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은경의 작업일지

        김은경 부산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63

        The reason why I am drawing because I become absorbed into it. I think it as the most enjoyable and happy thing to do like I look at my mom sewing. In the reality we can see that the material value and the happiness is connected. The self-satisfaction is made out in human society that we are so influenced by other people say or judge. The spending of extreme amount of branded masterpieces mean the modern lifestyle of modern people. Also this material life made me to think how twenties women should live 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material value and happiness. First I draw the branded masterpiece then I put seal, which is my name is carved out, on my paintings. I believe that stamping my seal continuously will help me out to control my possessiveness. I can see my mind changes; the thought of the cost of compensation, when I put seal repeatedly over on my painting. And I hope I could keep control over the desire to possess. I think the artist should be faithful and candid in front of the canvas. The people decide their own mind about happiness and they know which is good or not so great to them. I think having their own time will change their happiness. They will change happiness when they become honest to themselves. While I am painting and stamping on the canvas I will be faithful and candid in front of the canvas and myself that will guide me to being the happiest person forever.

      •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학급 유아들의 수업참여 행동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김은경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63

        이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학급 유아들의 수업참여 행동과 자아개념에 대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일반 유치원 만 5세, 한 학급이 25명인 유아들을 대상으로 하여 사전검사 3회기, 사후검사 3회를 실시하여 중재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중재전략으로 학급 약속 선정, 학급 약속 직접 교수 및 게시, 환경의 구조화, 기대 행동에 대한 격려 및 강화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통해 학급 유아들은 자아개념의 향상을 보였다. 둘째,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으로 인하여 학급 유아들은 수업 방해 행동의 감소와 수업 참여 행동의 증가를 가져왔다. 이 연구는 긍정적 행동지원이 유아들의 수업참여 행동의 증가와 자신에 대한 자아개념을 형성 할 수 있도록 돕는 데에 효과적이었으며 중재 종료 이후에도 효과가 유지되었다. 이는 일반 유치원의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유아의 자아개념 형성과 수업참여행동에 효과가 있음을 제시한다.

