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漢代 <方言>내 東北지역 어휘의 언어적 연원 및 시대적 傳承 분석 試論 : 廣雅에 수록된 漢代 <方言>의 東北지역 同一漢字 어휘 비교분석

        정재남 동아시아고대학회 2018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2

        Fang Yan(方言), the earliest direct dictionary in China, was compiled by Yang Xiong(揚雄) in late Han dynasty. The book described ancient Chinese words(古語) not being used at that time, dialects in sub-state provinces and politically annexed ethnic minorities’ languages including 60 vocabularies of Northern Yan(北燕) and Chosun (朝鮮) regions which had been former territory of Kochosun(古朝鮮) but were annexed respectively through war by Kingdom of Yan(燕) in early BC 3 century and Han dynasty in BC 108. According to the result of linguistic geographical isogloss analysis on Northern area’s vocabularies in Fang Yan, it reveals that the words of Chosun and Northern Yan region could be classified as one language group but were quite isolated from those of Yan region which was geographically adjacent to and politically belonged to same administrative district under Han dynasty’s rule. So it has been a divisive issue on whether vocabularies of Chosun region was a language of ethnic minority, words of Kochosun, or a dialect of ancient Chinese like those of Yan and Dai(代) region. For investi gating the linguistic origin, identity and transmission of above vocabularies in Northeastern area(東北) including Chosun, Northern Yan, Yan and Dai, this paper tried a complete enumeration survey and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all words of above 4 regions in Fang Yan and the related vocabularies using same Chinese character in Guang Ya(廣雅) which was compiled in AD 3 century, about two hundreds years later than Fang Ya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n same Chinese character words between Famg Yan and Guang Ya, it could be concluded out that about 68.3% of Chosun and Northern Yan’s vocabularies in Fang Yan were found in Guang Ya and 56.7% of above two regions’all words were classified as synonym with related vocabularies in Guang Ya while 56.7% of Yan and Dai’s vocabularies in Fang Yan were found in Guang Ya and 42.3% of the latter regions’words in Fang Yan were synonyms in Guang Ya. Furthermore, it could be contributed to investigate linguistic origin and transmission of Northeastern Area’s some vocabularies in Fang Yan by this analysis. 前漢 말기에 성립된 중국 최초의 方言辭典인 『方言』은 당시 이미 단절된 古語와 함께 前漢의 판도에 속한 각 지역 방언 및 소수민족 어휘를 수록하였고, 특히 과거 고조선 영역이었지만 燕나라 및 前漢에 차례로 편입된 北燕지역 및 朝鮮지역 60例도 포함되어있다. 『방언』내 朝鮮지역 및 北燕지역은, 각 전체어휘 가운데 공통어휘가 각기 약 84% 및 약 47%에 달하여, 하나의 ‘언어권’을 형성하였고 漢代 12개 ‘方言區’의 하나로도 분류되지만, 당시 여타 ‘方言區’와는 확연히 다른 별도의 언어적 정체성을 보여준다. 한편, 上古 중국어의 ‘방언권’으로 분류되는 燕․代지역의 어휘는 정치․행정적으로 같은 통치권에 속하였던 北燕․朝鮮지역과는 지리적으로 인접하였지만, 언어적으로는 절연에 가까울 정도로 상호 이질성이 강하다. 한편, 『방언』 성립 이후 약 2세기 뒤에 편찬된 『廣雅』는 중국의 최초 字書인 『爾雅』의 부족한 내용을 보충한 훈고서로서, 『방언』 이전의 上古 중국어 어휘를 집대성하였고 또한 『방언』 이후 2백년간의 언어 변화 내용도 포함한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廣雅』에 수록된 전체 어휘를 대상으로 『方言』내 동북지역 어휘와 同一한 漢字 어휘를 全數 비교 분석하는 방식을 통하여, 『방언』내 朝鮮․北燕․燕․代지역 각 개별 어휘의 상고 중국어 어휘로부터 유래 여부 즉, 언어적 연원 및 정체성 규명에 접근하는 한편, 각 어휘의 시대적 傳承 관계 파악에 접근할 수 있었다. 즉, 『방언』의 朝鮮․北燕지역 어휘가 『광아』에 同一漢字 어휘로 수록된 비율이 68.3%, 同義語 내지 類義語(상고 중국어에서 유래 내지 편입된 어휘로 추정)는 56.7%이며, 燕․代지역 어휘의 『광아』 수록 비율 57.7% 및 同義語 내지 類義語 비율 42.3%보다 높았다. 관련 선행연구에서 같은 방식으로, 『爾雅』에 수록된 『방언』의 동북지역 어휘와 同一漢字 어휘를 全數비교 분석한 결과와 비교할 때, 『廣雅』에 수록된 어휘 숫자 자체가 대폭 증가하였다. 특히 『방언』 성립 시기에 언어적 독자성이 뚜렷하였던 朝鮮․北燕지역 어휘가 『광아』에서는 도리어 燕․代지역 어휘보다 同義語 내지 類義語 비율이 높게 나타난 것은 朝鮮․北燕지역 어휘의 漢語 표준어휘로의 전환이 급속히 진행된 것으로 볼 수 있고, 『광아』 편찬 시기에는 독자적인 언어정체성이 상실되어 燕․代지역 어휘와의 구분이 무의미하게 되었다. 아울러 『광아』에 未수록되었거나, 수록되었어도 동의어 내지 유의어가 아닌 異義語로만 나타난 『방언』내 여타 동북지역 어휘는 上古 중국어에서 유래되지 않은 지역 언어(非漢語系 소수민족 어휘 등)이었거나, 상고 중국어와 관련이 있었어도 『광아』 편찬 당시에는 이미 수록할 가치가 없는 死語가 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 KCI등재

