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1세기 사회변동과 한국 한문학 연구의 방향

        안대회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09 大東漢文學 Vol.31 No.-

        This paper aims to search for the orientation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Research according to the social change in the Twenty- first Century. First of all, I analyze the function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as an independent academic department, though its status is flexible in changing environments. Secondly, I suggest that Korean Chinese Literature should satisfy the various demands for the texts in Chinese from the other areas of humanities as well as carry out its own research in Chinese literature, while participating in diverse interpretations of traditional culture. Thirdly, Korean Chinese Literature needs to promote the international research activities by using the ability of understanding materials in Chinese as one of international written language. Based on these arguments, I present the orientation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research in three parts. The first is that the research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as an academic system and learning should be more strengthened. The second is that the researchers who have a sufficient base for leading Korean Chinese Literature should be constantly produced. The third is that the research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should pay attentions to a variety of spheres over the narrow boundary of department learning and procure a global perspective. 본고는 21세기 사회변동에 따른 한국 한문학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먼저 21세기 사회변동에 따른 한국 한문학의 위상이 가변적이기는 하나 여전히 독립된 학문으로서 기능을 할 것인지 분석했다. 다음으로 인문학의 한 분야로서 한문학이 한문학 고유의 연구를 진행함과 동시에 다양한 인문학의 한문 텍스트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고, 전통문화의 다양한 해석에도 동참하는 일을 병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세 번째로 한국 한문학이 국제적으로 널리 연구되고 한문학자가 국제적 문어인 한문에 대한 장악력을 이용하여 국제적 연구활동을 하는 문제를 다루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21세기 한국 한문학의 연구방향을 세 가지로 모색했다. 먼저 제도와 학문으로서 한문학 연구를 강화해야 한다는 점을 밝혔다. 신생 학문으로서 한국 한문학이 기초에 충실하고 필요한 연구자를 지속적으로 배출하는 것이 중요함을 역설했다. 다음으로 분과학문의 좁은 한계를 넘어 다양한 영역에 관심을 촉발할 것과 국제적 시야를 확보해야 함을 강조했다.

      • KCI등재후보

        泰東古典硏究所와 民族文化推進會國譯硏修院의 漢文敎育과 그 意義泰東古典硏究所와 民族文化推進會 國譯硏修院의 漢文敎育과 그 意義 (김인철)大東漢文學 (第二十二輯)

        김인철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05 大東漢文學 Vol.22 No.-

        The TAEDONG Center for Eastern Classics HALLYM University(泰東古典硏究所) and Korean Classics Research Institute(民族文化推進會 國譯硏修院) are professional Chinese composition education institutions that focus on helping trainees to have accurate interpreting ability in reading Eastern classic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se two institutions’importance in Chinese composition education field just for the fact that they have been teaching Chinese composition for more than 30 years constantly. Contrary to the importance of them, there has been no formal study reported to academic world on actual curriculum or transfiguration of those institutions. Considering the situation, the author tried to provide the history of curriculum and actual state of the two institutions through this paper as simply as possible. Also, this paper defined that the two institutions have significance in Chinese composition education for their fundamental driving force in creative succession and modernization of native culture through systematic education on Confucianism and the main Eastern scriptures. 泰東古典硏究所와 民族文化推進會 國譯硏修院은 모두 연수원들에게 漢字로 된 東洋 古典의 정확한 解讀能力을 保有케 하기 위해 중점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전문적인 한문 교육기관이다. 30여년 이상 변함없이 한문교육을 실시하고 있다는 점 하나만으로도 일단 두 기관이 한문교육과 관련해 갖는 사회적 중요성은 충분히 짐작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의외로 지금까지 두 기관이 행하고 있는 교육과정의 실제나 변모양상 등에 대해서는 정식으로 학계에 보고된 적이 없었던 것 같다. 그러한 점에서 필자는 본고를 통해 양 기관이 지금까지 수행해왔던 교육과정의 역사와 실상을 가능한 한 간명하게 제시하고자하였다. 그리고 두 기관이 한문교육에 대해 갖는 의의를 儒學 및 東洋의 주요 경전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 민족문화의 창조적 계승과 현재화를 위한 根源的인 推動力으로서의 역할에 있다고 규정하였다.