      • 부모의 비만여부와 체형인식에 따른 아동의 비만인식과 체중관련 행동

        김은경 조선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47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the childhood obesity cognition and weight-related behaviors by their parents obesity and perception of body image, We surveyed to prim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of some primary school in Kwangju.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obesity rate of male children was 12.1% which showed light obesity 6.9%, moderate obesity 4.2% and heavy obesity 1.0%. In female, 6% was obesity and among them each rate of light, moderate and heavy obesity was 3.6%, 1.8%, 0.6%. 2. In male children, 31.9% appreciated oneself to lean, 46.4% to moderate and 21.7% to fatty. In female children, each component is 20.4%, 52.8% and 26.8%. 3. When body weight of both parents was within normal range, the rate of obesity of children was 9.1% in male, 4.5% in female. When one parent was obese, the rate was 17.7% in male, 9.4% in female, and when both parents were obese, the rate was 34.8% in male and 9.1% in female. And the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4. Independent of degree of children's obesity, the children with obese parents were appreciated to more obese themselves than the children with non-obese parents. In male children, cognition of body image and fear to get the weight were associated with obesity of parents. In female children, cognition of body image, dissatisfaction of their body weight and dissatisfaction of their body were associated with it(p<0.05). 5. The male children with obese parents did more effort to control their weight and exercise than them with non-obese parents, and the female children with obese parents did more worry about their weight and effort to control body weight than children with non-obese parents. 6. The cognition of body image, dissatisfaction of body weight and dissatisfaction of body shape in non-obese children, and the dissatisfaction of body shape in obese children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cognition of body image of the parents. According to sex of children, the results were same. In this survey, we knew that the cognitions and behaviors relation to obesity of their children were associated with obesity and body image of the parents. To introduce the obesity management program to primary school children, it may be necessary to participation of their parents.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정체감,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김은경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the correlations among parents' breeding attitud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the basic ground for human beings' healthy growth and development), ego-identity,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For the research, this paper set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Research Problem 1】 Are parents' breeding attitud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ego-identity,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background factors (gender, region, parents' educational level) ? 【Research Problem 2】 Are parents' breeding attitud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ego-identity,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significantly related with each other ? 【Research Problem 3】 Does parents' breeding attitud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have influence on their ego-identity ? 【Research Problem 4】 Does parents' breeding attitud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have influence on their adaptation to school life ? In order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s, this paper had a survey to 500 boy and girl 2nd-graders of middle schools in Seoul and Donghae-si, Gangwon-do. And 40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s the measuring tool for parents' breeding attitude, the questionnaire made by Kim Gi-Jeong (1984) and modified by Lee Dong-Taek (1990) was used. As the measuring tool for ego-identity, 'Korean Test of Ego-Identity' developed by Park Ah-Cheong (1996) and modified by Lee Seung-Guk (1999) was used. As the measuring tool for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the questionnaire made by Kim Yong-Rae (1993) was used. SPSS 12.0 for Windows was used for the analysis. In order to get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ing tools and the basic statistics, mean (M) and standard deviation (SD) by group were calculated. In order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out. And depending on the research problems,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per the below: First, parents' breeding attitud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ego-identity,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showed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background factors (gender, area, and parents' education). More girls perceived that their parents allowed freedom than boys, but more boys perceived that their parents had excessive expectations on their accomplishment than girls. And the higher fathers' educational level was, the more receptive fathers' breeding attitude was felt. In relation to ego-identity, girls made higher scores at friendliness only (one of sub-items of the ego-identity) than boys.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y gender. In relation to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the small city made higher scores at the adaptation to environment and the adaptation to teachers (sub-items of the adaption to school life) than the large city. The higher parents' educational level was, the higher the adaptation to class was.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Secondly, parents' breeding attitud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ego-identity were quite significantly correlated. Especially, fathers' and mothers' receptive breeding attitude showed the highest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acceptance (a sub-item of the ego-identity), but fathers' and mothers' accomplishment-based coercive breeding attitude showed the highest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acceptance. And in mothers' breeding attitude, higher positive and negative correlations were found than in fathers' breeding attitude. That is,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parents' breeding attitude and ego-identity were found. The more receptive parents' breeding attitude was perceived, the higher ego-identity was made. And mothers' breeding attitude had more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ego-identity than fathers'. Third, mostly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parents' breeding attitud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adaptation to school life. Especially, fathers' and mothers' receptive breeding attitude showed the highest positive correlation with students' adaptation to living (a sub-item of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but parents' accomplishment-based coercive breeding attitude showed the highes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adaptation to living. Therefore,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parents' breeding attitude and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life. That is, the more receptive parents' breeding attitude was recognized, the higher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life was made. And fathers' breeding attitude had more influence on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life than mothers'. However, by sub-item, mothers' receptive breeding attitude had more influence on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life than fathers'. Fourth,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ego-identity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in every sub-item. Especially, the total ego-identity ha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adaptation to class (a sub-item of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the total adaptation to school life ha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subjectivity (a sub-item of ego-identity). In addition, three sub-items of ego-identity (confidence of the future, goal-oriented, and initiative)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adaptation to class. By clarifying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and influence among parents' breeding attitud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ego-identity,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it was found that the origin of children's sound growth and development lay in parents' breeding attitude. Therefore, in order to help children find their true ego and positively lead their lives, parents need to play their roles effectively and positively, and for this, some programs of training parents need to be activated and systemized.

