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교과과정 운영체제에 대한 만족도 조사

        박하나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의 목적은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전공생을 대상으로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교과과정 운영체제에 대한 만족도조사를 통해 교과과정 운영체제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이 나아가야 할 미래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총 48명의 재학생 중 연구자를 제외한 47명(N=47)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모형은 질적연구방식이 주가 되며, 양적연구방식이 부로 이루어진 혼합설계로 설문지법과 면접법을 사용하였다. 설문지법은 총 31문항으로 구성된 검사도구와 서술형 질문으로 이루어졌으며, 면접법은 4차와 5차 재학생 6명을 대상으로 2012년 5월 14일, 5월 15일, 5월 17일에 3번에 걸쳐 면접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전공생들이 가장 만족하는 점은 학교의 명성, 학교의 도서관이 제공하는 서비스와 환경, 교수의 가르침 순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만족하지 못하는 점은 장학금, 학교교실 환경, 각 수업의 학급 인원 수, 행정서비스의 질의 순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3번의 면접법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는 교수의 전문성, 전임교수의 부재, 과목 선택권의 문제, 서양음악전공생과 국악전공생의 통합수업으로 인한 문제점, 논문지도 문제, 학습시설 부족, 행정적 시스템의 문제, 임용고시와의 연계성 부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발전을 위하여 ① 음악교육전공 전임교수 배정 ② 음악교과교육학 과목에 있어서 1차와 2차 재학생, 3차 이상 재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같은 과목 2개 분반 수업 실시 ③ 서양음악전공생은 국악과목 의무 수강, 국악전공생은 서양음악과목 의무 수강 ④ 음악교과내용학 과목 현행 2과목에서 3과목 개설로 선택권 확대 ⑤ 음악교과내용학 과목에 있어서 전문성 있는 교수 배정, 특히 국악 전공과목에 대한 전문성 있는 교수 배정 ⑥ 4차, 5차 때 논문 작성을 위한 연구방법론 수업 개설 ⑦ 가논문 심사 실시 ⑧ 실기과목의 경우 원활한 수업 진행을 위한 학습 기자재 지원의 해결책을 제시하는 바이다. 본 연구 결과와 제시된 해결책을 기초로 하여 발전되는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the curriculum and the system of music education in Chungang graduate school and to suggest the right solutions to improve the issues by the graduate students' opinions who are majoring in music education.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47 students(N=47) and questionnaire methods and interview method were used for qualitative research.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31 questions and short-answered questions were also given to the respondents. Interview method was carried with 6 students in 4th and 5th semester in May 14th to 17th, 2012.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music education in Chungang graduate school satisfied the most in school reputation, services by library and lessons professors provide in order. Second, the least gratifying issues were scholarship, poor classroom environment, the number of students in each class and the quality of the service of administration. Finally, the common issues that students point out as they should be improved were the professionalism of professors, lack of full-time professors, options students have when choosing courses and the problems by course combination between different majors such as that of western music and traditional Korean music. Not only that, lack of the facility for studying, the problem by school administration, and the low relation between the curriculum and National teacher certificate examination. Conclusion from abridged results are as follow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education that graduate students provided, school should provide students with ⅰ)allocation of full-time professors ⅱ) separation of the same classes so that students can choose the courses based on the semester ⅲ) mandatory classes for different majors such as western music majors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majors. Also, ⅳ) extended options for choosing courses ⅴ) recruitment of professor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ⅵ) introduction of pre-examination system for a thesis ⅶ) providing enough facilities for practice were suggested as well. This research result shows that the perception music education majors have. Through this research, many respondents points out problomatic issues and their solutions which will lead the music education of Chungang graduate school to more improvement.

