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아시아학술원 20년 철학방면 연구성과 ― 유학과 경학 방면 연구를 중심으로

        李昤昊 ( Lee Young-ho ),金渡鎰 ( Kim Doil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0 大東文化硏究 Vol.112 No.-

        동아시아학술원의 대표적 연구공간은 대동문화연구원, 유교문화연구소, 학술원 산하 인문한국연구소 등이다. 이 세 단위 연구기관에서 이루어진 철학 방면 연구는 주로 저술(저역서, 영인출판)을 통해 수행되었으며, 학술대회와 자료구축을 통해서도 그 연구의 영역을 확장하였다. 유교문화연구소에서는 학술원 개원 이래 ‘유교문화번역총서’와 ‘유교문화연구총서’를 통해 유학의 현대화 문제에 천착하였다. 그리고 2000년대 이후 이루어진 학술대회에서도 ‘경학(유학)’의 현대화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에 비해 동아시아학술원 인문한국연구소에서는 한국유학(경학)을 기반으로 하는 동아시아 고전철학의 모색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활동을 하였는데, 최근에 이르러서야 동아시아적 연대의 단초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대동문화연구원에서는 영인총서를 통하여 조선유학(경학)의 연구의 기반을 구축하였는데, 이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매우 중요한 학술적 자산으로 자리하게 되었다. 한편 자료구축의 측면에서는 유교문화연구소의 ‘유경정본화사업’, 인문한국연구소의 ‘한국경학자료시스템’, ‘한국주자학용어시스템’을 거론할 수 있다. 이 세 사이트에서는 한국 유학, 특히 한국 경학에 관한 자료 구축의 전범을 보여주었다. 향후 한국고전철학연구에 있어 필수불가결의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동아시아학술원은 지난 20년 동안 이룩한 고전철학 방면의 성과를 토대로 앞으로 연구의식의 심화와 자료구축의 확장을 도모하려고 한다. 이 과정에서 현재까지 진행된 동아시아 고전철학연구에 대하여 비판적 관점을 견지하고, 새로운 문제의식을 도출해야 할 것이다. 동아시아 혹은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자생의 학술담론은 이러한 관점과 의식을 통해서 가능할 것이기 때문이다. Three representative research institutes of the Academy of East Asian Studies are Daedong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Institute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s, and Humanities Korea Project Institute. Their philosophy research was mainly conducted through writing (publication of books, translated works, and photocopy editions) by these three and has been expanded its scope through academic conferences and establishing database. Since its opening of the Academy, the Institute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s has published Confucian Culture Translation Series and Confucian Culture Research Series to address the issue of the modernization of Confucianism. Also, academic conferences held since the 2000s focused on the modernization of the Confucian studies (Confucian Classics). In contrast, the research by the Humanities Korea Project Institute has been focused on East Asian classical philosophy based on Korean Confucianism, and only recently has the foundation of East Asian solidarity been established. In addition, the publication of Classic Photocopy Series by the Daedong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laid the foundation for the study of Joseon Confucian classic, which has become a very important academic asset, both at home and abroad.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database establishment, the Institute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s 유경정본화사업 Project, the HK's Korean Confucian Classics Data System, and the Terminology Data System of Zhu Xi's Learning can be discussed. These three sites are good examples of the establishing database on Korean Confucianism, especially Korean Confucian Classics. This is indispensable database for future research on Korean classical philosophy. The Academy aims to deepen research awareness and expand its database archiving based on the achievements in classical philosophy over the past two decades. In this process, we will maintain a critical view of East Asian classical philosophy research so far and endeavor to identify problems. Based on this, we will ultimately seek out a self-sustaining academic discourse that is recognized in East Asia of globally.

      • KCI등재
      • KCI등재

        4-6세기(世紀) 동아시아에서의 문헌(文獻)의 유통(流通)과 확산(擴散)

        김경호 ( Kyung Ho Kim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4 大東文化硏究 Vol.88 No.-

