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LT 통합모형의 적용 및 응용

        최성운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8 대한안전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8 No.11

        This paper presents the log likelihood function for integrated models for ALT such as exponential-general Eyring, Weibull-temperature and specific heat, lognormal-temperature and specific heat. Additionally this paper estimates the system reliability and mean time to failure(MTTF) for series, parallel, k of n, and standby system using ALT linkage parameter. Lastly this study designs three variable reliability acceptance sampling(RAS) plans such as type I, II censored test, sequential test by the use of integrated models for ALT.

      • 만성 B형 간염 및 간경변증 환자에서 간 섬유화의 지표로서 혈청 히아루론산과 IV형 콜라겐 7S Domain 및 AST/ALT비 등의 진단적 유용성

        박진형,박창근,김은수,박수영,조창민,탁원영,권영오,김성국,최용환 대한간학회 2003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9 No.2

        목적: 만성 간 질환을 가진 환자의 경과와 예후는 간 조직의 세포괴사와 염증 및 섬유화 등의 조직학적 활성도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간 조직검사는 만성 간 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조직학적 활성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데 가장 중요한 검사이지만 침습적인 방법으로 검사와 연관된 합병증의 발생 가능성이 있고, 충분한 조직 채취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는 간 실질 전체를 대표하지 못할 수 있다. 최근 혈청 히아루론산과 7S 콜라겐의 농도 및 AST/ALT비 등은 만성 간 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간 조직 섬유화의 진행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으며, 간경변증을 예측하는데 임상적으로 유용한 혈청학적 표지자가 될 수 있다고 보고되어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만성 B형 간염 및 간경변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간 조직 섬유화의 혈청학적 표지자로서 혈청 히아루론산과 7S 콜라겐의 농도 및 AST/ALT비 등의 진단적 유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만성 B형 간염 및 간경변증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비 대상성 간경변증 환자 120예를 제외한 총 90예의 환자에서 초음파유도하에 경피적 간 조직검사를 시행하였다. 환자들은 간 조직검사와 동시에 혈액을 채취하여 혈청 히아루론산(정상치: 50 ng/mL 이하)과 7S 콜라겐(정상치: 5 ng/mL 이하) 및 AST/ALT비 등을 측정하였으며 조직소견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들 중 남자는 77예, 여자는 23예이었고 평균 연령은 31±12세였다. 각 군간의 비교에서 병변이 진행할수록 혈청 AST 및 ALT의 농도는 유의성이 없었으나, 알부민 및 혈소판의 수치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각 군에서 혈청 히아루론산과 7S 콜라겐의 농도 및 AST/ALT비는 정상 및 지방간군(20.2±12.5 ng/mL, 3.5±0.5 ng/mL, 0.7±0.3), 경도의 만성 간염군 (32.3±52.7 ng/mL, 3.9±1.4 ng/mL, 0.7±0.4), 중등도 이상의 만성 간염군 (68.2±72.3 ng/mL, 5.3±2.4 ng/mL, 0.8±0.4)보다 대상성 간경변군 (139.8±98.4 ng/mL, 6.9±3.5 ng/mL, 1.6±1.5)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또한 비 대상성 간경변군(1084.2e61600.6 ng/mL, 13.0±4.5 