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례관리자의 네트워크 활동이 이용자 중심 실천에 미치는 영향

        김혜림 숭실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사례관리자의 네트워크 활동이 이용자 중심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서울, 인천, 경기 내에 소재한 지역사회복지관 사례관리자 1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례관리자의 네트워크 활동 수준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이용자 중심 실천 수준도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례관리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이용자 중심 실천 수준의 평균 차이를 살펴본 결과, 직책이 이용자 중심 실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간 관리자 이상 집단이 일선 실무자 집단보다 이용자 중심 실천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사례관리자의 이용자 중심 실천과 독립변수인 네트워크 활동, 그리고 통제변수 간의 관련성의 여부와 그 정도를 분석한 결과, 통제변수인 직책, 슈퍼바이저와의 관계, 사례관리 업무비중, 그리고 독립변수인 네트워크 활동이 종속변수인 이용자 중심 실천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사례관리자의 직책이 실무자일 때보다 책임자일 때, 슈퍼바이저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사례관리 업무비중이 높을수록, 그리고 네트워크 활동 수준이 높을수록 이용자 중심 실천 정도가 높아짐을 의미한다. 넷째, 본 연구의 주요 연구목적인 사례관리자의 네트워크 활동이 이용자 중심 실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 일반적 특성, 직무관련 요인, 사례관리 요인, 사례관리자의 네트워크 요인을 투입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분석 모델에서 이용자 중심 실천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개별변수는 네트워크 활동 수준, 슈퍼바이저와의 관계, 직책, 사례관리 업무비중 순으로 영향력을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제시될 수 있는 사회복지의 실천적인 함의는 첫째, 사례관리자의 네트워크 확대를 통해 이용자 중심의 사례관리를 도모해야 한다. 특히 사례관리자의 네트워크 활동에 있어 기관의 지지가 중요한 요소이므로 기관에서 사례관리자의 네트워크를 적극 지지해야함을 시사해준다. 둘째, 슈퍼바이저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이용자 중심 실천 정도가 높아진다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슈퍼바이저와 긍정적인 관계형성을 통해 사례관리자가 이용자 중심 실천의 가치를 습득하고 효과적인 사례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함을 시사해준다. 셋째, 이용자 중심의 사례관리를 위해 슈퍼바이저의 경험을 토대로 한 적극적인 슈퍼비전과 사회복지 실무경험이 많은 실무자를 사례관리 업무에 배치해야함을 시사해준다. 넷째, 사례관리자의 사례관리 업무비중의 향상을 통해 사례관리에 집중하여 이용자 중심의 효과적인 사례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기관의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해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ase managers' network activities on client-centered practice.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158 case managers of community welfare centers located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network activities of case managers was above average, and the level of client-centered practice was relatively high.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verage difference of user-centered practice level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case managers, it was found that job level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lient-centered practice. In other words, the group with middle managers or above showed higher level of client-centered practice than the group with frontline practitioners. Thir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lient-centered practice of case managers, network level, and control variables and the degre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rol variables such as position, supervisor, case management work weight, and network activities, which is independent variabl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dependent variable client-centered practice. This means that when the position of the case manager is in charge, the relationship with the supervisor is better, the proportion of the case management work is higher, and the level of the network is higher, the degree of client-centered practice is higher. Fourth,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network activities of case managers on client-centered practic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putting in general characteristics, job-related factors, case management factors, and case managers' network factors. In the final analysis model, the individual variables affecting the client-centered practice level were the network level, the relationship with supervisor, position, and the proportion of case management work.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social welfare that can be present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lient-centered case management should be promoted through the expansion of case managers' network. Especially, since the support of the institution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participation of the case manager in the network activities, it suggests that the institution should actively support the case manager's network. Seco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at the better the relationship with supervisor, the higher the client-centered practice level, it is suggested that the case manager should acquire the value of client-centered practice and support effective case management through the formation of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upervisor. Third, it suggests that the supervisors should be actively engaged in supervision and social welfare practice for client-centered case management. Fourth, it suggests that the influence of the institution are necessary to focus on case management and perform client-centered effective case management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proportion of case management tasks of case managers.

      • SNS를 통한 푸드 콘텐츠의 체험마케팅과 브랜드 만족도, 브랜드 신뢰도, 브랜드 정보공유 의도에 관한 연구

        김혜림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푸드 산업과 외식 산업, 서비스 산업에서는 실용적 편익보다는 서비스의 체험을 통해 경험하는 체험적 가치가 중요시 되고 있고 소비자들 역시 음식점이나 레스토랑에서 단순한 식사를 하는 것 이외에 특별한 체험을 통한 정서적 경험을 얻고 싶어 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현대 사회에서는 상품과 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는 독특한 체험적 요소가 소비자들에게 제공되어져야 하는 필요성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또한 SNS는 푸드 브랜드의 브랜드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체험마케팅을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본 연구는 SNS 상에서 브랜드사가 제공하는 푸드 콘텐츠를 이용하여 소비자가 브랜드 정보를 공유하려는 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확인하고자 체험마케팅의 모델을 사용하여 체계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SNS 사용자 42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은 감각, 감성, 인지, 행동, 관계의 5개의 1차 구성개념들에 의해서 구성되는 2차 구성개념인 것으로 평가되었고 브랜드 만족도, 브랜드 신뢰도 및 브랜드 정보공유 의도의 3개의 1차 구성개념으로 평가되었다. 구성개념에 대한 측정값의 내적 일관성 및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탐색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고 측정모형의 구성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가설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NS를 통한 푸드 콘텐츠의 체험마케팅은 브랜드 만족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NS를 통한 푸드 콘텐츠의 체험마케팅은 브랜드 신뢰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브랜드 만족도는 브랜드 신뢰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브랜드 만족도는 브랜드 정보공유 의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브랜드 신뢰도는 브랜드 정보공유 의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SNS를 통한 푸드 콘텐츠의 체험마케팅이 브랜드 만족도, 브랜드 신뢰도, 브랜드 정보공유 의도에 영향 관계가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는 체험마케팅의 요소에 대한 적극적이고 구체적인 마케팅 방안을 모색한다면 SNS상에서 고객들의 브랜드 만족도, 브랜드 신뢰도, 브랜드 정보공유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 여겨지며 더 나아가 SNS에서의 브랜드 만족도와 브랜드 신뢰도, 브랜드 정보공유 의도를 통해 향후 소비자들의 오프라인에서의 구매행동으로까지 확대됨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산업적 의의로 외식업 브랜드 산업에 SNS 마케팅과 관련된 차별화된 전략과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empirical value of experiencing service plays an integral role in advertising industrial sectors of food or restaurant business. Customers usually tend to gain emotional experience through an involvement of experiential marketing. It seems logical then that they needs to be provided with unique hands-on elements to experience goods and service. SNS provides a unique platform that enables hands-on marketing, which is able to enhance the brand value of food brand. The present study was framed using the model of experiential marketing to identify determinants affecting behavioral intention to share brand food information. The conceptual framework included one second-order construct of experimental marketing measured by its five first-order constructs of sense, feel, think, act, and relation. In addition, three first-order constructs of brand satisfaction, brand trust and behavioral intention to share brand information were incorporated into the conceptual model. The hypothesized framework was validated using sample data collected from N=423 who completed online survey instrument. A series of scale refinement process includ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internal consistency and factorial structure of the measurement instrument.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oretical structure of measurement items and model fit. The results derived from fitt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the sample data indicated that nomological validity was established for the second-order construct of experiential marketing from five first-order constructs of sense, feel, think, act and relation. Moreover, experiential marketing emerged 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brand satisfaction and brand trust, which in turn, significantly impacted behavioral intention to share brand food information. It was also found that brand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trust. Overall findings suggest that SNS may augment its function as a common channel for marketing brand food.