      • KCI등재

        시선집 『靑丘詩鈔』의 편찬과 문학사적 의미

        구지현,최재원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23 大東漢文學 Vol.74 No.-

        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lucidate the background and process in the compilation of selected poems, Cheonggusicho publish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and its meaning in Korean Chinese literature history. Because Kim, Taejun made a diachronic study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history to describe ancient parts of Joseon Chinese Literature History by using a lot of Cheonggusicho. The Competitive Exhibition of Local Products for the Fifth Anniversary of New Politics’ hel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provided an occasion to publish Cheonggusicho. It was held to commemorate the fifth year of Japanese rule of Joseon and to make Joseon merged as a colony of Japan. Though Cheonggusicho was published to commemorate the fifth year of Japanese rule of Joseon, it was not a local product. It seems that its aim was for some Japanese to enjoy Korean folk culture, due to the words in the preface, “to give the books printed by the typographic culture of Joseon to the ‘persons interested in the same subject’”. It is doubtful why Cheonggusicho was taken to Joseon Chinese Literature History. Cheonggusicho consists of 176 poems stemmed from Gojoseon, the first Korean kingdom, to the Goryeo dynasty. Over 130 poems in it were recorded on Dongmunseon. The poems representing each historical era are arranged in chronological order with a poem a poet. It is different from other anthologies. So the origin of Joseon poetry dates back to the earlier era. According to the preface of Joseon Chinese Literature History, it does not belong to Chinese Literature because it is the translated Chinese character version of native Korean words. At that time when Kim, Taejun wrote Joseon Chinese Literature History, Samgukyusa(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began to spread and the literary approach to Hyangga(old Korean folk songs), Korean myths and folktales emerged in the academy. That Chinese Literature in Korea should belong to Joseon Chinese Literature History was under discussion. In conclusion, though Cheonggusicho was published for some Japanese to enjoy Korean folk culture, it is a clue to spread the origin of old Korean literature by Kim, Taejun at that time when the concept of literature began to change. 본 연구는 일본인에 의해 간행된 시선집 『靑丘詩鈔』의 편찬 배경과 그 특이성을 통해 한문학사적으로 어떤 의미를 지녔는지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1931년 김태준은 우리나라 한문학사를 통시적으로 체계화한 『朝鮮漢文學史』의 상대편을 기술하는 과정에서 『청구시초』를 상당 부분 활용하였기 때문이다. 『청구시초』가 발간된 계기는 조선총독부에 의해 개최된 ‘始政五年紀念 朝鮮物産共進會’였다. 공진회는 조선총독부의 5년간 新政 체제가 이뤄낸 실적을 대대적으로 선전하는 데 목적이 있었으며, 궁극적으로는 조선을 동화시키고자 하였다. 『청구시초』가 이러한 공진회를 계기로 만들어지기는 하였으나, 전시된 물품은 아니었으므로 정책상의 목적과 차별되는 점들을 찾아볼 수 있다. 단순히 조선의 활자로 찍은 책을 ‘同好’에게 나누어주기 위해 책을 간행했다고 서문에 밝혔으니, 조선의 물산을 내보이려는 목적보다는 소수의 일본인이 즐기기 위해 기획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지점들로 미루어볼 때, 왜 『청구시초』가 『조선한문학사』에 수용되었는가에 대해서는 의아하지 않을 수 없다. 시선집에 실린 시는 단군조선부터 고려까지 총 176수로 구성되어 있다. 130여 수 이상이 『동문선 』과 일치한다. 각 시대를 대표하는 시들이 시체의 구분 없이 시간 순서대로 나열된 형태를 띠고 있으며, 1인당 한 수의 시가 실려 있다. 이러한 형태는 이전의 시선집과는 다른 지점이다. 특히, 시가의 범주를 느슨하게 설정함으로써 역사서를 수용하는 동시에 한역시의 시대를 고증하여 시대순으로 정돈・배열하면서 조선 시의 기원을 기존보다 앞선 시대에서 찾고자 하였다. 『조선한문학사』의 서론에 의하면, 이는 본래 우리말로 되어 있던 것을 한역한 것이므로 한문학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 시들이다. 고대 한문학이 아닌 고대문학으로 분류될 수밖에 없는 것들이다. 그러나 김태준이 『조선한문학사』를 저술하던 당시 교감본 『삼국유사』가 보급되어 주목받았으며, 향가나 신화, 설화에 대한 문학적 접근이 이루어지면서 조선문학사에 한문 문학을 포함해야 한다는 논의가 이루어지기 시작했을 때이다. 그러므로 상대편의 첫 장을 고대 한문학이 아닌 ‘고대문학의 감상’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이다. 요컨대 『청구시초』는 일본인 호사가들의 조선 취미를 위해 인쇄된 시선집이지만, 문학 개념이 변화되어 가는 시기에 김태준이라는 학자에게 주목받아 고대문학의 기원을 넓히는 하나의 단서로 작용하게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북한의 한문교과서 연구-김정은 시대의 현행 교과서를 중심으로-