        漢代 『方言』에 수록된 北燕지역 어휘의 언어정체성 분석 -중국 上古문헌 用例 분석을 중심으로-

        정재남 고조선단군학회 2023 고조선단군학 Vol.50 No.-

        FangYan, the earliest dictionary of dialectic vocabulary compiled in the early 1st century AD, at the end of the Former Han Dynasty, contains about 10,000 words mainly spoken words actually used in each region in the territory of the Dynasty. In particular, the dictionary contains 55 vocabularies from the Northern Yan region, which is presumed to be the western area of Gojoseon. Regarding the linguistic identity of the vocabularies of Northern Yan region in FangYan, while there has been a academic conflict between the view that it is Chinese and the view that it is Korean language, rigorous academic verification on the linguistic identity of the entire Northern Yan vocabulary has not been done so far. Based on analyzing the usage examples of the words in ancient Chinese literature texts before FangYan, this study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through an individual investigation of the vocabulary of Northern Yan that among 55 vocabularies of Northern Yan region, only 19 words could be proven to be derived from ancient Chinese but 38 could not be proven their linguistic origin from ancient Chinese. Accordingly, it should bereexamined that the existing stereotypes of some preceding study which have vaguely assumed the linguistic identity of Northern Yan words in FangYan as Old Chinese and classified Joseon-Yeolshu region’s vocabulary as ancient Chinese based on this. 前漢 말기 AD 1세기 초에 편찬된 現傳 最古의 중국 지역어휘 사전 『方言』에는 편찬 당시 前漢 영역에서 사용된 上古漢語 어휘는 물론 역대 漢族 정권에편입된 흉노, 東甌, 南越 및 고조선 등 異⺠族지역의 어휘도 함께 수록되었다. 그 중에는 고조선의 ‘서부영역’이었으나 BC 3세기 초 燕과의 전쟁으로 漢族 정권 판도에 편입된 ‘北燕’지역의 어휘 55例(판본별 다른 字形 및 語義 구분시57례)도 포함된다. 『방언』 내 北燕 어휘의 언어정체성은 그간 관련학계에서上古漢語로 추정하였고, 나아가 이러한 추정은 북연과의 공통어휘가 약 84% 의 절대 비중을 차지하는 인접 ‘朝鮮洌水’지역 어휘의 정체성까지 上古漢語로 분류하는 주요 근거가 되었다. 하지만 지금까지 북연 어휘 전체의 언어정체성에 관한 역사언어학 차원의 엄밀한 학술적 검증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고는 북연 어휘 전체에 대해 전통 小學의 훈고학적 방식으로 중국상고문헌 용례 검증을 통해 上古漢語와의 연관성을 전수 개별 분석한 결과, 『방언』 이전 문헌에 同義語 내지 類義語 용례가 보이지 않는 어휘가 38례인반면, 용례가 보이는 어휘는 19례로 절반에 불과하다. 특히 북연 및 朝鮮洌水 의 공통어휘 27례 가운데 21례는 상고한어와의 연관성이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방언』 내 북연의 언어 상황은, BC 108년 고조선 멸망 당시 주요 지역으로추정되는 ‘朝鮮洌水’지역과의 공통어휘 가운데 ‘상고한어와 연관성이 밝혀지지 않은 어휘’가 주를 이루면서, 그보다는 적지만 ‘상고한어와 연관성이 밝혀진’ 어휘도 혼용된 상황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방언』 내 北燕 어휘의 언어정체성을 上古漢語로 막연히 추정하고 다시 이를 근거로 朝鮮洌水 어휘까지 상고한어로 분류하여온 기존 학계의 고정관념은 재검토되어야 한다.

