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울로 7017의 경관특성 분석

        고경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서울시의 대표 보행전용 고가도로인 '서울로 7017' 대상으로 보행전용 고가도로에 대해 경관특성을 파악을 위해 시각적 선호도 및 심리적 변수와의 관계를 파악하였으며, 경관파악모델을 토대로 경관변화 특성을 분석하여 도시 내 보행전용 고가도로 조성 시 경관 측면에서 고려해야 할 요인을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요소가 대부분의 경관을 차지하고 있는 경우 자연적이고 아름다우며 밝은 이미지로 인식되어 선호도도 높게 나타난 반면, 인공적 요소의 영향으로 인공적이고 딱딱하며 낯설고 답답한 이미지로 인식되어 선호도가 낮게 분석되었다. 둘 째, 요인분석에 따라 '특이성', '심미성', '개방성', '친숙성' 등 4가지 인자군으로 나타났다. 그중 '특이성'이 선호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어 보행전용 고가도로라는 대상지의 특성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나타났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셋째, 경관파악모델을 통해 서울로 7017의 주대상은 '수목', '보행로', '건축물', '시설물'로 도출되었다. 서울로 7017의 '서울수목원' 주제로 인해 '수목'은 1차적 영향력을 가진 주대상인 것으로 대부분 분석되어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주대상의 변화는 보행자 시점에서 대상의 규모, 크기, 위치, 배경에 따라 변화하고 있으며, 고가보행로 내에 자연요소가 경관특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도심 내의 보행전용 고가도로 경관의 경관특성은 물리적인 요소와 시점에 보이는 대상의 성격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도시 내 보행전용 고가도로경관의 계획 시, 대상 간의 관계와 대상 주변 환경 의 조화에 대한 규제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도시 내 재생된 보행전용 고가도로경관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추후에는 다양한 계절과 야경의 시간대에 따라 경관특성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토대로 더욱 도시 내에서 사람들의 심미와 요구에 부합된 보행전용 고가도로를 계획·설계할 수 있는 것이다.

      • 모음추이의 국어사적 검토와 국어교육적 의미

        고경재 고려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의 목적은 중세국어에서 모음추이가 기존 논문들에서 제시한 방식으로 일어났는지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모음추이를 어떻게 교육할지를 제안하는 데 있다. 모음추이를 살펴보기 위해 중세국어 어휘를 기록한 자료(『雞林類事』, 『朝鮮館譯語』)와 중세 몽골어를 기록한 자료(『元朝祕史』)를 검토하였으며, 교육을 제안하기 위해 고등학교 『독서와 문법』교과서를 검토하였다. 제2장에서는 『雞林類事』와 『朝鮮館譯語』를 바탕으로 중세국어 각 단모음의 음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각 단모음을 사음하기 위한 한자들을 모두 추출하여 이를 韻攝별로 나누어 음가를 추정하고, 그 추정된 음가를 재구된 중세국어 어형의 단모음과 대조하여 중세국어 단모음 음가가 어떠한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 단모음별로 중세국어 안에서 추이가 발생하였는지를 살핀 결과 /ㅓ/를 제외한 나머지 모음들은 중세국어 안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3장에서는 중세 몽골어 차용어와 중세 몽골어 모음의 대응을 살펴서 중세 몽골어 차용어를 바탕으로 기존과 같은 모음추이 가설을 수립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중세 몽골어의 모든 모음을 대상으로 하지는 않았으며, 모음추이 가설을 수립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 원순모음만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원순모음의 음가를 알기 위해 한자로 당시 몽골어를 기록한 『元朝祕史』를 검토하였으며, 검토 결과 중세 몽골어 차용어는 중세 몽골어의 음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었으며, /ㅗ ㅜ/에 있어서 추이를 상정할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 제4장에서는 앞에서 검토한 내용을 바탕으로 모음추이 교육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 문법 교육 패러다임을 검토하여 어떤 문제가 있었는지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모음추이 지식을 어떤 방식으로 제시하는 것이 좋을지를 제안하였다.

