. It was the modern time when Korea became the colony of Japan while Vietnam was under the rule of France. During colonial time, with the implementation of linguistic policy of the rulers, Chinese character could be remained in Korea, but it was excluded in Vietnam. Beside, together with the formation of the concepts of ‘nation, native people, native language, native character’, Hangeul and chu Quoc ngu have been chosen as official characters in Korea, and Vietnam. Finally, Chinese character lost its social value in the early modern days in the two countries. In Korea, while the movement of exclusive use of Hangeul was going to be completed, Chinese character continuously lost its position and as the result, nowadays,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is carried out outside of schools. And in Vietnam, it was after 1950 that Chinese character education became vanished in the curriculum of all schools. For linguistic factors, there are typological factor and phonological factor accounted. With SVO word order and monosyllable characteristic, Vietnamese language is typologically similar with Chinese language. This causes the ease of acceptance of Chinese character into Vietnamese. But Korean language has SOV word order and polysyllabic characteristic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typology of Chinese language. The acceptance of Chinese characters into Korea, therefore, is comparatively difficult. However, because of this, compare with Vietnamese speakers, Korean speakers can easily recognize and distinguish Sino-vocabulary from native tongue based on the aspects of type and phoneme. For the phonological factor, there are about 550 Sino-syllables in Korean language, while this number in Vietnamese language is about more than 1500. From these numbers, it can be seen that the Sino homonym in Korean language would be more complicated than in Vietnamese. Therefore, Vietnamese speakers suffer less difficulty in recognizing Sino homonym, homonymic Sino-morpheme if compare to Korean speakers. A survey was conducted in order to considering the degree in recognition of Sino-morpheme between Korean and Vietnamese speakers. The result of the survey was that Vietnamese respondents gave more higher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than Korean respondents did. There are two reasons can explain for this result. Firstly, the Korean respondents got difficult in dealing with recognizing between Sino homonym and homonymic Sino-morpheme. Secondly, because of the present method of teaching Sino vocabulary that focusing on the deictic meaning of the words, Korean students cannot understand the meaning of each morpheme in a certain Sino vocabulary. Though in this survey, Vietnamese respondents got a higher result than Korean respondents, both sides respondents’ average grade remained at ‘average’ stage which means not that high result. In order to enhance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Sino-morpheme, Korea and Vietnam should develop the Sino vocabulary teaching method focusing on Sino-morpheme semantic analysis. Anf for the case of Vietnam, as the Sino homonym, homonymic Sino-morpheme phenomenon is not so complicated, it is not acquired to teach Chinese characters. However, since there are too many Sino homonym and homonymic Sino-morpheme in Korean language, it would be more effective in teaching Sino vocabulary along with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or exposure. 본 연구는 언어 수용의 관점에서 한자 수용 과정과 양상으로 인해 한국과 베트남 언중이 한자 어소에 대한 인지 정도가 어떻게 되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 천 년의 한자 수용의 결과 오늘날 한국어와 베트남어 어휘 체계에서 한자어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어의 경우 어휘 구성 분포에서 한자 어소가 약 70%에 이른다. 베트남어의 경우 어휘 구성 분포에서 한자 어소가 약 60%에 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는 한자 교육 문제를 두고 찬반 의견이 그칠 줄 몰랐다. 그리고 베트남에서는 한자 교육을 단절한지 반세기 넘게 지나되 최근에 들어 한자 교육을 부활시키고자 하는 목소리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이는 한자어를 발전시키기 위해서 한자어의 근본인 한자 교육의 필요성을 언급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한국 또는 베트남에서 보다 더 합리적인 한자어 교육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서 한자문화권의 다른 국가의 한자ㆍ한자어 교육의 현황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그러한 의미에서 한국과 베트남의 한자 수용 양상과 언중의 한자 어소에 대한 인지 정도를 대조하여 양국에 한자어 교육 문제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도록 한다. 한국과 베트남에서 한자를 수용하는 데에 있어 역사적ㆍ사회적 요인들과 언어적 요인들이 끊임없이 영향을 미쳤다. 중국과 인접하는 한국과 베트남이 이른 시기부터 중국의 영향력으로 인해 한자를 수용하게 되었다. 초기에 한국의 경우는 기록의 목적으로 한자ㆍ한문을 문자와 문어로 수용했다면 베트남은 중국의 지배를 받아 천 년 동안 한어를 구어로, 한자ㆍ한문을 문자와 문어로 수용하였다. 한자 수용 입장이 서로 달랐기 때문에 이에 따라 양국 언어에서 한자어 동화 정도도 달랐다. 10세기부터 한국과 베트남에서 유학(儒學)과 과거제도 유입과 함께 한자는 양국의 문자생활에서 공식적인 문자가 되었다. 한국에서는 향찰, 이두, 구결, 훈민정음,베트남에서는 쯔 놈(chữ Nôm), 쯔 꾸억 응으(chữ Quốc ngữ) 등과 같은 차자표기법들과 표음문자들이 형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0세기 초까지 한자는 그대로 지배적인 문자였다. 근대 시기 한국은 일본의 지배를, 베트남은 프랑스의 지배를 받아 식민지가 되었다. 지배자에 의해 시행되었던 언어정책으로 인해 한국에서는 한자가 유지되었으나 한글이 말살을 당했고, 베트남에서는 한자가 배제되고 쯔 꾸억 응으가 공식문자가 되었다. 게다가 당시 ‘국가, 국민, 국어, 국자’ 등의 의식이 형성되어가며 이러한 정신을 대표하는 문자인 한글과 쯔 꾸억 응으가 양국 시민들로 인해 국자로 선택되었다. 우여곡절이 많았던 근대 시기 한자가 사회적 가치를 잃고 말았다. 한국에서 한글전용을 완성하는 과정에 한자의 가치가 계속 타락되고 결국 현대 시기에 한자 교육은 주로 학교 바깥에서만 이루어진다. 베트남은 1950년 이후부터 학교 교육에서 한자 교육을 없앴다. 언어적 요인으로서 유형론적 요인과 음운론적 요인이 꼽힐 수 있다. SVO 어순과 단음절 성격을 가진 베트남어는 중국어와 유형론적으로 유사하기 때문에 한자 수용하는 데에 보다 수월하였다. 반대로 SOV어순과 다음절 성격인 한국어는 한자를 수용할 때 유형론의 차원에서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 때문에 한자어를 고유어와 구별할 때 한국어 언중이 베트남어 언중보다 더 쉽게 할 수 있다. 음운론적 요인에 관해서는 한국어에서 한자음의 절수가 550여개 정도 된다면 베트남어에서 한자음의 절수가 1500여개가 있다. 양국 언어에서 차용된 한자가 수 천 가지가 있기 때문에 한자 절수의 차원에서 보면 한국어에 동음이의 한자 어소, 동음이의 한자어가 많을 수밖에 없다. 그리고 한국어보다 베트남어에서 동음이의 한자 어소, 동음이의 한자어가 훨씬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동음이의 한자 어소, 동음이의 한자어를 습득하고 인지하는 데에 있어 한국어 언중이 베트남 언중보다 더 많은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현대 한국과 베트남 언중의 한자 어소 의미 인지 정도를 고찰하기 위해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의 결과 대체적으로 베트남 대학생 응답자가 한국 대학생 응답자보다 더 높은 정답률을 보여줬다. 이의 원인은 두 가지 측면에서 파악하였다. 첫째, 한국어의 동음이의 한자 어소, 동음이의 한자어 문제 때문에 한국 응답자가 한자 어소의 의미를 인지하는 데에 방해가 되었다. 둘째, 한국의 지시적인 의미를 중심으로 하는 한자어 교육 방식 때문에 한국 언중이 한자어를 구성하는 형태소의 의미를 잘 인지하지 못한다. 이 설문조사에서 베트남 응답자가 한국 응답자보다 더 높은 정답률을 산출하였으나 양국 응답자의 평균 점수가 ‘보통’ 수준에 머물렀다. 이는 양국 응답자의 한자 어소 의미 인지 정도가 높다고 보기가 어렵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양국에서 앞으로 한자 어소 의미 해석을 중심으로 하는 한자어 교육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베트남어의 경우는 동음이의 한자 어소, 동음이의 한자어가 많지 않기 때문에 한자어 교육 효과를 높이기 위해 한자 교육이 필요하지 않다고 본다. 그러나 한국어의 경우에는 동음이의 한자 어소, 동음이의 한자어가 매우 많기 때문에 이러한 한자 어소 의미 해석 방식으로 하는 한자어 교육을 진행할 때 한자 노출 또는 한자 교육도 함께 하면 교육 효과가 높아질 거라고 본다.

      • 12~15세기 국어 모음체계 연구 : 모음추이 이론의 재확립

        고경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6820687

        연구는 12~15세기 국어의 모음체계를 재구하여 이 시기에 母音推移 현상이 있었는지, 만약 있었다면 그 양상은 어떠하였는지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장에서는 연구 목적과 필요성을 기술하였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면서 특히 모음추이를 초점화한 기존 논저들에 어떤 문제가 있었는지를 보였으며, 기존 논저에서의 문제를 본 연구에서 어떻게 수정·보완할 것인지 기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모음추이를 논의하기 위해 필요한 배경적인 내용을 기술하였다. 중세 몽골어 모음체계, 파스파 문자 母音字의 가, 󰡔四聲通解󰡕와 蒙古韻書 사이의 관련성, 중세 몽골어 차용어 어휘 목록을 제시하였다. 특히 중세 몽골어 차용어의 경우, 개별 단어들에 대한 설명은 [부록]에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四聲通解󰡕의 正音과 蒙音 표기를 󰡔蒙古字韻󰡕에서의 표기와 대응시켜 15세기 국어 모음체계를 도출하였다. 󰡔四聲通解󰡕의 표기와 대응되는 蒙韻 표기의 가를 해석하여, 󰡔四聲通解󰡕에 표기된 母音字들의 가를 확정하였다. 다만, ‘ㆍ’의 경우는 󰡔四聲通解󰡕에서 사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訓民正音󰡕 解例本의 母音 관련 기술과 제주도 방언에서의 /ㆍ/의 가를 고려하여 그 가를 도출하였다. 제4장에서는 몽골어 차용어와 한자음을 통해 12~14세기 국어 모음체계를 도출하였다. 몽골어 차용어의 경우, 기존 논저에서 제안된 차용어들을 검토하여 타당한 차용어를 추출하여 개별 母音字의 가를 도출하였다. 몽골어 차용어에 대한 개별적인 검토는 [부록]에 제시하였다. 한편, 한자 자료로는 한국의 東音과 일본의 漢音, 그리고 󰡔雞林類事󰡕를 활용하였다. 이들 자료를 검토한 결과, 李基文(1998)과는 다른 모음체계가 도출되었으며, 이에 따라 李基文(1998)과는 다른 母音推移의 양상을 확인하게 되었다. 제5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도출한 모음체계를 근거로 母音推移를 이론화해 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國語音韻史에서의 몇몇 쟁점들을 해석해 보았다. 母音推移는 모음조화, 국어음운사의 시대 구분, 원순모음화의 통시적 전개, /ㆍ/의 변화 및 소멸 문제와 관련이 되는바, 본 연구의 이론을 바탕으로 이들 문제들을 재해석해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12~15세기 모음체계 수립과 관련된 문제를 다양한 각도에서 살펴볼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본 연구는 몽골어에만 주목하거나 한자음에만 주목하는 한정된 시야를 극복하고 이들을 통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다소 불투명한 이 시대의 모음체계에 하나의 대안적인 체계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그동안 국어학계에서 통용되어 왔던 母音推移 이론이 적절한 것이었는지를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the vowel system of the Korean language in the 12~15th centuries, and to study whether there was a vowel shift phenomenon in this period, and if so, what the pattern was. In Chapter 1, I described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And I showed the problems in the existing articles focusing on the vowel shift, and described how to correct and supplement the problems in the existing articles. In Chapter 2, I described the background necessary to discuss vowel shift. The vowel system of the Middle Mongolian language, the phonetic values of vowel letters in the Phags-pa script, the relationship between 󰡔四聲通解󰡕 and 蒙古韻書, and the vocabulary list of loan words from the Middle Mongolian language are presented. In the case of loan words from the Middle Mongolian language, explanations of individual words are described in [Appendix]. In Chapter 3, the 15th century Korean vowel system was derived by linking the transcription of 󰡔四聲通解󰡕 and 󰡔蒙古字韻󰡕. However, in the case of ‘ㆍ’, since it was not used in the 󰡔四聲通解󰡕, the phonetic value of ‘ㆍ’ was derived by the description of 󰡔訓民正音󰡕 解例本 and the phonetic value of /ㆍ/ in the Jeju dialect. In Chapter 4, the Korean vowel system of the 12~14th centuries was derived through Mongolian loan words and Sino-Korean. In the case of Mongolian loan words, the phonetic values of individual vowel letters were derived by examining the loan words proposed in the existing theses, extracting appropriate loan words. The review of Mongolian loan words is presented in [Appendix]. On the other hand, 東音(Korea), Kan-On(漢音, Japan), and 󰡔雞林類事󰡕 were also used to determine the phonetic value of each vowel lette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se data, a vowel system different from that of 李基文(1998) was derived, and accordingly, the aspect of vowel shift different from that of 李基文(1998) was confirmed. In Chapter 5, I theorized Korean vowel shift based on the vowel system I has derived, and based on this, I tried to interpret some issues in the Korean historical phonology. Vowel shift is related to vowel harmony, periodization of Korean historical phonology, diachronic development of vowel rounding, change and disappearance of /ㆍ/, and I reinterpreted these problems based on my own theory. Through this study, researchers could examine the problem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vowel system in the 12~15th centuries from various angles. In particular, it can be thought of as providing an alternative system to the somewhat opaque vowel system of this era by overcoming the limited view of paying attention only to Mongolian language or Sino-Korean and looking at them in an integrated way.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consider whether the theory of vowel shift, which has been widely used in the Korean language academic community, is appropriate.