      • 한중 대학원생의 거절 화행 비교 연구 : 대학 내에서의 요청 상황을 중심으로

        왕성 中央大學校 大學院 2018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대학 내 요청 상황에서 한국인 대학원생과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의 거절 화행 양상을 비교⦁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의 거절 화행 양상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거절 화행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살펴보고 Beebe, Takahashi & Uliss-Weltz(1990)과 Lyuh(1992)와 이해영(2003)에서 제시한 거절 화행 전략 틀을 중심으로 김유향(2008), 김정은(2011), 강효정(2015)에 제시한 전략들을 참고하여 거절 화행 전략은 직접적인 거절 전략, 간접적인 거절 전략 및 부가 전략으로 나누어 본 연구의 거절 화행 전략 틀을 고안하였다. 다음으로 재학 중인 20대의 한국인 대학원생과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담화완성형테스트(DCT)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본 연구는 전반적인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 집단의 거절 화행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전체 한국인 대학원생과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의 거절 전략 사용 횟수, 전략 결합 양상 및 세부적인 전략 결합 사용 양상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 집단 내에 한국 거주 기간별 거절 전략 사용 양상을 비교⦁분석함으로써 한국 거주 기간에 따라 거절 전략의 사용이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는지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대학 내에서의 요청 상황별로도 전략 결합 사용 양상과 거절 부담감 및 거절 후 심리 상태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 집단이 간접적인 거절 전략을 다른 전략 유형보다 많이 사용하였고 ‘간접(+간접)’ 전략 결합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 거주 기간에 따라 ’직접+부가’와 ‘직접+간접’ 전략 결합의 사용이 곡선적인 형태의 변화 양상을 보였다. 셋째,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 집단이 ‘확답 연기’, ‘수락 미루기’와 같은 회피 전략을 선호하고 ‘호칭’을 과도하게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 집단이 한국인 대학원생 집단보다 교수의 거절에 대해 부담과 불편함을 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분석한 결과를 보면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 집단이 대체적으로 높은 수준의 한국어 화용언어적 능력을 갖추고는 있으나 아직 한국어 사회화용적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이 내적인 의도를 자유롭게 표현하지 않고, 조심스러운 태도로 예의를 갖추고, 거절 화행을 사용하는 모습을 보았을 때 한국 문화에 적응하기 위해 많이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대학 내 요청 상황을 중심으로 중국인 대학원생의 거절 화행 사용 양상에 초점을 맞추어서 분석하였으므로 화용언어적 능력뿐만 아니라 사회화용적 능력까지 고찰한 데에 의의가 있다고 본다. 그러나 연구 참여자의 수와 소재 대학이 제한적이며 다양한 절차를 거쳐 객관적인 조사 자료를 만들고자 하였으나 실제 언어생활을 반영하기에는 여전히 부족한 자료라는 점에서 그 한계점이 있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se the patterns of refusal speech act of Korean and Chinese graduate students living in Korea under request situations in college and to identify the patterns of refusal speech act of Chinese graduate students living in Korea. The authors first examined the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the speech act, referred to the strategies presented in studies conducted by Kim Yoo Hyang (2008), Kim Jeong-eun (2011), and Kang Hyo Jeong (2015), focusing on the strategy framework of refusal speech act presented by Beebe, Takahashi & Uliss-Weltz (1990), Lyuh (1992), and Lee Hae Young (2003), and divided the refusal speech act strategy into direct, indirect, and adjunct categories to devise the strategy framework of the refusal speech act. The authors administered a Discourse Completion Test (DCT) to collect data from Korean and Chinese graduate students in their 20s, who are currently living and attending school in Korea. To analyse the overall patterns of refusal speech act of the Chinese student group, the authors compared and analysed the usage frequency of the refusal strategy as well as the usage patterns of the strategy combination and detailed strategy combination of both the student groups. Furthermore, the authors examined the changes that occur according to the period of residence in Korea by comparing the analysing the refusal strategy patterns for each residence period. Finally, the authors examined the patterns of strategy combination usage, refusal burden, and psychological state after refusal for every request situation in colle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inese graduate student group living in Korea used indirect refusal strategy more than other strategy types, and most preferred to use ‘indirect (+indirect)' strategy combination. Second, according to the period of residence in Korea, the use of ‘direct + adjunct' and ‘direct + indirect' strategy combinations underwent a curvilinear change; consequently, there wer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the usage patterns of the Korean graduate student group. Third, the Chinese graduate student group preferred avoidance strategies, such as ‘postponement' and ‘acceptance delay', and excessively used ‘title'. Fourth, the Chinese graduate student group felt less burden and discomfort in terms of the professor's refusal, compared to the Korean graduate student group.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the Chinese graduate student group had a high level of Korean pragma-linguistic ability; however, it lacked the Korean socio-pragmatic ability. Nevertheless, these students are investing considerable efforts in adapting to the Korean culture, judging by their behaviour of not freely expressing their internal intentions, carefully practicing courtesy, and performing the refusal speech act.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analysing the patterns of refusal speech act realisation of Chinese graduate students, who have a relatively high Korean pragmatic ability than other learner groups, under request situations in college.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examines not only pragma-linguistic ability but also socio-pragmatic ability. However, it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the number of participating students and colleges were limited; and second, although the authors attempted to present objective research data using various procedures, it does not sufficiently reflect the actual language of students.

      •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에 관한 메타분석 : 1999년-2010년 연극·영화 분야를 중심으로

        차재영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논문의 목적은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공연영상학과 연극과 영화 분야 석사학위 논문의 경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 메타분석에는 처음 석사학위가 발표된 1999년부터 2010년 봄 학기까지 나온 연극과 영화 전공분야의 72편의 논문이 연구대상이 되었다.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공연영상학과가 석사학위를 배출한지 11년이 되었고, 배출한 학위논문 수가 총 830편이 되었지만, 어떠한 학문적 발자취를 갖고 있고 있는지에 관한 연구가 없었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본 연구자는 그동안의 학문적 역사를 돌아보고, 현재와 미래를 위한 도약의 의미에서 연구자의 전공분야인 연극·영화 분야 논문 72편을 메타분석하게 되었다.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공연영상학과 연극·영화 분야에서 11년 동안 배출된 석사논문 72편중 연극전공 논문이 38편이고, 영화전공 논문이 34편으로 비교적 비슷한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논문 주제 면에서는 72편이 모두 다 색다른 주제를 다루고 있을 정도로 다양성을 나타내고 있다. 그런 면에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공연영상학과 연극·영화 분야 논문은 우리나라 연극·영화 분야의 학문적 보고(寶庫)라 칭할 수 있다. 전공별로 논문주제를 살펴보자. 38편의 연극 전공자들의 논문주제를 보면, 영화전공자들보다 주제면으로 훨씬 더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다. 너무 다양하여 영화처럼 몇 가지로 범주화하기 어려울 정도이다. 특징적인 주제를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연극 작업일지, 전통탈, 판소리, 얼굴분장, 성우, 뮤지컬, 패션쇼, 마술, 조명, 가극, 연기훈련 등이다. 영화는 34편으로, 주제를 세분화해보면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영화제작, TV드라마 제작, 영화 비평 및 분석. 연구방법 측면에서 보면, 문헌연구(47.2%)와 사례연구(44.4%)가 매우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그 외의 비교연구(6.9%)와 실험연구(2.7%)는 가장 적게 활용된 연구형태이다. 본 연구는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연극·영화 분야의 최초의 메타분석적 연구논문이며, 지금까지 졸업생들이 발표한 모든 논문의 흐름을 한 눈에 살펴 볼 수 있는 객관적이고 통합적인 데이터를 도출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본 연구를 기초로 앞으로도 연극·영화 분야 전반에 관한 경향분석 및 메타분석이 꾸준히 연구되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master's theses(from years 1999 to 2010) in the fields of theater and film of The Graduate School of Arts at Chung-Ang University. In this meta-analytic study, 72 theses in the two fields are utilized. Among the 72 theses, the theses are rather evenly divided in terms of the majors: 38 in theater, and 34 in film. Interestingly, the topics of the theses are so diverse that almost all of the theses deal with different topics. Among the 34 theses in the field of film, there are three major topics: film production, TV drama production, and film criticism and analysis. In the field of theater, there were more diverse topics than in film. The topics of the master's theses are diverse indeed; they can be categorized into a few sub-areas: daily logs of productions, traditional masks, pansori(Korean traditional style operas), make-up, voice acting, musicals, fashion shows, magic shows, lighting, North Korean operas, acting training, performances, etc. In addition, the quality of each thesis is sufficiently high to be used as good research data for future research in the fields. In the light of research methods, these are relatively skewed; researchers mostly used the methods of literature review (47.2%), and case study (44.4%), followed by comparative study (6.9%), and experimental research (2.7%). This thesis is the first meta-analytic thesis in the field of theater and film of The Graduate School of Arts at Chung-Ang University. In that sense, this work is meaningful since it shows an objective bird's-eye view of the all theses in the two areas. It is this researcher's hope that further meta-analytic research in the fields of theater and film would be continued, based upon this study.

