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柳得恭의 『四郡志』 연구― 서명 변경과 저술 목적을 중심으로

        김종복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4 大東文化硏究 Vol.125 No.-

        최근 유득공의 『四郡志』에 대한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다. 본고는 다음의 두 가지에 대해 추가적으로 논의함으로써 그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하였다. 하나는 서명이 『四郡二府考』에서 『四郡考』를 거쳐 『사군지』로 변경되었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漢四郡이 조선의 영역에 설치되었기 때문에 유득공은 自國史의 범위에 포함시켰지만, 그렇다고 해서 한사군을 자국사의 正統으로 인정하였던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Recently, research on the Sagun-ji of Yu Deuk-gong has been conducted intensively. This paper attempted to broaden its understanding by additionally discussing the following two things. One is that the book title was changed from the Sagun-yibu-go(四郡二府考) to the Sagun-ji through the Sagun-go(四郡考). The other is that because the Four Han Commanderies was established in the realm of Joseon, Yu Deuk-gong included it in the scope of Korean history, but that does not mean that it was recognized as the legitimacy of Korean history.

      • KCI우수등재

        漢代 海昏侯墓 출토 향로 연구: 鳳鳥立龜座博山香爐를 중심으로

        최국희 한국미술사학회 2024 美術史學硏究 Vol.321 No.321

        본고는 중국 江西省 南昌市 新建區 墎墩山에서 새롭게 발견된 前漢 海昏侯 劉賀墓(B.C.92∼B.C.59) 출토품을 포함한 전한대 봉조입귀좌 박산향로의 기형적 특징과 조형적 의미를 분석하여 그 용도와 소비계층 및유행 배경에 대해서 논의한 것이다. 유하는 武帝의 손자이자 昌邑王, 廢帝 그리고 해혼후를 두루 지낸 독특한 이력의 소유자이다. 그의 무덤에서 출토된 16점의 동제 향로는 당시 왕실을 비롯한 신선사상의 유행에 따른 승선에 대한 희구와 열망의 표현이기도 하다. 특히 봉조입귀형 박산향로에 표현된 봉황과 거북은 이들이 가진 신성이 극대화되어 장수 혹은불멸을 향해 생성된 혼합체로서 선계로의 승천을 표현한 박산향로에서 핵심적인 구성 요소였다. 따라서 후한대에 이르러 유교에 기반한 합리주의가 대두되고 지성이 우선시되면서 승천에 대한 관념이 변화함에 따라서봉조입귀좌 박산향로는 서서히 소멸하게 된다. 그리고 이 향로는 고위층 남성들의 서재 혹은 손님을 맞이하는공간에서 출토되어 주로 남성들의 사용하던 전유 기물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한반도에 설치된 한사군 중의 하나였던 낙랑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향로가 중국으로부터 영향을받아 계속하여 사용되었는데 석암리 9호분에서 발견된 봉조입귀좌 박산향로도 그중의 하나였던 것이다. 따라서 낙랑 사회에서도 향이 사용자의 취향과 용도 및 소비 양상에 따라 취사선택하여 사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있다. This paper explores the stylistic features and artistic significance of the “Boshanxianglu with Phoenix and Tortoise Designs” unearthed from the recently discovered Han dynasty burial site (92~59 BCE) of Liu He, the Marquis of Haihun, located in Nanchang, Jiangxi Province, China. It discusses the incense burner’s function, consumer group, and cultural context that contributed to its widespread adoption. Liu He, the grandson of Emperor Wu, held the titles of King of Changyi and Marquis of Haihun. He was also deposed as an emperor. The sixteen bronze incense burners found in his tomb are a testament to the prevalent beliefs in immortality and the aspirations of the royal family. The symbolism of the phoenix and tortoise on the “Boshanxianglu with Phoenix and Tortoise Designs” encapsulates the themes of longevity and immortality, hinting at a journey to the celestial realm. As Confucianism-based rationalism gained traction during the later Han dynasty, notions of ascension evolved, leading to a decline in the popularity of incense burners adorned with phoenix and tortoise motifs. This type of incense burner was discovered in upper-class males’ study chambers or reception areas, suggesting their predominant usage among men. In Nangnang, a Han commandery on the Korean Peninsula, various incense burners influenced by Chinese styles were used. The standout discovery of the “Boshanxianglu with Phoenix and Tortoise Designs” at the Sŏgamni No. 9 site, suggests a tailored approach to incense selection and usage based on individual preferences, purposes, and consumption habits within Nangnang society