        농업을 경제 기반으로 하는 동아시아 지역이 근대국가로 진입하기 이전까지 중국의 군현 통치 외연에 있었다는 사실은 이른바 ‘동아시아’지역의 문화적 통합이 秦漢시기 이래로 줄곧 강화되어 왔음을 의미한다. 또한 문화적 통합의 핵심적 요소는 중국의 한자, 율령, 유교.불교 및 도교이며 정치적 문화적 여러 요소들 역시 모두 한자를 매개로 전파되었기 때문에 동아시아세계를 ‘漢字文化圈’이라 정의하기도 하였다. 동아시아와 관련한 종래의 문헌 관련 연구 내용은 주로 한자의 성립이나 전파 또는 각 지역에서의 그 사용 실태 등에 집중되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종래 연구에 기초하여 종이의 사용 이후, 後漢末.魏晋時期 민간사회에서의 문헌 유통의 내용과 위진시기(4~6세기) 이후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한 동아시아 세계로의 문헌유통과 그 의미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고대 중국에서 제작.유통된 문헌이 주변 국가에서 유통되었다는 사실은 중국 문화의 선진성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지만 주변 국가는 중국 문화를 수용함과 동시에 독자적인 고대국가로 성장.발전하였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까닭에 주변 국가에 한자와 문헌이 유통.확산되면서 중국을 중심으로 한 朝貢秩序體制가 형성되었으며, 각 국이 고대 국가로 발전하면 할수록 주변 국가의 한자 문화가 중국과 대등한 수준으로 발전한 것이다. 본문의 내용에서 검토한 이른바 “중국과 동일하다(同於中國)”이나 “중화의 법에 의존한다(依中華之法)” 등의 표현은 이러한 정황을 반영한 표현일 것이다. 따라서 삼국에서 가장 늦은 시기에 중국의 문물을 받아들인 新羅 元聖王 4년(788)에 실시한 讀書三品科의 교재로서 五經과 史書 및 諸子書를 채택하고 있는 것은 중국 문헌에 대한 熟知의 정도가 관리 선발의 기준이었을 뿐만아니라 중국에서 유통된 문헌이 신라 사회 전반에 보급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근대 동아시아 사회질서는 조공과 책봉체제를 중심으로 형성되었을지라도 동아시아 각국에서는 자국의 독자적 문화와 중국문화를 융합하여 중국과는 다른 새로운 문화를 형성할 수 있었다. 新羅에서 吏讀의 사용을 통한 기록이나 한자를 기초로 만들어진 일본의 히라가나(平假名)와 가타카나(片假名)가 그 좋은 사례로서 동아시아 각국에서의 문화가 유통되고 확산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East Asia that based on the agriculture economy was in the extension of Gun-Hyun government before the process of transition to the modern state. This fact means cultural integration in East Asian has been continually strengthened since Qin and Han Dynasties. Because Chinese character, law code, Confucianism·Buddhism·Taoism were the core components of cultural integration and all the political and cultural components were spread by Chinese character as well, East Asian world was also defined as Chinese Characters-Using Area. The former studies about East Asian literature were mainly focusing the establishment, diffusion and reality of usage, etc in each area of Chinese character. Based on these former studies, this paper organized the distribution of literature in civilian society in the Late Han and Wei-Jin period after the usage of paper, and the distribution of literature in East Asia area and its meaning which began in earnest from Wei-Jin period(4th-6th century) as follows. The fact that literature made and distributed in ancient China spread into neighboring countries shows the advancement of Chinese culture, meanwhile it means neighboring countries had to accept the advanced culture and develop into ancient countries. The more actively Chinese character and literature spread in neighboring countries, the China-centered tribute system formed; the more developed into ancient country, the Chinese character culture in neighboring countries reached in a equal level with China. The expressions like the same as China or based on the Chinese law used in this paper reflect this situation. The Five Classics(五經), History book(史書) and All Classes of Others(諸子書) were chosen as textbooks of Employment of Officials in Three Ranks(Dokseosampumgwa, 讀書三品科) which carried out in King Wonseong(元聖王) 4(788) in Silla, the latest country of accepting the Chinese civilization among three countries. This tells us that the degree of understanding about Chinese literature had become the standard of selecting the government officials, and the literatures distributed in China had been diffused in the whole Silla society.

      • KCI등재

        동아시아 표류서사(漂流敍事) 서설(序說) ― 동아시아 해양문화의 단서(端緖)로써

        정환국 ( Jung Hwan-kuk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7 大東文化硏究 Vol.100 No.-