      • 한·중 대학원생의 읽기 전략 사용 양상 비교 연구 : 논문 읽기를 중심으로

        염빈 中央大學校 大學院 2018 국내석사

        RANK : 248655

        As Korea develops very rapidly,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who go to Korea for future study, especially foreign students for academic purpose is growing rapidly. Although they entered into the graduate school in Korea with high Korean proficiency, because they cannot read the theses effectively, they are still facing many difficulties. Therefore, this paper conducted the study by focusing on the thesis reading strategies. This paper is aimed to present the educational implication of the thesis reading strategies for the Chinese learners, by revealing the differences in the comparison of the reading strategies used by 50 Chinese learners with academic purpose and 20 Korean graduates students. This paper conducted the analysis through survey.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rough SPSS.19 statistical program. T-test was conducted in order to figure out the differences of the reading strategies used by those two group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When reading the thesis, strategies like “predicting the results from the title”, “understanding the words from the context”, “using the background knowledge”, “summarizing and assessing”, “using the previous studies”, “learning the contents through graphs and pictures”, “exchanging opinions with others”, and “asking professors about the contents that they don’t understand” were used more by Korean graduate students. Strategies like “grammatical strategies” and “modifying the reading speed” were well used by the Chinese students. On the other hand, Korean graduate students, as native speakers, used the strategy “vitalizing background knowledge” more so as to carry out the academic study. In addition, their active learning attitude can be also seen. Meanwhile, Chinese graduate students have reached advanced level in Korean proficiency, but it can be predicted that because of lack of thesis reading strategies, they understand the thesis very passively. This paper presented simply the education implications focusing on top-down strategy, assistive strategy and social strategy with the purpose of helping Chinese graduate students read thesis effectively.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for the tutors to teach the students top-down strategy for foreign students’ effective thesis reading. Tutors should introduce the implications and structure of the thesis, and help the students learn about the background knowledge related to the thesis by reading more usually. Moreover, when reading thesis, learners should do many exercises of predicting the meaning of the new words or grammar from the context. Secondly, it is necessary to teach the academic learners meta-cognitive strategy to read the thesis actively. Learners should identify the thesis contents by inquiry or summarizing during the reading process so as to cultivate the meta-cognitive strategy. In addition, it is good to organize and present their shortcomings after reading an appropriate academic text in order to cultivate the learners’ critical reading ability. Thirdly, as for the assisitive strategy, tutors should emphasize the role of the bibliography and teach them the method of using the bibliography. Furthermore, because the pictures and graphs from the thesis reflect the research contents, it is necessary to conduct exercises of reading in a short time. Fourthly, academic Korean learners should actively use the social strategy including discussion and inquiry in order to adapt to the study in the graduate school in Korea. The tutors should actively lead the learners by the way of inquiry, suggestion and presentation. It is hoped that through this paper, the importance of the thesis reading strategy can be well recognized and the strategies that should be mastered when reading can be helpful in the thesis reading education. 한국의 급격히 발전으로 최근 몇 년 동안 한국에 유학하는 외국인 유학생 특히 학문목적 유학생의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비록 한국어 고급 수준을 가지고 한국 대학원에 들어가지만, 효율적으로 논문을 못 읽는 바람에 어려움을 많이 겪고 있다. 이어서 본 고는 논문 읽기 전략을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한국 인문대학원 재학 중인 중국인 대학원생 50명과 한국인 대학원생 20명을 대상으로 논문을 읽는 데에 사용하는 읽기 전략을 비교함으로써 차이를 밝히고 중국인 대학원생을 위하여, 논문 읽기 전략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본고는 설문지를 이용해 분석하였고 설문지는 중국인 대상자와 한국인 대상자에 따라 두 본을 만들었다. 그리고 모두 수집된 설문지는 spss.19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고 또한 두 집단 간의 읽기 전략 사용의 차이를 잘 밝히기 위해 T-검정을 실시하였다. 조사한 결과는 논문을 읽는 데에 ‘제목을 보고 결과를 추측하기’ 전략, ‘문맥을 이용해 단어를 이해하기’ 전략, ‘배경지식을 활용하기’ 등 하향식 전략, ‘요약하고 평가하기’전략, ‘참고문헌을 이용하기’전략과 ‘도표나 그림을 이용해 내용을 인식하기’ 등 보조 전략, 그리고‘다른 사람과 의견을 나누기’ 전략과 ‘이해가 안 되는 내용을 교수한테 여쭤보기’ 등 사회 전략은 한국인 대학원생이 더 많이 사용하지만 ‘문법 전략’, 등 상향식 전략은 중국인 대학원생이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한편으로 한국인 대학원생은 모국어화자로서 논문을 잘 읽기 위해 배경지식을 활성화하는 전략을 많이 사용하며 능동적 학습 자세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중국인 대학원생은 비록 한국어 고급 수준에 달하지만 논문 읽기 전략 사용이 부재하여 수동적으로 논문을 이해한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중국인 대학원생이 효과적으로 논문을 읽기 위해 본고는 하향식 전략, 보조전략, 사회전략을 중심으로 간단한 교육적인 함의를 제시하였다. 첫째, 하향식 전략은 한국어 능력이 높은 독자가 자주 사용하는 전략이기에 적절히 교육할 필요가 있다. 효과적으로 논문을 읽기 위해 교사는 논문의 의미, 구성 등 배경지식을 활성화하도록 많이 유도해야한다. 그리고 중국인 대학원생은 논문 제목을 보고 연구 방법과 연구 결과를 추측하는 전략, 또는 문맥을 이용해 의미를 추측하는 전략을 적절하게 학습해야 한다. 둘째, 중국인 대학원생은 능동적으로 논문을 읽을 수 있도록 적절한 초인지 전략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논문을 읽다가 읽은 내용을 스스로 확인하거나 논문을 읽은 후에 요약하고 평가하는 연습을 많이 하는 것은 좋다고 본다. 셋째, 논문 보조 전략을 파악하기 위해 중국인 대학원생은 주석과 참고문헌에 대한 바른 인식을 가지고 논문을 읽는 데에 활용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또는 그림과 도표는 내용을 반감 할 수 있으므로 짧은 시간 내에 읽을 수 있도록 연습을 많이 해야 한다. 넷째, 논문 읽기를 잘 하기 위해 중국인 대학원생에게 적절한 사회 전략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논문 읽기를 끝낸 후에 동료와 견해를 나누거나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을 교수님꼐 질문하는 연습을 많이 하면 좋다고 본다. 본고를 통해 논문 읽기 전략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또는 논문을 읽는 데에 꼭 파악해야 하는 읽기 전략을 제시하여 논문 읽기 교육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교육대학원 커리큘럼과 2009 개정 교육과정 비교 연구 : 중학교 음악교과를 중심으로