ng/mL, 3.0±1.7)에서 대상성 간경변군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간조직의 섬유화 등급에 따른 비교에서 섬유화가 없거나 초기 및 중등도 이상인군 (섬유화 등급: 0-3점)보다 섬유화가 진행되어 간경변증으로 이행된군(섬유화 등급: 4점)에서 각 표지자들의 수치가 유의하게 높았다(p<0.05), 그러나 소엽내 활성과 문맥 주변부 활성에 따라 등급화한 각 군간의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간 조직의 섬유화 등급 4점의 간경변증과 섬유화 등급 0점에서 3점의 만성 간염군을 구분하는데 따른 진단적 유용성을 알아보았으며, 혈청 히아루론산과 7S 콜라겐의 농도 및 AST/ALT비 등의 cout-off 값을 각각 77 ng/mL, 6.3 ng/mL, 0.62로 설정하여 민감도와 특이도 및 진단효율을 구하였을 때, 히아루론산의 경우 민감도 81.8%, 특이도 87.3%, 진단효율 86.7%이었고, 7S 콜라겐의 경우 민감도 63.6%, 특이도 88.6%, 진단효율 85.6%이었으며 AST/ALT비의 경우 민감도 90.%, 특이도 53.1%, 진단효율 57.8%이었다. 결론: 만성 B형 간염 바이러스성 간질환에서 간 섬유화의 혈청학적 표지자로서 혈청 히아루론산과 7S 콜라겐의 농도 및 AST/ALT비등은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Aims: The prognosis of chronic liver disease is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hepatic fibrosis. Liver biopsy is the gold standard method to assess inflammatory activity and fibrosis stage, but this is associated with morbidity and mortality.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diagnostic value of serum hyaluronic acid, 7S domain of type IV collagen and AST/ALT ratio as markers of hepatic fibrosis in chronic hepatitis B and cirrhosi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00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and cirrhosis. Liver biopsy and histopathologic classification were done. Serum hyaluronic acid and 7S domain of type IV collagen were measured by one step sandwich binding protein assay and radioimmunoassay using polyclonal antibody to 7S domain of type IV collagen, respectively. Results: The serum concentrations of hyaluronic acid, 7S domain of type IV collagen and AST/ALT ratio in the cirrhosis group (139±98.4 ng/mL, 6.9±3.5ng/Ml, 1.6±1.5)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1) than those in the normal and fatty liver group (20.2±12.5ng/mL, 3.5±0.5 ng/mL, 0.7±0.3), mild hepatitis group (32.3±52.7 ng/mL, 3.9±1.4 ng/mL, 0.7±0.4), and moderate to severe hepatitis group (68.2±72.3 ng/mL, 5.3±2.4 ng/mL, 0.8±0.4). At the cutoff value of 77 ng/mL for hyaluronic acid and 6.3 ng/mL for 7S domain of type IV collagen and 0.62 for AST/ALT ratio, the sensitivities were 81.3%, 63.6%, 90.9% and specificities were 87.3%, 88.6%, 53.1% for discriminating cirrhosis (fibrosis score: 4) from the mild to severe fibrosis (fibrosis score: 0-3). Conclusions: Serum hyaluronic acid, 7S domain of type IV collagen and AST/ALT ratio measurement may be clinically useful as markers of hepatic fibrosis in chronic hepatitis B and cirrhosis.