        이 글은 동아시아 초기서사, 그 중에서도 불교 영험서사로 구축된 漂流談에 주목한 것이다. 일개인이 바다에서 조난을 당해 표류했다가 佛力의 구원을 받아 生還하는 패턴을 보이는 이야기群이다. 이런 소재가 한·중·일 초기서사에 공히 등장한 점에 착목하여 그 양상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이 분야가 동아시아 해양문화의 성격을 규명하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요컨대 전근대동아시아 문화 권역으로써 대륙문화에 상응한 해양문화권을 설정하고, 향후 양자가 對稱性의 차원에서 균형 잡힌 동아시아 문화담론으로 수렴되기를 기대하면서 그에 관한 一端의 사례를 피력한 것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동아시아 해양문화의 記標인 표류서사를 본격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前史로써 우선 초기 표류담에 주목한 것이다. 향후 이를 통해 구체적인 표류서사의 양상과 그 성격을 밝혀보고자 한다. 그런데 동아시아의 해양과 거기서 산생된 표류담은 흥미롭게도 불교의 東漸에 따른 불교영험담의 형태로 처음 등장한다. 바다에서 표류했다가 ‘觀世音’을 염송한 끝에 기적적으로 생환한 내용들이다. 표류 주체들에게는 대개 강과 바다가 생업의 공간이었던 바, 항상 이런 위난에 노출되어 있었다. 이를 불력이 개입하여 해결해 준다는 이들 이야기는 해양에서의 고난 과정보다는 절체절명의 위기에서 어떻게 구원되는가 하는 쪽에 초점이 맞춰졌다. 이런 사례가 처음 등장한 중국의 육조시대부터 唐代, 한국의 나려시대, 그리고 일본의 헤이안시대의 대상 작품들을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동아시아 삼국의 이런 표류담은 대개 비슷한 형태를 띠고 있으나 조금씩 다른 점들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동아시아 표류담은 향후 불교적인 색채를 벗고 색다른 방식으로, 즉 표류 경험인의 체험과 욕망이 드러나는 쪽으로 변화하는 지점들이 포착되는데, 이는 앞으로 더 고구해야 할 사안이다. 아무튼 동아시아 해양문화라는 측면에서 표류서사를 앞으로 여타 다른 해양문화적 요소들과 결부시킬 수 있다면 좀 더 생산적인 논의가 될 것으로 기대해 본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drifting records of Buddhist divine effect narratives in early East Asian narratives. These records have a pattern of narrative where a person adrift on the sea is being saved by Buddhist power to return home al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ppearance of this type of material in early East Asian narratives. In addition, a special characteristic of East Asian Marine Culture could be indexed. A case is being discussed for East Asian Marine Culture to be symmetrically balanced with East Asian Continental Culture. Furthermore,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aspects of drift narratives. Interestingly, most East Asian Marine narratives appear in a form of the propagation of Buddhism where a person miraculously returns home alive by reciting 'Gwan-se-eum(觀世音)'. Many people then were endangered by the sea or the river because these places were where the people could make a living. However, these stories of people being saved by Buddhism do not always focus on 'where' people suffer, which is mostly the ocean, but 'how' the are being saved in a difficult situation. The case appeared in the Six Dynasties and followed. The narratives of China's Tang Dynasty, Korea's Silla-Goryeo Dynasty and Japan's Heian Period were chosen to be investigated. The narratives of the three countries in East Asia showed similar form but some differences were noticed in the form of stories. The narratives of drifting in East Asia change their nature subsequently in order to show the experience or desire of the adrift person. This change needs to be researched later on. On the other hand, the drift narratives could be linked with other marine cultural elements for more productive discussions.

      • KCI등재

        북위후기(北魏後期) 낙양(洛陽) 거주 서역인(西域人)과 서역문화(西域文化)

        최진열 ( Jin Yeoul Choi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4 大東文化硏究 Vol.87 No.-