      • KCI등재

        언어로 본 고조선의 영역: 漢代 『方言』에 수록된 朝鮮・北燕지역 어휘의 정체성 및 지리적 범위 탐구

        정재남 고조선단군학회 2021 고조선단군학 Vol.44 No.-

        Fangyan(方言), the Chinese first regional vocabulary dictionary compiled in the early 1st century AD, contains 60 vocabularies spoken in Choseon(朝鮮)-Yeolsu(洌水) and Northern Yeon(北燕) regions, which were historic territory of the Gochosun Kingdom. By isogloss method of linguistic geographics to analyze vocabulary of Chosun-Yeolsu region and Northern Yeon region, it is revealed that the above two regions were belonged to a same linguistic area that used a considerable proportion of common vocabularies. On the other hand, the lexicon of those two regions was not closely related to vocabulary of adjacent Yeon(燕)-Dae(代) region and other dialect areas of ancient Chinese in territory of the Han(漢) Dynasty. In this regard, considering the historic connections between Choseon region and Northern Yeon region which had been originally western territory of the Gochoseon Kingdom but was incorporated into the Yeon Kingdom by the war in the early 3rd century BC, the final territory of the Gochoseon Kingdom which was conquered by the Han Dynasty in 108 BC, it is highly likely that many of these two local vocabularies were not dialect of ancient Chinese, but native vocabulary of ancient Chosun Kingdom’s indigenous people. According to records of Shiji(史記) and Sanguozhi(三國志) etc., and the comments of Kwak Park, a representative linguist and geographer in the Jin(晉) Dynasty, on the text of Fangyan,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geographical scope of the Choseon-Northern Yeon language area was from Sanggok(上谷), Beijing neighborhoods today, Southern Manchuria and to northwe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which was basically correspond to the area of Liaoning(Mandolinshaped) bronze dagger culture distribution.

      • KCI등재

        漢代 『方言』의 朝鮮‧洌水지역 어휘의 언어정체성 분석-중국 上古문헌 用例 근거 분석을 중심으로-

        정재남,한용수 고조선단군학회 2022 고조선단군학 Vol.49 No.-

        前漢 말기인 AD 1세기 초에 편찬된 어휘사전 『方言』에는 前漢 王朝 영역 내에서 실제 사용되던 입말[口語] 낱말 위주로 약 1만 자가 수록되었다. 특히 『방언』에는 BC 108년 前漢에 편입된 고조선 주요 영역으로 추정되는 ‘朝鮮‧洌水’지역의 어휘 32例가 수록되어 있다. 『방언』 내 ‘朝鮮‧洌水’ 지역 어휘의 언어정체성에 관해, 이를 上古漢語 갈래인 중국어로 보는 주장과 非漢語系 고조선어로 보는 견해가 대립되는 가운데, 일부 주요 선행연구 사이에는 거의 같은 중국 고대문헌 어휘 용례를 근거로 분석하였지만 결과는 크게 차이 났다. 그 주요 이유는 첫째, 성립 시기가 『방언』보다 늦은 문헌자료를 인용하여 이보다 앞선 『방언』 내 어휘의 연원 및 유래 등을 입증하려는 비논리적인 사례가 많았으며, 둘째, 『방언』 편찬자가 非漢語系 異民族 어휘를 채록할 때 발음이 같거나 유사한 漢字를 단순한 발음부호로 借用하여 표기한 소위 ‘記音字’ 사례가 많았지만 이를 무시하고, 단순 차용된 漢字와 같은 한자 어휘로 쓰인 상고문헌 용례를 인용하여 동 記音字 어휘와 연관성을 주장하는 것 등에 기인한다. 이런 문제점을 보완하고 필자가 새롭게 찾아낸 관련 문헌 용례 등을 반영하여, 『방언』 내 朝鮮‧洌水지역 어휘 32례의 연원 및 上古漢語와의 연관성 등을 엄밀히 분석한 결과는, 선행연구와 달리 7~8례만이 上古漢語와의 직접적인 연관성이 밝혀지고, 여타 어휘 25~26례는 『방언』 이전 문헌에서 『방언』에서의 의미로 쓰여진 용례가 발견되지 않는다. 한편 동 어휘들은 전한 왕조의 영역 내에서 다른 지역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으면서 고조선지역인 朝鮮‧洌水 일대에서만 사용되었던 어휘이기에 上古漢語로 보기 어려우며, 『방언』 편찬 당시 異民族 어휘에 대해 발음이 유사한 漢字를 단순한 음성기호로 차용한 ‘記音字’ 어휘로 보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