        이수지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논문은 중등 교원양성기관인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커리큘럼’을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들과 비교·분석하여 대학원 커리큘럼이 적절한지 살펴 본 논문이다. 본 논문에서 음악교과 중등학교 정교사 자격을 부여하는 서울 10개 ‘교육대학원’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을 비교 대상으로 표현·감상·생활화 영역을 각각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표현’ 영역 비교의 경우, 어떤 이론을 가르치는 것 보다는 창의적이고 개성있는 표현을 중시하는 교육 영역에 속하는데, ‘교육대학원 커리큘럼’은 지식을 먼저 쌓는데 주력한 커리큘럼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감상’ 영역 비교의 경우, 기존의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없었던 새로운 영역인데, ‘교육대학원 커리큘럼’은 감상보다는 이론이 주를 이루고 있어서 이 영역의 내용체계 및 목표를 이해하고 가르치는데 만족하기 어려운 커리큘럼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생활화’ 영역 비교의 경우, 생활 안에서 적용하여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교육대학원 커리큘럼’은 이론을 바탕으로 한 교과목들로 구성되어 있어 이 영역이 추구하는 음악교육 당위성의 이해와 체험활동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커리큘럼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교육대학원의 커리큘럼이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이론과 실제, 서구와 비서구, 국악과 서양음악이라는 이분법적 학습체제에서 벗어나야한다. 본 논문에서 교육대학원 커리큘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주제를 기준으로 하여 관련된 현상을 포괄적으로 다루는 구성주의의 문제 중심 학습기법인 ‘PBL’ 교육법 활용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 논문을 통해 바람직한 음악 교사의 능력과 자질을 기를 수 있는 여건과 기반이 교육대학원 커리큘럼의 변화와 개혁에 있음을 인식할 수 있길 기대한다. This paper was designed to discuss whether the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 training institution for secondary school teachers, would be appropriated for students. To do this, 'music curriculum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uld be compared with '2009 revised curriculum'. More specifically, te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hich have granted the certification of full-time music teacher, and '2009 revised music curriculum at middle schools' were compared in terms of how to express, how to listen, and how to make music a part of our lif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n the area of 'expression', students' creativity and their own characteristics should be focused: however, knowledge has been more emphasized in the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s than other skills and abilities. Secondly, in the area of 'listening to music', a newly adopted area in 2009, the curriculum didn't seem to satisfy the purpose of music education since the contents were more related to theories than music listening. Thirdly, in the area of 'making music a part of life', since the curriculum consisted of many subjects related to theories, it seemed to fail to pursue the main purpose of education - understanding the reason why students learn music and perform various activities. Thus, the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of music education should be made on the basis of '2009 revised curriculum'. To do this, a dichotomous teaching method in music education - theory and reality, western style and non-western style, Korean classic and western music - should be avoided. To achieve the purpose, this paper has suggested to employ 'PBL' method, a constructive learning method focusing on problem solving, which comprehensively deals with the three areas of music education. Summing up, this study would suggest the need for changes in the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in order to develop an appropriate environment for improving the abilities and the qualifications of music teachers.