        본 논문은 북위후기(北魏後期) 낙양(洛陽)에서 활동했던 서역인(西域人)과 서역상품(西域商品), 서역문화(西域文化)를 다루었다. 북위후기(北魏後期) 수도 낙양(洛陽)에는 관리(선건(善乾)과 안토근(安吐根), 화안(和安))와 무사(武士), 황제(皇帝)의 후궁(우선희(于仙姬)), 상인(商人), 악인(樂人), 무인(舞人), 승려 등 다양한 직업에 종사하는 서역인(西域人)이 거주하였다. 『낙양가람기(洛陽伽藍記)』에 따르면 북위후기(北魏後期) 이후 낙양(洛陽)의 인구는 10만 9천여 戶였다. 서이(西夷), 즉 西域人이 거주했던 모의리(慕義里)에 거주하는 1만 호(戶)는 洛陽 전체 호수(戶數)의 9.1%에해당한다. 『자치통감(資治通鑑)』에 따르면 북위(北魏)의 수도 洛陽에 체류한 중앙아시아 출신 승려가 3천여 인이었고, 당시 북위(北魏)의 선무제(宣武帝)가 영명사(永明寺) 천여간(千餘間)를 세워 이들을 거주하게하였다. 뿐만 아니라 경명사(景明寺)에도 서역호(西域胡) 사문(沙門)이 거주하며 수도하였다. 이처럼 北魏後期의 수도인 洛陽 인구의 10%를 상회하는 西域人들이 당시 洛陽의 문화에 영향을 주었다. 西域人들은 서역(西域)의 불교(佛敎)를 북위(北魏)에 전파하고 유리제품과 은세공품 등서역산(西域産) 제품과 호상(胡床)·호가(胡家)·비파(琵琶) 등의 악기(樂器)를 들여왔으며 서역(西域)의 잡기(雜技)와 가무(歌舞)를유행시켰다. 北魏後期 수도 洛陽에는 西域人뿐만 아니라 다양한 외국인이 거주하였다. 『낙양가람기(洛陽伽藍記)』 「성남(城南)」 선양문조(宣陽門條)에 따르면 영교(永橋) 남쪽에 김릉관(金陵館)·연연관(燕然館)·부상관(扶桑館)·엄자관(嚴自館) 등 북위(北魏)에 귀부(귀부(歸附))한 외국인들을 수용하는 사이관(四夷館)이 있었다. 北魏에 귀부한 외국인들은 이곳에서 3년을 지낸 후에 남조(南朝) 출신(원문에는 오인(吳人))은 귀정리(歸正里), 북이(北夷)는 귀덕리(歸德里), 동이(東夷)는 모화리(慕化里), 서이(西夷)는 모의리(慕義里)로 옮겨 거주하였다. 洛陽에서 출토된 도용(陶俑)을보면 洛陽에는 아프리카 흑인과 아라비아인도 살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 중앙아시아나 몽골고원의 유목민과 고구려인(高句麗人)들도 거주하였다. 이처럼 ‘국제도시’ 洛陽에서 거주했던 한인(漢人)이외의 다른 종족(種族)들은 어느 정도 자신의 문화와 습속을 유지하며생활하였다. 洛陽에 거주했던 西域人과 西域文化는 洛陽에 漢人과 한문화(漢文化)만 존재했을 것같은 선입견이 잘못되었음을 보여준다. 西域人과 西域文化는 호인(胡人)(유목민)들이 漢人과 漢文化에 일방적으로 경도(傾倒)되는 것을 막는 완충적인 역할을 했을 것이다. 洛陽에 살았던 북방의 유목민, 고구려(高句麗) 등 만주와 한반도의 사람들, 남조(南朝)에서 귀화한 사람들, 중앙아시아와 인도, 페르시아 등 西域 사람들의 고유 문화도 다른 種族들에게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따라서 北魏의 호인지배층(胡人支配層)이 일방적으로 漢文化만을 수용한 것이 아니라 다양한 種族의 문화를 섭취할 수 있는 공간이 바로 洛陽이었다. In this essay, I analyzed the people, goods and the culture of Western Region in Luoyang in last half of BeiWei Dynasty. There were many people of Western Region such as officials, soldiers, royal concubines, merchants, musicians, dancers, and Buddhist priests etc in Luoyang, capital city of BeiWei Dynasty. According to “The Monasteries of Luoyang”(Luoyang qielan ji), population of Luoyang were 109,000 households or so, where ten thousands of people from Western Region lived, 9.1 percent of Luoyang population. Furthermore, at least 3 thousands of Buddhist priests from Western Region were engaged in missionary work and meditated in the temple of Yongming and Jingming in Luoyang. The one-tenth people from Western Region affected the culture of Luoyang. For example, they brought Buddhism into the Luoyang and around the city, sold the glassware, silver wares, table of Western Region, and the musical instruments such as the hujia, Western mandolin and so on. Many kinds of acrobat, music and dance from Western Region were spreaded in Luoyang. There were also many other foreigners in Luoyang, such as the Afiricans, the Arabs, nomads from Central Asia or the Mongolia grassland, the Koguryo people, and the Chinese from Sourther China called Souhtern Dynasties(Nanchao). They lived in Luoyang, mantaining their orginal food, clothing and shelter, languages, and other native customs. The people and the culture of Western Region in Luoyang in last half of BeiWei had the shock absorbing role between the Xianbei people and the Chinese people, or between the culture of Xianbei or nomad culture and the Chinese culture. The foreigners from the Afirica, Arab, Central Asia or the Mongolia grassland, Koguryo and Souhtern Dynasties in Luoyang made achievements in cultural interaction. Luoyang, the capital city of BeiWei in last half of BeiWei Dynasty was not a melting pot of race and culture but a salad boul of of race and culture, Which was attributed to the people of Western Region.