      • 훈민정음과 주변 문자들의 문자유형과 상호관계 연구

        고성익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6819615

        문자의 유형범주를 구분하는 기준으로는 구체적인 표기양상을 중시하는 기능적 관점과 기본적 자소의 독립성과 일관성을 중시하는 형태적인 관점을 설정할 수 있다. 유형범주 내에 소문자와 자질문자를 설정할 경우 한글은 기능적 관점에서 본다면 소문자와 자질문자의 전형적인 유형이 아니라 두 범주의 경계에 위치한다. 그러나 형태적인 관점에서는 원칙적으로 소문자 유형에 속한다. 일부 자질, 그리고 분절음소의 자질의 차이가 비교적 규칙적으로 자형에 반영되기는 하지만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에 대응되는 언어적 요소 중에서 문자표기체계 내에서 일관적이고 독립적인 형태를 유지하는 것은 자질이 아니라 분절음소이기 때문이다. 한글의 자형은 외부적 기원으로 설명할 수 없는 독자적인 요소이다. 기본자의 자형과 외부 문자들과의 유사성은 우연적이고 산발적이기 때문에 그 관련성을 적극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 개연성이 부족하다. 그리고 기본자형들은 『훈민정음해례본』에서 제시된 제자원리에 의해 형태적인 측면과 기능적인 측면에서 새롭게 그 정체성을 부여받기 때문에 혹시 있을지도 모르는 외부적 영향관계와는 단절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외부의 문자와의 관련성을 찾는 시도는 한글의 자형을 설명하는 데에서는 무의미하다. 특히 자소에 동양의 전통적인 자연철학적 성격을 부여하고 철학적 속성을 지닌 자소의 결합을 통해 말소리의 철학적 해석을 시각적으로 구현한 제자원리는 한자문화권의 문화적 전통을 반영한 결과물이자 한글만의 독창적인 특징이다. 한글과 외부문자들과의 관련성은 자형보다는 문자표기체계로서의 구조적 특징에서 찾을 수 있다. 한글에는 『훈민정음해례본』의 간행 당시에 존재했던 주변문자들과의 구조적 유사성들이 존재한다. 훈민정음 창제 과정에서 주변문자들의 구조적 특징의 영향을 의식적으로나 무의식적으로 받았을 가능성을 배제하지는 못한다. 가상의 사각형 공간 내에 비선형적으로 절단위 모아쓰기를 하는 점에서는 한글은 한자와 동일하다. 자음자와 모음자의 독립성을 지니는 문자이자 절 내부에서 초성/중성/종성을 구분하고 절두음과 절말음의 동일성을 인식하는 태도는 위구르­몽골문자에서 이미 나타난다. 아울러 초성/중성/종성이라는 절내부구조에 대한 인식은 한국의 전통적 차자표기에서 나타나는 어간말음표기현상에서도 근거를 찾을 수 있다. 음운대립을 다 드러내지 않는 과소표기를 하지 않고 소의 변별적인 대립을 최대한으로 반영한 것은 파스파 문자에서 먼저 나타난다. 파스파 문자는 그 자체로서 인도계 문자인 티베트문자와 위구르­몽골문자의 혼합적 문자체계이기도 하다. 이상의 세 가지 주변문자들은 15세기 조선에 잘 알려져 있었기 때문에 한글 창제과정에서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 가능성은 문자체계의 내적 구조의 유사성에 근거한 것일 뿐이고 직접적인 문헌적 증거가 없기 때문에 원천적으로 검증이 불가능하다는 근본적인 한계를 지니고 있기는 하다. 그러나 만일 이러한 가능성을 인정한다면 한글은 문자발달사적인 측면에서 고유의 독자성을 지닌 동시에 한자계 문자, 인도계 문자, 셈계 문자라는 구대륙의 3대 문자계통의 융합의 결과이기도 하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 『訓民正音』과 作名技法의 發音五行 硏究

        구현서 大邱韓醫大學校 2017 국내석사

        RANK : 6820655

        Hangul is phonetic characters which can express all things such as sounds, emotions, thoughts, and is multifunctional letters which can function as a signal system in which any language in the world can be written. Also, it is phonetic alphabets of which the sounds can be distinguished into initial consonants, medials, and final consonants. China has tried to find a way to connect Chinese characters which are ideograms with speech, and has established an ideological system by linking the vocal sound differentiating method of the vocal organs with the sound of music that has existed since ancient times. It should be said that the ideological system has been formed by integrating Taegeuk ideology, Yin-Yang and Five Elements theory, Sangsu theory, and the likes. The five elements of pronunciation technique, which is applied only to initial consonants, is not possible to convey energy of sounds from a linguistic point of view. King Sejong realized that, although initial consonants were borrowed from Chinese phonology, medials could not be borrowed due to the actual difference in pronunciation between Chinese character sounds and the sounds of Joseon speech, and is credited with devising a new method and establishing unique phonology. After the discovery of ⌜Hunminjeongeum⌟ Haerye, the attachments to the five elements of the labial and guttural sounds written in ⌜Hunminjeongeum⌟ were clearly revealed, with the principles from the explanations of creating initial consonants as the obvious evidences. Also, it is possible to tell that the grounds of letter creating principle were focused on the theory that the sounds were formed after the shapes of the vocal organs and the principles from the Book of Changes. In addi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to clarify the problems of the recognition of earth and water of the five elements used in naming technique and the basis of the changes of the five elements according to the use of 'ㅇ or ㆁ'. The five elements specified in ⌜Hunminjeongeum⌟ have a principle structure which is made by optimizing Korean language. The integrated naming technique of consonants and vowels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Hunminjeongeum⌟ should be studied in the future. And it is the most Korean naming technique, and will be worthy of being utilized. 한글은 소리, 느낌, 사고 등 모든 것을 표현 할 수 있는 성문자이며, 세계의 어떤 말이든지 글로 나타낼 수 있는 부호체계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다 기능적인 문자라고 할 수 있다. 삼분법으로 초성, 중성, 종성으로 을 구분할 수 있는 표음방식의 문자이다. 중국은 표의문자로 말과 이어질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여 발음기관의 성음분별방식과 고 시대부터 존재한 악의 과 서로 연관시켜 사상적 체계를 세웠다. 오음과 오성을 기본으로 태극사상, 양오행, 상수론 등과 통합하여 사상적 관념체계를 만들었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초성만으로 적용되는 발음오행기법은 소리의 기운을 전달하기란 언어적 측면에서도 불가하다. 초성은 비록 중국의 성운학을 빌어썼지만 중성은 한자음과 조선음의 현실적 발음의 차이로 빌어 쓸 수 없는 상태라는 것을 세종대왕은 인식하여 새로운 방법을 고안한 독창적인 음운학을 세운 공로가 있다. 해례본이 발견 된 후 초성 제자해에서 나오는 원리는 확실한 증거로서 『훈민정음』에 표기된 순음와 후음의 오행 배속은 명백히 밝혀졌으며, 제자원리의 근거성은 음의 발음기관 형상설과 역의 원리에 중점을 두었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그리고 본 연구는 성명학의 발음오행 작명기법에서 사용되는 토와 수 오행인식의 문제점과 ‘ㅇ,ㆁ’의 쓰임새 따라 오행의 변화를 명확히 근거성을 밝히는데 그 의의를 가진다.『훈민정음」의 명시된 오행은 우리말을 가장 최적화하여 만든 원리구조를 취하고 있다. 앞으로 『훈민정음』 원리에 맞는 자음과 모음의 융합적 작명기법이 바람직하게 연구 정립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것이야 말로 가장 한국적인 작명기법이며, 활용할 만한 가치가 충분히 있을 것이다.