      • 개인 아카이브 구축 방안 연구

        김혜림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Personal records mean all kinds of records that an individual produced and collected in connection with personal businesses or a personal life history. It means a lot to the society as well as individuals that personal life is shed new light valuably through personal records. It is because records left by an individual can be used as sufficient records to ruminate the society since an individual doesn’t organically live alone but lives communicating with the society. In addition, if this individual is a socially great meaningful character, the importance is growing more and more. In line with this, the concern about personal records has been growing by the expansion of range about record managements. It is because period limitations of administrative public records are complemented through the records left by him and the records in connection with him. These personal records are managed by being constructed to personal archives, or by being included in the collection related to specific them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personal records, personal archives should have the functions of independent form beyond the management systems of the existing public organizations or simple manuscript organizations. Therefore, in order to manage personal records appropriately for their characteristic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asks about personal archives, and for this analysis,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 concept and the characteristics of personal records. There exist so diverse types of personal archives managing personal records. Personal records’ contents about collecting methods and ranges are altered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y were classified into 3 type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The type of work and theme means a type that original texts and privately produced records are managed with a focus on the individuals who produces works. The type of specific time span manages personal relevant records focused on a series of activities occurred in an individual’s specific time span. Namely, it is in order to analyze and preserve behaviors related to specific matters. Whereas, the type of life and activity means a type that an individual’s whole life is considered as the importance one by its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 The whole range of life becomes the target to collect and manage. In this case, however, the loss of records and the damage of a context are one of problems. The main problem of these personal records is that the personal records are preserved being scattered. It is because, in order to understand the front and the rear context of personal records, the records must exist generally in one place. Therefore, through virtual digital archives, connecting records managed being scattered into finding aids reconstitutes the personal records’ context and aims for the efficiency in use. At this moment, it is necessarily for all the matters to have a cooperative system, namely, to form a cooperative network. For these constructions and managements, first, this paper investigates places where personal records are possessed and collects by digitizing them, or analyzes list information about records. Second, the paper classifies themes according to periods and draws the specific matters, on the base of the study on life history. Third, as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archives, the paper classifies multiply them to provided diverse access points. Fourth, the paper enables one to access to the original text when he uses a specific record through the description about places where original records in one’s own collection are possessed. At this moment, the domain of descriptions was established around ISAD(G), ISAAR(CPF), and ISDIAH. The paper maximized the efficiency of the ultimate use by developing finding aids in order to add the meaning of the construction of these integrated digital personal archives. Under the premise that personal records complement public records by their social and historical importance, this study focused on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shattered records after the analysis of management types about personal records. This will have the meaning in the sense that this study provided the theoretical basis in order to practically apply the construction and the management of personal archives. 개인 기록은 한 개인이 업무나 개인의 생애사 관련하여 생산, 수집한 모든 유형의 기록을 뜻한다. 개인 기록을 통해서 개인의 삶을 가치 있게 재조명하는 일은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큰 의미가 있다. 개인은 혼자 유기적으로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사회와 함께 소통을 하며 살아가기 때문에 한 개인이 남긴 기록들은 그 사회를 반추하기에 충분한 기록으로 활용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개인이 사회적으로 큰 의미가 있는 인물이라면 그 중요성은 더욱더 증대 된다. 이와 맞추어 기록관리 영역의 확대로 개인 기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가 남긴 기록과 그와 관련된 기록으로 통해 행정적인 공공기록이 갖고 있는 시대적 한계를 보완해 주기 때문이다. 이러한 개인 기록은 개인 아카이브로 구축이 되어서 관리가 되거나 특정 주제와 관련된 컬렉션에 포함해서 관리가 된다. 개인 기록의 특성에 따라 개인 아카이브는 기존의 공공기관이나 단순한 매뉴스크립트 기관의 관리체계를 넘어서 독자적인 형태의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따라서 개인 기록의 특성에 맞는 관리를 위해서 개인 아카이브의 업무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며 이러한 분석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개인 기록의 개념과 특징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다. 개인 기록을 관리하는 개인 아카이브의 형태도 매우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다. 개인 기록은 개인의 특성에 따라 수집 방법과 범위에 대한 내용이 달라진다. 따라서 특성에 따라 3가지 유형으로 분류를 하였다. 작품․주제형은 작품 활동을 한 개인에게 초점을 맞추어 작품의 원본, 사적으로 생산한 기록을 관리하는 유형을 말한다. 특정기간형은 한 인물에 특정기간에서 발생한 일련의 활동에 주목하여 관련된 개인 기록을 관리하고 있다. 즉, 특정 사안과 관련된 행위를 분석하고 보존하기 위함이다. 반면에 생애․활동형은 개인의 전체 생애가 사회적, 문화적 영향력으로 인해 모두 중요시 되는 유형이다. 삶의 전(全)범위가 수집과 관리의 대상이 된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기록의 유실과 맥락의 훼손이 문제점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개인 기록들의 가장 큰 문제는 개인 기록이 산재 되어 보존이 되고 있다는 점이다. 개인 기록의 전후 맥락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기록이 한곳에 총체적으로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상의 디지털 아카이브를 통해서 흩어져 관리되고 있는 기록을 검색도구 연결 시켜 줌으로 써 개인 기록의 맥락을 재구성하고 이용에 효율성을 도모한다. 이때 제반되어야 하는 사항은 각 소장처와 유관기관과의 협력 체계 즉, 협조적인 네트워킹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구축 관리를 위해서 첫째, 개인 기록의 소장처를 조사하고 디지털화하여 수집하거나 기록에 대한 목록 정보를 분석한다. 둘째, 생애사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연대별 주제 분류와 특정 사안을 도출 해 낸다. 셋째, 디지털 아카이브라는 특징을 이용하여 다양한 접근점을 제공 할 수 있도록 다중분류를 한다. 넷째, 각 기록마다 본래의 소장기록의 소장처에 대한 기술을 통해 특정 기록을 이용할 때 원문에 접근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기술 영역은 ISAD(G), ISAAR(CPF), ISDIAH를 중심으로 하여 영역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통합형 디지털 개인 아카이브의 구축의 의의를 더하고자 검색도구를 개발하여 궁극적인 이용의 효율성을 극대화 시켰다. 본 연구는 개인 기록이 갖고 있는 사회적, 역사적 중요성으로 인해, 공공기록의 한계를 보안해준다는 전제하에, 개인 기록의 관리에 대한 유형 분석 후, 분산된 기록을 통합 관리한다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는 개인 아카이브의 구축 및 관리를 실제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 팬시상품을 위한 만화캐릭터 디자인 분석 : TV용으로 제작된 국내 영상 만화 중심으로