      • KCI등재

        쏘련을 향하여 배우라 ― 1945~1948년 조소문화협회(朝蘇文化協會)의 조직과 활동

        유기현 ( Ryu Kee-hyu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7 大東文化硏究 Vol.98 No.-

        본고는 1945년부터 1948년까지 조소문화협회의 조직 과정과 활동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문화 건설`의 측면에서 북한의 국가 건설 과정을 분석한다. 1945년 11월에 창립된 조소문화협회는 초기에는 지식인 중심의 `문화운동 전위단체`를 지향했다. 그러나 1946년 말~1947년 초, 냉전이 공식화되고 분단의 가능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북한 지도부는 건국을 위한 `사상개혁` 운동을 한층 강화했다. 북한은 `건국운동`의 성공을 위해서는 인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중요하며, 소련의 `선진 문화`와 국가 건설 경험을 대중적으로 학습하는 것이 그러한 참여를 이끌어내는 데 중요한 동력이 될 것이라 인식했다. 이에 따라 북한 지도부는 1947년 초 대대적인 개편작업을 통해 노동자·농민 등 광범한 대중을 회원으로 포괄하는 `군중단체`로 협회의 면모를 새롭게 했다. 소련 `선진 문화`에 대한 학습이 전 인민적 실천운동의 지위를 부여받으면서 조소문화협회는 단기간 안에 농민·노동자 속에서 다수의 회원을 확보하고 중앙본부에서 조소반으로 이어지는 수직적인 조직체계를 완비했다. 조소문화협회는 북한이 국가 건설 과정에서 소련 문화를 매개로 인민들의 사상·의식을 환기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북한 정권은 협회를 통해 수입한 소련 문화를 통해 자칫 모호해 질 수 있는 건국의 노선·방략을 명확히 하고자 했다. 전국적으로 구축된 조소문화협회의 조직을 통해 보급된 소련의 문화적 양식은 북한 문화의 기본적 틀을 만드는 데 기여했다. This paper analyzes North Korea`s state-building process in the viewpoint of `cultural construction`, by studying Korea-Soviet Cutural Association(KSCA)`s organization and activities from 1945 to 1948. Soviet Union`s culture had an important impact on the making of North Korea`s culture during the `state-building period`, and KSCA functioned as North Korea`s key channel to accept and study Soviet`s culture. This research examines KSCA`s overall organization and activities, analyzing the reason why North Korean regime tried to propagate Soviet`s culture and their experiences in socialistic nation building. KSCA started as a friendship organization between Soviet armed forces and Korean leaders right after Soviet`s occupation of north of the 38<sup>th</sup> parallel. KSCA changed its identity as a cultural exchange organization after `trusteeship crisis` of early 1946, setting up branch offices in North Korea`s major cities, publishing magazines, and establishing relationship with Soviet`s All-Union Society for Cultural Relations with Foreign Countries (VOKS). At this time, KSCA aimed to be an intelligentsia-oriented group professionally researching and popularizing Soviet`s culture. However, KSCA`s character fundamentally changed due to North Korea`s political changes around late 1946 to early 1947. North Korean regime initiated `ovement for Mobilizing Nation-Founding Ideology (Kunguk Sasang Chongdongwon Woondong)` to promote the people`s reformation of thoughts. North Korean people`s active participation was a key to succeed in these nation-building works, and propagating Soviet`s `advanced culture` and their historical experiences would be a great impetus for the regime to motivate the people. As a result, North Korean regime transformed KSCA from intelligentsia-centered group to mass organization embracing hundred thousands of peasants and laborers as members. In conclusion, KSCA played a key role in ideology education of North Koreans by using Soviet culture. Most of socialist countries also had similar kinds of friendship associations with the Soviet Union, but their functions were limited in the field of cultural exchanges. On the other hand, KSCA actively collaborated with North Korea`s national tasks of liquidating colonial inheritance and constructing new culture, showing clear differences over the other socialist countries` friendship associations.

      • KCI등재
      • KCI등재

        냉전텍스트 『실패한 신(The God That Failed)』의 한국 번역과 수용의 냉전 정치성

        李奉範 ( Lee Bong-beom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2 大東文化硏究 Vol.117 No.-