      • 『奎章全韻』의 華音 體系 硏究

        구현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6820668

        본고는 『奎章全韻』의 華音 체계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奎章全韻』의 華音은 訓民正音으로 표기되었기 때문에 이것이 갖는 표음성을 수단으로 하여 華音 체계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韻書는 華音을 우리나라 한자 체계의 기준으로 인식하였다. 우리나라 韻書의 태동은 과거제의 실시와 직접적인 연관을 맺고 있었고, 이는 시를 짓기 위한 審音의 목적을 기본 바탕으로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華音은 이러한 기본적인 음의 확인을 위한 역할 뿐만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하는 우리나라의 한자음에 대한 기준으로써의 역할도 동시에 지니고 있는 것이었다. 『奎章全韻』은 勅撰韻書로 어명을 내린 正祖의 동기와 당시 시대의 학술 사상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특히 『奎章全韻』의 四段體制는 우리나라 韻書 편찬 유래에는 없던 독특한 형식이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최후로 편찬되었고, 이후 재간을 거듭하면서 朝鮮 후기에 큰 영향을 미친 韻書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奎章全韻』은 우리나라 韻書 상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구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奎章全韻』華音체계의 자세한 고찰을 위해 먼저 韻書의 성립 배경 및 체제 상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 聲母와 韻母의 체계를 귀납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奎章全韻』이 朝鮮時代 마지막 韻書로써 이전 韻書와의 계승을 긴밀히 하고 있을 것이라는 점과 四段體制라는 독특한 형식에 착안하여 이의 華音 체계의 성격을 좀 더 고찰해 보기위해 訓民正音으로 華音을 표기한 기타 韻書와의 비교작업을 통해 華音 체계의 계승관계와 이것이 四段體制 속에서 갖는 의미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奎章全韻』은 正祖가 기존 韻書의 三段體制, 수록자의 협소함, 註解 소략함, 이전 華音 체계가 전아한 을 따르지 않는 데에 대한 불만을 갖은 것에서 비롯되었다.『奎章全韻』의 聲母 및 韻母의 체계는 기본적으로 『洪武正韻』과 동일하였으나 단, 入聲字에 있어서는 완전한 탈락현상을 보여주었다. 聲母 체계에 있어서는 『洪武正韻』의 濁聲母가 보존되어 있었다. 이중에서는 『中原音韻』과 비교해 볼 때 淸音간의 이동 현상을 보여주는 부분도 있었다. 韻母에 있어서는『奎章全韻』의 한 韻尾가『中原音韻』의 여러 가지 韻尾에 파입 되어 나타나는 현상을 보였다. 『奎章全韻』의 入聲字는 『中原音韻』의 ‘入聲作某聲’부분에 수록되었고, 이들의 韻尾는 대체로 일치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奎章全韻』이 보여주고 있는 이러한 華音 체계는 기타 韻書의 華音 체계와 동시에 고찰해 보았을 때는 계승관계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訓民正音으로 華音 표기를 하고 있는 기타 韻書들의 平? 上? 去聲은 『華東正音通釋韻考』를 제외하고는 공통적으로 『洪武正韻譯訓』의 을 따르고 있었다. 즉, 『洪武正韻』의 어음이 우리나라의 華音 체계에 있어서는 규범적인 위치로 자리 잡고 있었던 것이다. 그에 반해 入聲字 탈락은 『四聲通解』의 불완전한 소실과정을 거쳐 『華東正音通釋韻考』를 기점으로는 모두 완전히 탈락된 현상을 반영하였다. 이러한 四聲의 불균형적인 계승양상에 대한 단서를 李圭景의 『五洲衍文長箋散稿』안의 기록을 통해 찾을 수 있었다. 이 기록에서 우리나라 사람들이 『中原音韻』에서 三聲을 병행한 것을 보고 入聲과 나머지 聲調에 대한 인식을 달리하고 있었으며 이는 우리나라 최초의 韻書인 『三韻通考』가 三韻體制, 즉 三段體制로 편성되고 이 형식이 기타 韻書의 체제에도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平? 上? 去聲과 入聲을 구분지어 인식한 것은 우리나라 시 짓는 습관에도 영향을 주어 入聲字를 押韻하지 않은 풍토를 형성하였고 平? 上? 去聲은 줄곧 규범음으로 인식되어온 『洪武正韻譯訓』의 을 유지하였고 이의 제약에서 벗어나 있는 入聲은 소실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는 완전히 入聲韻尾가 탈락된 모습으로 정착되었다. 『奎章全韻』은 四段體制로 변화되어 入聲字도 한 면에 배열하였지만, 『洪武正韻譯訓』의 을 따르지 않고 이전까지 계승되어 온 華音 체계를 계승함으로써 이러한 韻書의 華音 계승 양상을 더욱 뚜렷하게 보여주었다. 따라서 우리나라 韻書에서 표기된 華音은 우리나라에서의 四聲에 대한 인식과 이에 따른 우리나라만의 독특한 三段體制라는 형식이 만들어낸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華音은 중국의 실제음을 반영하기 위해서가 아닌 혼란스러운 우리나라 한자음의 변화에 기준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존재한 개념이었기 때문에 이에 영향을 받은 우리나라 한자음과의 관계에 좀 더 초점을 맞추어 고찰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을 통해 연구된 결과가 우리나라 기타 韻書 및 우리나라 한자음과의 관계를 연구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하면서 논의를 끝마쳤다. This paper has as its objective the study of the pronunciation framework of "Gyu-Jang-Jeon-Woon". The "Gyu-Jang-Jeon-Woon" was denoted in accordance with the "Hun-Min-Jeong-Eum" (early Korean character system), and thus the analysis is undertaken according to its symbol and sound system. In general, the Chinese character classifications of Korea are based on the Korean language system of Chinese character pronunciations. These publications trace their direct origin to the public servant examinations, where pronunciation of characters were required for the composition of poetry. They served the purpose of not only confirming pronunciation, but also as a standard for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Korea. The "Gyu-Jang-Jeon-Woon" was directly ordained by the government and was greatly influenced by Jeong-Jo, the Chosun dynasty king who ordered its publication, and the contemporary academic ideologies of the time. In particular, its Sa-Dan (four-tier) framework was unprecedented in the publication of such classifications. It was in fact the final publication of its sort in the Chosun dynasty, and throughout several revisions, had a profound effect on the latter years of the Chosun dynasty. However, despite its prominent status, there have not been sufficient studies on the "Gyu-Jang-Jeon-Woon". Toward this purpose, this paper first looks at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classification, and attempts to generalize the system of initial and ending sounds. Furthermore,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it will be closely connected with previous classifications, comparisons were undertaken with other Chinese character classifications based on the "Hun-Min-Jeong-Eum", to establish their relationship in the context of the Sa-Dan framework. The Sa-Dan framework of the "Gyu-Jang-Jeon-Woon" was basically a reaction to the narrow range of expressible letters, excessive simplicity of meaning, and inaccuracy of sound resulting from the Sam-Dan (three-tier) framework of earlier classifications. While the initial and ending sound system was basically identical to the "Hongwu- Zhengyun", a preceding classification, the "Ru-sheng-zi" was totally abandoned. In the initial sound system, the "Zhuo-shengmu" of the "Hongwu-Zhengyun"was preserved. Compared to the "Zhongyuan-Yinyun", some "Qing-yin"sounds were moved. As for the ending sound system, a single "Yun-wei(韻尾)" of the "Gyu-Jang-Jeon-Woon" was inserted into several "Yun-wei" of the "Zhongyuan-Yinyun". The "Ru-sheng-zi" of the "Gyu-Jang-Jeon-Woon" were listed in the "Ru-sheng-zuo-mou-sheng" part of the "Zhongyuan-Yinyun", and their "Yun-wei"were shown to be consistent for the most part. The review of other classifications makes clear their influence on the "Gyu-Jang-Jeon-Woon". The other classifications which use the "Hun-Min-Jeong-Eum" commonly followed the "Hongwu-Zhengyun" in their Ping, Shang, and Ru-sheng sounds, with the exception of the 『華東正音通釋韻考(화동정음통석운고)』. In other words, the "Hongwu-Zhengyun" (translated version) had established itself as a reference i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our country. In contrast, the abandonment of the "Ru-sheng-zi" had become complete with the 『華東正音通釋韻考(화동정음통석운고)』as a starting point in the process of adopting the 『四聲通解(사성통해)』. Clues to the uneven adoption of the Si-sheng (four-tier) system may be found in the 『五洲衍文長箋散稿(오주연문장전산고)』written by Kyu-Kyung Lee. In this record, it is evident that Koreans recognized Ru-sheng and other tones differently as the "Zhongyuan-Yinyun" included the San-sheng (three-tier) system, and that the country’s first classification, the "Sam-Woon-Tong-Go" (『三韻通考(삼운통고)』 ) used a Sam-Dan (three-tier or three-sound) system, which affected subsequent classifications. The recognition of the Ping, Shang, and Ru-sheng sounds also influenced poetry, and created a customs where Ru-sheng were not rhymed. These three sounds maintained the standards as set forth in the "Hongwu-Zhengyun" (translated version), while Ru-shengs which were outside the scope of such limitations were gradually transformed into sounds where the Ru-sheng Yun-weis (入聲韻尾) were abandoned altogether. The "Gyu-Jang-Jeon-Woon"was transformed into a Sa-Dan system and listed the Ru-sheng-zis on one side, but did not follow the sounds of the "Hongwu-Zhengyun"(translated version) but rather clearly those of the classifications which came before it. Accordingly, the pronunciation framework in Korean classifications of Chinese characters may be viewed as a distinctive result of the recognition of four types of sounds within a Sam-Dan system. The classifications were conceptually required not to reflect the actual pronunciations of Chinese characters but to provide a standard for changes in sound in Korean, and so there is the need to focus on their influence on and relationship with Korean Chinese character sounds in future studies. Hopefully, this paper will provide some assistance in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other Chinese character classifications of our country and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Korean.

      • 訓蒙字會의 한자음 연구 : 東國正韻ㆍ全韻玉篇과의 음운 비교를 통해

        김서영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6820669

        󰡔訓蒙字會󰡕는 1527년에 최세진이 편찬한 한자 초학서이다. 최세진은 훈민정음과 한자와의 상관관계에 대해 주목한 역관이자 언어학자이다. 󰡔訓蒙字會󰡕는 비록 운서는 아니지만, 諺文字母를 바탕으로 한자음에 대한 체계적인 주음을 하였다. 󰡔訓蒙字會󰡕를 통해 당시 실제 한국 한자음의 음운 자질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한국 한자음의 성격에 관한 고찰과 중국 한자음의 음운 체계에 관한 비교 연구는 현재까지 활발히 진행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訓蒙字會󰡕에 수록된 3,360 자를 대상으로 중국 성운학의 七音 체계에 맞게 牙ㆍ舌ㆍ脣ㆍ齒ㆍ喉ㆍ半舌ㆍ半齒로 분류했다.󰡔訓蒙字會󰡕의 字母는 󰡔東國正韻󰡕 23字母와 26韻類를 기준으로 정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東國正韻󰡕과 󰡔全韻玉篇󰡕의 訓民正音 주음과 비교ㆍ고찰하고 있다.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訓蒙字會󰡕 한자음에서 확인할 수 있는 당시 실제 한자음의 양상을 고찰하는데에 있다. 본 논문의 결과물은 󰡔東國正韻󰡕 이후 󰡔訓蒙字會󰡕와 󰡔全韻玉篇󰡕을 거쳐 현대 한국어의 한자음으로의 변화와 정착을 이해하는 통시적인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한어 중고음이 󰡔東國正韻󰡕 한자음에 끼친 영향을 고찰한다. 그것을 통해 한자음과 중국 음운과의 관계도 설명해 보고자 한다. Hunmongjahwae(訓蒙字會) is an elementary textbook of Chinese characters co mpiled by Se-jin Choi in 1527. Sejin Choi was a linguist and scholar who paid attentio 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Hunminjeongeum(訓民正音) and Chinese characters. Although it is not a rhyme book, Hunmongjahwae(訓蒙字會) was a systematic study of Chinese characters based on Hangul character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 he phonological qualities of the actual Korean Chinese characters at the time through Hunmongjahwae(訓蒙字會).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hinese consonant s and comparative studies on the phonological system of Chinese consonants have bee n actively conducted up to now. In this paper, the 3,360 characters included in the Hu nmongjahwae(訓蒙字會) were classified into Dental tone(牙)ㆍTongue(舌)ㆍLabial(脣)ㆍ Dental sound(齒)ㆍGuttural(喉)ㆍSemilingua(半舌)ㆍSemidentate(半齒), in accordance wi th the Seven tone system of Chinese nebula studies. The texts of the Hunmongjahwae were arranged based on the 23rd and 26th rhymes. This paper compares and examines the Hunminjeongeum(訓民正音) phonetics of Donggukjungwoon(東國正韻) and J eonuno kpyeon(全韻玉篇).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s of the actual Chinese con sonants at the time that can be confirmed as Chinese consonants. The results of this t hesis are intended to be provided as diachronic data to understand the change and sett lement of modern Korean into Chinese characters after going through the Hunmongjah wae(訓蒙字會) and J eonunokpyeon(全韻玉篇).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the Middle A ncient Chinese Speech Sound of the Korean language on the Chinese character conson ants is examined