      • KCI등재

        조선 제국(諸國)의 고강(故疆) 및 진한 신라의 상관성 고찰

        박광민 ( Park Kwang-min ) 온지학회 2024 溫知論叢 Vol.- No.78

        본고는 산동의 청주(靑州)와 닿아 있던 고대 요동과 사군(四郡) 지역이 삼진(三晉) 이전까지는 중국과 전혀 관련이 없는 조선 고강(故疆)이었다는 것을 기록 중심으로 논증한 글이다. ‘한사군’이라는 표현은 사군이 설치된 조선 고강이 애초부터 한(漢)의 영토였다는 선입견을 갖게 하는 언어적 함정이다. 수당(隋唐) 시기에도 지금의 북경시 서북 창평현(昌平縣)에 있던 고죽을 기미주인 대주(帶州)의 속현으로 삼았다고 하였으므로 수당보다 훨씬 이전인 한대(漢代) 사군은 당연히 기미주 성격의 행정적 관할 구역이었을 뿐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고조선은 조선으로. 한사군은 사군으로 썼다. 집필 과정에서 주초(周初) 소공(召公)의 봉국지(封國地)에 대한 여러 기록, 즉 중국 학자들의 ‘연비재어북경설(燕非在於北京說)’을 상찰(詳察)하여 연(燕)이 북경 지역에 있지 않았다는 사실(史實)을 확인한 것은 국내 학계에 처음 보고되는 것이다. 『삼국지-위서』에 인용된 조선의 역계경(歷谿卿)과 진한 염사착(廉斯鑡) 관련 기록을 상찰하여 조선과 낙랑, 진한이 국경을 맞대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진한과 신라 초기사의 연관성 및 신라 시조의 탄생지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하였다. 『중국역사지도집』 서한도(西漢圖)에는 한국의 황해도와 경기도 일부, 강원도 전체를 중국 영토에 포함시켜 한반도에 대한 영토적 연고권(緣故權) 주장을 하고 있는데, 이는 일제의 임나일본부 주장과 다르지 않다. 이런 현실에서 1919년 중국 함양(咸陽)에서 발굴된 북주(北周) 두로은공신도비문의 ‘명(銘)’을 상찰하여 산서에 있는 고대 요산(遼山)과 호타수 유역의 무수(武遂), 갈석이 있었다는 수성현 등이 삼진 이전에는 고죽 고강(故疆)이었다는 사실을 살피며, 산서 북쪽 융적(戎狄)의 웅거지였다는 연경산이 산융(山戎)의 웅거지라는 논거를 제시하고, 여러 기록의 행간을 읽어냄으로써 잊혀진 우리 고강(故疆)의 지명과 그 위치를 구명(究明)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ove that ancient Liaodong and Sagun (四郡) which were facing Qingzhou of Shandong were the sovereign territories of the ancient Joseon, not of China before the Jin Dynasty, based on documents available. The term ‘Hansa-gun’ easily leads to a misunderstanding that the area of the ancient Joseon, where Sagun was located in, was ruled by the Han (漢). Sagun, however, was a common term to indicate an autonomous administrative district, similar to Jimizhou (羈縻州), located in the ancient Joseon territory. The Sui-Tang (隋唐) took Guzhu (孤竹: current northwestern Changping [昌平縣] in Beijing) as the district of Jimizhou, under the control of Daizhou (帶州). In consequence, Sagun of the Han Dynasty, previous to the Sui-Tang, should be regarded as a administrative unit similar to Jimizhou. Therefore, the ancient Joseon is stated as Joseon, Hansa-gun as Sagun in this article. This study defines the location of Yan State and proves that Yan was not in Beijing, while reading through the numorous documents on Zaogong, the regional lord of Yan (the early Zhou dynasty), and the theses of Chinese scholars who have claimed the idea of “Yan, not in Beijing (燕非在於北京)”. When we look over the phrase of “to give eight kindoms of Chinhan (辰韓) to Nakrang” in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Weishu (『三國志-魏書』), and the record on Yokkegyong (歷谿卿) of Joseon and Yumsachi (廉斯鑡) of Chinhan quoted in the Weilue (『魏略』), it is certain that Joseon and Chinhan Nakrang were the kingdoms of Joseon, facing each other against borders. While clarifying the ancient borders of the kingdoms in the Joseon territories, this study will throw ques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arly Silla and Chinhan, and the birth place of Silla’s founder. The Northeast Project intends to claim Preemptive Rights of China on the Korean Peninsula by including Gangwon Province and the part of Hwanghae and Gyeonggi into the territory of the Xihan. The project corresponds with the Japanese argument on Preemptive Rights on Korea through Imnailbonbu (任那日本府). While examining the inscription on Doulu-Engong Memorial Stone (豆盧恩公神道碑) of the Northern Zhou period, excavated in Xianyang (咸陽) in 1919, it is undoubtful that ancient Lioashan (遼山) and Wusui (武遂) of Shanxi (山西), Suseong Prefecture (where Jieshi [碣石] was located) and others, were actually the domains of Joseon Guzhu before the Jin. This study will try to throw light on the names of ancient regions and their locations by suggesting the idea that Yanjing-shan (燕京山) was the base of Shanrong (山戎), the outlanders in northern Shanxi (山西), and through scrunitizing the various evidences.