      • 개인적 경력지향성과 노후준비도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네트워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은경 호서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김은경·김종근(2015)의 기존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노후 준비도가 창업의도와의 영향관계를 새롭게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와 동시에 창업의도에 미치는 요인을 식별하고 이들 요인들이 잠재적 창업가의 창업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들을 토대로 본 연구는 창업의도에 잠재적 창업가의 개인적 경력지향성과 노후준비도, 사회적 네트워크가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작용함을 파악하였다. 즉,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경험과 경제활동으로 경력에 따른 지향성이 형성되어 있는 잠재적 창업가들이 새로운 사업을 시작하고자 의도할 때 연구 결과를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요인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독립변수로 개인적 경력지향성과 노후 준비상태, 그리고 매개변수로 사회적 네트워크를 종속변수로 창업의도로 하여 이들 요인 간의 영향관계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과 수도권에 거주하는 사회경험과 경제활동 경험이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실증 분석을 하였다. 설문조사 방법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온라인 구글 설문 방법과 오프라인의 면대면 방법으로 조사 수집한 결과,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408부를 최종 자료로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타당성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과 매개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실증적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개인적 경력지향성과 사회적 네트워크와의 영향관계에서 관리지향성, 혁신지향성, 그리고 자율지향성이 사회적 네트워크에 정(+)의 영향관계가 있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후 준비도와 사회적 네트워크와의 영향관계에서 경제적 준비와 정서적 준비가 사회적 네트워크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적 경력지향성과 창업의도와의 영향관계에서 혁신지향성, 자율지향성이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후 준비도와 창업의도와의 영향관계에서 경제적 준비가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사회적 네트워크와 창업의도와의 영향관계에서 사회적 네트워크는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개인적 경력지향성과 노후 준비도 그리고 창업의도 간에 사회적 네트워크의 매개효과가 입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afresh the influencing relationships between the new variables of preparation of the old ag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based on the existing study written by Eun-Kyoung Kim and Jong-Geun Kim(2015). Another purpose of this study was distinguishing the factors which have influence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the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se factors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the potential entrepreneurs. Nam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results hereof to the latent entrepreneurs who has the individual career orientation through his social and economic experiences can refer to when they want to start a new company. So individual career orientation and preparation of old age were taken as independent variables, social networks as mediating variabl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s dependent variable and the influencing relationships among those variables were examined. 408 numbers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the adults who have social and economic experiences and live in Seoul and its vicinity through the online Google survey method and the offline face-to-face metho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on frequency analysis, validity analysis, t-test, ANOV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ng regression analysis etc using SPSS WIN 21.0 programm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anagerial competence, innovation, entrepreneurial creativity, and autonomy orientation affect positively(+) on the social networks in the influencing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 career orientation and the social networks. Second, the economical and emotional preparation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social networks in the influencing relationships between preparation old age and social networks. Third, the innovation and autonomy orientation affect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positively in the influencing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 career orient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 효과적인 수학적 논의를 위한 예상하기 관행과 연결하기 관행의 관계