        이 글은 1949년 문화냉전이란 분명한 의도에 의해 기획·탄생한 『실패한 신(The God That Failed)』이 한국에서 번역되는 맥락과 그 수용의 양상에 초점을 두고 『실패한 신』이 지닌 냉전텍스트로서의 위상과 그 영향을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패한 신』은 공산당에 입당했거나 공산주의에 동조한 바 있는 스티븐 스펜더, 아서 쾨슬러, 이냐치오 실로네, 리처드 라이트, 루이스 피셔, 앙드레 지드 등 저명한 서구지식인들의 공산주의 가담, 체험, 환멸, 탈퇴의 과정을 상세히 고백한 공산주의체험 에세이집이자 공산주의 (재)전향의 기록이다. 이 전향텍스트의 특장은 공산주의 이데올로기(소비에트체제)/자유주의 이데올로기(자본주의체제)에 대한 동시적인 비판이라는데 있다. 그러나 『실패한 신』은 CIA의 문화냉전 전략에 의해 공산주의(체제) 실패를 입증해주는 결정적 증거로 의미화 되면서 문화냉전의 대표적인 심리전 텍스트로 활용되었다. 또한 문화자유회의를 비롯한 국제적 냉전문화기구를 매개로 세계적인 확산과 냉전텍스트로서의 권위와 영향력이 확대되기에 이른다. 따라서『실패한 신』은 문화냉전의 세계적 연쇄와 냉전지식의 동아시아적 및 한국적 변용을 동시에 파악할 수 있는 보기 드문 텍스트라고 할 수 있다. 이 같은 문제의식 아래 본고는 『실패한 신』의 한국 번역 및 수용의 양상을 연대기적으로 살피는 가운데 네 가지 지점을 해명하는데 주력했다. 첫째, 문화냉전의 세계적 연쇄와 냉전지식의 한국적 변용에 대해 탐색이다. 국제적 냉전문화네트워크와의 연계하에 이루어진 한국에서의 번역메커니즘과 복수의 번역주체가 변용·전유한 냉전정 치성을 파악함으로써 한국 냉전문화사의 특수성을 규명하고자 했다. 둘째, 『실패한 신』의 번역 실제에 대한 총체적 정리이다. 셋째, 전향 의제의 냉전정치성과 사상사적·문화사적 영향이다. 넷째, 동아시아 문화냉전의 기원에 대한 비교사적 고찰이다. 큰 시차 없이 한국 및 동아시아 국가들에 번역되는 특징에 주목하여 그 수용의 공통점과 차이를 비교사적으로 분석하여 냉전아시아 문화냉전의 기원을 탐색하고자 했다. 『실패한 신』의 한국 수용은 냉전분단체제의 거시적인 규율 속에 반공산주의의 정당성을 확증해주는 텍스트로, 체제옹호를 뒷받침해주는 대내외 심리전텍스트로 두루 활용되는 기조가 유지되었다. 좌익에 남아 있던 공산주의전력자의 증언으로만 구성한 『실패한 신』의 텍스트성과 그로 인해 출간 당시 『실패한 신』 및 저자들이 좌우 진영 모두로부터 의혹과 비판을 받은 바 있는 이 냉전텍스트가 한국에서는 반공산주의텍스트로 비교적 단일한 의미 변용을 거쳐 수용되었고, 그것이 오랫동안 지배적으로 관철된 특징이 있다. 포도레츠가 특히 경계했던 제3세계에서 이 텍스트의 반공주의 지식으로서의 불충분성과 반 소주의의 정치적 미흡함이 한국에서는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실패한 신』의 기획 의도가 한국에서 가장 실질적으로 구현되었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것이 가능했던 원천은 냉전분단체제하 사상 전향이 내포한 강력한 이데올로기적 구속성 때문이었다. 이 같은 수용은 지배 권력의 통치술로 확대 강화된 면이 컸으나 한국사회에 광범하게 정착된 냉전멘털리티가 이에 못지않게 작용했다는 판단이다. 특히 공산주의의 실제 체험은 『실패한 신』의 냉전텍스트성과 심리전 효과를 증폭시키는 주된 바탕이었다. 이는 동아시아국가들의 번역 수용과도 구별되는 지점이기도 하다. 『실패한 신』은 문화냉전텍스트로 규정되어 전파되었으나 그 내용과 영향을 고려하면 러시아혁명 이후 20세기 세계사를 포괄한 지성사의 텍스트라고 할 수 있다. 공산주의전력자들의 사상적 고뇌와 지적 유토피아니즘에 대한 복원이라는 관점에서 『실패한 신』의 재독이 필요한 시점이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context in which 『The God That Failed』, which was planned with the clear intention of the Cultural Cold War in 1949, was translated in Korea and the aspect of its acceptance, and aims to investigate its status as a Cold War text and its influence. 『The God That Failed』 is a collection of essays on communism experience and a record of conversion to communism, which confessed in detail the process of joining, experiencing, disillusioning, and withdrawing from communism by prominent Western intellectuals who joined the Communist Party or sympathized with communism. The special feature of this conversion text is that it is a simultaneous critique of communist ideology(Soviet system)/liberal ideology(capitalist system). However, 『The God That Failed』 was used as a representative psychological warfare text of the Cultural Cold War as it was meant as decisive evidence to prove the failure of communism by the CIA’s Cultural Cold War strategy. In addition, through international Cold War cultural organizations, including the Cultural Freedom Council, it has spread worldwide and its authority and influence as a Cold War text have been expanded. Therefore, 『The God That Failed』 can be said to be a rare text that can simultaneously grasp the global chain of the Cultural Cold War and the East Asian and Korean acculturation of the Cold War knowledge. The acceptance of 『The God That Failed』 into Korea was maintained as a text that confirms the legitimacy of anti-communism in the macroscopic discipline of the Cold War system, and is widely used as a psychological warfare text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to support the advocate system. In Korea, it was accepted as an anti-communist text through a relatively single meaning change, and it has a characteristic that it has been dominantly carried out for a long time. It can be said that the insufficiency of this text as anti-communist knowledge and the political inadequacy of anti-Sovietism in the Third World, which Podhoretz was particularly wary of, did not exist in Korea. This shows that the planning intention of 『The God That Failed』 was most practically implemented in Korea. This was possible because of the strong ideological constraints implied by the ideological conversion under the Cold War system. This acceptance was largely strengthened by the ruling art of the ruling power, but it is judged that the Cold War mentality that was widely established in Korean society worked no less than this. In particular, the actual experience of communism was the main basis for amplifying the Cold War textuality and psychological warfare effect of 『The God That Failed』. This is also a point of distinction from the acceptance of translation by East Asian countries.