      • KCI등재

        古代 韓中 交流와 昆布

        서영교,이승현 동아시아고대학회 2023 동아시아고대학 Vol.- No.71

        필자가 본연구에서 昆布에 주목한 이유는 산지(동옥저)가 명확한 그것이 고대 韓國의 물자가 中國으로 들어가는 흐름을 명확히 보여줄 수 있는 조영제와 같기 때문이다. 중국인들은 昆布의 약성에 대해 일찍이 알고 있었다. 前漢代 완성된 『本草經』에 昆布가 癭瘤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전한다. BC 108년 漢武帝가 고조선을 멸망시키고 그 땅에 漢4郡을 설치하였다. 昆布의 유일 산지인 동옥저 지역이 그 지배하에 들어갔다. BC,45년 樂浪 戶口簿木簡에 동옥저의 영동 7현 인구는 46,027명이다. 현지의 토산품 수취를 위해 낙랑이 호구조사를 했다. A.D.140년 그 지역에 대한 낙랑의 지배가 약화하였고, 後漢末 고구려 통치 아래에 들어갔다. 중국은 250년 이상 그곳을 지배했고, 토산품을 수취했다. 『本草經』에 昆布가 등장하는 것은 이와 관련이 있다. 曹魏대 편찬된 『吳普本草』에도 昆布에 대한 소개가 있다. 그것은 고구려의 昆布가 어떤 경로를 통해 그 나라에 유입된 것을 반영한다. 당시 동옥저와 인접한 樂浪이 건재했고, 245년 曹魏의 군대가 그곳을 점령하기도 했다. 274년에 晋이 낙랑군을 그 관할로 편입했다. 하지만 313년 낙랑이 고구려에 의해 멸망되면서 동옥저에 대한 중국의 입김이 사라졌다. 江淮로 중심지를 옮긴 東晋代 葛洪(283∼343)이 찬술한 『肘後備急方』에 최초의 昆布 處方이 보인다. 앞서 昆布의 약성을 경험한 晋이 남하한 이후에도, 고구려와 해상교역을 통해 그것을 입수하였다는 것을 말해준다. 南朝 梁代 陶弘景의 『本草經集註』 昆布 조에 그의 추기가 보인다. “昆布, 지금은 오직 고구려에서만 난다. 마치 삼베를 말아놓은 것 같다. 黃黑色으로 부드럽고 탄력이 있으며, 먹을 수 있다.” 南北朝 시대에 昆布를 바다 건너 고구려에서 수입한다는 것이다. 그가 살았던 시대(452∼537)는 고구려 장수왕과 문자명왕 통치 시기와 겹친다. 두 왕대(413∼519년) 총 96회의 南北朝와의 교류가 있었다. 昆布가 南朝에 지속해 유입되었다. 隋唐시대에도 昆布는 고구려의 대중국 교역품 가운데 하나였다. 고구려인들이 唐太宗에게 昆布를 진상하기도 했다. 唐대 孫思邈은 昆布의 사용 분야를 대폭 확장 시켰다. 『千金翼方』을 보면 昆布를 主藥으로 하는 처방들이 보인다. 그 가운데 昆布 하나만 먹는 단 방 처방이 주목된다. 환자가 생활을 위해 노동을 하지 않을 수 없는 경우 그 처방을 사용했다. 고구려산 昆布는 농민들도 입수가 가능할 정도로 唐에 대량 유입되었다. 唐高宗 시기(658년)에 편찬된 『新修本草』에도 昆布가 주요 약재로 자리 잡고 있다. 그것은 약재를 수취하기 위한 唐朝의 매뉴얼이기도 했다. 唐 조정의 관서의 하나인 太尙寺 太醫署에서 藥材가 필요한 때, 그 책을 보고 산지를 확인한 후 尙書省 戶部度支에 의뢰하여 고구려에 그것을 요구하게끔 하였다. 고구려가 멸망하고 발해가 건국했다. 『新唐書』에 발해인들이 귀하게 여기는 토산품 가운데 하나가 남해의 昆布라고 하는 기록이 있다. 발해 무왕(718∼737)의 재위 20년 동안 26회의 사절 入唐이 있었다. 726년 무왕의 동생 大門藝의 망명 사건과 732년 발해의 山東 등주 급습이란 양국의 충돌에도 교류 횟수는 줄지 않았다. 재위 기간이 가장 길었던 문왕(737∼793)대에도 교류는 45회에 달했다. 교역에 관성이 붙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唐은 昆布 등 발해에서만 산출되는 물품이 필요했고, 발해는 唐에 집산하는 萬國의 물품 ... There is one reason I focused on S japonica (Dashima kelp) in this study. It is produced only in certain areas of Goguryeo and Balhae; Dashima kelp is like a contrast medium that shows the flow of goods from Korea to China. In 108 BC, the Han Dynasty destroyed the Joseon (古朝鮮) and established a colony (漢四郡) on land. Hamheung (咸興), the only area of S japonica kelp production, fell under the control of the Han in 45 BC. With a woodcut record of 46,027 men in the area, the colonial government, Nakrang (樂浪郡), conducted a census to receive local products. However, in 140 AD, the area escaped the control of Nakrang and came under Goguryeo. The Han ruled for over 250 years and received native products. Therefore, kelp was mentioned in China’s first medical book. There is an introduction to kelp in the pharmacy book (吳普本草) compiled by Obo in the 3rd century AD. This reflects the introduction of kelp harvested from Hamheung, Goguryeo, to China via a certain route. Galhong (283-343)’s medical book (肘後備急方) shows the first prescription. As the two seniors argued, he also observed that kelp effectively treated thyroid disease. His prescription tells us that the Jin (晋) Dynasty, who experienced the effects of the kelp, needed it even after moving south to the Yangtze River. Eastern Jin (東晋) obtained kelp through maritime trade with Goguryeo. Do Hong-Kyung (452-537) of the Yang (梁) Dynasty mentioned this in his pharmacy Book. “Dashima kelp (昆布), it only grows in Goguryeo now. It’s tied up with a string as if it’s wrapped in a fabric. It is yellowish-black, soft and elastic, and edible.” In the past, the area of kelp production was under Chinese control; however, this was not the case at that time. Do Hong-kyung witnessed the kelp wrapped in Goguryeo products and ate it himself. During his time (452-537), the reign of King Jangsu overlapped with King Munmyeong of Goguryeo. During the reign of the two kings (413-519), kelp from Goguryeo continued to enter China. Even during the Tang Dynasty’s reign, Dashima kelp was one of the goods Goguryeo traded with China. At that time, Sunsimiao (孫思邈) greatly expanded the use of kelp as a medicinal material. His medical book shows prescriptions using the kelp as the primary ingredient. Among these, the prescription for eating only one Dashima kelp has drawn attention. If the patient had no choice but to work throughout his life, he would have had eaten only one kelp. People who must work, despite sickness, cannot be considered rich. Koguryo kelp was a medicinal material that farmers could obtain during this era. Thirty years after the fall of Goguryeo in 668, Balhae was established on the land. Chinese record (新唐書) mentions kelp as a specialty of Balhae. It has been confirmed that Balhae dispatched 26 envoys to the Tang Dynasty during the 20 years of King Tai Mu (718-737). Diplomatic and armed conflicts occurred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726 and 732. However, exchanges between them did not decline. During the reign of King Tai Mun (737-793), who had the longest reign, 45 exchanges occurred. This meant a strong inertia in trade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Tang Dynasty needed goods such as kelp produced only in Balhae, and Balhae was in demand for goods collected worldwide. A total of 44 Dashima kelp prescriptions were found in the Chinese medical book (外臺秘要方) compiled in 752. The prescriptions were mainly concerned with the treatment of the thyroid and lymph glands. Ancient Chinese people suffered from a lack of iodine. The incidence of thyroid and lymphatic diseases was high, and kelp flowed from Goguryeo and Balhae to alleviate malnutrition among the Chinese population.