        김은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연구의 목적은 5가지 관행을 적용한 초등학교 수학 수업을 계획하여 실행하고 예상하기 관행과 연결하기 관행의 구현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두 관행의 구현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또한 두 관행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찾아 효과적인 수학적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하기 위한 시사점을 찾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5가지 관행을 적용한 초등학교 수학 수업의 계획 단계에서 교사의 예상하기 관행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나. 5가지 관행을 적용한 초등학교 수학 수업의 실행 단계에서 교사의 연결하기 관행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다. 예상하기 관행과 연결하기 관행 사이의 관계와 그것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이며 그에 따른 시사점은 무엇인가? ‘연구 문제 가’와 ‘연구 문제 나’를 해결하기 위해 같은 학교에 재직 중인 5학년 학급 담임 다섯 명의 교사에게 5가지 관행을 적용하여 두번의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하도록 하였다. 교수·학습 과정안, 수업 동영상, 학생의 학습 결과물, 면담 자료 등을 수집하여 다섯 명의 교사의 예상하기 관행과 연결하기 관행의 구현 수준과 두 관행의 하위 요소별 구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예상하기 관행과 연결하기 관행의 구현 수준과 양상을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연구 문제 다’를 해결하였다. 예상하기 관행과 연결하기 관행의 구현 수준을 비교하고 구현 수준이 하락한 경우와 유지된 경우를 구분하여 예상하기 관행의 하위 요소별 구현 양상에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보았다. 그 결과를 중심으로 예상하기 관행이 높은 수준으로 구현되고 그것이 연결하기 관행의 구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위해서 필요한 요인이 무엇인지 탐색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수업 주제와 관계없이 각 교사마다 같은 수준의 예상하기 관행을 보였고 예상하기 관행의 구현 수준을 넘어서는 연결하기 관행의 구현 수준은 없었다. 그리고 같은 수준의 예상하기 관행을 보인 교사라도 예상하기 관행의 하위 요소별 구현 양상에는 차이가 있었는데 이 차이가 연결하기 관행의 구현 수준을 달라지게 하는 원인이 되었다. 각 하위 요소별로 얼마나 구체적으로 계획하였느냐에 따라 연결하기 관행의 구현 수준이 달라졌고 수업 계획에 점검하기, 선정하기, 계열짓기 관행에 대한 계획이 명확하게 드러났을수록 실제 수업에서 학생의 해결 방법 간의 연결과 학생의 해결 방법과 수학적 아이디어와의 연결이 잘 이루어졌다. 둘째, 학습자의 수준에 맞추어 과제 접근성과 인지적 도전을 고려하여 과제를 재구성했는지, 학생들의 해결 방법과 학생들이 가질 수 있는 오류, 그에 대한 피드백을 얼마나 자세히 계획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했는지, 의견을 공유하는데 허용적인 교실 문화가 만들어져 있는지 그리고 수학적 논의에 얼마나 가치를 두고 실천하려 노력하고 있는지가 수업 계획을 성공적으로 실행하여 연결하기 관행을 높은 수준으로 구현하는데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5가지 관행에 대해 알지 못하고 수업을 계획했던 선행 연구의 사례와 비교했을 때 5가지 관행을 알고 적용하여 수업을 계획한 결과 수학적 의사소통을 위해 고려해야 할 여러 가지 요소를 반영하여 교수·학습 과정안을 작성할 수 있었다. 또한 예상하기 관행의 구현 수준을 넘어서는 연결하기 관행의 구현 수준이 없었다. 이를 통해 효과적인 수학적 논의를 만들기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예상하기 관행이 이루어지는 수업 계획이 바탕이 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잘 구현된 예상하기 관행은 높은 수준의 연결하기 관행의 구현을 기대하게 하는데 예상하기 관행의 세 가지 하위 요소인 학생들의 다양한 해결 방법 예상, 학생들의 해결 방법에 대한 피드백 예상, 학습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 반응 예상을 골고루 고려하여 각각을 구체적으로 계획해야 한다. 이들 중 특히 학생들이 가질 수 있는 오류에 대해 풍부하게 예측하고 그에 대한 피드백을 꼼꼼하게 계획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교과 내용과 학생 이해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교과 내용과 학생에 대한 풍부한 지식은 계획의 구체성뿐만 아니라 실제 수업에서 예측하지 못한 상황이 생겼을 때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발문을 제공하고 미리 정해놓은 논의의 계열에서 벗어나지 않고 수정할 수 있게 해준다. 셋째, 학생들에게 접근 가능하면서 인지적으로 도전적인 과제를 구성하여 수업을 계획해야 생산적인 수학적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다. 접근하기 어려운 과제일 경우에는 학생들이 논의에 참여하길 꺼려하며 인지적 도전이 적은 과제일 경우에는 의미 있는 수학적 논의를 생성하기 힘들기 때문에 학생의 수준을 고려하여 기존의 경험을 활용하여 접근 가능하면서도 인지적으로 도전할만한 과제를 만들어야 한다. 넷째, 교과 내용과 학생 이해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재구성된 과제를 가지고, 예상하기 관행의 각 하위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구체적인 수업 계획을 했을 때, 이를 잘 실현하여 연결하기 관행을 구현하려면 학생들이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데 자유로운 교실 문화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지 점검해 보아야 한다. 학생들이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데 허용적인 분위기, 서로의 의견을 존중하는 분위기가 형성되어야 수학적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연결하기 관행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섯째, 수학적 의사소통을 중요하게 여기고 실천하려는 교사의 신념과 의지도 두 관행 사이의 관계에 영향을 미친다. 수업 시간 내에 계획한 내용을 모두 실행하려 하기 보다는 학생들이 의미 있는 수학적 논의를 하는데 중점을 두고 충분히 시간을 주었을 때 예상하기 관행이 연결하기 관행에 효과적이고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이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수학적 논의를 위해 5가지 관행을 적용한 수업에서 예상하기 관행과 연결하기 관행의 구현 양상을 분석하고, 이 두 관행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두 관행이 긍정적인 관계를 맺기 위해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찾아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이 연구가 효과적인 수학적 논의를 위해 수업의 준비와 계획 단계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와 수업 계획이 실제 수업에서 성공적으로 구현되어 의미 있는 수학적 논의를 만들기 위해서 고려해야할 요소는 무엇인지, 그에 따른 교사의 역할은 어떠한 것인지 안내하는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 제7차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 교육과정 내용 비교