        진재교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18 大東漢文學 Vol.55 No.-

        This paper studies Classical Chinese textbook in Kim Jong Un era. The current Classical Chinese textbook was reissued after Kim Jong Un regime of North Korea.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of Classical Chinese in North Korea reduced to three-year course from six-year course, and Classical Chinese textbook was also reduced compared to the same time last year. Composition and content of Classical Chinese textbook changed, and the whole quantity was also diminished in quantity than before. Learning content and Classical Chinese began to lessen. However, textbook’s system and method of organization is systematic and unificative, and it also aims at textbooks of self-directed learning. Also to make up for the lost time and contents, text books were placed learning elements and new words. It is one of the biggest benefits of Classical Chinese textbook in North Korea, and it is also a great step forward in method of organization. It is a unique feature to arouse learner interest utilizing various medias. 이 논문은 김정은 시대의 한문교과서를 분석한 것이다. 현행 북한의 한문교과서는 김정은 정권 등장 이후 새로 간행된 것이다. 현재 북한의 한문교육은 중등학교에서 배우는 年限을 반으로 줄여 6년에서 3년으로 축소하고, 한문교과서 역시 전 시기에 비해 대폭 축소시켰다. 한문교과서의 구성과 내용 역시 바뀌었을 뿐만 아니라 전체 분량 역시 전에 비해 줄어들었다. 과수는 물론 학습할 내용과 학습 한자도 줄었다. 하지만 교과서의 체제와 구성 방식은 체계적이고 통일성을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기주도형 교과서를 지향하고 있다. 또한 교과서에 다양한 학습 요소를 배치하여 새로 배울 한자를 배치함으로써 줄어든 시간과 내용을 보완하고 있다. 이는 현행 북한 한문교과서의 최대 장점이자, 전 시기의 교과서와 비교하면 진일보한 구성 방식인 것이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유도하는 방법을 제시한 것은 예전에 볼 수 없던 특색이자 장점이다. 하지만 한자교육을 위주로 단원을 구성한 것이나, 단원의 내용 또한 북한 체제 선전을 제시한 것에서는 전 시기와 동일하다. 이는 북한이 추구하는 한문교육의 방향과도 무관한 글감이거니와, 주로 사회주의 체제선전과 김일성→김정일→김정은으로 이어지는 우상화와 체제를 선전하는 내용을 강조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는 북한이 추구하는 한문교육의 방향과도 엇나가는 것이기도 하다.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한 『한문』교과 변화의 필요성과 과제

        허철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22 大東漢文學 Vol.71 No.-

        본고는 코로나19로 인해 촉발되고 있는 뉴노멀 교육을 4차 산업혁명기 교육의 지향과 인재상과 연결하여 살펴보고, 『한문』교과가 지향해야 할 태도에 대해 논의하였다. 4차 산업혁명이 요구하는 교육은 근대 이후 형성된 교육과 다른 목표를 가지고 있다. 근대 이전의 교육이 소수의 엘리트 양성을 위한 교육, 혹은 자발적 수요에 의한 직업 교육이었다면, 근대기 형성된 교육은 “질 좋은 노동력” 혹은 “평균 이상의 지식을 습득하고 사회에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보통 능력과 생산과 소비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구성원을 양성”하는 목표를 지니고 있었다. 반면 4차 산업혁명이 요구하는 인간은 “자기주도적으로 현실의 다양한 문제를 인식하고 파악하며 해결하는 과정에 필요한 역량을 지녀, 개인의 역할을 통해 사회 전체의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인간형”이다. 곧 우리 사회는 보통교육이면서도 학습자를 중심과 맞춤이라는 새로운 형식과 내용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한문』교과가 지향할 미래 인재 교육의 방향에 대한 치열한 논쟁, 수요자 중심 맞춤형 교육으로의 전환, 『한문』교과의 과목 구성과 내용 구성에 있어 선택과 집중의 세 가지 관점에서 미래 『한문』교과의 변화 지향을 논하였다.