      • 六祖法寶壇經諺解의 표기법과 음운에 대한 연구

        김양원 東國大學校 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6819629

        The subject of this paper is to make description for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about the linguistic phenomenon of the later medieval Korean language objective and right, according to the relation with Korean language in the middle of the 15th century and the phenomenon of Korean language in the beginning of the 16th century. This discussion can be objective when it has to be based on an exact analysis about its data, so this paper dealt with each study on each literature. Among data about the middle and modern language, literatures in the 15th’C, which were written in HunminJeong?m(訓民正音), were much more than those in other centuries in quantity, so the literatures have been used as good data in studying Korean language at that time. Besides, 15th century has been a criterion in research of the later medieval Korean language as well as ancient or modern Korean language. YukchoBeoppodangyeongEonhae(六祖法寶壇經諺解), that was published in InGyoung wooden type under the reign of Yeonsangun(燕山君), showed Korean language in the end of the 15th’C which reflected realistic Chinese character sound in writing Chinese characte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help understanding about phenomenal language at that time and to play a role that connects the study when HunminJeong?m(訓民正音) was created with the study on Korean language in the beginning of the 16th’C, through research into orthographic and phonological process as well as bibliography. The result obtained by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bout 1496, an initial sound, Choseong(初聲), consisted of 16 characters: GakchaByeongseo(各自竝書) wasn't realized, and the laryngeal ‘ㆆ’ wasn't used any more. Sunkyeong?m(脣輕音) ‘ㅸ’ was spelled into ‘ㅇ’ or ‘오/우’, and a medial vowel, Chungseong(中聲) showed every character except ‘ㆇ, ㆊ, ㆈ, ㆋ’ among 29 characters mentioned theoretically. 2. The phoneme that had followed Chinese phonological system disappeared - ‘ㆆ’, GakchaByeongseo(各自竝書), Sunkyeong ?m(脣輕音) ‘ㅱ’ in orthographic Chongseong(終聲) and so on - and Chos?n Chinese character sound(東音) began to be used. ‘ㅸ’ was never used in this literature. These facts imply that they showed the apparent change of orthographic rule after 50 years since the creation of HunminJeong?m(訓民正音), and orthographic Buncheol(分綴) had been used even though it was contracted in comparison with NammyeongchipEonhae(南明集諺解). 3. I discussed phonological process, which was divided into alternation, deletion, addition and contraction. Alternation is made up of nasalization, glottal sound, semivowel and vowel harmony. Deletion is about the deletion of liquid ‘ㄹ’, the deletion of interrogative ‘-가, -고’ and simplification of gregarious consonant. Addition deals with the addition of glide / j /. Contraction is about aspirate, vowel-contraction and tone-contraction etc. In relation to former literature, I tried to analyze the phenomenal phonology in the referred literatures.

      • 15世紀 國語의 四聲體系와 傍點에 대한 硏究

        김영국 京畿大學校 1994 국내박사

        RANK : 6820687

        「訓民正音」解例本에 설명되어 있는 四聲體系와 傍點에 대한 연구는 지난 40여년 동안 가장 활발히 논의되었던 문제 중의 하나이다. 그렇기 때문에 15세기 문헌에 표시되어 있는 傍點의 본질에 대하여 長短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라는 說과 高低를 표기하기 위한 것이라는 說이 대립하고 있으며, 그밖에 高低와 長短을 함께 표기하기 위한 것이라는 中立說이 있다. 傍點의 본질을 長短으로 보는 견해에는 周時經(1908), 崔鉉培(1941), 南廣祐(1954), 李熙昇(1955), 黃希榮(1969), 지준모(1972), 李東林(1975), 朴炳采(1980), 安英姬(1980), 金永國(1986) 등이 있고, 傍點의 본질을 高低로 보는 견해에는 河野六郎(1945), 許雄(1955), 鄭然粲(1960), 李基文(1960), 李崇寧(1964), 金完鎭(1973), 文孝根(1974), 權在善(1974), 崔世和(1975), 金次均(1977), 김성기(1988), 權仁瀚(1991) 등이 있으며, 傍點의 본질을 高低와 長短으로 보는 견해에는, 李奭周(1982), 金永萬(1986) 등이 있다. 15세기 국어가 聲調言諸였다고 주장하는 학설의 주된 논지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訓民正音」解例本에 보면, 四聲體系와 傍點에 대한 설명과 그 용례가 있다는 점. 둘째, 다소 문란하기는 하지만,「訓民正音」창제 이후 약 100년간 우리 문헌에 傍點이 사용되었다는 점. 셋째, 현행 慶尙道 方言과 嶺東 海岸地域의 方言 및 咸鏡道 일부 地域의 方言에「訓民正音」해례본의 四聲體系의 調値와 대응되는 高低가 남아 있다는 점. 따라서 만약 우리 국어가 聲調言語라는 이들의 주장이 타당성이 있다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의문점에 대하여 납득할 만한 해답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첫째, 15세기 국어가 聲調言語라면, 그 이전 시기의 언어에서도 聲調의 흔적을 찾을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訓民正音 창제 이전의 어느 자료에서도 그 흔적을 찾을 수 없다는 점. 둘째, 15세기 국어의 聲調素가 둘(平聲과 去聲) 또는 셋(平聲, 上聲, 거성)이라면, 訓民正音 창제자들은 어째서 平·上·去·入 이라는 네 가지 聲調素를 제시했을까 하는 점. 셋째, 訓民正音 창제자들은 어째서 당시 聲調言語인 中國語에서도 사용하지 않았던 傍點이란 것을 독창적으로 만들어 사용했을까 하는 점. 넷째, 傍點이 국어의 聲調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었다면, 어째서 100여년만에 우리 문헌에서 완전히 사라졌을까 하는 점. 다섯째, 訓民正音은 중부 방언을 중심으로 만들어졌음이 틀림없는데, 어째서 중부 방언에서는 그 흔적을 찾지 못하고, 경상도 방언에 그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인가 하는 점. 여섯째, 聲調란 한 단어나 한 音節에 音調의 변화로 의미가 변별되는 것을 말하며, 개개 音節의 音調의 변화에 의해 의미를 구별하는 언어인데, 漢藏語族(Sinno-Tibetic Family)에 속하는 언어들과 아프리카와 북아메리카의 여러 언어들의 공통특질이다. 그런데 국어는 多音節語이며 膠着語인데 어떻게 聲調言語가 될 수 있다는 것인가 하는 점. 일곱째, 15세기 국어가 聲調言語라면, 韻支과 散文에 있어서 韻律的 차이가 나타나야 하는데, 당시 간행된「龍飛御天歌」나「月印千江之曲」등의 韻文을「釋譜詳節」과 같은 散文과 비교해 보아도, 高低의 韻律規則 에 아무런 차이점을 발견할 수 없다는 점. 여덟째, 15세기 문헌에 표시된 傍點이 聲調의 기능을 갖고 있다면, 동일한 形態素에서도 聲調에 따라 각각 의미가 변별되어야 하는데, 고유어에서는 그러한 변별성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 따라서 필자는 15세기 국어가 聲調言語라고 주장하는 학자들이 이러한 의문점들을 얼마나 해결해 놓았는가를 하나하나 살펴봄으로써, 우리 국어는 聲調言語가 아니라는 논증의 자료로 삼고자 한다. 본 論文은 15C 국어는 聲調言語이며, 현재 경상도 방언의 高調體系를 볼 때 신라어도 聲調言語였다는 종래의 假說에 대하여 비판하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향가와 계림유사를 중심으로 한 訓民正音 창제 이전의 聲調說에 대하여는 그들의 주장을 비교·검토함으로써 어떤 새로운 자료가 발굴되지 않는 한 현재로서는 타당성이 없다는 것을 밝혔다. 그리고 訓民正音 창제 이후의 聲調說에 대하여는 訓民正音 창제자들이 어째서 四聲體系를 만들었으며, 中國語에도 없는 傍點까지 창안하여 국어의 韻律素를 설명하지 않으면 안되었을까 하는 이유를 살펴봄으로써 15세기 국어는 聲調言語(tone language)가 아니었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그리고 15세기 국어의 韻律素를 표시하기 위해 生成된 傍點이 우리 문헌에서 어째서 그렇게 빨리 폐지되고 말았는가를 살펴보았다. 그렇게 함으로써 訓民正音 창제와 함께 生成된 四聲體系는 중국 韻學의 영향, 즉 音韻은 七音과 四聲이 橫과 縱으로 이루어져야 비로소 이루어진다는 音韻觀에 깊은 영향을 받아 왔던 訓民正音 창제자들이 국어의 韻律素(長短)를 中國語의 韻律素(長短과 高低)와 같은 것으로 인식함으로써 만들게 되었고, 傍點은 이와 같은 四聲을 구별하기 위해 만든 人爲的 表記形態임을 밝히게 되었다. 또한 傍點의 소멸시기는 생성 당시의 문헌에서부터 語末平聲化가 일기 시작하였으며,「杜詩諺解」(1481)에서는 語末平聲化가 보편화 되면서 많은 혼란이 보였고, 官板인「舍利靈應記」(1449),「樂學軌範」(1493)이나 민간에서 간행된「神仙太乙紫金丹」(1497) 등에 傍點이 전혀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상당히 앞당겨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The research on the four tones system(四聲體系) and the side marks(傍點) explained in the「Hun-min-ceˇng-um He-rye(訓民正音 解例)」has one of the most active controversial issues during last 40 years. There has been a contradiction of theories between the intrinsic nature of the side marks i s to indicate a chrone and that is to a tone, and there is a neutral stance of both for the 15th century scripts. The view of the chrone theory in the intrinsic nature of the side marks is supported by Joo, See-Kyung, Choi, Hyun-Bae, Nam, Kwang-Woo, Lee, Hee-Seung, Hwang, Hee-Young, Lee, Dong-Lim, Park, Byung-Chae, Ahn, Young-Hee, Kim, Young-Gook, etc; the tone theory is by Haya, Yuk-Rang, Huh, Woong, Chung, Yeon-Chan, Lee, Ki-Moon, Lee, Soong-Nyung, Kim, Wan-Jin, Moon, Hyo-Keun, Kwon, Jae-Sun, Choe, Se-Hwa, Kim, Cha-Gyun, Kwon, In-Han, etc. : the neutralism is by Lee, Suck-Joo, Kim, Young-Man, etc. The following is the main summary of the assertion that 15th century Korean is the tone language. First, there are explanations and examples of the four tones system(四聲體系)and the side marks(傍點) in 「Hun-min-ce ̄ng-um He-rye(訓民正音 解例)」. Second, the side marks(傍點) had been used for about 100 years after the creation of the Hun-min-ceˇng-um(訓民正音) , although it was disorder. Third, there strill exists the corresponding tone of the Four tones system(四聲體系) and the side marks(傍點) in the current dialects in Kyeng-Sang(慶尙) , coast-side of Young-Dong(嶺東) area, and Ham-Kyeng(咸境). Accordingly, if our language is the tone language, it should be answered for the following questions to make the point the clear. First, if the 15th century's language is the tone language, there must have been a vestige of the tone before that time. But there was no records of that before the creation of the Hun-min-ceˇng-um(訓民正音). Second, if the tone element of the 15th century's language consisted of two(Low, High) or three(Low, Rising, High), why did the creators of the Hun-mim-ceˇng-um(訓民正音) suggest 4 tone elements of Phyeng(平). Sang(上). keˇ(去), and Ip(入) Third, why did the creators of the Hun-min-ceˇng-um(訓民正音) use the side marks(傍點) which even was not used in Chinese, the tone language itself? Forth, if the side marks(傍點) were to indicated the tone, why it disappeared totally in about 100 years after the creation? Fifth, it is clear that the Hun-min-ceˇng-um(訓民正音) must have been invented on the basis of the central dialects. Then, why can we find the vestige of that in the Kyung-Sang Dialects while none in the central dialects? Sixth, the tone is to make the meaning distinctive through the variation of a word, a syllable, by tune(音調). and it is common characteristics in the languages of Sinno-Tibetic Family(漢藏語族), Africa, and North America. Then, how can multisyilables and agglutinative Korean be the Tone Language? Seventh, if 15th century's language is the Tone Language, there must appear rhythmic variances in verse and prose. However, we cannot find any difference in verses as「Yong-pi-eˇ-cheˇn-ka(龍飛御天歌)」and「Ueˇl-in-cheˇn-kang-ci-gok(月印千江之曲)」contrast to proses as「Seˇk-po-sang-ceˇl (釋譜詳節)」. Eighth, if the side marks(傍點) in the 15th century's record had the function of the tone, the meaning should be identified in the same morpheme. But we cannot find that kind of distinctions in our native language. Therefore, I demonstrated that Korean is not the language and provide the supporting materials, by looking at how much the our scholars who have asserted that Korean is the tone language have proved for questions that I provided above. This treatise is constructed in a way to criticize the former assum-ptions that 15th century's language was the tone language on the basis that Shilla language was the tone language to see the tone system of current Kyung-Sang Dialects. Therefore, I showed it is unreasonnable for the theory of the tone langiage before the creaton of the Hun-min-ceˇng-um(訓民正音) to compare and examine their argumen-ts, unless they uncover new facts. And I proved for the theory of the tone language after the creation of the Hun-min-ceˇng-um(訓民正音) that 15th century's Korean language is not the tone language through the insight of why the Hun-min-ceˇng-um(訓民正音) creators had made the four tones system and why it was inevitable to make the side marks(傍點) for the explanation of the prosody. And I have studied why the side marks (傍點)to indicate the prosody had been abolished so quickly. To do so, I become to reveal that the four tones system with the creation of the Hun-min-ceˇng-um(訓民正音) was influences by the Chine-se Un-hak(韻學), and that phoneme was recognized by the Hun-min-ceˇng-um(訓民正音) creators as the same as the Chinese prosody(chroneme and toneme) by which a phoneme is organized with the combination in a manner of lengh and breath of seven sounds(七音) and four tones(四聲), and the side marks(傍點) were being made as an artitifical indication form to make differences to four tones(四聲), Also, I believe that the period of the extinction of the side marks(傍點) must be earlier that the previous thoughts according to the fact that there appeares to have been transform into Low-tone(平聲) of word-end in the records of the creation time, and then followes a cofusion period after the generalization of transform into Low-tone(傍點) of word-end, in turn, there was no usage of side marks(傍點) in such cen-tral presses as「Ak-hak-kyue-peˇm(樂學軌範)」or such private presses as「Sin-sun-thea-ul-ca-kim-dan (神仙太乙紫金丹」.