      • KCI등재

        『現代漢語詞典』에 수록된 漢代 『方言』의 北燕・朝鮮지역 어휘 전승 분석

        정재남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23 한중언어문화연구 Vol.- No.69

        The 7th edition(2016), the latest edition of Modern Chinese dictionary, has not contained 30 words of same Chinese character with 61 vocabulary words of Joseon and Northern Yan regions registered in FangYan, the earliest dialect dictionary compiled in the early 1st century AD. Among the 31 other vocabulary words found in the Modern Chinese Dictionary, twelve synonyms and twenty words of different meaning even with some overlapping classifications are identified through this comparing meaning analysis between same Chinese character words simultaneously-recorded in the two dictionarie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usage cases of ancient Chinese literature, four of the above 12 vocabulary classified as synonyms could be classified as originally derived from FangYan and transmitted to Modern Chinese dictionary. 兩漢 교체기인 AD 1세기 초에 편찬된 지역어휘사전『方言』의 北燕・朝鮮지역 어휘 61례(語義 기준)는 어휘 성격과 관련하여 上古漢語 方言이라는 전통적 인식과 非漢語系 소수민족언어라는 새로운 견해가 대립되는 가운데, 선행연구에서 『설문해자』부터 『康熙字典』까지 전승 여부가 확인된 데 이어, 본고에서 『現代漢語詞典』제7판(2016)에 수록된 표제어를 대상으로 전수 비교・검증하였다. 동 분석 결과, 일부 중복사례도 있지만 同義語 관계 3례, 類義語 관계 9례 및 異義語 관계 21례가 확인되며, 30례는 미수록되었다. 상기 동의어 및 유의어 사례 12례 중 4례는 『方言』에 처음 나타난 단어로서 『方言』에서 처음 유래되어 現代漢語까지 전승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漢代 『方言』에 수록된 北燕․朝鮮洌水지역 同訓異表記語 분석