        김혜림 同德女子大學校 디자인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만화캐릭터는 TV나 극장 또는 각종 인쇄매체를 통해 보여진후 만화의 인기를 토대로 주인공들을 캐릭터화 시킨 것이며, 캐릭터로 재 창조된 만화의 주인공들은 옷, 잡화, 침구류, 가정일상용품, 문구, 게임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영역에 적용되어 2차적인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게 되므로 그 가치는 매우 크다. 만화캐릭터가 적용된 상품은 단순한 상품의 판매가 아니라 만화영화 주인공이라는 무형의 상징적 요소를 소비자에게 소구하는 고도의 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 1976년 월트 디즈니사의 미키마우스 캐릭터를 국내에 들여오면서 시작되었던 우리나라의 캐릭터 산업은 초기에는 팬시용품에 한정되었다가 80년대 후반 그 영역이 유·아동복, 캐쥬얼 등 의류와 신발, 잡화로 확대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국내에서도 TV방송사가 국내 제작사와 같이 만화영화를 제작하기 시작하였고, 그 주인공 캐릭터를 팬시상품과 문구, 잡화에 적용하므로서 국내 고유 만화캐릭터가 자리를 잡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만화캐릭터가 팬시상품에 얼마나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가에 있어 국내, 국외의 수익성을 통해 알아보고, 국내 TV용 만화가 처음 제작된 1987년을 기점으로 그 이후에 제작된 순수 국내 만화 영화의 캐릭터 26개를 선정하여 소재면, 조형적인면, 표현방법에 따라 분석기준을 나누고 분석 및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서론으로 연구목적과 범위 및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제2장은 팬시상품과 만화캐릭터에 대한 이론적 배경으로 개념과 특성, 발전과정에 대해 기술하였다. 제3장은 팬시상품에 있어서 만화캐릭터의 기능이 매우 중요함을 국내와 국외의 수익성과 관련시켜 설명하였고 따라서 이러한 고 부가가치를 가질 수 있는 국내 만화영화 캐릭터의 디자인적 분석을 제4장을 통해 제시하였다. 제4장은 국내 만화영화 캐릭터의 바람직한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국내 TV용 만화영화의 캐릭터 26개를 선정하여 소재, 조형, 표현방법의 분석기준을 통해 분석하고 문제점 및 개선방법을 모색하였다. 소재의 경우는 인간, 동물, 식물의 생물과 비생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조형적 구성요소는 선, 색, 형, 비례에 대한 분석으로 나누었는데 우선 선의 겨우, 선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를 나누어 분석하였고, 색의 경우 원색, 중간색, 흑과 백색만을 사용한 경우로 나누었으며, 형의 경우는 사실적 형태와 변형적 형태로 나누고, 다시 변형적 형태일 때에는 부분변형인지 완전변형인지 나누었고, 비례의 경우는 2등신, 3등신, 4∼5등신, 6등신 이상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표현방법에 따른 분석은 단순채색방법, 컴퓨터를 사용한 방법, 기타의 방법으로 분류하여 그 분포도에 따라 문제점 및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 제5장은 앞의 분석을 바탕으로 팬시상품를 위한 만화캐릭터의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value of comic character is very high since it, which is shown through TV, movies, or all kinds of printing media before its heroes or heroins being characterized, creates secondary high added value when it is appl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clothes, sundry goods, bed clothes, daily household goods, stationery, and game. The goods to which comic character is applied may be called not a just goods sales but a high-tech industry which appeals consumers for intangible symbolic factor including a protagonist of comic film. The character industry of our country which began in 1976 by introducing Micky Mouse character of Walt Disney, was limited to fancy articles in its early stage, but its field has been expanded to clothes, shoes, and sundry goods such as clothes for infant and children and casual clothes late in the 1980's. Taking a ride on this stream, TV broadcasting station began to produce comic film with domestic production and applied its hero character to fancy goods, stationery and sundry goods to build up the foundation for comic character peculiar to Korea. Therefore this thesis aims to survey how much weight the comic character takes in the fancy goods by comparing domestic and foreign profitability, to divide the analytical criteria into materials, formativeness, and expressional method by choosing 26 characters in the domestic comic films produced after 1987 when the domestic comic film for TV was produced at the first time, and to present analysis and direction for improvement. This thesis is composed of 5 chapters as follows. Study purpose, range and method were described as an introduction in the first chapter. The concept, character, and developmental course were described as a theoretical background about fancy goods and comic characters in the second chapter. The importance of comic character's function in the fancy goods was explained with relation to the domestic and foreign profitability in the third chapter and thus the design analysis of domestic comic film characters which can create high added value was presented through chapter 4. Problems and improving method were analyzed and sought through the analytical criteria of materials, formativeness, and expressional method by choosing 26 characters of domestic cartoon films for TV in order to present a desirable character design direction of domestic comic film in the fourth chapter. The material was divided into living thing and lifeless thing such as man, animal, and plant for analysis. The formative constituents were divided into line, color, shape, and proportion for analysis. First, the line was analyzed by two cases, that is, one has line and the other does not have line. As for color, it was divided into primary color, neutral tint, black and white, shape was divided into realistic and transformational shape, again the transformational shape was subdivided into partial and entire transformation, and proportion was divided into 2, 3, 4∼5, and more than 6 lifesize. The analysis about expressional method was divided into simple coloring method, method using computer, and the other methods to present problems and direction for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chart. The design direction of comic character based upon the above analysis was presented for fancy goods in the fifth chapter.