      • KCI등재
      • KCI등재

        春庵 蘇凝天의 생애 및 학문 경향

        오보라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23 大東漢文學 Vol.76 No.-

        본고는 蘇凝天 연구의 試論으로서, 소응천의 생애와 교유 관계, 학문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소응천은 그동안 학계에 알려지지 않은 향촌 지역의 선비이지만, 당대 삼남 지역에서 명성을 떨쳤으며 소론계 문인 및 영남의 문인과도 교유하였다. 소응천은 18세기 삼남 지방의 학문 동향을 살펴보는 데 있어 주목할 만한 인물이다. 소응천은 향촌의 寒士, 영남 문인, 소론계 문인들과 교유했는데, 그의 교유 관계에서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소론계 문인과의 교유이다. 소응천은 젊은 시절 제자백가와 불가, 도가, 천문, 지리에 이르기까지 여러 분야를 두루 섭렵하였다. 그러나 소응천은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에 소론계 문인들과 교유하면서 자신의 지난날 학문 방향이 잘못되었음을 깨닫고 유학에 전념하게 되었다. 소응천이 스승으로 섬겼던 윤동수와 윤동원은 윤선거・윤증으로부터 이어지는 파평 윤씨 가문의 학문 정립에 중추적인 역할을 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소응천이 잡학에 힘쓰고 고원한 담론을 추구하는 문제를 지적하여, 일상에서의 윤리 규범 실천에 힘쓰도록 소응천에게 당부했다. 즉 윤동원과 윤동수는 윤증으로부터 내려오는 務實의 학풍을 소응천에게도 전수한 것이다. 소응천은 이들과의 만남 이후 일상에서의 실천과 소학 공부를 중시하여, 벗과 후학에게도 이 점을 강조하였다. 소응천의 학문 경향을 통해, 조선 후기 호남 지역 학풍의 새로운 국면을 발견할 수 있다. 아울러 소응천과 파평 윤씨 가문의 교유를 통해, 윤증으로부터 이어지는 소론계 학문이 어떻게 전수되어 갔는지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d So Eung-cheon's life, associates, and academic characteristics. So Eung-cheon was a scholar in a rural area, unknown to academia, but he had a reputation in the Samnam area of the time and also interacted with Soron scholars and Yeongnam scholars. So Eung-cheon is a remarkable figure in examining academic trends in the Samnam region in the 18th century. So Eung-cheon was associated with unknown scholars, Yeongnam scholars, and Soron scholars in a countyside, and what is particularly noteworthy in his relationship with Soron scholars. When he was young, So Eung-cheon studied various fields, including all classes of philosophers, Buddhism, Taoism, astronomy, and geography. However, when So Eung-cheon interacted with Soron scholars in his late teens and early 20s, he realized that his past academic direction was wrong and devoted himself to Confucianism. Yoon Dong-soo and Yoon Dong-won, whom So Eung-cheon served as teachers,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the academic background of the Pa-pyeong Yoon family, which led from Yoon Jeung. They pointed out the problem of So Eung-cheon working on general studies and pursuing a high-altitude discourse, and asked So Eung-cheon to work on practicing ethical norms in everyday life. In other words, Yoon Dong-won and Yoon Dong-soo passed on the academic style of Mushil(實務) from Yoon Jeung to So Eung-cheon. After meeting them, So Eung- cheon emphasized this point to his friends and juniors, emphasizing practice and study of So-hak(小學) in everyday life. Through So Eungcheon's academic trend, a new phase of the academic style in Honam reg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can be found. In addition, through the friendship between the So Eungcheon and Pa-pyeong Yoon families, it is possible to confirm how the academic style of the Soron leading from Yun Jeung were passed down.

      • KCI등재

        평양과 발해만 북부 갈석산 비정의 문제점 - 진·한(秦·漢) 시기 발해(渤海)와 요동(遼東)의 위치를 중심으로 -

        이기훈 동아시아고대학회 2023 동아시아고대학 Vol.- No.72

        갈석산(碣石山)은 고대 중국과 고조선의 국경에 위치했던 표지로서 현재 학자에 따라 여러 지역으로 비정되고 있다. 그 가운데 한반도 평양 서남부의 용강설과 하북성 진황도시 창려현을 비롯한 발해만 북부 4개의 갈석산설은 중국에서 진(秦)․한(漢) 시기 유력한 갈석산으로 주장되고 있으나, 원전문헌의 여러 기록들과 불합치되는 곳에 위치해 있음이 확인된다. 갈석산이 있다는 수성현(遂城縣) 관련 내용을 처음 언급한 태강지리지(太康地理志) 의 기록은 원본이 소실되어 확인이 어려운데, 후대 당(唐) 사가(史家)들이 ‘조선 낙랑군’에 속한 수성현, 또는 ‘고기주(古冀州) 상곡군’에 속한 수성현으로 서로 다르게 인용하는 모순이 있다. 따라서 실제로 중국이 주장하는 한반도 낙랑군(평양) 수성현에 갈석산이 있었는지 신뢰하기 어렵고, 진(秦)․한(漢) 당시의 여러 문헌상 갈석산 관련 내용이 한반도 상황과 맞지 않으며, 갈석산이 초기에 황하(河) 인근에 있었음을 전하는 여러 기사들도 한반도와 위치상 맞지 않으므로 평양(용강) 갈석산설은 근거가 부족한 주장으로 볼 수 있다. 창려현을 비롯한 발해만 북부 갈석산설들의 경우, 갈석산과 함께 전국시대 연(戰國燕)나라의 국경을 규정짓는 지표였던 발해(勃海)가 진(秦)․한(漢) 당시에는 현재와 달리 하북성 남부로 비정되는 사실과, 진(秦) 장성의 동단(東端)이자 갈석산이 있었다는 요동(遼東)의 위치 역시 현재와 달랐다는 문제점이 있다. 요동(遼東)은 전국시기 이후 연(燕), 제(齊), 조(趙)가 공유했었던 곳이었고, 후한(後漢) 당시 요동 인근의 요하(遼河)는 현재와 달리 동쪽으로 곧게 흘렀다. 서진(西晉) 이전 요동에 속했던 창려(昌黎)는 현 북경보다 남쪽에 있었고, 후한 요동태수 공손도의 근거지였던 요동군 치소 양평(襄平)은 현 하북성 남부와 하남성 북부를 가로지르는 장수(漳水)로 유입되던 양수(梁水) 인근에 있었다. 진(秦) 당시 흉노와 예맥조선의 경계였던 상곡(上谷)을 중국에서 하북성 중부(保定市, 张家口市)로 비정하고 있는데, 진(秦)장성의 종점인 요동의 기준이 되는 요주(遼州)가 이 상곡 남부인 하북성 진중시 좌권현에 근대까지(1912년) 있었고, 진시황 당시 황하 북쪽과 동쪽에는 흉노(匈奴)와 동호(東胡), 예맥조선이 건재하였으므로 진시황이 쌓은 장성이 동쪽으로 현 북경 동쪽 바다(발해)에 이를 수 없다. 이러한 사실을 종합할 때 요동은 현재와 달리 하북성 중남부에 있었고, 이 요동에 있었다는 진장성(秦長城)의 동단과 갈석산 역시 이 인근에 위치했었음을 추론할 수 있다. 갈석산을 경계로 삼았던 연(燕)나라의 수도 계(薊)와 연에 속했던 어양(漁陽)이 유주(幽州, 현 북경일대)로 이동된 시기는 당(唐)나라 시기로, 이렇게 유주(북경 인근)로 이주 된 연나라 위치를 기준으로 보면 현재의 발해만 북부에 비정되는 갈석산이 문헌상 맞지 않는 곳에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갈석산과 관련된 발해와 요동, 진장성(秦長城), 연(燕)의 위치가 진(秦)․한(漢) 시기에 현재와 다른 곳에 있었음이 확인되므로, 현재의 발해와 요동, 진장성, 연(燕)을 기준으로 비정되고 있는 발해만 북부 갈석산들은 고대 관련 기록과 맞지 않는 곳에 위치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presents a review of the locations of ancient Bohai (勃海), Qin Great Wall (秦長城), and Liaodong (遼東), which are landmarks related to Jieshi-Mountain (碣石山), and the research pertaining to problems with the current estimation of the location of Jieshi-Mountain (碣石山) of Pyongyang (平壤) and northern Bohai Bay (渤海灣). The research confirms by means of various original documents that Bohai (勃海), Qin Great Wall (秦長城), and Liaodong (遼東) were not in the same locations as they are today, but in the southern region of Hebei Province (河北省). It also proves that Jieshi-Mountain (碣石山) could not have been located in the current Korean Peninsula or northern Balhae Bay. The original site of Jieshi-Mountain (碣石山), having been on the border of Gojoseon (古朝鮮), was in close proximity to the location of the Yan Dynasty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If Liaodong (遼東), the eastern end of the Great Wall built by Qin (秦) and the Bohai, the sea that Han (漢) (who succeeded Qin (秦)) had crossed to attack Gojoseon (古朝鮮), were located in Hebei Province (河北省), it follows that Jieshi-Mountain (碣石山) would also have been in China’s Central Plains (中原) at the time of the Qin (秦)-Han (漢) Dynasty, and not around the current Bohai (渤海). These findings present new standards for Gojoseon’s (古朝鮮) territory, providing evidence of the error of the Korean Peninsula Hansijun’s (漢四郡) theory that has prevailed since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a new perspective for Chinese academia who regard the Jieshi-Mountain (碣石山) in northern Bohai Bay (渤海灣) as the first Jieshi-Mountain (碣石山).