      • [舌根收縮]과 15세기 국어 모음조화

        김용람 광운대학교 대학원 1993 국내석사

        RANK : 3886

        본고는 훈민정음 해례 제자해의 모 분류 중심자질인 '舌縮'의 본질을 밝히고 이를 근거로 15세기 국어의 모음체계와 모음조화의 규칙을 수립하였다. 1장에서는 '설축'을 '舌根의 收縮인 [RTR]자질로 해석하고 이 자질이 언어학적 범어성을 획득할 수 있으며, 나아가 15세기 국어의 모음조화 현상이 자립분적음운론(autosegmental phonology)으로 해석될 것이라고 하였다. 2장에서는 첫째, '설축'을 음운론적인 자질로 수용하여 [RTR](retracted tongue root)로 규정하고, 이 자질이 언어학적인 범어성을 갖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설축'과 비슷한 개념은 세계 여러 언어의 모 분류에서 혀뿌리의 움직임 자체를 고려한 [RTR]자질, 또는 인두강의 크기를 고려한 [pharyngealized] 자질 등으로 나타났다. 국어에서는 ㅣ를 중성모음으로 하고 양성모 ㆍ ㅗ ㅏ는 [+RTR]에 의하여, 성모 ㅡ ㅜ ㅓ 는 [-RTR]에 의하여 각기 자연부류를 형성하나도 보았다. 기타자질로서 '闔開'은 개구도를, '蹙張'은 [원순성]자질은, '深淺'은 청각인상으로 실현되었음을 밝혔다. 둘째, 훈민정음 당시의 모음무자가 표시하는 가에 대한 새로운 검토의 필요성에 따라 ㅏ ㅣ ㅜ ㅗ ㅓ ㅡ ㆍ의 가추정을 시도하였다. 3장에서는 첫째, 2장에서 밝혀진 [RTR]에 의한 모음체계에 근거한 모음조화가 15세기 국어뿐 아니라 다른 언어군에서도 입증될 수 있는지 범어적으로 행해지는 모음모화의 유형을 검토하였다. 그 유형은 완전 모음조화와 부분적 모음조화로 분류되었으며, 이때 부분적 모음조화에는 구개적 모음조화와 순적모음조화, 설근적 모음조화가 속한다. 둘째, 본고에서 주장한 [RTR]자질의 의한 설근적 조화는 모음도상에서는 시선적으로 실현되었다. 이는 모음들이 사선적으로 배열된 모음체계와도 합치되는 이상적 체계로서 15세기 국어가 구개적 조화라는 주장이 제거하게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나아가 본고에서는 모음조화의 유형이 고대국어의 구개적 조화에서 15세기 국어로 오면서 설근적 조화로 변모의 과정을 겪었다고 볼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주장하였다. 이는 유형론적 접근을 시도한 Svantesson(1985) 등에 의해서 밝혀진 알타이제어의 모음조화 변모 양상과도 일치하는 것이다. 또한 자립분절음운론을 적용하여 15세기 국어 모음조화의 양상을 파악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vowel system and vowel harmony in the 15th century Korean. In Hun-Min-jung-Um(訓民正音) which was published in 1446 A.D., there is a description of vowel quality of the 15th century Korean. Hun-Min-jung-Um is not only a phonetic system but a featural system. The three basic vowel (ㆍㅡㅣ) are modeled after the shape of heaven(round), earth(falt), and man(upright) respectively. The next four simple vowels(ㅗㅏㅜㅓ) are made by adding the lip shape features (round and unround) to the basic vowel. There was represented the term [retracted tongue root](舌縮), [somewhat retracted tongue root](舌小縮), [unrectracted tongue root](舌不縮), [round/unround](蹙/張). By description, I can classify the following 3 set of vowels. set1 ㅡ ㅓ ㅏ [-RTR] set2 ㆍ ㅗ ㅏ [+RTR] set3 ㅣ neutral [+RTR] vowels are transcribed as [Λ, o, a] in contrast with [-RTR]vowels, which are transcribed as [i, u, a]. Thus obtain the vowel chart as following. ◀표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Words normally contain vowels only of set1 or only of set2. The vowels of set1 have a 'dark' quality, the vowels of set2 have a 'light' quality. The primary gesture involved in distinguishing set1 from set2 seems to be movement of the tongue root. Phonologically, it is easy to view the process as one of simple a binary opposition between a marked category, 'Retracted Tongue Root' ([+RTR]), and unmarked category, 'Non-Retracted Tongue Root'([-RTR]). Since the articulatory cue is variation in pharyngeal size. As the tongue root is moved forward, the tongue body is compressed and therefore raised. Conversely, as the tongue root is retracted, the tongue body is pulled down and therefore lowered. Thus, vowel harmony system based on tongue root position are found in the 15th Korean. The process of vowel harmony is a widespread linguistic phenomenon. There basic type of vowel harmony have been observed in languages:palatal harmony([back]), labial harmony([round]), and tongue root harmony([RTR/ATR]). In fact, Tongue root harmony occurs mainly in language families located in Africa(i.e. lgbo, Akan, Kalenjin...). In addition, Altaic language(i.e. Tungusic, East Mongolian...) have a type of vowel harmony which is a similar to that found in African languages, i.e. most probably pharyngeal harmony. It has generally been assumed that Korean has vowel harmony of the palatal type, but in this paper I will present to [RTR]. I conclude that the hypothesis of root retracting accounts adequately for all the articulatory and auditory phenomena known to be associated with the 15th Korean vowel harmony. The two set of Korean vowels are distinguished the movement of the tongue root conbined with tongue height. This is because vowel harmony in the 15th century Koreanis not simply captured within the traditional [±high] or [±low]. Furthermore, this paper shows that the vowel harmony in 15th century Korean can be explained in the framework of the autosegmental phonology.