      • KCI등재

        단순 비만아에서 간효소치와 신체 계측 및 생화학 측정치와의 관련성

        윤경빈,김재영,Yun, Gyoung-Bin,Kim, Jae-Young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9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12 No.1

        목 적: 비만에서 발생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은 대부분 무증상이어서 혈청 검사에서 간효소치 상승이 있거나 간초음파검사에서 지방간이 발견되는 경우에 이 질환에 대한 의학적 관심이 증가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만아와 과체중아에서 간세포손상을 반영하는 ALT 상승과 신체 계측치 및 생화학적 검사치들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6년 1월부터 2008년 6월까지 충남대병원 소아청소년과에서 비만 또는 과체중으로 진단받은 142예를 대상으로 신체 계측, 생화학 검사를, 간초음파검사는 일부 환자에서 시행하였다. ALT치를 기준으로 정상 군(I군)과 상승 군(II군)으로 분류하여 신체 계측치, 생화학 검사치, 간초음파 소견을 비교하였다. 바이러스간염, 약물 유발 간염, 대사이상 간염, 내분비 장애, 유전 질환이 있는 경우는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결 과: 단순 비만아에서 간전이효소치의 상승은 전체의 54.2%에서 있었으며, 남녀별로는 남아 63.0%, 여아 26.5%에서 있었다. I군과 II군의 나이는 각각 11.4${\pm}$3.3, 11.7${\pm}$3.2세로 차이가 없었다. 성별 분포는 I군은 남아 40예, 여아 25예로 총 65예, II군은 남아 68예, 여아 9예로 총 77예로 양군 모두 남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았으며(p=0.003, 0.001) 남녀 비는 I군 1.6:1, II군 7.6:1로 II군에서 남아의 발생빈도가 4.8배 더 높았다. 신체 계측치는 허리둘레/키 비, 엉덩이둘레/키 비가 II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1, 0.046), 키, 체중,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허리둘레/엉덩이둘레 비, 비만 정도는 양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생화학 검사치와 인슐린 저항성에서는 AST, ${\gamma}$-GT, 총콜레스테롤 수치가 II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AST/ALT비는 I군 1.10${\pm}$0.41, II군 0.55${\pm}$0.17로 II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p<0.001, <0.001, <0.001). 중성지방, 고밀도지질단백 콜레스테롤, 저밀도지질단백 콜레스테롤 수치, 공복 시 인슐린 농도, 혈당, 인슐린 저항성 지표는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단변량 상관관계분석에서는 체질량지수, 엉덩이둘레/키 비, 허리둘레/키 비, ${\gamma}$-GT, 중성지방이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간초음파검사는 I군 11예, II군 32예에서 시행되었는데, 양 군 모두 경도의 지방간 소견이 가장 많았으며, 양 군 간에 지방간 빈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비만아에서 허리둘레/키 비, AST, AST/ALT비, ${\gamma}$-GT, 총 콜레스테롤 농도가 ALT치가 정상인 군 보다 상승된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허리둘레/키 비와 ${\gamma}$-GT가 ALT 상승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쉽게 측정할 수 있는 신체 계측치인 허리둘레/키 비를 ALT치가 상승된 비만아의 관리에 참고 자료로 이용해 볼 수 있겠다. 그러나 이에 대해서는 향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physical and biochemical parameters related with elevated serum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levels in obese children. Methods: One hundred forty-two obese or overweight children who visited the out-patient clinics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2006 and August 2008 were enrolled. Physical measures and biochemical tests were performed in all patients. Liver sonography was performed in 43 patients. They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2 groups based on ALT levels: group I, normal ALT levels (n=65); and group II, elevated ALT levels (n=77). We compared the physical measures, biochemical results, and ultrasonographic findings of the livers in both groups. Other causes of elevated serum ALT levels were ruled out. Results: The male-to-female ratios were 1.6:1 in group I and 7.6:1 in group II. Among physical parameters, the waist circumference-to-height ratio and hip circumference-to-height ratio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II (p=0.001 and 0.046, respectively). Among biochemical parameters,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gamma}$-glutamyltransferase (${\gamma}$-GT),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II (p<0.001, 0.001, and 0.001, respectively). The AST/ALT ratio was <1 (mean, 0.55) and statistically lower in group II.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erum ALT level and ${\gamma}$-GT (p<0.001, r=0.750), a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erum ALT level and the waist circumference-to-height ratio in group II (p<0.001, r=0.401).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waist circumference-to-height ratio and ${\gamma}$-GT may be associated with elevated alanine aminotransferase activity in obese children.

      • SCOPUSKCI등재

        소아의 단순성 비만증에 의한 지방간의 진단: ALT치와 복부 전산화단층촬영 및 간생검 소견간의 상관관계

        이성희,김화중,오재철,한혜정,김희섭,차한,박호진,신미경,이민진,이상천,Lee, Seong-Hee,Kim, Hwa-Jung,Oh, Jae-Cheol,Han, Hae-Jeong,Kim, Hee-Sup,Tchah, Hann,Park, Ho-Jin,Shin, Mi-Keong,Lee, Min-Jin,Lee, Sang-Chun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1999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2 No.2