      • KCI등재

        漢代 『方言』에 수록된 北燕․朝鮮洌水지역 同訓異表記語 분석

        정재남 동아시아고대학회 2023 동아시아고대학 Vol.- No.71

        前漢 말기인 AD 1세기 초 편찬된 중국 ‘지역어휘 사전’인 『方言』에는 당시 前漢 판도 내에서 실제 사용한 口語 낱말 위주로 676개 條目의 1만 여자가 수록되었고, 그중에는 고조선의 역사적 영역이었으나 전쟁으로 漢族 政權에 차례로 편입된 北燕 및 朝鮮洌水지역의 어휘 61례가 포함된다. 『방언』 내 북연․조선열수지역 어휘의 유래 및 성격을 上古漢語로 보는 전통적 인식에 대해 非漢族系 원주민 언어 및 상고한어가 혼재했다고 보는 견해가 대립중이다. 한편, 『방언』의 北燕․朝鮮洌水지역 어휘 중에는 같은 條目 내에서 뜻은 같지만 語音 및 表記文字가 모두 다른 소위 ‘同訓異表記語’가 11쌍 22례 수록되었다. 동 어휘 조합 11쌍에 대해, 상고문헌 용례를 중심으로 개별 어휘의 유래 및 성격을 분석한 결과, ‘상고한어와의 관련성이 밝혀지지 않는 어휘’ 및 ‘상고한어와의 연관성이 밝혀진 어휘’로 이루어진 조합이 5쌍, ‘상고한어와의 연관성이 밝혀지지 않는 어휘’만으로 이루어진 조합이 5쌍, 그리고 ‘상고한어와의 연관성이 밝혀진 어휘’만으로 이루어진 조합이 3쌍으로 나타난다.(중복분류 사례 포함) 이러한 조합 비율은 『방언』이 편찬된 기원 전후 시기의 북연․조선열수지역 내 언어 상황이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즉, 고조선의 연고지에 燕五郡(북연지역) 및 漢四郡(조선열수지역)이 설치된 이후 상고한어의 영향력이 점차 확장되면서 현지어와의 언어경쟁이 진행되는 가운데 ‘상고한어와의 연관성이 밝혀지지 않는 어휘’인 원주민 현지어가 ‘상고한어와의 연관성이 밝혀진 어휘’인 상고한어에 대해 아직은 다소 우위를 점하였던 상황으로 해석할 수 있다. FangYan, the regional vocabulary dictionary, compiled in the early 1st century AD, contained over 10,000 words in 676 items, including 61 vocabulary words of the Northern Yan and Josern-Ryeolsu regions, which were historical areas of the Gojoseon Kingdom. Regarding the traditional view of the origin and nature of FangYan’s vocabulary in Northern Yan and Josern-Ryeolsu regions as ancient Chinese, a new scholarly view has recently suggested that non-Chinese indigenous languages and ancient Chinese were mixed in the lexicon of those regions. However, 22 words in 11 combinations of different notated vocabularies have the same meaning within the same clause of the two regions but have different pronunciations, characters and syllabl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origin and nature of the 22 individual vocabularies based on the same character usage in ancient Chinese literature before FangYan, we found five pairs consisting of vocabulary that was “not related to ancient Chinese” and “only related to ancient Chinese,” five pairs consisting of only vocabularies that were “not related to ancient Chinese” and three pairs of “only related to ancient Chinese,” including duplicated classified pair cases. The vocabulary pair ratio shows competition between ancient Chinese and non-Chinese languages in the Northern Yan and Joseon-Ryeolsu regions around the early 1st century AD when FangYan was compiled. This could be interpreted as a situation where the local language was somewhat dominant over ancient Chinese due to intense language competition after Chinese administrative districts had been established in the historical region of Gojoseon kingdom.