      • KCI등재

        친선과 연대의 정치성 : ― 『韓中文化』와 중국발 모더니티의 수용을 중심으로

        崔珍豪 ( Choi Jin-ho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9 大東文化硏究 Vol.106 No.-

        본 논문은 해방기 잡지 『韓中文化』를 중심으로 한국의 중국 모더니티 수용 양상을 다루었다. 해방된 한국 사회는 당면한 한국 사회의 모순을 해소하기 위해 중국과의 협력과 연대를 고민한 바 있다. 국공의 분열과 대립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중국’은 자신의 ‘운명’을 ‘신민주주의’ 속에서 탐색하고 있었다. 이것이 정치적 입장차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지식인들이 중국을 통해 새로운 지적·문화적 가능성을 찾고자 한 배경이다. ‘韓中文化協會’와 『韓中文化』 역시 이런 지적 자장의 일부분을 구성했다. 그러나 냉전의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신민주주의’ 관련 담론들은 공론장에서 사라진다. 해방기 한국 사회에서 장제스와 마오쩌둥으로 상징되는 중국의 두 모더니티가 충돌했고, 마오쩌둥으로 상징되는 모더니티는 은폐된 것이다. 한국과 중국의 친목과 연대를 말하는 『한중문화』는 이 충돌과 은폐를 역설적으로 보여준다. 『韓中文化』는 중국과의 문화적 교류를 역설했음에도 불구하고, ‘현실중국’의 변화를 사고하지 못했다. ‘문화와 전통’을 공유한 집단의 연대와 교류만을 상정하고, ‘적’으로 상징되는 ‘사회주의 중국’애 대한 이해를 포기하는데 이로 인해 당대 중국을 이해할 전망을 상실한다. 혁명의 역동성으로 상징되는 ‘중국문제’의 정치성이 제거되자 현재의 중국이 아니라 ‘과거의 전통 중국’만이 남게 된다. 결국 해방기 ‘중국’을 다룬 종합잡지였던 『한중문화』는 현실의 중국을 사고할 수 없었다. 그리고 역동적 중국 이해를 포기하는 순간‘중국 문화’를 이해할 수 없게 되었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한중문화’의 상호 교류가 불가능하게 된 이유를 돌아본 순간, 한국인들의 통념화 된 중국이해와 대면하게 된다. 이런 의미에서 『韓中文化』의 중국의 모더니티의 수용은 친선과 연대로 표명되는 한중교류의 한계와 가능성을 드러낸다. In this research, I analyzed the Chinese related books produced and distributed in the Liberation Period, and the 『Korean-Chinese Culture』 issuing process by the culural association of Korea-China and the discourse contained in it. It is work to materialize the historical context of understanding to China at this time. At that time, Korean society thaught about cooperation and solidarity with China in order to resolve the contradiction of Korean society. Despite the differences between left and right political positions, Korean society looked for new intellectual and cultural possibilities in China. These facts are the background of the Korea-China Cultural Association and the Korea-China culture that interested in Chinese Modernity. Under the influence of the Cold War, Chinese socialists' interest in Korean society had disappeared from the surface. 『Korean-Chinese Culture』's attitude of solidarity with 『Korean-Chinese Culture』 shows this kind of aspect well. 『Korean-Chinese culture』 did not think about the actual driving force of China despite talking about goodwill and solidarity with China. By abandon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nemy, it abandoned the possibility of understanding modern China. The political nature of the "Chinese issue" symboliz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revolution has disappeared. As a result, in China's intellectual discourse, real China has disappeared and only past China has remained. However, paradoxically, at the moment of thinking about conditions that China and Korea can not interact, someone were able to dismantle Korean's understanding of China's popularized China. In conclusion, China's modernity acceptance of 『Korean-Chinese Culture』 shows another possibility from the limit of Korean-Chinese exchange consisting of goodwill and solidarity names.