        목 적: 소아비만의 중요한 합병증 중 하나인 지방간을 진단함에 있어 ALT치와 CT 및 간생검 소견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선별검사로서 ALT치의 유용성과 확진검사로서 CT 및 간생검의 필요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3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서울적십자병원 소아과에 내원하여 단순비만으로 진단 받은 78명 중 지방간 진단을 위해 CT를 실시한 2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생화학검사 중 지방간의 선별검사로서 보다 특이성이 높은 ALT치가 지나치게 높거나 비만도가 심한 비만아들 중 15례에서 간생검을 실시하였다. 이들을 ALT치에 따라 3개 군으로 분류하고 각 군별로 신체계측지수, CT 및 간생검상 지방침착도 간의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1) ALT치와 신체계측지수간의 상관관계: 대상 비만아 26례 중 ALT치는 17례(63.4%)에서 이상 상승(>30 IU/L)되었으나, ALT치의 상승과 신체계측지수들(비만도, RI, BMI, 체지방률)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p>0.05) 2) CT상 지방침착도와 ALT치 및 신체계측지수 간의 상관관계: 26례 중 13례(50%)에서 CT상 정상이었고, 나머지 13례는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모두 간음영이 증가된 지방간 소견을 보였다. CT상 지방간의 정도와 ALT치의 상승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p=0.01), 신체계측지수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p>0.05). 3) 간 생검상 지방간의 정도와 비만도, ALT치와의 상관관계: 26례 중 15례에서 간 생검을 실시한 결과, 1례에서 정상이었고 나머지 14례에서 모두 지방간 소견을 보였다. 그러나 간 생검상 정상인 1례는 고도비만이었으나 ALT치는 정상치였고, 중등도의 지방간 소견 보인 3례 중 1례는 고도비만이었음에도 ALT치는 정상이었으며 2례는 ALT치가 정상이거나 약간 증가하였으며, 심한 지방간 소견 보인 9례 중 1례는 경한 비만이었으나 ALT는 158 IU/L로 심한 상승을 보였다. 간 생검상 지방간인 14례를 지방침착도에 따라 3개 군으로 분류하여 비만도와 ALT치를 비교분석한 결과 비만도와 간 생검 소견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05), ALT치와 간 생검상 지방간의 정도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4) CT와 간 생검 소견간의 상관관계: 26례 중 15례에서 CT와 간 생검 모두를 시행한 결과, CT상 6례는 정상이었고, CT상 지방간 소견 보인 9례에서는 간의 지방침착도에 따른 음영의 변화를 기준으로 한 CT소견과 간 생검상 지방침착도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r=0.6094). 결 론: 최근 소아비만이 급증 추세에 있고 그에 따른 여러 가지 합병증들은 물론 성인비만으로 이행될 수 있으므로 학교보건 등을 통해 경각심을 높이도록 해야 하며, 특히 비만에 따른 지방간을 진단하기 위한 선별검사인 ALT치 등 생화학적인 간 기능 검사로는 간 손상 정도를 평가할 수 없기 때문에 보다 저비용이며 비침습적인 초음파검사를 적극 활용토록 하고 선별검사 등으로 선정된 고위험군에 대해서는 간 생검을 통해 간 손상 정도를 정확히 평가하고 지속적으로 추적 관리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diagnostic methods of fatty liver by childhood simple obesity and to provide correlation between serum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for screening test and abdominal computerized tomography (CT) and liver biopsy for confirmative diagnostic methods of fatty liver. Methods: Among 78 obese childrens who visited our hospital, CT was carried out in 26 childrens. Of these, liver biopsy was carried out in 15 childrens who had high obesity index or severe elevated ALT. Based on the level of serum ALT, 26 cases were classified into 3 groups, and compared with physical measurements and degree of fatty infiltration on CT and liver biopsy. Results: 1) Correlation between ALT and physical measurements: Of 26 obese children, ALT was abnormally elevated (>30 IU/L) in 17 cases (67.4%)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LT and physical measurements (p>0.05). 2) Correlation between degree of fatty infiltration on CT and ALT: Of 26 cases, 13 cases (50%) revealed fatty liver on CT. The degree of fatty liver on CT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levation of ALT (p<0.05). 3)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fatty infiltration on liver biopsy and ALT: Liver biopsy was performed in 15 cases of which 14 cases revealed fatty liver. But one case had normal hepatic histology with severe obesity and normal ALT. Fourteen fatty liver cases on liver biopsy were classified into 3 groups by the degree of fatty infiltration and analysed with obesity index and ALT. The histologic hepatic steatosis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obesity index (p>0.05), but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LT (p<0.05). 4) Correlation between CT and liver biopsy finding: Both CT and liver biopsy were performed in 15 cases of which 6 cases revealed normal finding on CT and 9 cases manifested fatty liver.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T and liver biopsy findings (r=0.6094). Conclusion: The results of our study suggest that abdominal CT and liver biopsy are useful and accurate methods of estimating fatty liver in the childhood obesity. But biochemical abnormalities of routine liver function tests dot not correlate well with severity of the fatty liver and liver injury.