      • KCI등재

        箴銘類 산문의 전통과 『古鏡重磨方』

        김윤조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19 大東漢文學 Vol.59 No.-

        This is a study on the genre called Jammyung-ryu which is classified as one of the Korean Classic Literature in Prose. The author examined specific aspect of Jammyung-ryu accumulated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focusing on ‘the series of Korean literature works’ published by ‘the Institute for the Traditional Classics of Korea’. In particular, the author investigated what was adopted as the material of the work. If you search ‘the series of Korean literature Works’, there are little Jam and Myung or Jammyung in contents. Most writers and scholars left their work. With regard to the development of Jammyung-ryu in Sino-Korean Literature, the 『Gogyeng jungma bang』 of Tuegae Leewhuang is remarkable. It is based on the achievements of the creation of Jammyung-ryu accumulated before Tuegae, and it is the work that followed the creation of Jammyung-ryu. After Tuegae, sequels were produced by Jichon Lee Heejo in the early 18th, Gyeongam Jo Yeongui in the late 18th, and Park Jaehyeong in the late 19th century. Tuegae's 『Gogyeng jungma bang』 was used as an important teaching material in the study group where the king and his servants joined together during the Yeongjo and Jeongjo periods. This paper has two concerns. One is that what changs Jammyung-ryu prose has over the long period of time from Koryô to the end of Joseon, in terms of material, theme, passage of works or operation of the work, and the other is what role did 『Gogyeng jungma bang』 play in the development of Jammyung-ryu. 본고는 한문 산문의 하나로 분류되는 잠명류에 대한 연구다. 잠명류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은 흔히 접할 수 있지만, 한국 한문학사에 축적된 작품의 양상을 살펴서 그 실상을 파악하기는 아직 해명되지 못한 과제로 남아 있다. 필자는 한국고전번역원이 간행한 한국문집총간을 중심으로, 한국 한문학사에 축적된 箴銘類 작품의 구체적인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국문집총간을 검색해보면 편차에 箴이나 銘 또는 箴銘이 없는 문집은 드물다. 문인 학자 대부분이 작품을 남겼다고 할 수 있다. 잠명류의 속성상 그 소재가 중요하므로, 필자는 작품의 소재로 무엇이 많이 채택되었는지를 우선 조사하고, 시대별 추이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한국 한문학에서 잠명류의 발전과 관련하여, 최초의 잠명류 작품 選集인 퇴계 이황의 『古鏡重磨方』은 주목할 만하다. 중국 작품을 수록하고 있지만, 이후 잠명류 창작을 추동한 저작이다. 퇴계 이후 18세기 초반에 芝村 李喜朝, 18세기 후반에 敬菴 趙衍龜, 19세기 후반에 朴在馨은 각각 속편을 편찬하였다. 퇴계의 『고경중마방』은 영조와 정조조에는 경연에서도 요긴한 교재로 쓰였다. 본고의 관심은 두 가지다. 하나는 잠명이 고려부터 조선 말기까지 긴 시간에 걸쳐 소재와 주제, 작품의 구절이나 운자의 운용에서 어떤 특징과 변화를 보이느냐, 다른 하나는 잠명류 작품의 전개에서 『고경중마방』이 어떤 역할을 했느냐이다.