      • 문헌정보교육학분야의 학위논문 인용행태에 관한 연구

        허진영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55

        오늘날 학교교육은 교사에 대한 의존도가 높으며, 교사의 성품과 역량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학생들에게 최적의 교육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교사의 재교육이 필수적이다. 교사의 재교육은 주로 교육청이나 교육대학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 교육대학원은 1963년에 최초로 설립된 이후 2000년대까지 꾸준하게 양적으로 증가하였고, 2000년대 이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문헌정보교육대학원은 1971년 최초로 설립되었고, 현재 전국의 14개 대학에서 교육대학원을 운영하고 있으며, 사회에 걸맞은 사서교사를 양성하고자하는 교육목표를 가지고 있다. 현재 문헌정보교육대학원에 진학하는 학생수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시대의 흐름 속에서 문헌정보교육대학원의 학업성취도와 결과물의 가치 파악에 대한 사회적관심이 증가하였다. 이에 문헌정보교육대학원에서의 연구기능과 학술적 방향을 가늠해보고자 인용과 피인용 분석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2003년부터 2012년까지 최근 10년간 7개 교육대학원에서 발행된 논문 163건과 피인용논문 8,170건을 대상으로 인용분석을 실시하였다. 피인용논문 8,170건 중 교육대학원 논문은 933건으로 산출되었으며, 이 933건을 대상으로 대학원별, 연도별, 전공별로 분석하였다. 인용논문을 대학별로 조사한 결과 F대학, D대학, E대학, A대학, G대학, B대학, C대학순으로 나타났으며, 논문제출여부에 따라 논문발행건수가 차이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163건 중 교육대학원 논문을 인용한 논문은 전체의 79.8%를 차지하고 있어 교육대학원 논문 작성시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교육대학원의 논문을 참고하고 인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문헌정보교육전공의 논문은 2008년에 가장 많이 발행되었고, 점차 감소되는 모습을 보였다. 피인용논문의 형태별 의존도를 분석한 결과 국내 75.8%, 국외 24.2%로 국내문헌을 주로 의존하며, 국내문헌 중에서는 학술지, 단행본, 교육대학원, 일반대학원, 웹자료, 기타자료 순으로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원별로 인용건수를 분석한 결과 F대학, D대학, A대학, E대학, G대학, B대학, C대학 순으로 나타났으며, 평균인용건수는 5.7건으로 밝혀졌다. 최다인용 대학은 D대학으로 전체 85개 대학원 중 상위 10개 대학원을 살펴본 결과 9개 대학원에 문헌정보교육전공이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피인용논문은 총 75개 전공으로 구분되었으며, 이를 14개 전공으로 재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전체의 51.9%가 문헌정보교육분야로 나타났다. 이는 교육대학원 논문 작성시 동일분야의 논문을 주로 인용 하는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주제분야는 문헌정보교육분야 연구의 기초자료로 제공될 것이다. Today, school education has high dependence on teachers and is largely influenced by teacher's character and competence. To provide students the best learning environment, teachers' continued retraining is essential. The retraining of teachers is being made by Department of Education 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Korea has steadily increased in quantity until the 2000s since its establishment in 1963, After the 2000s, it has decrease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as first built up in 1971, currently 14 universities in Korea are operati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ts goal is to train teacher librarian suitable for the community. Now, the number of the students who ente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s growing, In the flow of these times, the social interest in determining the value on academic achievement and result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has increased. The analysis of citing and the cited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research capabilities and academic direc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o citation analysis targeting the 163 papers published and the 8,170 papers cited in 7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or recent 10 years from 2003 to 2012. The 933 papers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the cited papers of 8,170 were calculated, theses 933 papers were analyzed by graduate school, year, majo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ited papers by university, F, D, E, A, G, B, C university in order appeared, the number of paper published depending on the status of paper submission was found to be different. The papers to cite these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of 163 papers accounted for 79.8% in all.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researchers noted and cited the these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en writing papers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these of majoring in Education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ere most published in 2008, which have gradually reduced. As a result of analyzing dependence by type in the cited papers, researchers depended on the 75.8% of domestic papers and the 24.2% of the abroad papers, Journals, books, theses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Graduate School, web data, other data among the domestic literature in order showed to be dependent.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umber of the citation by university, F, D, A, E, G, B, C university in order appeared, the average number of the citation was 5.7 cases. Most cited university is D university and the result of identifying the top 10 graduate schools of all 85 graduate schools showed 9 graduate schools had Education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cited papers were also classified into a total of 75 majors, as a result of re-classifying them into 14 majors, the 51.9% of all indicated in the field of Education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hen writing the paper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t can be determined to cite that of the same field, this topic areas will be provided as the basis on the study in the field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대학원생 몰입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정채윤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55

        이 연구는 대학원생의 몰입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측정도구 개발은 구성요인 설정, 측정도구 개발, 측정도구 검증 3단계 절차에 따라 수행되었다. 먼저, 구성요인 설정 단계에서 Weidman 외(1989)가 제시한 대학원생 사회화 모형을 이론적 틀로 설정하고, 학생몰입 측정도구에 관한 문헌 분석과 대학원생 심층 면담 내용을 토대로 잠정적 구성요인과 측정 문항을 도출하였다. 측정도구 개발 단계에서는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여 도출된 구성요인과 문항의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내용타당도 검증 결과와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구성요인과 문항을 수정 보완하였다. 내용타당도가 검증된 문항에 대해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안면타당도를 검토하였다. 측정도구 개발 단계에서 9개 요인으로 구성된 82개 문항이 도출되었다. 측정도구 검증 단계에서는 대학원생 370명을 대상으로 설문 자료를 수집하여 문항 분석, 타당도 분석,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표본은 요인 분석을 위해 무작위로 할당하였다. 탐색적 요인 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과정을 거쳐 대학원생 몰입 측정도구는 6개 요인, 23개 문항으로 축소되었으며, 경쟁모형 분석을 통해 6요인 모형이 채택되었다. 최종 도출된 문항에 대해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수행하였다. 신뢰도는 내적일관성 계수를 검토하였으며, 타당도는 수렴타당도, 교차타당도, 예측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대학원생 몰입 척도의 전체 신뢰도는 .925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요인 간 정적 상관을 보고하였다. 수렴타당도 검증 결과 6개 요인은 개별 구인을 적절하게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문사회계열과 이공계열로 분할하여 교차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대학원생 몰입 척도는 상이한 표본에서도 측정 동일성이 확보되었다. 예측타당도 검증에서 대학원생 학생몰입은 학업지속 의도와 경력 몰입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대학원생 몰입 측정도구는 연구 관심, 학술교류참여, 동료와의 관계, 지도교수와의 관계, 연구실 소속감, 대학원몰입 총 6개 요인, 23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학원생 몰입 측정도구는 대학원생의 학업적 성공과 대학원 교육의 질 관리를 위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graduate student engagement scale. The development of the measurement followed a three- step procedure: construct building, measurement development, and measurement validation. In the first stage, Weidman et al. (1989) model of graduate student socialization was used as a theoretical framework, and tentative constructs and the item pool were derived based on literature analysis of student engagement measurement and in-depth interviews with graduate students. In the measurement development stage, an expert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content validity of the derived constructs and item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ontent validity test and expert opinions, the components and items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items was reviewed for face validity by graduate students. In the instrument development stage, 82 items comprising 9 factors were derived. In the measurement validation stage,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from 370 graduate students to conduct item analysis, validity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The collected sample was randomly assigned for factor analysis. Throug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graduate student engagement scale was reduced to six factors and 23 items, and a six-factor model was adopted through competitive model analysis.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s were conducted on the finalised items. For reliability, the internal consistency was examined, and for validity, convergent validity, cross validity, and predictive validity were tested. The overall reliability of the Graduate Student Engagement Scale was found to be high at .925, with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factors. The convergent validity test showed that the six factors adequately explained each component. The cross-validity of the Graduate Student Engagement Scale was tested by splitting it into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nd science and engineering, and the scale was found to be valid across the different samples. Predictive validity tests confirmed that graduate student engage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degree persistence and career engagement. The graduate student engagement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consists of 23 items and six factors: research interest, participation in academic exchange, relationship with peers, relationship with supervisor, sense of belonging to the lab, and graduate school engagement. It can be used as an indicator for graduate student academic success and quality management of graduate education.