      • 만성 C형 간염에 대한 α- interferon 치료 후 ALT치의 변화

        이헌주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1993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10 No.1

        HCV에 감염된 환자중 반이상은 만성간염환자로 이행되며 이중 20 % 정도에서는 간경변증 환자가 된다고 하며 그외 간세포암 발생과의 관련성도 높다고 한다. 혈청으로 인한 각종 감염경로를 차단하는 것이 현재로서는 가장 확실한 C형 간염의 관리방법이긴 하나 약 반수정도의 환자는 산발형의 감염으로 뚜렷한 원인을 찾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만성 C형 간염의 치료는 주요한 과제의 하나이며 최근 interferon 제제로 치료하여 ALT치의 정상화, 혈청 HCV RNA의 소실 및 간조직검사상의 상태개선이 가능하다는 국외의 희망적 보고들이 계속되고 있음은 다행한 일이며 이보고내용에는 간편한 ALT치 검사가 치료경과관찰 및 판정의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저자는 1991년 5월부터 1992년 9월 사이에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내과에 내원하여 혈청 anti-HCV가 양성이며 임상적으로 초기간경변증 및 간조직검사상 만성간염 진단된 환자 16명에 대해 α-interferon 300만 단위를 주 3회, 1-9(평균 4.0)개월동안 피하주사하고 그후 1-18(평균 7.0)개월후까지의 ALT치를 조사하였다. 치료중 대부분의 환자에서 ALT치의 감소가 있었으나 2명에서는 치료중 다시 상승되었다. 치료중단 후 6개월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정상 ALT치를 보인 경우는 9명중 4명 (44.4 %)였다. 대부분 환자에서 ALT치의 정상화는 치료시작후 1개월 전후에 관찰되었으며 치료중 ALT치의 파동이 있거나 늦게 정상화된 환자에서는 치료중단 후에도 ALT치의 파동이 있거나 정상 ALT치가 유지되지 않았다. 따라서 만성 C형 간염 환자에서 α-interferon의 치료는 간기능 개선에 도움이 되나 더 나은 성적을 위해서는 투여양과 기간을 치료에 따른 환자의 검사결과에 따라 변화시켜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지고 이 치료에 전혀 반응이 없는 환자들에 대한 연구도 병행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우리나라에서도 치료 후 장기간의 경과관찰, HCV RNA 검사 및 HCV genotype에 관한 연구로서 만성 C형 간염에 대한 α-interferon 치료효과를 더 정확히 평가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최근에는 만성 C형 간염의 α-interferon 치료 후의 장기효과에 영향을 미칠수 있는 여러조건들 즉 나이, 간경변의 유무, 치료전 NCV-RNA양 및 HCV 와 genotype 등이 관심의 대상이 되기 시작하였으므로 향후 이점들에 대해서도 관찰이 시도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rognosis of chronic hepatitis C is very variable. In some, the disease is progressive and cirrhosis can develop from chronic hepatitis C. Hepatitis C virus (HCV) may act as a trigger towards hepatocellular carcinoma in patients with cirrhosis. Interferon has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hepatitis C in abroad. 16 patients with chronic C liver disease were treated with α-interferon (alfa-2b ; " Intron A" Schering Corp. Kenilworth, NJ). All patients were given α-interferon in subcutaneous doses of 3 million units three times weekly for 1 to 9 months. During therapy, CBC and ALT levels were checked weakly to monthly. After therapy, patients were followed for 1 to 8 months. Among 16 patients treated with α-interferon, progressive decrease of ALT levels was observed in 14 (87.5 %). In 11 patients (68.8 %), ALT levels fell into the normal range during therapy, and in 9 of 11, within one month after therapy. 6 months after the completion of therapy in 4 of 9 patients (44.4 %) whose ALT levels were in the normal range. α-interferon seems to have effect in controlling disease activity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C. But the changes in the usage of α-interferon, does and duration, long term follow up and more convenient and simple tests for HCV detection are recommended for the better effect and the exact evaluation on the effect of α-interferon therapy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C.

      • 원저(原著) : ALT (Alanine Aminotransferase) 일간 측정에 따른 변동성 분석

        양혜성 ( Hae Soung Yang ),이현호 ( Hyun Ho Lee ),최병찬 ( Byung Chan Choi ),최범열 ( Bum Ryoul Choi ) 대한임상병리사협회 2002 임상수혈검사학회 발표자료집 Vol.7 No.1