        정재남 동아시아고대학회 2023 동아시아고대학 Vol.- No.71

        前漢 말기인 AD 1세기 초 편찬된 중국 ‘지역어휘 사전’인 『方言』에는 당시 前漢 판도 내에서 실제 사용한 口語 낱말 위주로 676개 條目의 1만 여자가 수록되었고, 그중에는 고조선의 역사적 영역이었으나 전쟁으로 漢族 政權에 차례로 편입된 北燕 및 朝鮮洌水지역의 어휘 61례가 포함된다. 『방언』 내 북연․조선열수지역 어휘의 유래 및 성격을 上古漢語로 보는 전통적 인식에 대해 非漢族系 원주민 언어 및 상고한어가 혼재했다고 보는 견해가 대립중이다. 한편, 『방언』의 北燕․朝鮮洌水지역 어휘 중에는 같은 條目 내에서 뜻은 같지만 語音 및 表記文字가 모두 다른 소위 ‘同訓異表記語’가 11쌍 22례 수록되었다. 동 어휘 조합 11쌍에 대해, 상고문헌 용례를 중심으로 개별 어휘의 유래 및 성격을 분석한 결과, ‘상고한어와의 관련성이 밝혀지지 않는 어휘’ 및 ‘상고한어와의 연관성이 밝혀진 어휘’로 이루어진 조합이 5쌍, ‘상고한어와의 연관성이 밝혀지지 않는 어휘’만으로 이루어진 조합이 5쌍, 그리고 ‘상고한어와의 연관성이 밝혀진 어휘’만으로 이루어진 조합이 3쌍으로 나타난다.(중복분류 사례 포함) 이러한 조합 비율은 『방언』이 편찬된 기원 전후 시기의 북연․조선열수지역 내 언어 상황이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즉, 고조선의 연고지에 燕五郡(북연지역) 및 漢四郡(조선열수지역)이 설치된 이후 상고한어의 영향력이 점차 확장되면서 현지어와의 언어경쟁이 진행되는 가운데 ‘상고한어와의 연관성이 밝혀지지 않는 어휘’인 원주민 현지어가 ‘상고한어와의 연관성이 밝혀진 어휘’인 상고한어에 대해 아직은 다소 우위를 점하였던 상황으로 해석할 수 있다. FangYan, the regional vocabulary dictionary, compiled in the early 1st century AD, contained over 10,000 words in 676 items, including 61 vocabulary words of the Northern Yan and Josern-Ryeolsu regions, which were historical areas of the Gojoseon Kingdom. Regarding the traditional view of the origin and nature of FangYan’s vocabulary in Northern Yan and Josern-Ryeolsu regions as ancient Chinese, a new scholarly view has recently suggested that non-Chinese indigenous languages and ancient Chinese were mixed in the lexicon of those regions. However, 22 words in 11 combinations of different notated vocabularies have the same meaning within the same clause of the two regions but have different pronunciations, characters and syllabl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origin and nature of the 22 individual vocabularies based on the same character usage in ancient Chinese literature before FangYan, we found five pairs consisting of vocabulary that was “not related to ancient Chinese” and “only related to ancient Chinese,” five pairs consisting of only vocabularies that were “not related to ancient Chinese” and three pairs of “only related to ancient Chinese,” including duplicated classified pair cases. The vocabulary pair ratio shows competition between ancient Chinese and non-Chinese languages in the Northern Yan and Joseon-Ryeolsu regions around the early 1st century AD when FangYan was compiled. This could be interpreted as a situation where the local language was somewhat dominant over ancient Chinese due to intense language competition after Chinese administrative districts had been established in the historical region of Gojoseon kingdom.

      • KCI등재

        漢代 『方言』에 수록된 고조선지역 어휘 ‘咺’의 연원 및 언어정체성 분석

        정재남 고조선단군학회 2022 고조선단군학 Vol.47 No.-

        前漢 말기에 편찬된 漢代 지역어휘 사전인 『方言』에는 고조선과 연고가 깊은 ‘朝鮮洌水’ 및 ‘北燕’지역의 어휘 60개가 수록되어 있다. 공통어휘가 많아 같은 언어권으로 분류되는 ‘북연-조선 방언권’ 어휘에 대해, 이를 上古中國語로 보는 주장과 古朝鮮語로 보는 견해가 대립되는 가운데, 일부 연구자는 동 ‘방언권’의 공통어휘인 ‘咺’이 상고중국어에서 유래된 ‘戰國系 方言’이라는 추정을 상고중국어설의 주요 근거로 내세우고 있다. 이와 관련, 『방언』 이전 先秦문헌 및 金石文에서 찾아낸 ‘咺’의 용례와 『방언』 이후 대표 언어자료인 『說文解字』 및 『玉篇』에 수록된 ‘咺’에 관한 설명 그리고 후대에 중국어 및 한국어로 각기 전승된 내용 등 여러 논거를 종합 분석한 결과, 『방언』에서 조선지역 방언어휘로 수록된 ‘咺’은 『방언』에서 非漢語系 어휘를 표기할 때 발음이 유사한 漢字를 차용하여 사용한 記音字이었을 개연성이 큰 非漢語系 고조선어 어휘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咺’의 언어정체성이 상고중국어라는 추정을 근거로 하여, 『방언』의 고조선지역 방언어휘 전체를 상고중국어 계열의 ‘전국계 방언’으로 보는 견해는 재고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漢代 <方言> 내 東北지역 어휘의 언어적 연원 및 정체성 탐구 試論 : <方言>에 수록된 東北지역 어휘와 <爾雅> 同一漢字 어휘의 비교분석