      • 스포츠폭력 경험 운동선수의 은퇴 후 사회적응 과정에 대한 분석

        김혜림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스포츠폭력 경험이 있는 은퇴선수들을 대상으로 스포츠폭력 사례와 은퇴 후 사회적응 과정에 대해 분석하고 규명함으로써 은퇴 후 운동선수들에게 긍정적인 사회적응 과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 참여자는 스포츠폭력 경험이 있는 운동선수 중 선수경력이 10년 이상이면서 현재 은퇴를 하고 사회활동을 하고 있는 자들로 총 8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의견을 보다 깊이 있고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Qualitative research)중 문화기술지연구를 사용하였으며 심층 면담(In-depth-interview)과 참여 관찰(Participant observation)을 통하여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전사와 부호화를 통해 3개의 상위범주와 8개의 하위범주, 23개의 개념들이 도출되었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은퇴 후 사회적응을 하고 있는 선수들은 스포츠폭력경험을 스포츠폭력경험의 의미와 스포츠폭력의 유형 두 개로 나누었다. 이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이 경험한 스포츠폭력이 행해져서는 안 되는 것이며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만들고 스포츠 구성원들의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폭력의 후유증으로 인해 고통 받고 있는 선수들에게 적절한 중재와 상담이 필요하다고 언급하였다. 또한 스포츠폭력에 대한 경각심을 갖고, 선수들에게 존중감과 성숙한 태도로 행동하고 판단해야한다고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폭력으로 인해 은퇴하게 된 선수들에게 사회적응과정은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선수 때 단체생활의 경험으로 인하여 오히려 수월하게 사회적응을 할 수 있었으며, 트라우마로 인해 치료센터를 방문하여 상담을 받는 것과 현재 보다 많은 은퇴선수 지원 프로그램과 같은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고 언급하였다. 또한 은퇴를 자연스럽게 받아드리며 심리적 안정감을 얻기 위해 인적 네트워킹과 같은 동호회, 소모임, 세미나 등을 활용하여 현재 변화 된 삶에 대해 긍정적으로 사고하고 앞으로 삶의 방향성을 결정할 수 있는 중요한 시기라고 나타났다. 셋째, 이 연구 참여자들은 스포츠폭력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선수들의 인권이 보장되지 못하면 체육계는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것이라고 언급하며, 선수들에게 폭력 문화는 당연한 관습이고 익숙한 생활이며 이에 대한 예방교육이 부재하다고 하였다. 이에 따라 스포츠폭력의 문제점을 선수에게만 머무르는 시각에서 벗어나 스포츠를 구성하고 있는 모두에게 적용 될 수 있는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며 과거의 교육이 아닌 현재에 맞춘 내용으로 보완하여 모두에게 교육할 수 있는 것이라고 언급하였다. 여전히 가시화 되지 않고 은폐되어 있는 스포츠폭력에 대해 선수에게 특별화 된 상담센터와 같은 시스템을 구축하여 인권 교육이나 고충에 대해 말 할 수 있는 상담 제공을 포함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을 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스포츠폭력을 경험한 은퇴선수의 사회적응과정은 선수 개인의 노력이 아닌 주변인들과 힘을 합쳐 긍정적인 사회적응이 될 수 있게끔 노력해야한다. 트라우마 극복을 위해 상담센터를 방문하여 회복을 하고 인적 네트워킹을 통해 삶의 방향성을 찾으며 이 안에서의 자기계발을 행한다면 스포츠폭력으로 인해 선수생활 당시 하지 못했던 본인의 자아를 마음껏 펼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또한 비자발적 은퇴를 경험하고 트라우마로부터 고통 받고 있는 선수들을 위해 구체적인 개선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스포츠폭력 경험이 있는 선수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학대피해청소년의 치료공동체 경험 연구

        김혜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Therapeutic Community for adolescents who were separated from their family because of child abuse and entered a residential youth facility and attended to an entrusted alternative school. The primary research questions are "What is the experience that adolescents having in Therapeutic Community?" and "What does Therapeutic Community mean to the abused adolescents?" For adolescents who experienced child abuse need a new therapeutic environment. Therapeutic Community is such approach and treatment that embracing daily life, relationship, education, and treatment. It is based on Self-help Social Learning Treatment Model and emphasized on volunteered activenes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Clandinin and Connelly(2000)'s Narrative Inquiry Methods was applied. The participants are adolescents who experienced child abuse and separated from family and were protected at a residential youth facility. They are also under 18, currently attending an alternative school, have experiences more than 12 months of Therapeutic Community and ability to talk about it, and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ree participants were selected based on criteria. Data was collected from the beginning of September to Mid-October in 2016. The participants had interview once a week (total of 5). After interviewing with participants, the verbatim of interview, daily logs written by social worker who worked as their homeroom teachers, participants’ personal writings and feedback while they participated, consultation notes from case managers of participants, and research diary of researcher were collected. Through analyzing field texts, the researcher examined participants’ reflective cycle process, that participants have lived, told, retold, and relived participants' lives, considering Clandinin and Connelly(2000)'s three-dimensional Narrative Inquiry space. In addition, the researcher tried to draw out the meaning of experience of Therapeutic Community to each participant. Each participant talked about their own Therapeutic Community experiences with specific details. 〔participant 1, Gong-go Lee〕exposed a desire to recover the relationship with his father. The participant was having a difficult relationship with his father because of the participant's lie. To this participant, Therapeutic Community means, "an experience that surely changed oneself a lot even though it's hard to define in one word." 