      • KCI등재

        한국고전번역원 부설 고전번역교육원교육과정의 분석-1974~2017, 44년간 개설과목을 중심으로-

        남지만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18 大東漢文學 Vol.55 No.-

        In this paper, we classify the curriculum of the educational course of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as follows. (1)The first period 1974~1985: Education that had the function of reeducation for the Hanhak students(Classical Chinese generation students) and the translation-oriented education (2)The second period From 1986 to 2007: Replay of the Sodang-style (old Korean tradional school) education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classical Chinese sentence parsing course (3)The third period 2008 ~ present: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the reflection on the education based on the classical Chinese sentence parsing course and the interest in the translation education increased In the first period, there was an emphasis on encouraging existing Hanhak students(Classical Chinese generation students) to advance their research skills and translating into Korean. In the second period, as the number of Hanhak students decreased, Quantity of the classical Chinese sentence parsing courses encreased. In the thirdperiod, the point of education was to strengthen the translation education. The overall trend seems to be that the contents of education have changed passive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rather than preemptively responding to changes. In terms of human resources, it was aimed at talented people with research ability and translation ability at the beginning of the institute. However, since the 1990s, the curriculum has been rather regressive in terms of training functional translation workers. In order to improve this, besides the traditional ‘Munri’ (interpreting ability of Chinese sentenc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education of knowledge and research capability. The current curriculum of the institute is divided into a short term intensive learning course and a maximum of 2 years. The research course is operated by a 2 year deepening course, The process of training classical translators should be shortened to four years. It is advisable that further proficiency is obtained through a separate graduate course. 본고에서는 고전번역교육원의 교육과정을 개설과목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이 시기를 구분하였다. (1)제 1기 1974년~1985년:한학세대 재교육 및 연구・번역 중심의 교육(2)제 2기 1986년~2007년:한문 구문해석과목 중심의 서당식 교육 재연(3)제 3기 2008년~현재:한국고전번역원 설립 이후 구문해석 위주 교육에 대한 반성과 번역 실무교육에 대한 관심 증가 제 1기에는 교육의 목표가 기존 한학출신자들에게 한글 번역 원고 작성을 교육하고 연구능력을 함양하여 역자로 양성하는 데 있었다. 2기에는 한학출신자들이 감소하여 입학생들의 한문능력이 저하되자 한문 문리를 교육하기 위해 한문 구문해석 과목이 증가하여 한문 어학교육의 특성이 강화되었다. 3기에는 한국고전번역원의 설립과 더불어 정책적인 관점에서 교과목의 조정이 이루어졌다. 한문 구문해석과목과 역사과목, 법제, 사상 등 전체 교과목의 균형을 중시하고, 번역실무교육을 강화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44년간의 개설과목에서 나타나는 흐름을 보면 환경의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보다는 입학생의 특성에 따라 교육내용이 수동적으로 변화한 측면이 있다. 인재상의 측면에서 보면 교육원 설립 초기에는 연구능력과 번역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목표였다. 그러나 80년대 중반 이후 교육과정은 한문 구문해석능력 습득에 치중하여 연구측면에서는 오히려 퇴행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기존의 ‘문리’(한문구문해석력) 교육 이외에도, 문장력과 지식 및 연구역량 측면의 교육이 보충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조선~근대 제주 유학 지식인의 형성과 발전에 관한 시론