      • KCI등재후보

        포스트(Post) 동북공정, 중국역사교과서 고대 한반도북부 속국 표기 고찰 -한반도 북부는 漢, 魏, 晉 영역인가? -

        이완영 바른역사학술원 2023 역사와융합 Vol.- No.16

        ‘통일적 다민족국가론(統一的 多民族國家論)’을 바탕으로 진행된 동북 3 성에 대한 동북공정은 단순한 고대 역사영역을 넘어 한국의 역사, 문화와 영토영역으로 확대되어 중화역사로의 속국사화(屬國史化)가 가속화 되고 있다. 이는 남북한과의 영토 외교문제로 비화될 가능성이 충분하다. 그동안 동북공정은 언론을 통해 주로 고구려나 발해, 부여 역사를 중국 속국사로 왜곡한 것 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2022 베이징 올림픽에서 한복과 김치가 중국의 문화로 소개되는 것을 동북공정의 일면으로 알고 있다. 최근 신중화주의(新中華 主義)에 의해 정립된 동북공정 역사논리는 중국의 국정역사교과서에 그대로반영되어 기술되었다. 현재 사용되는 중국 국정교과서는 고대 역사의 한반도북부는 한(漢), 위(魏), 진(晉)의 역사영역으로 표기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최근 중국의 국정 교과서에 기술된 한국의 고대역사에 한반도북부영역이 중국의 속국사 영역으로 표기된 내용을 살펴보면서 이러한 논리가 나온 배경을 살펴보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논하고자 한다. 동북공정에 관한 기존의 국내의 연구는 외부로 도출된 문제점에 집중된 경향이 있다. 동북공정으로 고조선과 고구려, 발해, 부여 영역을 중국의 속국으로 주장할 수 있는 중심논리는 “한반도 평양 낙랑군설”이다. 이는 한국학계에서그동안 주장해온 논리이다. 본고에서는 한(漢)의 낙랑군영역을 넘어 위(魏), 진(晉)의 역사영역으로 설정된 한반도 북부를 한국사의 영역으로 바로 잡기위해서 한국정부와 사학계가 동북공정을 극복하기 위한 실질적인 과제를 제시하였다. 지금까지 고수해온 “한사군, 낙랑군의 평양 위치 비정의 전면 재검토”와 동북공정 지도에 대응하여 올바른 한국사를 전 세계에 알릴 수 있는 “한국 고대역사지도집 발간”, 그리고 일맥상통한 중국 동북공정과 일제조선사편수회의 반도사관을 제거한 “국사개정(國史改正)”안이 그것이다. Chinese Northeast Project for three Northeastern provinces on the basis of the unified multi-ethnic state theory was expanded to the history, culture and territory of Korea beyond the simple ancient history and has been accelerating the forgery of Chinese history that the territories around China were the subject countries of China. Such movement has high possibility to create the diplomatic issues on the territory against South and North Korea. It was widely known up to now that Northeast Project distorted mainly the history of Goguryeo, Balhae or Buyeo to the history of subject countries of China through media. Moreover, introduction of Hanbok and Kimchin in 2022 Beijing Olympics as a part of Chinese culture is also a part of Northeast Project. Reasoning of Northeast Project on the history established by the new Sinocentrism was reflected and described on the government designated history textbook of Korea as it was. The government designated textbook of China used in these days marked the northern region of Korean peninsula in the ancient history as the territory of Han, Wei and Jin dynast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background of reasoning above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government designated textboom of China describing the northern region of Korean peninsula in the ancient times as the territory of subject countries of China, and discussed the approach to solve the issue above. The existing researches on Northeast Project in Korea and abroad tended to focus on the clearly exposed issues. Reasoning for insisting the territories of Gojoseon, Goguryeo, Balhae and Buyeo as the subject countries through Northeast Project is the ‘insistence that Pyeongyang in Korean peninsula was Nakrang-gun’. It’s the reasoning that has been continuously insisted by the academic world of Korea. For correcting the history textbook of China describing the northern region of Korean peninsula as the territory of Nakrang-gun of Han dynasty and furthermore, the territory of Wei and Jin dynasty as the territory of Korean peninsula, this study suggested the practical tasks for Korean government and the historical studies world of Korea to solve the issues of Northeast Project. The suggestions are ‘complete review on the location of Hansagun and Nakrang-gun in Pyeongyang’, ‘publication of Korean ancient history map’ that can acknowledge the accurate Korean history to the world against the Northeast Project map, and ‘revision of national history book’ eliminating Northeast Project of China and the peninsula historical view by Korean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of Jap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which have a thread of connection each other.

      • KCI우수등재

        유득공의 역사 인식과 사군지

        장병진 한국사연구회 2023 한국사연구 Vol.- No.201

        본 연구는 유득공의 역사 인식과 역사 서술의 특징을 살핀 것이다. 유득공이 실질적인 역사서로 자부한 『사군지』를 저술한 것에는 나름의 이유가 있었다. 그는 자국사를 계통적으로 파악하는 데 있어서 한사군의 역사를 온전히 정리하는 것이 관건이 된다고 생각했다. 그는 기자의 영토와 제도를 고구려에 주목하고, 고구려를 직접 계승한 발해를 자국사에 포함시키기 위한 논리적 근거를 확보하기 위해 발해고 를 저술했다. 다만 자국사의 북방적 흐름을 강조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발해를 자신사의 범주에서 파악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했다. 특히 기자에 대한 존숭이 강화되는 현실에서 ‘마한정통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이에 버금가는 새로운 논리를 제시할 필요가 있었다. 유득공은 주나라에 대한 기자의 수봉과 조주를 인정하고 있었다. 그는 한나라가 한사군을 설치한 것이 옛 삼대의 영토를 회복한 것이라고 이해했다. 그리고 중원에서 영가의 난 이후에 유교적 보편 문명이 단절된 반면, 한사군 지역은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으로 연결되어 문명이 지속되었다고 보았다. 이와 같은 과거 역사는 당시 명나라가 멸망하고, 청나라가 중원을 차지하면서 유일한 문명으로 조선이 남은 상황과 비슷하다고 이해했다. 유득공이 유교 문명의 계승을 중시하면서 자국 역사의 계통을 수립하려는 노력 속에서 한사군의 역사를 정리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였다. 유득공이 북방을 중심으로 자국사의 정통을 세우려는 논의에서 한사군 문제는 기자 못지않게 중요했다. 그가 역사책으로서 사군지 를 저술했던 이유가 바로 거기에 있었다.