〔participant 2, Yeo-haeng Kang〕was severely neglected by his father in such a rubbish house. To this participant, Therapeutic Community means, "a place like home where providing safety and a sense of belonging." 〔participant 3, Sam-nyu Yoon〕 didn't see many changes like other two participants in Therapeutic Community. This participant couldn't be emotionally separated from her mother who actually gave the participant a hard time the most. It caused some limits during treatment because the experience and motivation from Therapeutic Community couldn't make participant to be voluntarily active. The meaning of Therapeutic Community of the participants was found in a metaphor of "a grass field on a windy day." Adolescents who experienced child abuse were like weak grasses in the field on a windy day. Their parents' punishment, verbal abuse that almost threatened their existence, and experience of being neglected by their parents were like fierce winds. However, the grasses in the field firmly rooted even on a windy day. It's because the grasses hold each other tightly. The participants described their experiences at Therapeutic Community was just like this. 〔Gong-go Lee〕 could be mature because there always were friends who endured and waited for the participant's change and growth in Therapeutic Community. The participant said the experience gave such courage and competence to recover the relationship with his father. This participant's meaning of Therapeutic Community can be summarized like <community spirit arose>, <became honest>, <responsibility that one should help peers to change>, <trained to be on time>, <better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teachers are also a part of the community>. 〔Gong-go Lee〕 was admitted to a technical high school where he wanted to go and is getting ready to return to home. Through experiencing Therapeutic Community, the participant was able to overcome the problem of habitual lying and underachievement, which the participant was always arguing about with his father. Participant eagerly wanted to have better relationship with his father. Eventually, experiencing therapeutic Community caused the participant got a strong motivation to get along well with father. 〔Yeo-haeng Kang〕 thought oneself like a grass in the field on a windy day that watching from a distance. Therapeutic Community helped the participant to discover one's potential and self-esteem. Also, the participant learned how to rely on others by holding hand tightly in the progress. To 〔Yeo-haeng Kang〕, the meaning of Therapeutic Community could be described as <discovery of potential>, <a path of transformation with others>, <awkwardness to friendliness>, <comforting friends>, <joy of learning something new>, and <being taken care of>. These meanings embraced the progress that 〔Yeo-haeng Kang〕 went through to overcome his struggling because of neglects by his father. Over a year, 〔Yeo-haeng Kang〕 kept in the upper level status and revealed his strong patience and will. 〔Yeo-haeng Kang〕 got accepted to a high school specialized in computer education. Now, the participant is waiting to get in group home. The participant decided by oneself because his father’ situation did not get better much. This participant had a hard time and even an anxiety within any kinds of relationship. However, all the challenges and anxiety from Therapeutic Community gave 〔Yeo-haeng Kang〕 courage to develop his life. It's very likely that the participant will one day go journey in Europe like his wish. 〔Sam-nyu Yoon〕 observed the "grass field on a windy day" from a distance and tried to go somewhere else. The cause of the participant's failure of psychological independence was strong attachment to her mother, who was actually an assailant of child abuse. However, the participant experienced a transformation little by little during one year of experience at Therapeutic Community. The meaning of Therapeutic Community to〔Sam-nyu Yoon〕 could be described as <no more bullies>, <discovery of one's leadership>, <regular daily routine>,and <decreasing of Tick Disorder>. These meanings embraced the changes that 〔Sam-nyu Yoon〕went through while her overcoming trauma that caused by her mother. 〔Sam-nyu Yoon〕retired from the center to attend a high school. She didn't get admitted to the art school where she wanted but changed her attitude toward the relationship with her mother in mature way. In conclusion, first of all, in the category of [a member of community], the participants’ most valued common meaning was role model.