      • 대학정원 자율화 정책의 특성 분석

        장석환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8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historical process and features of the university enrollment self-regulation policy since its initiation by the Civilian Government. The study focuses on the following questions: 1) How can we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enrollment self-regulation policy initiated by the civilian government? 2) What are the resulting effects this policy has had on the number of students and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3) What problems arise from the promotion of university enrollment self-regulation? This study applied the descriptive policy analysis method. Data was drawn from interviews with people who have been in charge of college enrollment at 4-year universities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n South Korea. Several documents were examined such as higher education law, guidelines for governmental policy, and statistical data related to the university enrollment polic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university enrollment self-regulation policy has been administered persistently since its initiation by the Civilian government. As a result of the policy efforts, the autonomy to decide the number of new enrollees in universities was encouraged. The sharp increase of the student quota during the five-year period after 1994 (during the time of the Civilian Government) contributed to the increase in the student-teacher ratio. Even though the Government predicted that the entrance quota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would become greater than the number of high school graduates, it attempted to place more emphasis on a social demand for the expansion of the opportunity of college education and actual conditions of universities than on educational quality of universities in administrating the university enrollment self-regulation policy. Therefore, the Government set up a standard for quota-increase lower than what was specified in the law. As a result, the number of students in universities increased and educational quality went down. This led to the reduction of the university enrollment quota under the successive government, the Participation Government. As a result of this new policy, contrary to the Civilian government, the number of students in universities decreased and the quality of education increased.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government needs to expand the university enrollment self-regulation policy so that universities can adapt to changing environments. This is chiefly due to the fact that school-aged population would gradually decrease in ten years and there is a strong possibility that the government will have trouble controlling the university enrollment quota. 이 연구는 대학정원 자율화를 표방한 문민정부 이후 대학 정원정책의 변천과정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규명하고, 정원정책의 변화에 따라 대학의 학생정원 규모와 대학교육의 질적 수준이 변화되어 온 양상을 밝힘과 동시에 대학정원 자율화의 과제를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분석 대상은 4년제 일반대학을 대상으로 한 학부와 대학원 정원정책으로 하였고,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통계자료 분석, 그리고 교육부와 대학의 정원업무 담당자에 대한 면담 및 의견조사를 병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민정부 출범 초기에 대학정원의 결정권은「교육법」체계에 의해 교육부장관에게 있었으나 문민정부 출범 후 대학정원 자율화 계획에 따라 대학이 자율적으로 정원을 결정할 수 있는 범위가 확대되어 왔다. 즉, 문민정부 출범 이전에는 교육부가 국가 인력수급 계획과 대학의 교육여건 등을 평가하여 개별 대학의 증원 규모와 대학의 학과 신설 등을 결정하여 왔으나 문민정부 출범 후인 1994학년도부터 자율 역량을 갖춘 대학에 대하여 단계적으로 정원 자율화를 추진한다는 계획에 따라 제한적인 범위에서나마 대학이 자율적으로 정원을 조정할 수 있는 길을 마련하였다. 1997학년도에는 일정한 교육여건을 갖춘 대학은 증원 규모까지도 대학 자율로 결정할 수 있게 되었고, 이와 같은 대학정원 자율화 정책은 문민정부 임기 말에「고등교육법」제정으로 법제화되었으며, 국민의 정부와 참여정부에 계승되었다. 국민의 정부 이후 대학 정원정책은 법령상의 정원 증원기준과 교육부장관이 지침으로 정한 정원책정기준이 서로 부합하지 않는 모순이 있었으나 점차 법령에서 정한 기준에 부합하도록 교육부 지침상의 기준이 강화되어 왔으며, 2007학년도에는 법령상의 기준과 지침상의 기준이 일치하게 되었다. 그리고 참여정부 임기 말에는 교육부장관이 정해 온 정원책정기준을 폐지하고 법령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 대학이 학생정원을 결정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대학정원 자율화 정책은 시기적으로 다소 차이가 있지만 대학원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되었다. 둘째, 문민정부와 국민의 정부에서의 대학 정원정책은 대학교육의 질 보다는 대학의 현실적인 교육여건과 대학에 진학하고자 하는 사회수요를 더욱 고려하여 추진되었다. 대학이 학생정원을 정하는 기준인 정원책정기준을 법령에서 정한 기준보다 낮게 책정함으로써 학생 수는 늘어났고 대학교육의 질은 떨어졌다. 문민정부와 국민의 정부 10년간 대학 입학정원은 10만 7천여명 증원되었고, 대학교육의 질적 지표인 학생충원율은 낮아졌으며, 교원1인당 학생 수는 높아졌다. 이에 따라 참여정부는 대학 통·폐합, 학생정원 감축 등과 같은 대학 구조개혁 방안을 마련하여 강력하게 추진하였고, 정원책정기준 또한 이전 정부에서 예고한대로 일관성 있게 강화되어 왔다. 그 결과 참여정부 5년간 대학 입학정원은 5천여 명 감축되었고, 대학교육의 질은 그 이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되었다. 셋째, 대학정원 자율화 정책의 결과, 2008년 10월 현재 정부가 대학의 정원 관리에 개입하는 사항은 매우 제한적이다. 학부는 국·공립대학과 수도권 대학의 정원 증원, 보건의료·사범계 학생정원 관련 사항이 해당되고, 대학원의 경우에는 국·공립대학의 정원 증원과 대학원 추가 신설, 모든 대학의 전문대학원 신설, 교육대학원 및 원격대학원 신설·증원이 해당된다. 그 외의 사항은 대학이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이나 대학정원 자율화의 관점에서 보면, 여전히 정부가 규제하고 있는 사항이 있다. 학부와 대학원간 학생정원의 상호 조정이 금지되어 있다. 이 연구는 장래 학령인구와 고등교육기관의 입학정원의 추세로 볼 때, 대학이 자체적으로 구조 조정할 수 있도록 정부가 미리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보고 있다. 대학 정원정책에 있어서는 자율화를 확대하고 사회 수요에 맞추어 대학이 탄력적으로 정원을 조정하도록 현재의 교육여건을 악화시키지 않으면서 학부와 대학원간 정원을 상호 조정하도록 허용해야 한다는 것을 제언하고 있다.