      • 『多夕日誌』의 훈민정음체에 대한 언어 철학적 연구

        김우영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6820685

        다석 유영모가 쓰고 남긴 『다석일지』를 고찰하며 우리말과 우리글에 대한 몇 가지 의문 사항이 생겨났다. 첫째는, ‘우리글인데 어째서 어려운가?’였고, 둘째는 우리글임에도 불구하고 다석의 제자들에게조차 어렵게 느껴진 우리글에는 ‘어떤 비밀이 있는가?’였으며, 마지막은 ‘한글과 훈민정음은 같은가?’였다. 위 의문을 바탕으로 본 고에서는 다석일지에 사용된 언어가 훈민정음체임을 내용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훈민정음체의 언어 철학적 특징을 검토하였다. 『다석일지』에 다석이 쓴 우리글은 지금 우리가 쓰고 있는 한글과는 다른 훈민정음체이다. 따라서, 다석이 우리말과 우리글로 철학을 한 언어 사상가라 할 때 그 우리말과 우리글은 훈민정음체를 말한다. 훈민정음체의 언어 철학적 특징을 풀어보면 다음과 같다. 다석은 훈민정음이 뜻과 소리가 온전하게 결합한 체계이기 때문에 28글자 중 ‘ㆍ, ㆆ, ㅿ, ㆁ’를 쓰지 않게 되는 것은 정음의 특별한 사상체계가 훼손되는 것이라고 보았다. 특히 어미 소리의 어미 소리이며 천지인 사상에서 으뜸인 하늘(ㆍ)을 유폐해 놓은 것은 잘못이라고 하였다. 이와 같은 생각에서 다석은 훈민정음체에서 사라진 네 글자 모두에 함축적 의미를 부여하여 해례본 글자체로 일지를 썼다. ㅇ-ㆆ-ㅎ 삼층 구조에서 안 쓰는 ‘ㆆ’을 다석은 짐짐 의식을 가지고 ᅙᅵ었다. ‘ㆆ’는 거룩함, 깨끗함, 얼을 이마에 ᅙᅵᆷ 등을 뜻하고 짐을 ‘ᅙᅵᆫ다’는 실천은 다석 자신에게 수양의 형식이자 목표라고 할 수 있다. ‘ㅿ’는 “매ᇫ달린 나” 받침에 상형의 뜻으로 사용했다. ‘ㆁ’는 ‘밀알갱이 심고 밀알캥이 키이심’에서 받침의 ㆁ이 ㆁ-ㄱ(갱)-ㅋ(캥) 삼층(삼재 사상)으로 식물이 싹(ㆁ)이 나서 위로 성장하는 과정을 그림으로 형상화하여 보여주고 있다. 이는 정음의 제자 원리와 그대로 일치하는 훈민정음체 그림글자이다. 또한, 말은 함부로 만드는 것이 아니지만 정 필요하면 - 그래야 후세 사람도 그 뜻을 알고 이어서 다시 큰 사상을 담게 되기 때문에 -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해서 훈민정음 제자 원리를 응용하여 정 28글자 안에서 다석이 만든 글자는 가온찌기 ‘’(中)과 ‘긋’(點, 이어오는 끄트머리 끝)이다. 여기에는 천·지·인 삼재 사상과 상형의 원리가 그 바탕에 있다. 이 원리는 우리말 구조에 있는 ‘므름-브름-프름’하는 대화의 변증법을 통해 다석이 몸에서 깨어 캐내는 생각으로 찾은 글자이다. 다석의 훈민정음체에서 글자는 곧 몸이고 그 글자를 파자(破字)하여 깨는 것은 몸을 파사(破私)하여 깨치는 것과 동일한 뜻을 지닌다. 또한, 다석은 소 ᄭힺ는(모는) 농부가 소에게 하는 말에서 소리를 찾아 와워위가 필요함같이 ᄋힹᄋힺ의도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ᄀힺ룩[聖], 븬탕[空], ᄀힺ림[象], ᄋힺᆯ[靈]’ 등으로 썼다. 다석의 훈민정음체 사상에는 없이 여겨지고 사라지는 것들에 대한 가치 발견과 복원이 자리하고 있다. 다석의 이러한 훈민정음체 언어 활동은 비롯을 따지고 마침을 뒤지는[原始反終] 수양의 실천이다. 훈민정음 제자원리의 응용인 훈민정음체 시조와 번역은 우리말을 ‘없’[本無]에 잇는 일이었다. 다석은 상대적 존재 ‘있없’[有無]을 넘어서 ‘없’에 가는 것이 씨알[民]의 속알[德]을 높이는 삶이라고 보았다. 그리고 그것은 언어라는 사유의 전통에 귀속함을 통해서만 가능하다고 말했다. 다석은 오직 언어와 놀이함을 통해서만 무상한 물신이 비상한 정신으로 솟아날 수 있다고 보았다. 이와 같은 생각으로 다석은 사라진 글자들을 되살려 말씀줄을 ᅙᅵᆺ기 위해 훈민정음체를 썼다. 본 연구는 우리말과 우리글로 철학을 한 다석의 유일한 저작인 『다석일지』와 그의 언어 철학인 훈민정음체를 연구하는 데 있어 다음의 의미를 지닌다. 첫째는, 훈민정음체가 훈민정음이라는 사상서와 다석 언어 철학이 만나 지평 융합하여 자득한 언어 철학 체계라는 것을 훈민정음체의 철학적 특징으로 분류하여 검토하였다는 점이다. 둘째는, 이러한 훈민정음체가 보유한 온생명적 가치는 훈민정음과 한글의 언어적, 역사적 틈새를 단절이 아닌 창조적 ᅙᅵ[繼]으로 응용할 수 있는 원리로 이는 훈민정음의 제자원리로부터 이어진 우리말의 삼층 구조에 내재해 있는 변증법적 대화의 원리라고 밝힌 점이다. 셋째는, 꼭 바른 소리는 새삼스럽게 이상한 말이 아니라 우리 입에서 늘 쓰는 여느 말이라며 가장 평범하고 일반적인 우리말에서 다석은 깊은 의미를 찾아 후세에 잇고자 했으며 이를 다석의 짐짐 의식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이다. 다석이 가장 깊게 생각한 글자는 ㆍ이다. 모든 소리의 첫소리이면서 생성글자임에도 정작 자신은 사라진 ㆍ은 하나의 음운이면서 하나의 사상이다. 본 고는 훈민정음음운 체계임과 동시에 하나의 사상체계라는 것을 다석이 그 원리의 응용을 통해 훈민정음체 시조와 경전 번역의 해석학을 통해 보이고 있음을 검토하였다. Studying 『Daseok's Diary』 written and left by Daseok Ryu, Yeongmo, several questions about our language and writing came to mind. First, why is our writing difficult? Second, what are the secrets in our writing to make Daseok's students feel difficult in spite of it? Finally, Is Hangul the same as Hunminjeongeum? Based on the above questions, this thesis examined that the language used in Daseok's Diary was Hunminjeongeumche by analyzing the contents. And linguistic philosophical characteristics of Hunminjeongeumche were examined. Our writing written by Daseok in 『Daseok's Diary』 is Hunminjeongeumche unlike Hangul which is now being used by us. Therefore, when Daseok is a thinker of language who studied philosophy with our language and writing, they means Hunminjeongeumche. The linguistic philosophical characteristics of Hunminjeongeumche are shown as follows: Daseok thought that ‘ㆍ, ㆆ, ㅿ, and ㆁ’ of 28 letters of Huminjeongeum which were not used anymore because it is the system that wholly combined meanings with sounds damaged the special system of thought of Jeongeum. Especially, he argued that confinement of heaven (ㆍ), a ending sound of ending sounds and the best in thought of Heaven-Earth-Humanity, was wrong. Thinking like this, Daseok wrote his diary with a font of Hunminjeongeum Haerye by giving implications to all the four letters which disappeared in Hunminjeongeumche. He had consciousness of ‘Jimjim’ (짐짐, worries over the troubled world) about ‘ㆆ’ which is not used in the three-layer structure of ㅇ-ㆆ-ㅎ. ‘ㆆ’ means holiness, cleanliness, and ‘Im’ (ᅙᅵᆷ, bearing) spirit on the forehead. Practice of bearing jimjim (짐을 ᅙᅵᆫ다) can be a form of cultivation and goal to Daseok himself. ‘ㅿ’ was used to mean hieroglyphics as a support of “매ᇫ달린 나 (dangling myself)”. ‘ㆁ’ embodies and shows the process that plants sprout (ㆁ) and grow upward as ㆁ of a support in “밀알갱이 심고 밀알캥이 키이심 (planting and growing grain of wheat)” as the three layer of ㆁ-ㄱ-ㅋ (Thought of three powers). This is a pictograph of Hunminjeongeumche which accords with the principle of inventing letters in Jeongeum. And words are not thoughtlessly made, but if it's really necessary, he thought they should be done because posterity can know their meanings and again include big ideas in them. So letters made by Daseok within the 28 letters of Jeongeum by applying the principle of inventing letters in Hunminjeongeum are the ‘Gaonjjigi’ (, midst) and ‘Geus’ (긋, the continuous end). They are based on the thought of three powers of Heaven-Earth-Humanity and the principle of hieroglyphics. For this principle, the letters were found by Daseok by thinking that he seemed to break and dig them up from his body through the dialectic of conversation, ‘Merm-Brum-Purm (므름-브름-프름)’ in the structure of our language. In Daseok's Hunminjeongeum, the letters are the body and breaking the letters to find the new meanings (破字) has the same meaning as finding enlightenment by breaking the body and being newly born (破私). And Daseok judged that driving a cattle also requires ‘Eua-Eueo-Eui’ (ᄋힹᄋힺ의) as ‘Oa-Ueo-Ui’ (와워위) is required by finding sounds from the words that a farmer tells a cow and wrote ‘Geueo-Ruk’ (ᄀힺ룩, divine), ‘Beuin-tang’ (븬탕, emptiness), ‘Geueo-Rim’ (ᄀힺ림, picture), and ‘Eueol’ (ᄋힺᆯ, spirit). There are value discovery and restoration of the things which are ignored and disappear in Daeseok's thought of Hunminjeongeumche. His linguistic activities of Hunminjeongeumche like this is practice of cultivation to see origins and go through finish (原始反終). Shijo (Korean poetry) and translation of Hunminjeongeumche,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inventing letters in Hunminjeongeum, were to connect our words to ‘the non-being[本無].’ Daseok thought reaching ‘the non-being' beyond the relative existence of ‘the being and the non-being [有無]‘ is life to increase ‘Sok-al’ (속알, morality, 德) of ‘Ssi-al’ (씨알, the public, 民). And he argued that it is just possible just by belonging to tradition of reason called language. Daseok thought that meaningless fetishes can be outstanding with the extraordinary spirit just by playing with language. With the idea, Daseok used Hunminjeongeumche to ‘Is’ (ᅙᅵᆺ, inherit) the words by reviving the letters which disappeared. The study has the following meanings in studying 『Daseok's Diary 』, the only book by Daseok who studied philosophy with our language and writing, and Hunminjeongeumche, his linguistic philosophy: First, Hunminjeongeumche was reviewed by classifying the point that it is a linguistic philosophical system understood by fusion of horizon as the thought book called Hunminjeongeum meets Daseok's linguistic philosophy into its philosophical characteristics. Second, Hunminjeongeumche's value of complete life is the principle to be able to be applied as creative ᅙᅵ sound [繼], not severance of the linguistic and historical gap between Hunminjeongeum and Hangul. And Daseok clarified that this is the principle of dialectical conversation in the three-layered structure of our language connected from the principle of inventing letters in Hunminjeongeum. Finally, Daseok tried to find deep meanings from the most common Korean words and hand down them to posterity saying that the words are the ones being always used by us, not the new and strange ones and examined this from the viewpoint of consciousness of ‘Jimjim’. The letter that Daseok thought about very much was ㆍ. In spite of the first and generation sound of all ones, ㆍ which disappeared is a phoneme and a system of thought. The thesis examined Daseok who showed that Hunminjeongeum is a phonemic system and at the same time, a system of thought by applying the principle and interpreting Shijo of Hunminjeongeumche and translation of the scriptures.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음운 지도 방안 연구