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how oneself changed over time in regular daily routine and found their potential and volunteered activeness. Next, in the category of [socializing], Therapeutic Community helped them to overcome even deviation or their mistakes and to develop themselves. Also, the participants got healthier emotionally and spiritually by learning something in a regular basis. They rejected anything negative but assigned meaning to every little thing, and experienced change of their values on how being part of a community and one's life. Third, the common meaning within [development] is that the participants reveal one's maturation by upgrading and maintaining one's status. Each participant showed one's responsibility that each one tried their best to transform and trusted in that community helps individual for change. Last, in the meaning upon the category of [psychology], the participants' cognitive changes and improvement were exposed. However, emotional improve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hould be more active through psychological counseling within a community. Within this study's results, Therapeutic Community could be applied upon adolescents who experienced child abused as clinical social work intervention. Also, school programs and clinical social practice can be integrated as well as Therapeutic Community can be suggested to the social worker as an intervention model of clinical social work. On the other hand, researches upon Therapeutic Community have to keep going on in various circumstances, like different kinds of alternative schools including residential and commuting schools, child social service institutions, as well as public school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essential to provide different kinds of public services and to carry out intervention research for the children experienced child abuse.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학대로 인하여 가정으로부터 분리되어 센터에 입소하게 되는 과정을 거쳐 위탁형 대안학교에 재학하게 된 학대피해청소년들의 치료공동체의 경험을 이해하는 데 있다. 이에 대한 주요 연구 질문은‘학대피해청소년의 치료공동체 경험은 무엇인가’와‘학대피해청소년의 치료공동체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이다. 가정에서 폭력을 경험한 청소년에게는 새로운 치료적 환경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생활과 관계, 교육과 치료를 아우르는 대표적인 접근방법은 바로 치료공동체(Therapeutic Community) 모델이다. 치료공동체는 자조 사회학습치료모델(Self-help Social Learning Treatment Model)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무엇보다도 자발적인 능동성을 특징으로 한다. 본 연구는 연구 목적을 위해 클랜디닌과 코넬리(Clandinin & Connelly, 2000)의 내러티브 탐구방법으로 접근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아동학대로 인해 가정으로부터 격리 보호된 18세 미만의 청소년으로, 위탁형 DN 대안학교에 재학 중이며, 치료공동체를 12개월 이상 경험했고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며,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하길 원하는 3명을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6년 9월 초부터 10월 중순까지이다. 연구 참여자들과 주 1회씩 총 5회의 심층 면담 후 연구자가 작성한 녹취록, 이들의 대안학교 담임교사의 역할을 하는 사회복지사가 작성한 주요 일일 현황 일지, 프로그램 참여시의 연구 참여자들이 작성한 기록이나 소감문, 사례관리자들의 상담일지, 그리고 연구자의 일지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자는 수집된 자료를 통해 연구 참여자들의‘삶을 살아내고(living), 이야기하고(telling), 다시 이야기하고(retelling), 다시 삶을 살아내는(reliving)’ 일련의 성찰적 순환과정(염지숙, 2009)을 클랜디닌과 코넬리(Clandinin & Connelly, 2000)의 삼차원적 내러티브 탐구공간을 염두에 두고 탐구를 진행하면서 연구 참여자들의 치료공동체 경험의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각 연구 참여자들은 그들의 치료공동체 경험을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언급하며 이야기하였다.〔연구 참여자 1. 이공고〕는 자신의 거짓말로 인해 어긋나버린 아버지와의 관계를 회복하고 싶은 원의를 드러내며 이야기를 시작하였다. 그가 경험한 치료공동체는‘치료공동체는 정체가 뭐라고 딱 확실한 것은 아닌데 뒤돌아보면 확실히 내가 되게 많이 변해있는 것’이라고 하겠다.〔연구 참여자 2. 강여행〕은 거의‘쓰레기 집’에 가까운 집에서 아버지로부터 심하게 방임되었던 그에게 치료공동체는 안전함과 소속감을 주는‘집’같은 곳 이었다.〔연구 참여자 3. 윤삼녀〕의 치료공동체 경험은 다른 두 명의 연구 참여자들처럼 큰 변화가 보이지는 않았다. 자신의 몸과 마음을 가장 아프게 만든 어머니와 심리적 분리가 안되었기 때문에 치료공동체에서의 경험과 변화동기가 능동적이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의 치료공동체 이야기에서 도출된 경험의 의미는 ‘바람 부는 날의 들’이라는 은유에서 그 의미를 찾았다. 학대피해청소년들은 바람이 부는 들에 서 있는 약한 풀들과 같았다. 부모의 체벌과 존재감을 위협하는 말들, 심한 양육적 방임 등은 그들 삶에 불어 닥치는 억센 바람이었다. 그런데‘바람 부는 날의 들’, 그 풍경으로 들어가 보니 들의 풀들은 뽑힐 듯하다가도 자리를 지키고 있지 않은가. 옆의 풀들이 서로의 손을 잡아 주었기 때문이다. 넘어질 듯하면 옆의 풀이 어깨를 내어주어 받쳐준다. 연구 참여자들이 살았던 치료공동체의 경험은 이런 풍경과 매우 흡사하다. 〔이공고〕는 ‘바람 부는 날의 들’, 그 안에서, 그의 변화를 참고 기다려주는 치료공동체 친구들이 있어 성장하였다. 그리고 그 친구들과의 공동체 경험이 어긋난 아버지와의 관계를 회복할 수 있는 용기와 자신감을 주었다.〔이공고〕의 치료공동체 경험의 의미는 <공동체의식이생기다>, <정직해지다>, <친구도 같이 변화해야 한다는 책임감>, <시간개념 철저히 다지기>, <좋아진 친구 관계>, <선생님들도 우리 공동체 일원> 등 6개의 주제로 정리할 수 있었다.〔이공고〕는 본인이 원하던 공업 고등학교에 당당히 합격해 진학과 퇴소를 앞두고 있다. 그는 대안학교에서 치료공동체를 경험하면서 특히 아버지와 갈등을 빚었던 거짓말과 학습 부진 문제를 떨칠 수 있었다. 무엇보다 그는 아버지와의 어긋난 관계가 회복되기를 바랐다. 그리고 치료공동체 경험의 열매로 아버지와의 관계 회복에 커다란 계기가 되어줄 수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강여행〕은 ‘바람 부는 날의 들’에 서서 주변을 관망만 하던 풀 같았다. 치료공동체는 그에게 잠재되어 있던 가능성과 자신감을 발견하게 해 주었고, 그 과정에서 그는 차츰 주변의 다른 풀들과 손을 잡고 의지할 수 있게 되었다.〔강여행〕의 치료공동체 경험의 의미는 <내 안의 가능성을 발굴하다>, <같이 걷는 변화의 길>, <어색함이 자연스러움으로>, <편안해진 친구들>, <새로운 배움이 주는 뿌듯함>, <돌봄을 받다> 등 6개의 주제로 정리되었다. 이 의미들은 심각한 방임이〔강여행〕에게 떠안겼던 어려움을 떨쳐내는 과정을 담고 있다.〔강여행〕은 거의 1년 이상 최고 상급지위를 유지하였고, 매우 강한 인내심과 의지를 보여주며 생활하였다.〔강여행〕은 컴퓨터 고등학교에 합격하였고 현재 공동생활가정으로 가기 위한 전원 조치를 기다리는 중이다. 아버지의 환경이 개선되지 않아 본인이 스스로 결정한 결과이다. 대인관계에 어려움과 긴장이 많았던〔강여행〕이 치료공동체에서 경험한 많은 도전과 자극들은 그가 자신의 미래를 개척하는 데 있어서 주저하지 말라며 용기를 주었다. 그가 자신의 희망대로 유럽의 멋진 곳들을 여행할 수 있는 날이 반드시 올 것이라 믿어진다.〔윤삼녀〕는 ‘바람부는 날의 들’을 거리를 둔 곳에서 바라보며 자꾸만 다른 곳으로 가려 한다. 학대 가해자인 어머니와의 애착 관계는 그녀의 심리적인 독립을 어렵게 만든 큰 원인이 되었다. 그런데도 1년이 넘는 시간을 치료공동체에서 지내는 동안 조금씩 성장하고 멈추고 다시 성장하는 과정을 거쳐 왔음을 그녀의 치료공동체 경험 이야기에서 엿볼 수 있다. 여기서 도출한〔윤삼녀〕의 치료공동체 경험의 의미는 <더 이상 왕따를 당하지 않게 되다>, <내 안의 리더십을 발견하다>, <규칙적인 생활을 하다>, <틱 증상이 줄다> 등 4개의 주제로 정리할 수 있었다. 이 의미들은 가장 사랑하는 어머니로부터의 학대와 관련된 트라우마를 극복하는 과정에서〔윤삼녀〕가 경험한 변화를 담고 있다.〔윤삼녀〕는 얼마 전 고등학교 진학을 위해 퇴소를 하였다. 자신이 원하는 실용무용과가 있는 예술고등학교로 진학하는 데는 성공하지 못했지만, 어머니와의 관계에서는 성숙해진 태도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논의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체 성원] 범주에서 볼 때, 연구 참여자들이 공통적으로 가장 큰 의미를 두는 것은 유대관계와 역할모델이었다. 