      • 12~15세기 국어 모음체계 연구 : 모음추이 이론의 재확립

        고경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12~15세기 국어의 모음체계를 재구하여 이 시기에 母音推移 현상이 있었는지, 만약 있었다면 그 양상은 어떠하였는지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장에서는 연구 목적과 필요성을 기술하였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면서 특히 모음추이를 초점화한 기존 논저들에 어떤 문제가 있었는지를 보였으며, 기존 논저에서의 문제를 본 연구에서 어떻게 수정·보완할 것인지 기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모음추이를 논의하기 위해 필요한 배경적인 내용을 기술하였다. 중세 몽골어 모음체계, 파스파 문자 母音字의 음가, 󰡔四聲通解󰡕와 蒙古韻書 사이의 관련성, 중세 몽골어 차용어 어휘 목록을 제시하였다. 특히 중세 몽골어 차용어의 경우, 개별 단어들에 대한 설명은 [부록]에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四聲通解󰡕의 正音과 蒙音 표기를 󰡔蒙古字韻󰡕에서의 표기와 대응시켜 15세기 국어 모음체계를 도출하였다. 󰡔四聲通解󰡕의 표기와 대응되는 蒙韻 표기의 음가를 해석하여, 󰡔四聲通解󰡕에 표기된 母音字들의 음가를 확정하였다. 다만, ‘ㆍ’의 경우는 󰡔四聲通解󰡕에서 사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訓民正音󰡕 解例本의 母音 관련 기술과 제주도 방언에서의 /ㆍ/의 음가를 고려하여 그 음가를 도출하였다. 제4장에서는 몽골어 차용어와 한자음을 통해 12~14세기 국어 모음체계를 도출하였다. 몽골어 차용어의 경우, 기존 논저에서 제안된 차용어들을 검토하여 타당한 차용어를 추출하여 개별 母音字의 음가를 도출하였다. 몽골어 차용어에 대한 개별적인 검토는 [부록]에 제시하였다. 한편, 한자음 자료로는 한국의 東音과 일본의 漢音, 그리고 󰡔雞林類事󰡕를 활용하였다. 이들 자료를 검토한 결과, 李基文(1998)과는 다른 모음체계가 도출되었으며, 이에 따라 李基文(1998)과는 다른 母音推移의 양상을 확인하게 되었다. 제5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도출한 모음체계를 근거로 母音推移를 이론화해 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國語音韻史에서의 몇몇 쟁점들을 해석해 보았다. 母音推移는 모음조화, 국어음운사의 시대 구분, 원순모음화의 통시적 전개, /ㆍ/의 변화 및 소멸 문제와 관련이 되는바, 본 연구의 이론을 바탕으로 이들 문제들을 재해석해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12~15세기 모음체계 수립과 관련된 문제를 다양한 각도에서 살펴볼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본 연구는 몽골어에만 주목하거나 한자음에만 주목하는 한정된 시야를 극복하고 이들을 통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다소 불투명한 이 시대의 모음체계에 하나의 대안적인 체계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그동안 국어학계에서 통용되어 왔던 母音推移 이론이 적절한 것이었는지를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the vowel system of the Korean language in the 12~15th centuries, and to study whether there was a vowel shift phenomenon in this period, and if so, what the pattern was. In Chapter 1, I described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And I showed the problems in the existing articles focusing on the vowel shift, and described how to correct and supplement the problems in the existing articles. In Chapter 2, I described the background necessary to discuss vowel shift. The vowel system of the Middle Mongolian language, the phonetic values of vowel letters in the Phags-pa script, the relationship between 󰡔四聲通解󰡕 and 蒙古韻書, and the vocabulary list of loan words from the Middle Mongolian language are presented. In the case of loan words from the Middle Mongolian language, explanations of individual words are described in [Appendix]. In Chapter 3, the 15th century Korean vowel system was derived by linking the transcription of 󰡔四聲通解󰡕 and 󰡔蒙古字韻󰡕. However, in the case of ‘ㆍ’, since it was not used in the 󰡔四聲通解󰡕, the phonetic value of ‘ㆍ’ was derived by the description of 󰡔訓民正音󰡕 解例本 and the phonetic value of /ㆍ/ in the Jeju dialect. In Chapter 4, the Korean vowel system of the 12~14th centuries was derived through Mongolian loan words and Sino-Korean. In the case of Mongolian loan words, the phonetic values of individual vowel letters were derived by examining the loan words proposed in the existing theses, extracting appropriate loan words. The review of Mongolian loan words is presented in [Appendix]. On the other hand, 東音(Korea), Kan-On(漢音, Japan), and 󰡔雞林類事󰡕 were also used to determine the phonetic value of each vowel lette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se data, a vowel system different from that of 李基文(1998) was derived, and accordingly, the aspect of vowel shift different from that of 李基文(1998) was confirmed. In Chapter 5, I theorized Korean vowel shift based on the vowel system I has derived, and based on this, I tried to interpret some issues in the Korean historical phonology. Vowel shift is related to vowel harmony, periodization of Korean historical phonology, diachronic development of vowel rounding, change and disappearance of /ㆍ/, and I reinterpreted these problems based on my own theory. Through this study, researchers could examine the problem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vowel system in the 12~15th centuries from various angles. In particular, it can be thought of as providing an alternative system to the somewhat opaque vowel system of this era by overcoming the limited view of paying attention only to Mongolian language or Sino-Korean and looking at them in an integrated way.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consider whether the theory of vowel shift, which has been widely used in the Korean language academic community, is appropri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