        정재남 동아시아고대학회 2018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1

        前漢 말기에 揚雄(BC 53–AD 17년)이 편찬한 『方言』은 중국 최초의 方言 辭典으로서, 27년에 걸친 전국적인 방언 조사를 통해 前漢대에는 단절된 古語와 함께 前漢 왕조의 판도에 속한 각 지역의 當代 방언 및 소수민족 어휘가 수록되어 있고, 특히 과거 고조선 영역이었지만 漢朝의 영역에 최종 편입된 北燕 및 朝鮮(洌水)지역의 어휘 60例가 수록되어 있다. 『方言』 내 朝鮮(洌水)지역 및 北燕지역은, 같은 어휘를 사용하는 구역을 서로 연결하는 언어지리학상의 ‘等語線’(isogloss) 개념을 적용할 경우, 하나의 ‘言語圈’에 속하는 것으로 분석되며 나아가 당시 前漢 판도 내 여타 지역과는 다른 독자적인 언어적 정체성을 보여주는 가운데, 朝鮮(洌水)지역 어휘에 대해서는 ‘上古 중국어(漢語)의 方言’이었다는 주장과 소수민족의 어휘 즉, ‘古朝鮮語’라는 견해가 학술적으로 대립하고 있다. 한편, 前漢 당시 같은 東北권역에 속한 燕․代지역의 어휘는 상고 중국어의 ‘方言圈’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정치․행정적으로 같은 통치권에 속하였던 北燕․朝鮮지역과는 지리적으로 인접하였지만, 언어적으로는 절연에 가까울 정도로 상호 이질성이 강하다. 이와 관련, 朝鮮․北燕․燕․代지역 등 漢代 東北지역 어휘의 언어적 연원 및 정체성과 상호 친연성 등을 밝히기 위해, 동 어휘들에 대해 『方言』 편찬 이전에 성립된 중국 최초의 字書인 『爾雅』에 수록된 관련 어휘와의 全數 비교분석을 통하여, 상고 중국어 어휘로부터의 傳承 여부를 포함한 연관성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方言』 내 朝鮮․北燕지역 전체 어휘의 30%는 『爾雅』에서 同一 漢字를 사용한 어휘가 발견되었고, 그 가운데 의미가 같거나 유사한 어휘(상고 중국어와 같거나 이에 연원을 둔 어휘)는 약 12%에 그쳤다. 다시 말해, 두 지역 전체 어휘의 약 88%는 『爾雅』에 수록되지 않았거나 『爾雅』의 同一漢字 어휘와는 다른 의미의 어휘로 볼 수 있다. 한편, 『方言』 내 燕․代지역 어휘의 경우, 전체 어휘의 약 39%가 『爾雅』에서 同一한 漢字 어휘로 발견되었고, 의미가 같거나 유사한 어휘는 약 15%로서 朝鮮․北燕지역 어휘에 비해 각기 그 비중이 다소 높다. 하지만, 『爾雅』와 『方言』 성립시기 차이로 인한 언어의 시대적 변화, 聲借방식의 어휘 표기가 적지 않은 『方言』 내 ‘방언’ 설명 형식 그리고 특히 『方言』 내 다른 방언권을 포함한 전체 어휘와 『爾雅』 내 전체 어휘를 전수 비교를 하지 않은 사정 등을 감안할 때, 兩書내 朝鮮․北燕․燕․代지역만의 어휘 비교만으로는 언어적 정체성 규명에 충분한 학술적 의미와 결론을 도출하는 것은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爾雅』의 관련어휘와 全數 비교분석을 통해, 『方言』 내 동북지역 일부 해당어휘의 연원 및 언어적 정체성을 규명하는데 근거 있는 접근을 할 수 있었다. The Fang Yan(方言) is the earliest direct dictionary not only in China but in the world, which was compiled by Yang Xiong(揚雄) in Han dynasty. The book described disconnected ancient Chinese words(古語) not being used at that time, current dialects of individual sub-state provinces and ethnic minorities’ languages including 60 vocabularies of Northern Yan(北燕) and Chosun(朝鮮) regions which had been former territory of Kochosun(古朝鮮) but were annexed respectively through war by Kingdom of Yan(燕) in early BC 3 century and Han dynasty in BC 108. According to the result of isogloss(等語線) analysis on Chosun and Northern Yan’s vocabularies in Fang Yan, it reveals that those two regions’s words could be classified as one language group but were quite isolated from those of Yan region which was geographically adjacent to and politically belonged to same administrative district under Han dynasty’s rule. So it has been a divisive issue on whether vocabularies of Chosun region was a language of ethnic minority, words of Kochosun, or a dialect of ancient Chinese like those of Yan and Dai(代) region. For investigating the linguistic origin, identity and mutual affinity of those vocabularies in Northeastern area(東北) covering Chosun, Northern Yan, Yan and Dai, this paper tried a complete enumeration survey and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all words of above 4 regions in Fang Yan and the related vocabularies using same Chinese character in Er Ya(爾雅) which is the earliest dictionary compiled earlier than Fang Ya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two dictionary books, it could be concluded out that about 30% of Chosun and Northern Yan’s vocabularies in Fang Yan were found in Er Ya and only about 12% of above two regions’ all words were classified as synonyms in Er Ya while about 39% of Yan and Dai’s vocabularies in Fang Yan were found in Er Ya and about 15% of the latter regions’ words in Fang Yan were synonyms in Er Ya. Furthermore, it could be contributed to investigate linguistic origin and identity of Northeastern Arear’s some vocabularies in Fang Yan which were synonyms in Er Ya by this analysis.