이를 통해 연구 참여자들은 반복되는 일상 속에서 자신들의 성장변화를 인식하며 자신의 잠재력과 능동성이 발휘되는 것을 경험하였다. 둘째, [사회화 범주]에서 볼 때, 규칙을 어기는 일탈 행위와 같은 개인적인 실수들 역시 치료공동체는 그것을 극복하도록 돕고, 더 성장하는 경험을 하게 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치료공동체의 반복되는 일상에서 무엇이든지 익히고 배우면서 서서히 마음과 정신이 건강해졌으며, 공동체 구성원과 삶에 대해 높이 평가하는 가치관의 변화를 경험하게 되었다. 셋째, [발달적 범주]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이 지위 상승과 유지를 통해 자신의 성숙을 드러냈는데, 개인은 스스로 변화하려고 노력하며 공동체는 그 변화를 도와준다는 치료공동체의 신념 속에서 변화된 책임감을 보여주었다. 넷째, [심리적 범주]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의 인지적, 사고적 영역에 변화와 향상이 나타났다. 하지만 정서적인 기술의 향상과 심리적 안녕의 필요성은 치료공동체 안에 포함된 개인적인 상담치료를 통해서 더 활성화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학대피해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사회복지 실천 개입방법론으로 치료공동체를 적용할 수 있으며, 사회복지현장과 학교기능의 통합적인 사회복지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고, 사회복지사들을 위한 임상사회복지 개입모델로서의 치료공동체를 제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보다 다양한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청소년들을 위한 치료공동체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특히 기숙형을 포함한 통원형 대안학교와 아동복지시설, 일반 공교육에도 치료공동체를 적용한 연구가 요구된다. 그뿐만 아니라 학대피해아동을 위한 다양한 사회 복지적 서비스 개발과 개입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중년 남·여성들의 헤어 컬러스타일에 대한 퍼스널컬러 적용효과

        김혜림 한남대학교 사회문화·행정복지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basic data which can suggest a direction for the further classification and specification of hair color-style and coloring sectors using personal color. For this, a personal color diagnosis was conducted against middle-aged adults in their 40-50s. After diagnosing their hair with warm and cool tones, irritants were fabricated. In addi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against adults in their 20-50s living in the capital region (Seoul, Gyeonggi) and Chungcheong area (Daejeon, Chungcheong) to figure out the effects of personal color on hair color styles,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First,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30s’ was the highest in terms of age. When asked about educational background and income level, ‘college graduates’ and ‘KRW 2 million thru KRW 2.99 million/month’ were most responded respectively. Second, in the perception of personal color and diagnosis path, when asked how they knew about personal color among those who said that they were aware of personal color, ‘mass media (ex: TV, the Internet, newspaper, magazine, etc.)’ was most responded. In terms of the diagnosis path of personal color among the respondents who received personal color diagnosis before, ‘hair salon’ was the highest. Third, in the respondents’ perception and attitude on hair dyeing among those with dyed hair, ‘hair salon’ was most responded when asked where they usually have hair dyeing. In terms of a type of hair dyeing, ‘dyeing’ was the highest. When asked what is most important in selecting a hair color, ‘my preferred color’ was most responded. When asked what they usually consider for hair dyeing, ‘price’ was most responded. In terms of preferred hair color, ‘brown color’ was the highest. In terms of the price for hair dyeing, ‘KRW 30,000-50,000’ was most responded. When asked why they have their hair colored, ‘to change my image’ was the highest. Fourth, according to analysis on differences in personal color perception (interes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educational background and income level. In personal color perception (experience),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erms of marital status and income level. In differences in personal color effect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tected in terms of marital status. In personal color expectation effec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marital status, educational background and income level. Fifth,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among personal color interest (r=.584), experience (r=.361), application effects (r=.740) and expectation effects. In particular, a correlation coefficient (r=.740) between application effects and expectation effects was higher than any other correlations. Sixth, in terms of the predictor variables of personal color expectation effects, application effects, interest and experience were confirmed. In terms of relative contribution, ‘application effects’ were the highest (β=.607, p<.001), followed by ‘interest (β=.281, p<.001)’ and ‘experience (β=.090, p<.01).’ Therefore, this study confirmed that even though the consumers who are aware of and experienced personal color would have a direct effect on the expectation effect of personal color, they mostly revealed an indirect effect through the application effects of irritants. It appears that increase in people’s interest and experience of personal color can change the images of hair color styles in a diverse manner and effectively improve their satisfaction. In addition, there should be continued education and training on personal color.