        김새미오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23 大東漢文學 Vol.75 No.-

        This study examines the patterns of the relationships of confucius scholars of Jeju with those from the mainland during the Chosun period. Ancient literature indicates us that Jeju was the region with very strong shamanism during the Chosun period. This is confirmed in various literature concerning Jeju. However, there are not enough record to cover intellectuals of Jeju. During late Chosun, there appeared numerous confucius intellectuals in Jeju. These figures were formed by the influence of Confucianism in those days. To identify how Confucianism of Chosun was expanded into the border area is the key to understand the Confucianism not only of Jeju but also of Chosun. For this aim, this study examines the background in which the culture of Jeju and confucius intellectuals during the Chosun dynasty era were formed as well as the patters of transformation of the culture of Jeju based upon from shamanism to Confucianism. While confucius ideas spreading, several confucius intellectuals emerged in Jeju as well. Some of them had a network with confucius school in the mainland but some of them did not. it is identified that the schools of Toegyu, Nosa, Hwasea and Kanjae had an exchange with other schools in the mainland. For Nosa school, there are figures such as Ahn Dalsam, Lee Gyejeong, Ahn Byungtak, Kim Sukik. For Hwasea school, there is Kim Heejung who studied Myunam Cho Ikhyun, For Kanjae school, there are Kum Gyungjong, Koh Kyungsu, and Koh Byungoh.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they took the lead in the anti- Japanese movement, and during the Jeju 4.3 incident, they expressed their opinions by acting as central figures of Jeju. It is particularly meaningful that a person connected to the mainland school appears in Jeju. This is because their existence allows us to study how Confucianism took root and expanded in the periphery Jeju where shamanism was strong. Currently, personal collections of writings by Confucius scholars are not systematically organized in Jeju. In addition to the people introduced in this paper, it is highly likely that there is a collection of writings for other confucius scholars in Jeju. It is necessary to organize and arrange such materials step by step for a systematic study. 본고는 조선시대 제주 유학지식인이 본토의 학파와 어떤 관계를 맺었고, 그 양상은 어떠한가를 추적하였다. 문헌기록으로 볼 때 조선시대 제주는 무속이 매우 강한 지역이었다. 이는 제주관련 여러 문헌에서 확인된다. 그렇지만 제주 지식인에 대한 기록은 많지 않다. 조선후기 제주에서도 유학지식인들이 다수 출현하였다. 이들은 당시 유학의 영향으로 성장한 인물이었다. 조선시대 유학이 어떻게 변방으로 확장되었는가 하는 문제는 제주는 물론 조선시대 유학을 이해하는 중요한 키워드라고 할 수 있다. 이런 문제 의식아래 본고에서는 먼저 조선시대의 제주문화와 유학지식인의 형성배경을 확인하고, 무속에서 유교로 전환되는 양상을 점검하였다. 유교사상이 확장함에 따라 제주에서도 유학지식인을 다수 출현하는데, 이들은 본토의 학파와 연결되는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제주와 본토와 연결되는 학파는 퇴계학파, 노사학파, 화서학파, 간재학파가 확인된다. 퇴계학파의 인물로는 張性奎가 있다. 노사학파 인물로는 安達三, 李啓徵을 비롯하여 安秉宅, 金錫翼 등의 인물이 있다. 화사학파는 勉菴 崔益鉉을 배운 金羲正이 있다. 간재학파의 경우는 金景鍾, 高景洙, 高炳五와 같은 인물이 있다. 이들은 일제강점기 때 항일운동에 앞장섰고, 제주 4.3사건 때도 자신들의 의견을 드러내면서, 제주의 중심인물로 활약하였다. 제주에서 이렇게 본토의 학파와 연결되는 인물이 출현하는 것은 남다른 의미가 있다. 이들의 존재는 무속이 강했던 변방 제주에 유교가 뿌리내리고 확장되어가는 모습을 동시에 살필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제주에서는 개인 문집 등이 체계적으로 정리되지 않은 상태이다. 본고에서 소개한 사람들 이외에도 문집이 있을 가능성이 적지 않다. 앞으로 자료들이 꾸준히 정리되어 제주 유학지식인에 대해 섬세하게 정리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 KCI등재

        조선 후기 연행사들의 滿洲・蠻子・㺚子 인식과 事大・華夷觀의 충돌

        박성호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22 大東漢文學 Vol.70 No.-

        본고에서는 명・청 교체 이후의 연행록에 빈번하게 등장하는 滿洲・蠻子 그리고 그들의 중간자적 존재인 烏金朝의 호칭의 연원과, 그들에 대한 연행사들의 인식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㺚子로 불리는 蒙古人들과 그들 중 魚皮㺚子・太極㺚子・大鼻㺚子의 호칭과 인식 양상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淸人을 滿洲라고 부는 것은 後金의 발원지가 만주이니 쉽게 이해가 되지만, 중국 현지에서 漢人을 蠻子라고 부르는 것에 대해서는 연행사들도 이해하기 어려워하였다. 이는 중국의 남방인 吳・越・楚 지역을 蠻이라 부르고 그 지역의 사람들을 蠻子라고 부르던 전통이 明・淸 교체 이후까지 이어져 漢人을 蠻子로 淸人을 滿洲로 호명하던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행사들은 북경에서 자주 㺚子들을 목격하였는데, 그런 달자 중 연행록에서 비교적 자주 언급되는 달자는 어피달자・태극달자・대비달자이다. 연행록에 나타난 㺚子 인식의 큰 줄기는 그들의 육체적인 强大함과 無禮・無識함이었다. 그러나 燕巖은 㺚子들이 중원의 새로운 霸者가 될지도 모른다는 새로운 견해를 제시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러시아인을 뜻하는 대비달자에 대한 연행사들의 인식 역시 달자의 그것과 비슷하게 强大한 육체와 無禮・無識함이 강조되었다. 하지만 鄂羅斯館을 방문했던 연행사들은 그곳에서 자명종 등의 선진문물을 목격하였고, 러시아의 영토가 중국의 3배에 달한다는 말을 전해 듣게 된다. 연행사들은 오랑캐로 인식했던 대비달자들이 文明[華]의 상징인 자명종과 같은 선진문물을 지니고 있었으며, 事大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국토의 면적이, 淸보다 3배 크다는 언급에 대해 ‘이해할 수 없는 일’이나 ‘허풍’으로 치부해버리고 만다. 이는 조선 중기 이후 조선인들에게 내재화 되어있던, 事大와 中華의 핵심인 ‘大’와 ‘華’의 측면에서 중국을 넘어서는 대비달자의 실제를 인정하지 못해 발생하는 현상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전쟁의 공포와 임진왜란기 檄文의 선전・선동 전략