        김은경 충남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6819644

        본고는 외국인학습자가 한국어를 효율적으로 학습함에 있어 음운 층위에서 각각의 음운음운 현상의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2장에서는 표준문법에서 정한 한국어의 음운체계와 각 기관의 음운 체계를 비교하여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서 바람직한 음운체계를 설정하였다. 모음은 전통적 분류인 기본모음과 복모음으로 나누는 것 보다는 단모음과 이중모음으로 나누어 교육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자모의 제시 순은 자음보다는 모음을 먼저 제시 한다. 모음은 단모음을 먼저 익힌 후 이를 바탕으로 이중모음을 학습하는 것이 이중모음의 가를 외워야 하는 학습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단모음은 전설모 ㅣ→ ㅔ→ ㅐ, 후설모 ㅜ→ ㅗ→ ㅡ→ ㅓ→ ㅏ의 순서로 제시할 것을 제안하였고 이중모음은 단모음의 가를 익힌 후 y계 상향모(ㅑ, ㅕ, ㅛ, ㅠ, ㅒ, ㅖ), w계 상향모(ㅘ, ㅙ, ㅝ, ㅞ), y계 하향모(ㅢ) 순을 제시 하였다. 한편 ㅚ와 ㅟ는 w계 상향모음과 함께 제시하여 학습자의 부담을 줄이면서 현실발음을 고려하였다. 자음은 학습자가 쉽게 발음할 수 있고, 교사가 쉽게 설명할 수 있는 순으로 하였다. 즉 비, 유→ 평→ 격→ 경음의 순을 염두 하면서 한국어의 훈민정음 제자원리를 이용하여 제시하였다. 아음의 ㅇ, ㄱ, ㅋ,ㄲ→ 설음의 ㄴ, ㄷ, ㅌ, ㄸ, ㄹ→ 순음의 ㅁ, ㅂ, ㅍ, ㅃ→ 치음의 ㅅ, ㅆ, ㅈ, ㅊ, ㅉ→ 후 ㅎ의 순을 제시하였다. 3장에서의 2장에서 자모 제시 순을 바탕으로 자모의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여기서는 학습한 발 항목을 유의적 맥락에서의 언어 사용으로 전이시키기 위하여 ‘도입→제시․설명→연습→사용→마무리’의 5단계를 통한 발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모음은 단모음과 이중모음으로 나누어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단모음은 2장에서 제시한 모음의 제시 순에 따라 지도하되 혀의 위치, 입술모양, 입을 벌린 정도를 상대적으로 설명함으로써 모음체계 내 각 모음들의 대립 관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구강측면도와 입술정면도를 같이 제시하였다. 또한 학습자는 각자 손거울을 이용하여 자신의 입모양을 교사나 제시한 자료와 비교하면서 연습하도록 하였다. 이중모음은 훈민정음의 제자원리를 도입하여 설명하되 정확한 발음을 위하여 ‘+’보다는 ‘→’로 제시하였다. 이중모음의 〔y〕와 〔w〕는 그 길이가 현저히 짧다. 따라서 이중모음은 과도 〔y〕나〔w〕와 단모음의 합이라기보다는 처음에 〔y〕나 〔w〕와 같은 입모양을 하다가 재빨리 후속 단모음을 발음한다. 이는 그림을 통하여 제시하였다. 자음은 그 수가 많아 한국어를 처 배우는 학습자가 상당히 어렵게 느낀다. 따라서 한국어 학습 초기에 이루어지는 자음의 형태와 발음의 접목을 통하여 자음의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국어는 다른 문자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발음기관을 본뜬 상형문자이다. 따라서 글자를 보면 입모양이 연상되도록 하여 학습자의 단순 암기의 부담을 줄이고자 하였다. 이러한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에 의한 자음의 지도는 같은 조 위치에서 발음되는 비, 평, 격, 경음의 제시가 강조되어 이후 음운현상과 연계할 수 있다. 이후 평, 격, 경음의 3항 대립을 집중적으로 연습할 수 있도록 별도의 항목을 설정하여 지도방안을 모색하였다. 여기서는 최소 대립 쌍의 비교를 통한 연습, 우리말 의성어․의태어를 통한 연습, 노래를 통한 연습, 유의적 맥락 속에서의 발 연습을 위한 보웬의 기술을 통한 발 연습을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먼저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에 꼭 필요한 음운현상을 선정하였다. 한국어의 많은 음운현상 중에 표기와 발음이 일치하지 않는 것을 그 대상으로 하여 그 음운 현상을 정확하게 발음하고 이해하도록 하였다. 절의 끝소리 되기(중화, 자음군 단순화), 연, 자 동화(비음화, 유음화), 구개음화, 경음화, 격음화, ㅎ탈락이 선정한 음운현상이다. 음운현상의 제시 순도 자모음의 제시순과 마찬가지로 간단한 것에서 복잡한 것, 쉬운 것에서 어려운 것, 일반적인 것에서 특수한 것, 사용빈도가 높은 것에서 낮은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이와 상관없이 먼저 가르쳐야 하는 것이 있었다. 받침 발음과 관련되는 절의 끝소리 되기, 연음화가 그것이다. ㅎ탈락도 연음규칙과 관련되는 현상이기 때문에 연음화 후에 학습하도록 하였다. 한편 경음화, 격음화, 비음화 등의 음운 현상의 순서를 정하기 위해서는 한국어 기초 어휘에 나타나는 음운 현상의 빈도를 조사하였다. 여기서는 어휘 내에서의 음운 현상의 빈도뿐만 아니라 한국어 기초 어휘에 조사나 어미가 붙을 때 일어나는 음운 현상의 빈도를 조사하였다. 이는 한국어 학습자가 실제 언어 상황에서는 어휘 자체만을 발화하는 것이 아니라 체언에 다양한 조사가 결합한 형태, 용언의 어간에 다양한 어미가 결합한 형태로 발화하기 때문이다. 이를 종합한 음운현상의 지도 순은 절의 끝소리 되기(중화, 자음군 단순화)→ 연→ ㅎ탈락→ 비음화→ 경음화→ 격음화→ 구개음화→ 유음화로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 음운 현상의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각각의 음운현상은 전형적인 규칙과 소규칙, 예외적 규칙, 그리고 현실발음으로 정리하여 음운현상의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 15세기 문헌어의 음성적 구현을 위한 기초 연구

        김진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3411758

        연구의 목적은 15세기 문헌어를 성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다. 따라서 구체적으로는 문헌어의 성적 구현을 위해 필요한 분절음의 가와 성조의 고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모습일지 밝히고, 이를 어떻게 성적으로 구현할지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제2장은 옛말을 성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준비 단계이다. 옛말을 성적으로 구현할 때 짚고 넘어가야 하는 것은 우선 지금까지 존재했던 15세기 국어에 대한 음운론적 쟁점들이다. 따라서 제2장에서는 제3장에서 해결해야 할 음운론적 쟁점이 무엇인지를 먼저 살펴본다. 또한 성적 구현을 위해 필요한 기초 정보들에는 분절, 분절음의 음운 현상, 성조, 성조의 연결 등이 필요함을 밝혔다. 제2장의 마지막으로는 본 연구에서 가 추정을 위해 사용되는 성운학, 『朝鮮館譯語』 등에 대한 기본적 논의를 하였다. 제3장에서는 초성자, 중성자, 종성자 각각이 절 안에서 어떠한 가를 나타낼지 특정하였다. 이에 초성자 36개, 중성자 27개, 종성자 32개 각각의 가를 밝혔다. 그리고 성조에 대해서는 먼저 성조를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에 현대 국어의 방언과 외국어를 참고하여 15세기 국어의 성조를 5도제 표기법으로 나타내었다. 제4장에서는 제3장에서 살펴본 분절음과 성조가 연결되었을 때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는지 밝혔다. 이에 분절음은 어두와 어중에서 유성음화, 경음화, 비음화, 설측음화, 격음화 등의 음운 현상을 겪고 표면형으로 실현되었음을 보였다. 또한 성조는 여러 절의 성조가 이어질 때 성조내림현상과 하강화현상을 겪고 각 절이 서로 다른 고로 실현됨을 추정하였다. 그리고 끝으로 15세기 문헌어의 성적 구현을 현실화하고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성적 구현은 딥러닝(Deep Learning) 등의 방식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구현된 15세기 문헌어는 교육 현장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 초기 정음 문헌에 나타난 반모음 j 관련 음운 현상 연구

        김현지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6819630

        연구는 초기 정 문헌에 나타난 반모 j와 관련된 음운 현상을 찾아 분석하여 음운 규칙을 제시하고, 이들 규칙의 발생을 야기한 제약 조건을 찾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잘 알려져 있다시피 반모 j와 관련된 음운 현상에는 첫째, 모 ‘ㅣ’가 후설모 ‘ㅏ, ㅓ, ㅗ, ㅜ’를 앞이나 뒤에서 만나게 되면 ‘ㅣ’가 반모 j로 바뀌어 ‘ㅏ, ㅓ, ㅗ, ㅜ’에 붙어 과도음화되는 j 과도음화 현상이 있고, 둘째, 체언이나 용언의 어간 끝소리 ‘ㅣ-, j-’의 자질의 영향을 받아 후행하는 조사나 어미 ‘-아/어, -오/우’나 형태소 안 또는 경계 앞에 위치한 모 뒤에 반모 j가 첨가되는 반모 j 첨가 현상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반모 j와 관련된 이들 음운 현상들은 중세국어 시기에 존재했던 절 구조 제약 조건(*σ[V)과 모 연결 제약 조건(*Vi)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파악했다. 그런데 이들 음운 현상과 제약 조건은 초기 중세국어의 모 체계와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규칙과 제약은 현상을 야기하는 과정에서 불가분의 관계를 형성한다고 본다. 규칙과 제약과의 관련성을 밝히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반모 j와 관련된 현상을 규칙화하고 이들과 관련된 제약 조건을 찾아 제시함으로써 규칙과 제약과의 관련성을 다시 한번 더 예증하기로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d analyze phonological phenomena related to semivowels-j in the early jeongeum literature, present phonological rules, and find and present constraints that caused the occurrence of these rules. Semivowel-j appears in various forms in 15th century literature. Among them, phonological phenomena found in early jeongeum literature include when the vowel ‘l’ meets the back vowel‘ㅏ, ㅓ, ㅗ, ㅜ’in front and back, it changes to a semivowel-j and becomes an j-glide, a phenomenon of adding semivowels-j after postpositions and endings ‘-아/어’, ‘-오/우’ or vowels located in morphemes or before boundaries, influenced by the quality of the last sounds ‘ㅣ-, j-’. In this paper, we found that these phonological phenomena related to semivowels-j were caused by syllable structure constraints() and vowel connection constraints(*Vi) that existed during the Middle Ages. However, we found that these phonological phenomena and constraints are directly related to the vowel phoneme system of early medieval languages. In this paper, we see that rules and constraints form an indivisible relationship in the process of causing phenomena. In order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rules and constraints, this paper will regularize the phenomenon associated with semivowel-j, find and present constraints related thereto, and illust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ules and constraints once again.