      • 대학 홍보포스터에 나타난 색채디자인에 관한 연구 : 중앙대학교 홍보포스터 제안을 중심으로

        김소연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55

        Korean colleges and universities have recently invested in promotion using various media in order to attract excellent new students and achieve a high rating in various evaluations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the circumstance where the number of students who prepare for an examination for entrance into colleges and universities decreases, each college and university realized that promotion is required to give the students better image and inform them of more distinct and special features that each school has than other schools. But, most colleges and universities use similar contents and make them arranged simply, though they make a lot of investment. Such a visual way does not help to draw the students' attention, and thus it is hard to attract new students. These days, there are a diversity of new media to promote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our society. Nevertheless, we encounter primitive media, such as newspapers, magazines, posters, and other printed media, in various types every day, and given the point that the media are near our life, they still serve as a key role in promotion. Among the media, posters, which are the most basic type of graphic designs, are attached into the busy and crowed places, serving the purpose of information delivery. Posters that use various visual languages to delivery messages are a sort of visual and permissive communication to attract people's attention. Promotional posters for colleges and universities consist of layout, pictures and illustrations, color designs, typography, and other factors. Among the components, color designs are a component with various effects, reacting to people's emotions and feelings and thus drawing immediate responses. Color designs, going beyond languages, sometimes become a means of communication in quick, immediate and accurate ways. But, color designs of promotional posters for colleges and universities have not been concerned to the extent that it is hard to find studies on them. To improve images and promote schools professionally in the environment where the educational market continues to be opened and the institutional ways of entering colleges and universities change, it is necessary to overcome the conventional promotion methods, concentrate on color designs of promotional posters, propose colors fitting schools' intention and purposes, and actively use them. This work investigat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promotion for colleges and universities,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promotional posters, and color designs,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importance of color designs of promotional posters for colleges and universities, the characteristics of colors designs for colleges and universities, and color designs of promotional posters for Chung-Ang University. According to the case study on color designs of promotional posters for Chung-Ang University, it was found that the promotional posters used only blue, the school color, and it was hard to find distinct features of each college of the school. Based on the theoretical examination, this researcher set up a detailed plan for color designs of promotional posters for Chung- Ang University, differentiated color designs according to each college of the university, and proposed a total of 16 works for five categories and 11 colleges of the university The proposed artworks that focused on color designs in a plane structure and simplified expression reflected the study of American color theorist and consultant Birren. F.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ymbolism of each color fitted well the meaning of each college of the university. The proposed color designs will help viewers communicate between each other and understand the emotions provided by the colors, and serve as roles in associating new interests with color designs and using color designs in various areas. 현재 한국의 대학교는 뛰어난 신입생 유치와 각종 대학평가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기 위해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홍보에 투자 하고 있다. 수험생의 수가 계속해서 감소하면서 대학수요자들에게 이미지를 높이기 위해 다른 대학과의 차별성과 특성화를 알리기 위해서는 홍보가 필수적이라는 것을 인식하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대학교는 투자하는 비용에 비해 비슷한 내용들의 단순한 나열식과 이목을 끌기 힘든 비주얼로 신입생 유치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현재 우리 사회에는 대학교를 홍보할 수 있는 다양한 뉴 미디어들이 존재하고 있다. 하지만 원초적 미디어라 할 수 있는 신문, 잡지, 포스터와 같은 인쇄매체는 하루에도 다양한 형태로 접할 수 있으며 우리 생활과 가장 가까운 곳에 존재 하고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홍보에 주요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포스터는 그래픽디자인의 가장 기본적인 형식으로 사람들의 왕래가 많은 곳에 부착하여 정보전달을 목적으로 하고, 다양한 시각언어를 활용해 메시지를 전달해 사람의 이목을 끄는 시각적 설득커뮤니케이션의 일종이다. 대학교 홍보포스터를 구성하는 요소들에는 레이아웃, 사진 및 일러스트레이션, 색채디자인, 타이포그래피 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되어있다. 이러한 구성요소 중에서 색채디자인은 다각적인 효과를 지닌 요소로 사람의 감정과 정서에 작용해 즉각적인 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색채디자인은 언어를 뛰어넘어 신속하고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이 되기도 한다. 하지만 대학 홍보포스터에서의 색채디자인은 그에 관한 연구가 거의 없을 정도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지 못하고 있다. 앞으로 계속 될 교육시장의 개방화와, 입시전형의 변화와 같은 제도적인 변화에 이미지 개선과 보다 전문적인 홍보를 위해 그 동안의 홍보방법에서 탈피하여 대학 홍보포스터 색채디자인에 중점을 두고 의도와 목적에 맞는 색채제안으로 그 중요성을 인식하여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자세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홍보의 개념과 특성, 홍보포스터의 개념과 구성요소 그리고 색채디자인에 대하여 알아보고 대학 홍보포스터 색채디자인의 특징과 중요성 그리고 대학 색채디자인의 특징과 중앙대학교 홍보포스터 색채디자인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중앙대학교 홍보포스터의 색채디자인 사례를 통하여 중앙대학교 교색인 파란색만을 사용하여 대부분의 홍보포스터가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각 대학별의 뚜렷한 특징을 찾아볼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중앙대학교 홍보포스터의 색채디자인에 대한 세부적인 색채계획을 세우고 전체적인 통일성을 주면서 각 단과대학별의 색채디자인을 다르게 하여 차별성을 준 5계열 11대학의 총 16점의 작품을 제안하였다. 평면적 구성과 단순화된 표현으로 색채디자인에 중점을 둔 작품은 미국의 색채학자인 파버비렌(Birren, F.)의 연구를 응용하여 색채디자인을 제안하였고, 그 결과 각 색채의 상징성은 각 단과대학의 의미에도 잘 부합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색채디자인 제안은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서로 소통하고 색채가 주는 감정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새로운 관심을 색채디자인과 연관 지어 보고 다양한 분야에서 색채디자인이 의미 있게 응용되어 사용되어 질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 대학원 여성의 학습참여 동기와 저해요인