        김은경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은 사회적인 변화 요구를 반영하면서 그간 여덟 차례에 걸쳐 부분 혹은 전면 개정을 해왔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은 제7차 교육과정의 기본 틀을 수용하면서 학교 현장에서 나타난 적용상의 문제점을 수정 · 보완하여 2007년 2월에 고시되었다. 이번 교육과정은 교육내용의 개선이 주된 개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을 비교 · 분석하여 내용 변화와 교육내용 수의 변화 정보를 도출하였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은 내용의 중복을 피하고 관련 내용을 유기적으로 지도하기 위해 7개의 단원을 통합하고, 5개의 단원을 분리하였다. 또한 열에너지, 우리주위의 화합물, 전해질과 이온의 3개 단원이 신설되었으며 물질 변화에서의 규칙성, 유전과 진화, 태양계의 운동 단원이 중학교에서 삭제되었다.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지나치게 어려운 내용이나 쉬운 세부 내용은 학년을 조정하였다. 단원을 크게 구성하여 단원 수는 28개에서 25개로 3개 감소하였지만 세부 내용의 수는 86개에서 119개로 33개 증가하였다. 영역별 단원 수는 물질 영역, 학년별 단원 수는 7학년의 빈도가 높았다. 또한 세부 내용의 수는 7학년은 20.69%, 8학년과 9학년은 각각 53.57%, 41.38% 증가하였다. 영역별 세부 내용의 수는 지구와 우주, 생명, 운동과 에너지, 물질 순서로 분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제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서술방식이 다르고, 세부 내용의 비교가 애매한 상황에서는 연구자의 주관이 개입되었기 때문에 객관성이 부족한 한계점이 있다. 그러나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이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단원 세분화, 내용 중복, 과학 4영역의 1/N 균등 분배와 난이도 등의 문제에 대하여 개선되었음을 보여준다. Korea's curriculum has been so far under the revisions eight times partially or wholly, reflecting the social and cultural changes and needs. 2007-revised curriculum embraced the basic frame of the 7th curriculum under the principle of occasional revision, and modified the problems of applications to the school field. It was announced in February 2007. Especially, this curriculum is revised to reform education contents. In this study, the comparative analysis was made between 7th curriculum and 2007-revised curriculum, escaped the number of contents with contents change. 2007-revised curriculum separated 5 units, integrated 7 units in order to guide a relation contents and avoided the duplication of contents. Also units are supplemented heat energy, the chemical compound, electrolyte and ion and middle school curriculum units are eliminated regulation from material change, heredity and evolution, motion of planetary. Considering learners level, extremes difficult contents or easy detailed contents moved a grade. Composed large scale unit, number of unit decreased by 3 from 28 to 25 however number of detailed contents increased by 33 from 86 to 119. The number of areal contents was high chemical area, 7 grades was high. Also the number of detailed contents increased by 20.69%, 53.57% and 41.38% 7, 8, 9 grades each other. The number of detailed areal contents ranged in space and earth, life, motion and energy , material. In this study result which description method of 7th curriculum and 2007-revised curriculum is different, there is the critical point where the objectivity is insufficient because the subjectivity of researcher intervening from the situation where the comparison of detailed contents is innocent. However, 2007-revised curriculum improved about problems pointed out in the 7th curriculum which grade and contents level, 1/N equal distribution to the four area, contents duplication, subdivision of unit.

      •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과정 중심 평가를 구현하기 위한 요소와 전략의 탐색