      • KCI등재

        영문 한국사 개설서의 고대사 서술 동향 - 2000년대 출간된 개설서와 비교역사학적 접근의 문제를 중심으로-

        이종록(Lee, Jong-rok) 고려사학회 2023 한국사학보 Vol.- No.91

        본 논문은 2000년대 이후 출간된 영미권 한국사 개설서의 현황을 검토하고, 이 중 한국고대사의 서술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Michael Seth의 A Concise History of Korea를 최근 영미권 한국사 개설서의 예시이자 국내 학계와의 한국고대사 서술 방식과의 차이를 보여주는 사례로 활용하였다. 해당 개설서의 저자는 한국고대사에 관한 장절에서 중국 문명과의 교류를 강조하는 동시에, 세계사 속에서 고대 한국 정치집단의 위치를 논의하는 특징을 보인다. 그러나 저자의 서술은 경우에 따라서는 한국고대사에 대한 국내 학계와의 시각 차이가 극명하게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는 저자만이 아니라 서구 학계에서 자주 취신하는 비교역사학(comparative history)적 접근의 결과로 여겨진다. 곧 본고에서는 국내 학계에서 영미권 개설서에 대해 비판하는 요소인 한사군 중심 서술이나 중국사에 종속된 서술은 이러한 방법론과 밀접하게 연관이 있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This paper reviews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history textbooks written in English published since the 2000s, and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the narrations of Korean ancient history. For this, it used Michael Seth’s A Concise History of Korea as an example of the recent textbooks to Korean history in the English-American countries to indicate the different narrative method from the Korean academia’s. The author’s method has a characteristic that emphasizes the cultural exchange with Chinese civilizations and the position of ancient Korean polities in the world history in chapters on ancient Korean history. Sometimes, the author’s opinions signifies clear differences in viewpoints on ancient Korean history from the Korean academia. These differences were the result of the comparative historical approach, which had been constantly adopted by the historians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This paper concluded that the narratives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history textbooks written in English such as focusing on the Chinese Han Commanderies or Sino-centric historical viewpoint, that the Korean academia often criticize, were closely related to this methodology.

      • KCI등재

        漢書 의 古朝鮮·漢郡縣·箕子 자료에 대한 검토

        조원진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3 東洋學 Vol.- No.92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Joseonjeon」, one of Old Joseon’s materials appearing in Hanshu and another 「Joseonjeon」 in Shiji . In an article on the origin of Holy King(滿王), 「Joseonjeon」 in Shiji describes him as ‘Old Yeon person’, while 「Joseonjeon」 in Hanshu records him as ‘Yeon person’ by removing the word ‘Old’, as if he was a person from Yeon, a vassal state of Han. This shows Hanshu’s limited historical recognition. In addition, 「Joseonjeon」 in Hanshu definitely records Jinbeon, a neighboring state as the ‘state Chin (辰國)’ and the specific name of Hansagun(漢四郡), probably because new materials were introduced after Shiji . In addition, the content about Changhae-gun was complemented in Hanshu and various spells of Ye Mek appeared, probably because a variety of materials were us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commanderies. The 「geography section(地理志)」 was newly added to Hanshu , which provides the basic data of Yoseo-gun, Yodong-gun, Hyeondo-gun and Nakrang-gun. Moreover, the content about the fall of Wiman Joseon and the establishment of Han Commanderies can be found in many articles, but the number of established commanderies is different among them, and there are no materials about Jindun-gun and Imdun-gun in the 「geography section(地理志)」, suggesting the need to closely examine the situation in which Hand Commanderies were established. It is doubtful whether the article about the theory that Kija came to Korea, shown by 「Songmijasega」 in Shiji was created in the Samacheon’s lifetime. The 「geography section(地理志)」 in Hanshu seems to be the first Chinese authentic history in which the theory that Kija came to Korea is surely found, in that the article about the fact that Kija came to Joseon and enlightened Joseon residents. It can be, therefore, found that the record of Hanshu is the intermediate phase of Sanguozhi which extends the ambiguous theory that Kija came to Korea into the theory of Kija Joseon by recording that the successive generations of kings in Old Joseon might be the descendants of Kija. In the Han dynasty, the Joseon was perceived as the East or the North. Hanseo (漢書), like Sagi (史記), organized only Old Joseon as a chapter(傳). It is, however, found that Hanseo (漢 書) partly looks out for the growth of Buyeo and Goguryeo. The oral tradition that Kija went to Joseon seems to appear in the late period of the former Han dynasty(前漢末), after the fall of Wiman Joseon. Hanseo (漢書) 「Jiriji」(地理志) added an article about inhabitants enlightened by Kija to the other article about the customs of Joseon, which was not related with Kija. In fact, it is possible to regard Hanseo as the first Chinese authentic historiography in which the theory that Kija came to Korea. Hanseo (漢書) made the theory more definite, embellished and extended in the Chinese authentic historiography. 漢書 에 나타난 고조선 자료 중 「朝鮮傳」은 史記 「朝鮮列傳」과 비교하여 몇군데 차이가 나타난다. 먼저 滿王의 출자와 관련된 기사에서 史記 「朝鮮列傳」은 ‘故燕人’이라 했는데 漢書 「朝鮮傳」은 ‘故’자를 제거한 ‘燕人’이라 하여 漢의 제후국인 燕나라 사람처럼 기록하였다. 이것은 漢書 의 역사인식의 한계를 보여주는 것 이다. 또한 漢書 「朝鮮傳」에서 진번 주변국을 ‘辰國’이라 분명히 기록하고 漢四郡의 명칭을 기록한 것은 史 記 이후 새로운 자료가 유입된 결과로 볼 수 있다. 또한 漢書 에 창해군에 대한 내용이 보완되고 예·맥에 대한 표기가 다양하게 나타난 것도 군현 설치 이후 입수된 다양한 자료를 활용했기 때문일 것이다 . 漢書 에는 「地理志」가 새롭게 편성되어 요서군, 요동군, 현도군, 낙랑군에 대한 기본 자료를 제공한다. 또 한 위만조선의 멸망과 한군현 설치에 대한 내용이 여러 기사에서 확인되는데 설치된 군현 수가 서로 다르고 진번군·임둔군에 대한 자료가 「地理志」에는 없다. 이것은 한군현 설치 당시 상황을 정밀히 검토해야 할 필요 성을 말해준다. 漢代에는 조선 지역을 동방으로 보는 인식과 북방으로 보는 인식이 혼재되어 나타난다. 漢書 는 史記 와 마찬가지로 고조선만을 하나의 傳으로 편성하였다. 그럼에도 漢書 에는 단편적이지만 부여와 고구려의 성장 을 경계하는 인식도 확인된다. 箕子가 朝鮮으로 갔다는 전승은 위만조선이 멸망한 후 前漢末에 등장한 것으로 보인다. 漢書 「地理志」는 본래 기자와 무관한 조선의 풍속 기사에 기자의 현지 주민 교화 기사를 추가하였다. 漢書 는 사실상 기자동 래설이 확실히 확인되는 첫 중국정사로 볼 수도 있다. 특히 漢書 를 계기로 이후 중국정사에서는 기자동래설 이 확고해지고 더욱 기자 전승이 윤색되어 확장된다.