      • 응급구조사를 위한 하중 측정용 손목센서 및 가변성 압박 리프팅 벨트

        김혜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According to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musculoskeletal diseases are the leading cause of workplace accidents among first responders. Musculoskeletal disorders account for 36% of disasters at fire sites, 49% of disasters at non-fire sites, and 54% of disasters that occur during field visits and return. A number of wearable robots have been developed to reduce the risk of injury and improve efficiency of workers. However, it is not suitable for the working environment of emergency responders due to problems such as high cost, difficulty in management, heaviness, and large volume. Therefore, in this study, a wrist sensor that can measure the load in both directions and a software wearable robot including a waist protector that can reduce the risk of back injuries were developed. This software wearable robot supports muscle strength only when a load is applied and minimizes the disturbance in daily life. The wrist sensor for load measurement developed in this study used the characteristics of conductive yarn. Conductive yarns change their resistance depending on the length being measured.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wrist sensor, the measured length of the conductive thread changes, and the applied load is derived through the change amount.The waist protector reduces the force applied to the spine by compressing the lower back with an appropriate strength according to the load measured by the wrist sensor. In addition, when extending the arm, it releases the pressure of the waist protector through on/off control so that it does not interfere with daily life.By simultaneously measuring the resistance change of the conductive thread and the tension of the wire to which the load is applied, it was verified that the load measurement using the conductive thread is possible. The prediction equation for the wrist sensor was derived from the distribution of the resistance data measured in the conductive thread and the tension data of the wire.

      • 암 경험자의 주관적 건강상태 및 삶의 질 관련성과 우울감의 매개효과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7기(2007-2018년도) 분석

        김혜림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 Background and purpose Cancer survival rates are gradually increasing. Based on 2017, the 5-year relative survival of all cancers in Korea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in both men and women. As cancer survival rate increases, interest in the quality of life of cancer survivors is also increasing, and there are related studies. In particular, there are studies on self-rated health,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which reflect subjective perceptions of cancer survivors, but studies for indirect effects of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on quality of life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ed feeling on self-rated health and quality of life of cancer survivors in Korea to find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cancer survivors by using 12 years of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 Subjects and methods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study that analyzes data retrospectively. There were 2,789 cancer survivors aged 19 years or older. Among them, 2,719 cancer survivors were finally analysed by excluding missing values of major variables. Subjects with depressed feeling were defined those who with diagnosed depression, current depression, or depressed mood for more than two weeks. Self-rated health(SRH) and EQ-5D index were used the response data from the survey. Using the SAS version 9.4 program,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which reflect the survey characteristics were performed to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SRH, depressed feeling, and EQ-5D index.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ed feeling on SRH and EQ-5D index was analysed using bootstrapping. To compare the mediating effect, subgroup analyses according to sex and stress status, and an analysis in which exposure and mediator were reversed were performed. - Results In the adjusted model with all factors, the natural direct effect(NDE) was –0.06007[95% confidence interval(CI): -0.07068, -0.04917] and the natural indirect effect(NIE) was –0.00421 (95% CI: -0.00644, -0.00234). The proportion mediated was 0.06550. This means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ed feeling on SRH and EQ-5D index was about 6.55%.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ed feeling in the subgroup was 9.17% for men and 5.92% for women, and 8.04% for the stress‘No’group. The NDE of the stress‘Yes’group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ediating effect of SRH on depressed feeling and EQ-5D index was about 20.72%. - Conclusion Depressed feeling partially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RH and EQ-5D index of cancer survivors. This means that SRH of cancer survivors can affect depressed feeling and depressed feeling can affect EQ-5D index.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ed feeling was smaller than the mediating effect of SRH on depressed feeling and EQ-5D index,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sidering that this is a cross-sectional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the base data for further studies to be conducted to find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cancer survivors. - 배경 및 목적 암 생존율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2017년 기준으로 국내 모든 암 5년 생존율은 남녀 모두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암 생존율이 증가함에 따라 암 경험자의 삶의 질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으며 관련된 연구들이 나오고 있다. 특히 암 경험자의 주관적 인식을 반영하는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 그리고 삶의 질에 대한 연구들이 있지만, 이 요인들 간의 관계와 삶의 질에 대한 간접적인 영향을 분석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12개년도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암 경험자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질 관계에서 우울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 암 경험자의 삶의 질 향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후향적 단면 연구이며, 의사에게 암을 진단받은 만 19세 이상 암 경험자 2,789명 중 주요 변수의 결측치를 제외한 2,719명을 분석하였다. 우울감이 있는 대상자는 우울증 의사진단이나 현재 유병이 있거나 또는 2주 이상 연속 우울감에 대해 ‘있음’으로 응답한 대상자로 정의하였다. 주관적 건강상태 및 삶의 질 지수는 설문 조사의 응답 자료를 이용하였다. SAS version 9.4 프로그램으로 통계 분석을 하였으며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감 및 삶의 질 지수 간의 관련성은 복합표본설계를 반영한 다변수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다중선형회귀분석으로 비교하였다. 우울감의 매개효과는 bootstrapping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성별과 스트레스 상태에 따른 하위그룹 분석을 하였고, 삶의 질 지수에 대한 매개효과 차이를 보기 위해 독립변수와 매개변수를 바꾼 분석을 시행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 연구결과 통제 요인을 모두 보정하였을 때 직접효과는 –0.06007[95% confidence interval(CI): -0.07068, -0.04917], 간접효과는 –0.00421(95% CI: -0.00644, -0.00234)이었다. Proportion mediated는 0.06550으로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질 지수 관계에서 우울감의 매개효과는 약 6.55%임을 의미한다. 하위그룹에서 우울감의 매개효과는 남성 9.17%, 여성 5.92%였고, 스트레스 없는 군은 8.04%였다. 스트레스 있는 군의 간접효과 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우울감과 삶의 질 지수 관계에서 주관적 건강상태의 매개효과는 약 20.72%였다. - 결론 우울감은 암 경험자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질 관계에서 부분적인 매개역할을 하였다. 이는 암 경험자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우울감에 영향을 주고 우울감이 삶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우울감의 매개효과는 우울감과 삶의 질에 대한 주관적 건강상태의 매개효과에 비해 크기가 작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단면연구임을 고려하여 본 연구의 결과가 암 경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추가 연구의 기초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