        김은경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과정 중심 평가를 구현하기 위한 요소와 전략을 제시하고 이를 실제 수학 수업에 적용한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요소와 전략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과정 중심 평가의 방향을 구체화하고 과정 중심 평가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과정 중심 평가를 구현하기 위한 요소와 전략은 무엇인가?1) 과정 중심 평가를 구현하기 위해 수업과 평가의 설계 단계에서 필요한 요소와 전략은 무엇인가?2) 과정 중심 평가를 구현하기 위해 수업과 평가의 실행 단계에서 필요한 요소와 전략은 무엇인가?3) 과정 중심 평가를 구현하기 위해 수업과 평가의 반성 단계에서 필요한 요소와 전략은 무엇인가?나.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과정 중심 평가를 구현하기 위한 요소와 전략을 적용한 평가는 어떻게 구현되는가?위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헌 연구를 실시하여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과정 중심 평가를 구현하는데 고려해야 할 내용을 추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과정 중심 평가를 구현하기 위해 수업과 평가의 설계, 실행, 반성 단계에서 필요한 요소와 전략을 구성하였다. 구성한 요소와 전략에 대해 초등수학교육 전문가에 의한 적절성 검토를 실시하였고 검토 결과를 반영하여 요소와 전략을 수정‧보완하였다. 그리고 요소와 전략을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과정 중심 평가를 구현한 모습을 살펴보고 요소와 전략이 과정 중심 평가를 구현하기 위해 어떻게 작용하였는지를 탐색하기 위해 형성적 연구 방법과 사례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5개 반에 각 11차시씩 수학 수업을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첫째, 문헌 연구와 초등수학교육 전문가의 적절성 검토를 통해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과정 중심 평가를 구현하기 위한 요소와 전략을 구성하였다.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과정 중심 평가를 구현하기 위해 수업과 평가의 설계 단계에서 필요한 요소는 ‘평가 목표 설정’, ‘평가 도구 개발’, ‘학생 반응 및 피드백 예상’, ‘학생 이해 파악과 피드백을 위한 교수‧학습 관행 구성’이다. 수업과 평가의 실행 단계에서 필요한 요소는 ‘평가 목표 및 과제 이해’, ‘학생 반응 관찰 및 이해도 파악’, ‘피드백 실시’, ‘학생 이해 파악과 피드백을 위한 교수‧학습 관행 적용’이고, 수업과 평가의 반성 단계에서 필요한 요소는 ‘평가 결과에 대한 분석’, ‘평가 결과의 반영’이다. 수업과 평가의 설계, 실행, 반성 단계에서 각 요소에 대한 하위 요소를 세분화하고, 각 하위 요소별로 실제 수업에 적용하기 위한 세부 전략을 제시하였다.둘째,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과정 중심 평가를 구현하기 위한 요소와 전략을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의한 5학년 2학기 분수의 나눗셈 단원에 적용하여 과정 중심 평가가 구현되는 모습을 제시하고 각 요소와 전략이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살펴보았다. 각 사례를 통해 요소와 전략이 과정 중심 평가를 구현하는데 어떠한 작용을 하는지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과정 중심 평가의 초점과 방향성을 구체화하였다. 과정 중심 평가를 구현하기 위한 요소와 전략을 적용함으로써 단원과 차시가 유기적으로 연결되게 하여 단원 전체의 평가를 구조화하여 실시할 수 있었으며, 교사의 점검하기 활동을 통해 과정 중심 평가의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인 학생 이해 파악을 구체화할 수 있었다. 또한 요소와 전략을 적용하여 교사에 의한 피드백뿐만 아니라 학생 간 상호작용을 통한 피드백의 초점과 방법을 제안하였고, 차시 간 연계성을 바탕으로 평가 결과의 환류를 수업과 연결시켜 구현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과정 중심 평가를 구현하기 위한 요소를 추출하여 그에 따른 전략을 구체화하고 수업에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과정 중심 평가는 학생의 이해를 파악하고 진전을 위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으므로 수업과 평가의 설계 단계에서부터 이에 초점을 두고 면밀하게 계획을 할 필요가 있다. 단원과 차시의 유기적 연결, 차시 간 연결을 강조하여 수업과 평가를 계획함으로써 실제 수업에서 학생의 이해를 파악하고 그에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학생의 이해를 진전시키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교사는 수업과 평가를 설계할 때 학생의 이해를 파악하고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요소와 전략을 어떻게 연결하여 적용할 것인지, 평가를 어떻게 구조화할 것인지를 고려하여 계획할 필요가 있다.둘째, 평가를 실시하는 목적이 학생의 학습이 어느 정도의 수준까지 도달했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등급을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의 이해를 파악하여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학생 이해의 진전을 이끌어 나가는 것임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과정 중심 평가를 구현하기 위한 요소와 전략을 실제 수업에 적용한 결과 학습 목표를 제시하여 공유하고, 학생의 이해를 점검하고, 학생의 해결 전략을 연결하는 등의 수업과 평가의 모든 과정에서 학생 이해를 파악하고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 도출한 결과를 기존의 평가와 같이 점수 또는 등급과 같은 형태로 설명하거나 제시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므로 과정 중심 평가의 목적과 방향성을 명확히 이해하고 요소와 전략을 적용하여 수업과 평가를 이끌어 나아간다면 요소와 전략을 활용하여 과정 중심 평가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교사와 함께 학생을 평가의 주체로 삼고 학생 간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면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과정 중심 평가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과정 중심 평가를 구현하는 모습을 탐색한 결과 학생 간 상호작용을 통해 학생의 사고를 이끌어 내고 명확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되었고, 학생 간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한 동료 피드백이 학생의 진전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학생 간 상호작용을 촉진할 수 있는 교실 문화를 형성하고 상호작용을 통한 학생 이해 파악과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교수‧학습 관행을 형성한다면 과정 중심 평가를 구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본 연구가 과정 중심 평가의 목적을 이해하고 과정 중심 평가의 방향성을 구체화하여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 과정 중심 평가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