      • 지속가능한 사회-생태적 회복력을 평가하기 위한 통합적 접근: 춘천 사례를 중심으로

        사예드사자한사디키 ( Sayed Shajahan Sadiqi ),홍은미 ( Eun-mi Hong ),남원호 ( Won-ho Nam ) 한국농공학회 202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3 No.0

        Given the increasing challenges posed by climate change, urbanization and resource demands, there is a growing focus on the need to promote socio-ecological resilience. This study takes an approach to assess the socio-ecological resilience of Chuncheon City in South Korea. It employs tools and methods to examine how environmental factors interact to shape the area's ability to adapt and thrive amidst changing pressures. Our goal is to gain an understanding of its current environmental situation and prospects concerning socio-ecological resilience. The analytical method includes an investigation of land use dynamics, water quality trends, and ecosystem service patterns, which is enhanced by advanced models such as Agro-IBIS, MODFLOW, SWAT, and THMP. In addition, the study employs a participatory method, involving stakeholders to improve understanding of local dynamics and what is needed. Therefore, SWAT analysis has already yielded preliminary results, suggesting fluctuating nitrogen, suspended particles, and phosphorus loadings within certain ranges from -4.5 to +2.3%, -5.8 to +29.0%, and +3.7 to +17.4%, respectively. Furthermore, forecasts predict significant shifts in evapotranspiration (+3.2% to +17.2%), streamflow (-9.1% to +8.1%), and soil moisture (0.1% to 0.7%) between 2040 and 2080. Additionally, projections of potential climate changes indicate temperatures will increase by 1.3 to 2.1°C, and precipitation will rise by 31 to 61mm by the end of the century (under SSP126 and SSP585). These findings form the cornerstone of the study's conclusions an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including stakeholders in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resilience solutions. This study, which is still in progress, is expected to create a framework that not only assesses the many facets of socio-ecological resilience but also offers helpful suggestions for managing environmental pathways toward sustainable development and assisting stakeholders, policy-making to successfully address upcoming issues along with enhancing sustainability and resilience in other similar areas.

      • KCI등재후보

        통일 신라의 강역에 대한 연구

        전준호 바른역사학술원 2023 역사와융합 Vol.- No.14

        통설에 의한 신라(新羅) 강역은 한반도 남쪽의 경상도 경주(慶州)에서 시작하여 통일 신라에 이르러 강역이 현재 북한 평양(平壤)을 전혀 넘지 못한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는 신라의 경계에 있는 당(唐)이 설치한 안동도호부의 위치가 평양이라는 주장에 근거하는 것으로 고조선의 수도인 평양성부터 고구려의 평양성 그리고 그 위치에 당(唐)이 설치한 안동도호부(安東 都護府)까지 모두 현재의 평양이라는 것이다. 이는 학계에서 비판을 받고 있는 고조선 평양과 한(漢)이 설치한 낙랑군(樂浪郡)이 모두 북한 평양이라는 ‘한사군 재평양설’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와 관련된 강역의 해석 문제는 고조선, 고구려 뿐 아니라 통일 신라의 강역까지도 모두 연결된다. 하지만 중국의 여러 사료들을 보면 당(唐)이 설치한 안동도호부와 고구려의 평양이 현재 북한 평양이 아닌 북경 일대에 있는 하북성‘평주(平州) 노룡현’이라고 기록하고 있으며 이는 여러 문헌과 고지도의 내용과도 일치하고 있다. 또한 당(唐)은 신라의 여러 왕들을 '낙랑군왕(樂浪郡王)' 으로 호칭하였는데『신당서(新唐書)』, 『구당서(舊唐書)』 모두 이를 한대(漢代)의 낙랑군(樂 浪郡) 땅이라고 명확히 기록하고 있다. 즉 낙랑군의 위치가 통일 신라의 국경선과도 깊이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발해(渤海) 건국 이후에는 통일 신라와 발해가 서로 국경을 접하게 되는데 이는 신라로 가는 ‘신라도(新羅道)’로 불리는 남경 남해부로 위치로 ‘해주(海州)’라고 기록되었는데 이는 난하(灤河)의 동쪽 지역에 있었다. 여러 문헌 사료와 고지도들을통해 통일 신라의 강역을 연구한 결과 전성기의 통일 신라와 당(唐)과의 서쪽 경계는 하북성의 난하(灤河) 까지 영역을 차지였으며 발해의 영토 확장과요(遼)가 건국한 이후에 점차 강역이 동쪽으로 축소되어 고려 시기에는 현재의 요하(遼河) 일대로 이동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