      • 15세기 종성 'ㅅ'의 기저형에 따른 음가 연구

        김혜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3412766

        연구는 15세기 국어에서의 종성 ‘ㅅ’ 표기의 가를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종성 ‘ㅅ’의 가와 관련된 대부분의 논의에서는 종성 ‘ㅅ’의 범주에서 사이시옷을 고려하지 않거나 혹은 사이시옷을 따로 분류하지 않고 표면형에 나타난 종성 ‘ㅅ’ 표기를 한꺼번에 묶어서 살펴보아 가를 재구하는 데에 있어서 단일점을 찾지 못하고 혼란을 야기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15세기 국어에서의 종성 ‘ㅅ’을 기저형을 고려하여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표면형에서의 종성 ‘ㅅ’을 각 기저형에 따라 재구되는 가와 관련시켜 논의하였다. 2장에서는 15세기 국어 표기법의 기틀을 마련한 『訓民正音』에서의 종성 ‘ㅅ’과 관련된 사항을 살펴보고, 본고의 연구 대상이 되는 기저형에 대한 정의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15세기 국어의 종성 ‘ㅅ’은 다른 8종성자들과 같은 지위를 가지고 있는 독립된 소임을 확인하였다. 정 문헌에 나타난 어휘부에서의 기저형 종성은 ‘ㅅ, ㅿ, ㅈ, ㅊ, ㆆ, ㅎ’이었으며, 사이시옷은 분절음의 성격에 대한 조건에 따라서 기저형에 포함시킬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ㅅ’계열 치음인 ‘ㅅ, ㅿ’이 기저형인 경우의 종성 ‘ㅅ’ 표기를 각각 구분하고, 각 기저형을 종성 ‘ㅅ’이 표면에 재구된 형태에 따라 다시 단일 종성과 절말 자음군으로 구분하였다. 기저음소가 ‘ㅅ’인 단일 종성 ‘ㅅ’은 기저형과 표면형이 같기 때문에 기저형의 가가 표면형에서 어떻게 재구되는지에 대한 논의보다는 15세기의 ‘ㄷ’과 ‘ㅅ’의 가가 종성 자리에서 구분되는 것이었음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기저음소가 ‘ㅅ’인 절말 자음군 ‘ㅅ’은 종성 자리와 초성 자리에서 수의적인 표기가 가능하다는 점과 자음군 단순화 현상에서 ‘ㅅ’이 대표 자음으로 쓰인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기저음소가 ‘ㅿ’인 종성 ‘ㅅ’은 같은 시기의 문헌에서 종성 ‘ㅿ’과 종성 ‘ㅅ’이 수의적으로 나타난다는 점에 주목하여 그 이유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15세기 정 문헌에서 전반적으로 나타나는 종성 ‘ㄷ’과 종성 ‘ㅅ’이 뚜렷하게 구분되어 쓰인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기저음소가 ‘ㅅ’인 절말 자음군 ‘ㅅ’도 독립된 ‘ㅅ’의 가로 인식되어 쓰였다. 기저형 ‘ㅿ’을 가지고 있는 종성 ‘ㅅ’ 표기는 당대의 ‘ㅿ’과 관련된 문법적인 인식이 흔들리고 있던 것이 표기에 반영된 것으로 설명하여, 기저형 ‘ㅿ’을 지닌 종성 ‘ㅅ’의 가가 기저형과 표면형이 동일한 종성 ‘ㅅ’의 가와 동일하게 인식되어 쓰였음을 확인하였다. 4장에서는 ‘ㅈ’계열 치음에 해당하는 ‘ㅈ, ㅊ’이 기저형인 경우의 종성 ‘ㅅ’ 표기를 분류하고, 각 기저형의 표기를 단일 종성과 절말 자음군으로 구분하였다. 15세기 문헌에 나타난 ‘ㅈ’계열 치음의 단일 종성 형태를 일반적인 절말 중화에 의한 표기와 객체 존대 선어말 어미 ‘-??-’과의 결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ㅈ’계열 치 종성과 객체 존대 선어말 어미 ‘-??-’과의 결합 양상 및 사․피동 접사와의 결합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ㅅ’계열 치음과 다른 결합을 보이는 이유가 통시적인 구조에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후기 중세국어 시기 이전에 외파음으로 발음되었던 종성 ‘ㅈ’계열 치음과 객체 존대 선어말 어미와의 결합 방향이 화석화되어 후기 중세국어 시기까지 남아있는 것이므로 15세기의 ‘ㅈ’계열 치음은 종성 자리에서 ‘ㅅ’과 같은 [s]로 인식됨을 확인하였다. ‘ㅈ’계열 치음은 표면형에서 ‘ㅅ’으로 표기되어서 종성 ‘ㅅ’과 같은 가를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절말 자음군의 종성 제약으로 인해 절말 자음군에서 제2종성 자리에만 나타나는데 이를 기저형의 영향으로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ㅈ’계열 치음이 절말 자음군에서 자음군 단순화가 일어나지 않는 이유가 기저형에 근거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5장에서는 후음을 기저형으로 가지고 있는 종성 ‘ㅅ’의 표기를 후음에 해당하는 ‘ㆆ, ㅎ’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15세기에 종성 후음은 매우 제한적인 환경에서만 표기되었기 때문에 ‘ㆆ’을 기저형으로 지닌 종성 ‘ㅅ’은 관형사형 어미 ‘ᇙ’의 환경으로, ‘ㅎ’을 기저형으로 지닌 종성 ‘ㅅ’은 객체 존대 선어말 어미와의 결합에서의 표기로 구분하고, 종성 ‘ㅅ’과 종성 후음의 수의적인 표기가 기저형과 어떠한 관련점을 갖는지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후행어의 두음에 영향을 주는 후음의 내파적인 특질이 종성 ‘ㅅ’ 표기에서도 동일하게 수행됨을 확인하였다. 즉, 후음을 기저형으로 가지고 있는 종성 ‘ㅅ’의 가가 성문 내파 [ˀ]으로 재구되는 것이다. 6장에서는 사이시옷의 종성 ‘ㅅ’ 표기와 그 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특히 이 장에서는 기저형 치음을 지닌 표면형 종성 ‘ㅅ’과는 다르게 독립된 가로 발현되지 못함을 밝혀내었다. 그리고 사이시옷의 다른 소 표기와 종성 ‘ㅅ’의 표기를 통해서 후행어의 두음을 된소리화시키는 음운론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성문 내파[ˀ]의 가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honetic value of final consonant ‘ㅅ’ in Korean used in the 15th century. This study systematically categorized the final consonant ‘ㅅ’ in the surface representation considering the underlying representation in Korean used in the 15th century. In chapter Ⅰ,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the preceding studies on this subject will be reviewed. In chapter Ⅱ, various features of final consonant ‘ㅅ’ within the Hunmin-Jeongeum which laid the foundation for Korean orthography in the 15th century will be reviewed. A definition of underlying representation will be also reviewed. The final consonant ‘ㅅ’ is an independent phoneme and it has the same status as ‘ㄱ, ㄴ, ㄷ, ㄹ, ㅁ, ㅂ, ㅇ’ all of which are the typical final consonants in Korean used in the 15th century. Underlying representations of the final consonants in the lexicon of the 15th century Korean text are ‘ㅅ, ㅿ, ㅈ, ㅊ, ㆆ, ㅎ'. Saisiot(ㅅ) can be included as one of underlying representations under the condition of segment characteristics. In chapter Ⅲ, the surface representation of the final consonant ‘ㅅ’ which is related to underlying representation of the final consonant ‘ㅅ’ and ‘ㅿ’ will be reviewed. The phonetic value of 'ㅅ‘ in the underlying representation of the final consonant ‘ㅅ’ was differentiated from the phonetic value of the final consonant ‘ㄷ’. It was possible to write optionally the coda consonant clusters ‘ㅅ’ whose underlying representation was ‘ㅅ’ in the position of initial and final consonant. ‘ㅅ’ is used as the representative consonant when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occurs. Final consonant ‘ㅅ’ whose underlying representation is ‘ㅿ’ can be used optionally as the final consonant ‘ㅅ’ in the same period documents. It is estimated that mixed grammatical recognition of ‘ㅿ’ is reflected in the surface representation. The phonetic value of final consonant ‘ㅅ’ whose underlying representation was ‘ㅿ’ got recognized as the same phonetic values in the final consonant ‘ㅅ’. In chapter Ⅳ, the surface representation of the final consonant ‘ㅅ’ whose underlying representation was ‘ㅈ’ and ‘ㅊ’ will be reviewed. The underlying representation of the final consonant ‘ㅈ’ and ‘ㅊ’ was pronounced as a plosive consonant before the later period of the middle Korean. These plosive final consonants-‘ㅈ, ㅊ’-remained until the later period of the middle Korean after being fossilized through the combination with honorific prefinal ending. The underlying representation of the final consonant ‘ㅈ’ and ‘ㅊ’ is recognized as the phonetic value of [s] in the 15th century. Due to their characteristics,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did not occur within coda consonant clusters when underlying representation of the final consonant ‘ㅈ’ and ‘ㅊ’ was used. In chapter Ⅴ, the surface representation of the final consonant ‘ㅅ’ of underlying representation of the final consonant ‘ㆆ’ and ‘ㅎ’ will be reviewed. In the 15th century, guttural sound was written under very limited circumstances. Underlying representation of the final consonant ‘ㆆ’ was written only as adnominal ending ‘ᇙ’. The surface representation of the final consonant ‘ㅅ’ whose underlying representation of the final consonant was ‘ㅎ’ got written only when it was combined with honorific prefinal ending. As a result, characteristics of implosion of a guttural sound which affected the initial consonant of the following word got applied to the writing of the final consonant ‘ㅅ’. In chapter Ⅵ, the phonetic value and the function of Saisiot will be reviewed. The Saisiot performs a phonological function which is the glottalization of the initial consonant of the following word. The phonetic value of Saisiot is a glottal plosive.

      • 한국 한자음과 중국 상고음의 관련성 연구

        도산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3412811

        한국과 중국은 지리적으로 인접하여 오래전부터 문화적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졌고 그에 따라 언어적 접촉도 오래되었다. 선행연구에 의하여 한국은 일찍이 고대로부터 중국의 영향을 많이 받아 문자 생활을 영위해왔던 관계로 비록 15세기 중엽에 훌륭한 표음문자로서의 훈민정음이 창제된 이후에도 여전히 과거의 전통과 관습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 그리하여 지금은 선조들이 남긴 일체의 정신문화와 학술 방면의 유산을 탐색하려면 한자와 한문의 연구는 학계에 중요한 연구 주제가 된다. 한국어에 보이는 이른 시기의 중국어 차용어에 대해서는 한⦁중 학자들이 일찍부터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15세기 이후의 한국 한자 자료는 시대적으로 중국 『切韻』계 운서에 반영된 중고한음과 가까운 편이다. 하지만 한⦁중 간의 역사적 관계와 문화적 접촉을 고려할 때에 그 기층보다 더 이른 시기의 중국 상고음의 흔적이 많이 남아 있는 점을 부인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중간 여러 가지 역사적 사실과 한국 사서들에 나오는 한자문화를 통하여 한국 한자음은 중국 상고음과 관련성이 있음을 증명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총 5장으로 구성된다. 제1장은 논문의 연구목적과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내용과 연구방법에 대해 언급하였다.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한국 고대 문헌자료에 나온 한자음의 성모체계 등을 비교 분석하여 연구함으로써 한국 한자음과 중국 상고음의 관계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중국 상고음과 한국 한자음을 연구함으로써 한국어의 어원을 연구함에 도움이 되고 한국 고대문헌에 나오는 어려운 음운현상을 더 쉽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함이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는 한국어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중국인들에게 한국어를 배우고 이해 하는 데에 도움이 되고자 함이다. 제2장은 중국 상고음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중국 음운사의 분기의 기준을 찾아내기 위해 중국 각 시대의 성모체계를 간단하게 살펴보았고 그 다음은 중국 상고 범위, 그리고 상고음의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중국 상고음의 특징으로는 주로 학계에 인정을 받고 있는 ‘古無輕脣音說’ ‘古無舌上音說’, '古音娘⦁日二紐歸泥說', '照二系歸精系說'의 네 가지를 들었다. 또한 이 4가지 특징외에 중국 상고 復聲母가 존재하는 것도 들었다. 제2장에 먼저 高本漢 학자가 언급하던 ‘上古復聲母學說’을 살펴본 후 상고 復聲母의 유형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제3장은 한국 한자음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한국의 역사적 사실을 통하여 한자음의 형성, 즉 한국 한자음의 전래, 사용, 토착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다음은 한국 음운사의 분기에 대하여 살펴보면서 그 분기에 따라서 각 시대 한자음의 자음체계를 제시하였다. 제4장에서는 제2장에서 언급한 중국어 상고음에 존재하는 ‘古無輕脣音說’과 ‘古無舌上音說’등의 특징이 한국 고전에 나온 한자를 통하여 한국 한자음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증명하였고 이 밖에 ‘/風, 筆/벼로, 來(麥)/밀, 里/ᄆᆞᅀᆞᆯ, 路/길, 稂/가라디’ 등을 통하여 이 단어들의 존재하는 상고 復聲母가 한국 한자음에서도 적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5장은 결론으로서 앞에 논술된 내용을 정리하여 한⦁중 양국 언어와 문화의 밀접함으로 인하여 한국 한자음의 상고 중국어 기원설에 유리한 증거자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