        박정민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22 大東漢文學 Vol.73 No.-

        War, one of the extreme situations in human history, brings ultimate fear to human. And in war manifestos(檄文) which are to be written for the purpose of declaration, oppression, and conciliation during wartime, this “fear” functions as an important factor for logic design.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this inevitable feeling during a war situation is treated in the literary field,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war manifestos writte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Chapter 2, the study examined that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aroused certain emotions - a vague ‘anxiety’ about war and a ‘fear’ towards a definite object. In Chapter 3, the study confirmed that propaganda informing general people of war situat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enemy actually performed a function to develop readers' vague anxiety into definite fear and anger, by looking through propaganda(宣傳) strategies shown in the war manifestos writte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Chapter 4, it also confirmed that the contents of war manifestos written to soothe public anxiety and promote their participation in war and cooperation carried out a function to overpower(威壓) and blow away(揮發) readers' fear, by examining instigation(煽動) strategies shown in the war manifestos writte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War manifestos writte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order to prevent the collapse of the Joseon Dynasty is the product of human will(意志) not to be overwhelmed by uncontrollable anxiety and fear. And the propaganda and instigation(煽動) strategies in the war manifesto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that raised others' will based on that will comes right from the logic of fear that triggers readers' dynamic emotional change. This study considered the war manifestos as ‘a writer's deliberate product to arouse target readers’ passion and behavioral changes' and examined the logic of war manifestos, particularly in association with ‘fear’. I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more diversified war manifesto studies in future. 전쟁이라는 극한 상황은 인간으로 하여금 공포를 야기시키며, 급박한 戰時에 대중을 선포・억압・회유하기 위해 작성되는 격문에서는 ‘공포’의 정서가 논리 설계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임진왜란기 격문을 대상으로 전쟁 상황에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인간의 공포가 문학 공간 안에서 어떻게 다루어지는지 탐색해보았다. 2장에서는 임진왜란이 야기하는 전쟁으로 인한 막연한 ‘불안’과 대상에 대한 명확한 인지 후에 찾아오는 ‘공포’의 차별성을 살펴보았다. 3장과 4장에서는 격문의 논리가 전쟁 상황과 적에 대한 정보를 대중에게 알리는 ‘宣傳’, 그리고 불안한 민심을 진정시키고 대중의 참전과 협력을 촉구하는 ‘煽動’의 전략으로 구현되었음을 각각 살폈다. 그 결과 임진왜란기 격문의 ‘선전’ 전략은 독자의 막연한 불안을 명확한 공포와 분노로 변환시는 기능을 수행하고, ‘선동’ 전략은 독자의 공포를 위압시키고 휘발시키는 기능을 수행함을 확인하였다. 조선의 壞滅을 방지하기 위해 작성된 임진왜란기 격문은 제어하기 힘든 불안과 공포에 무기력하게 압도되지 않으려는 인간 의지의 산물이다. 그리고 타인의 의지를 곧추세우는 임진왜란기 격문의 선전・선동 전략은 독자의 역동적 심리 변화를 이끌어내는 ‘공포’의 논리에서 비롯된 것이다. 격문을 ‘특정 독자의 격정과 행동 변화를 도모하기 위해 작성된 작가의 의도적 산물’로 간주하고 격문의 논리를 공포의 정서와 연계하여 살핀 본 연구가, 다각적인 격문 연구의 발전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