      • KCI등재

        특집논문 : 조선후기 부세수취 관행과"중간비용" ; 대동법(大同法) 시행 이후 중간비용의 처리양상과 과외별역(科外別役)의 문제

        최주희 ( Joo Hee Choi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5 大東文化硏究 Vol.92 No.-

        17세기 후반부터 전국에 확대 시행된 대동법은 현물납에 따른 民役의 부담을 대폭 완화시켜준 조치였다. 각도 대동사목이 작성되는 과정에서 운송비[船馬價·태價]와 수수료[作紙·役價]의 일부가 大同儲置米(餘米)와 上納米내에 포함되었다. 문제는 선혜청이라는 대동세의 출납기구가 신설되고, 중앙의 공물조달체계가 재편되는 과정에서 새로운 중간비용이 창출되었다는 점이다. 군현에서 대동세를 상납할 때 선혜청에 人情米를 바쳤으며, 공인들이 왕실과 정부각사에 공물을 진배할 때에도 人情·作紙를 별도로 납부하였다. 또 대동세 수취시 잉미[1,000석 당 20석]를 더 거두고 공인에게 공물가를 지급할 때에도 空石價[1석당 2승]를 추가로 징수하여 선혜청의 청사유지비와 관원의 인건비로 썼다. 특히 공인들에게는 무상의 과외별역이 부과되었는데, 이것은 18세기 이후 공인들이 조달시장을 이탈하는 배경이 되었다. 대동법 시행을 계기로 공인들이 시장에서 공물을 구매하여 왕실과 중앙각사에 진배하는 시스템으로 전환하였다고 하더라도, 공물조달의 최종단계에 있는 왕실과 중앙각사는 조선전기와 마찬가지로 현물[공물·진상]을 진배 받는 구조를 계속 유지하였다. 이로 인해 궐내·외 각사에서 각종 수수료·잡비를 징수하는 관행이 계속 유지되었으며, 공인들에게 공물을 추가징수하고 과외별역에 동원하는 폐단이 18세기 이후 가시화되었다. 정부로서도 한정된 대동세입을 가지고 정부관서와 지방관아의 행정을 유지하기란 쉽지 않았다. 여기에 양란 이후 왕실과 정부기구가 재편되고 관서행정에 필요한 각종 역을 고립해 쓰는 구조가 형성되면서 중앙의 재정규모는 긴축재정을 표방하는 정부의 정책과는 달리 늘어나는 추세에 있었다. 이에 중앙정부는 貢弊의 간행과 貢市人詢막을 통해 이러한 과외별역을 스스로 개선하려는 노력을 19세기까지 지속해갔다. 18세기 이후 정부의 대공시인정책이 ``詢막``의 형태로 전개된 것은 이처럼 정부재원을 조달시장에 충분히 공급할 수 없는 상황에서 공인들이 겪는 과외별역의 폐단을 개선해줌으로써 공물조달체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려는 현실적인 타협책에 다름 아니었다. Existing transportation costs, fees, and labor costs linked to the collection of the Uniform Land Tax(Daedongse) were rolled into the Uniform Land Tax following the expansion of the related law(Daedongbeop) nationwide during the late 17th century. The collection en bloc of various spot goods as well as military and corvee labor services under the Uniform Land Tax led to an easing of the abuses associated with the collection of surtaxes and miscellaneous expenses. However, the Joseon government found itself having to ru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based solely on the amounts collected through the Uniform Land Tax. In this regard, the government sought to overcome the deficit in general expenses by assigning extra corvee labor to the tribute men who paid the costs of tribute products in conjunction with important national events. However, this extra corvee labor privately assigned by government officials on top of the official national corvee labor had the effect of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burden bore by tribute men. In this regard, the government organized consultative meetings that had as their objective the resolution of the problems faced by tribute men and merchants. It also published records related to the situation of tribute men in a book called < Tribute Malpractice(gongpye) >. As such,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Uniform Land Tax Law, the Joseon government continued to try to find ways to alleviate the exploitative nature of the extra corvee labor arbitrarily implemen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gencies and bo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