        정헌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55

        이 연구는 일이나 육아를 병행하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여성학습자들이 왜 대학원에 진학하는지, 기본적인 학위취득 목표 이외의 다른 이유는 무엇인지, 학습하는 과정에서 애로점은 무엇인지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이는 선진국에서 나타나는 '대학교육 성인화·상업화'의 흐름과 함께 국내에서의 고등교육 확대, 남녀평등의식 확산이라는 사회적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와 같은 사회 분위기 속에서 여성들은 전문성 추구와 학력 상승 등의 목적을 위해 대학원 과정에 진학하는 경향이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일을 하면서 대학원에 진학하는 여성학습자들의 학습참여 동기와 저해요인을 분석하여 이들이 대학원에서 성공적으로 학습하고 사회에 참여하는데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동기와 저해요인에 대한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일을 하면서 대학원에 다니고 있는 여성학습자 21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OK for Windows를 사용하여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빈도분석, t 검정과 일원분산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여성학습자의 다양한 개인배경 특성과 요구를 반영하여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평생교육기관으로서 대학원의 변화와 발전이 필요하다. 대학원 여성학습자의 일과 관련한 높은 학습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일과 연계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학습이 이루어져야 하고, 여성학습자의 개인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수업내용의 질 향상 및 방법의 다양화, 행정서비스 개선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여성학습자의 상황에 맞는 상담과 멘토 서비스를 실시하여 일, 육아, 심리적인 문제 등에 대하여 여성학습자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들이 학습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과 확신을 가질 수 있도록 조력해야 한다. 둘째, 대학원 차원에서 자녀양육을 위한 제도와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대학원 여성학습자의 학업중단 경험은 자녀유무, 자녀연령대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학교에 육아시설과 모유 수유실 설치 등의 보육서비스가 확대되어야 한다. 이상으로 본 연구는 여성학습자 중 대학원 이상의 고학력자로 연구대상을 구체화하여 이들의 평생교육 참여를 분석하고, 여성학습자의 자녀양육 문제를 부각시키며, 평생교육기관으로서 대학원의 변화와 역할에 대해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motivate working, family-raising women to pursue their postgraduate degrees; for what reasons other than obtaining their degrees they take postgraduate programs; and what factors inhibit or otherwise interfere with their learning. Higher education in many developed countries is increasingly commercialized and targeting adult students. The advancement of higher education in South Korea also corresponds to the increasing social embracement of gender equality. Against the backdrop of these social developments, more and more women now attend postgraduate schools in order to enhance their professional competence and their academic record by obtaining degre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refore, is to identify what factors motivate and inhibit working women's learning in postgraduate programs, and in so doing, to generate meaningful findings that could help these women learn and participate in society more fully and successfully. To this end, research questions regarding the motivating and inhibiting factors of learning were formulated and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218 women who work and study in postgraduate programs at the same time.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s,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using the SPSS 12.OK for Windows.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graduate schools need to evolve into professional, systematic institutions of higher adult education that reflect and absorb the diverse backgrounds, characteristics, and demands of these women students. More systematic, professional learning experience relevant to the women's work experience must be provided so as to help satisfy their desire for learning more about their work. The quality of lectures needs to be upgraded and the pedagogical methods diversified in light of the differences among these women. In addition, the administrative service must also be improved. Moreover, it is essential to provide more information for these women, in the form of counseling and mentoring that help them overcome problems at work, in childrearing, and other psychological stresses. These services will help enhance their positive outlook and confidence in learning. Second, postgraduate schools themselves need to accommodate systematically women's need for childcare. Postgraduate women students’ drop-out rate is significantly related to whether or not they have children at ages that require parental care. The schools themselves need to provide childcare support, in such forms as daycare centers, breast feeding rooms and so forth.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by specifying the object of the research to highly educated women with postgraduate degrees, it sought to analyze the pattern of those women's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emphasized childrearing-related problems that those women experience while learning at postgraduate schools; and analyzed the changes and roles of postgraduate schools as institutions of higher adult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