      • KCI등재

        중국 漢代 방언사전 『方言』에 수록된 北燕지역 어휘와 고대 몽골어의 친연관계 고찰 試論

        정재남,이도학,변지원 한국몽골학회 2019 몽골학 Vol.0 No.57

        Fang Yan (『方言』), the earliest direct dictionary compiled 2,000 years ago, including 55 regional vocabulary of Beiyan(北燕) in which Donghu(東胡) tribe, an ancestor of Mongolian, had been liv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Beiyan’s vocabularies in Fangyan, it revealed that the regional words were almost insulated against language of Mainland China including Yan(燕) area which was geographically adjacent to Northern Yan, and that Beiyan was classified as one Sprachraum with Chosun area by a high rate common vocabulary. Like vocabularies of Chosun(朝鮮) and Nanyue(南越) region which had been annexed by China, that of Beiyan also showed very high linguistic isolation and identity against ancient Chinese, and great likelihood that Beiyan’s language might be non-Chinese. On the result of reviewing Chinese historical records and Fang Yan’s connectively, it could be deduced that the Donghu ethnic group and ancestor of Korean people had used a common language, which was diversified into Mongolian and Korean language etc. according to diversifying of the ethnic groups into Mongolian and Korean people. By the comparative analysis with classic Mongolian relevant words, 20 of 55 vocabularies, more than 1/3 of Beiyan showed deep phonological and semantical relationship, and 17 of the above 20 words were common vocabulary with Chosun region. But 12 of the 13 lexicon which were used only in Beiyan region could not be connected with classic Mongolian words in phonology probably due to the lexicon might had been ‘creole’ or ‘pidgin’ as a result of combination among ancient Chinese from mainland and non-Chinese local languages in the region for about 300 years since Yan’s political annexation in early BC 3 century. This empirical conclusion could provide valuable clues and evidences for reexamination of previous researches and shed light on tracing the origin of Mongolian language.

      • KCI등재

        <번역논문> 遼寧 朝陽市 半拉山 紅山文化 墓地의 발굴

        정재남 동아시아고대학회 2017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46

        In 2014 through 2016, Liaoning Provincial Institute of Cultural Relics and Archaeology and Longcheng District Museum of Chaoyang City conducted cooperative excavation to the Banlanshan Cemetery, and confirmed that this cemetery has been carefully planned and constructed : the earth was oiled onto mounds on the ground, on which burials and sacrificial facilities were built. In total, 78 burials, one sacrificial altar and 29 sacrificial pits were recovered, the burials of which c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namely earthen pit burials, stone cist burials and cairn burials. The artifacts unearthed in the excavation included pottery wares, some implements and jades, the latter numbered over 140 pieces. In the later period, the cemetery was zoned by function : the burial zone was in the south of the cemetery and the sacrificial zone was in the north. This excavation entirely revealed the construction procedure of the cairn burials of the late Hongshan Culture for the first time, which provided complete date for the research on the construction of the cairn buri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