        배경 혈액관리법상 ALT의 값이 65 IU/L이상인 헌혈혈액에 대하여 폐기를 하고 있다. 전체 검사부적합 혈액으로 폐기되는 혈액 중에 가장 높은 비율로 49.8%(7792 unit : 2001년도, 중앙혈액원)를 나타냈다. 혈액원의 특성상 헌혈현장에서 검체를 채취하여 검사센터로 운송하여 검사를 시행하고 있으며, 이때 검체는 보관 등의 가변요인이 발생하므로 검체 채취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ALT활성도 수치의 변화를 알아보고 추후 검사에 참고자료로 삼고자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방법 ALT 검사값을 편의상 1-44 IU/L, 45-64 IU/L, 65 IU/L이상 3종류로 구분하여 검체를 원심분리를 하여 상층액 혈청을 분리한 60검체와 혈청을 분리하지않은 60검체를 구별하여 두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30검체는 첫 회 검사 후 냉장(4℃)보관하고 30검체는 실온(18℃)에 보관하여 이틀에 걸쳐 2회 재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각 그룹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OD값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1. 혈청 분리, 혈청 미분리 그룹간 ALT활성도는 유의수준 1%(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혈청 분리 검체 중 냉장보관과 실온보관에서 1일과 2일째 검사의 차이가 없었다(P>0.05). 3. 혈청 미분리 검체 중 냉장보관은 1일과 2일째 검사의 차이가 없었다(P>0.05). 실온보관은 45-65 IU/L와 65 IU/L이상 그룹에서 유의수준 5%(P<0.05)에서 차이가 있었다. 4. 2일과 3일째 검사결과는 혈청 분리 검체 및 미분리 검체 모두에서 유의수준 5%(P<0.05)와 l%(P<0.0l)에서 차이가 있었다. 결론 혈액원에서는 현실적으로 헌혈현장에서 검사샘플 채취 후 혈청분리를 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운송하며, 당일이 아닌 익일에 검사를 하는 경우도 발생하므로 채혈하여 신속하게 검사하지 않으면, ALT활성도 수치가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샘플도 혈액과 동일하게 냉장운송 등 철저한 샘플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추후 혈액사업에 반영되었으면 한다. Background Donation blood was over 65 IU/L level of ALT has been scrapped and burned up. We performed this work to see the change of ALT activity value with time after sampling and make reference data later. Methods We classified the samples by three groups. The ALT levels were 1-44 IU/L, 45-64 IU/L and over than 65 IU/L respectively. After classifing those by two groups, 60 samples separated serum and 60 samples not separated serum, 30 samples were stored at refrigerator(4℃) and the others(30 samples) were stored at room temperature(18℃) s the group. We performed twice repeat test for three days respectively and we observed the change of OD value with time. Results There were differences of ALT activity between samples separated serum and not separated serum(P<0.01). In the case of samples separated serum, There were no differences wether those were stored at refrigerator or not at the first and second days(p>0.01). At the second and third day, results of test were shown difference between sample separated serum and not separated serum(P<0.05, P<0.0l). Conclusion If samples were not treated rapidly after sampling, ALT activity levels were increased more and more as time goes by. So, It is necessary to mange and treat sample throughly like whole blood.

      • KCI등재

        건강검진에서 진단된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대사적 특징 및 관련인자

        나은희,박재영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08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Vol.28 No.3

        Background :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has been reported to be related with metabolic disorder and frequently accompanied by abnormal liver func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metabolic characteristics of NAFLD and its associated factors. Methods : We analysed 7,150 subjects diagnosed with NAFLD (n=2,381) or normal liver (n=4,769) and classified them into four groups based on ultrasonography and ALT levels as follows: 1) Control (normal liver and ALT), 2) increased ALT (normal liver with increased ALT), 3) NAFLD I (fatty liver with normal ALT), and 4) NAFLD II (fatty liver with increased ALT). Age, blood pressure, body mass index (BMI), fasting glucose, blood lipids, and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hsCRP) were compared, and the incidence of metabolic syndrome was also determined in each group. Results : The diastolic blood pressure, BMI, fasting glucose,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sCRP, and the incidence of metabolic syndrome, were the highest in the NAFLD II group, followed by the NAFLD I group, the increased AL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descending order. Meanwhile, HDL cholesterol (HDL-C) was the lowest in the NAFLD II group. Male sex, age, systolic blood pressure, BMI, fasting glucose, triglyceride, LDL cholesterol (LDL-C), and hsCRP were associated with NAFLD (P<0.001). An increased level of ALT in NAFLD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male sex, increased BMI, fasting glucose, triglyceride, and LDL-C, younger age and decreased HDL-C (P< 0.001). Conclusions : NAFLD was related with metabolic syndrome and the risk fac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Koreans. The correlation was more prominent in NAFLD with increased ALT. Thus, a more intensive management is required for the individuals in the NAFLD with increased ALT. (Korean J Lab Med 2008;28:244-50)

      • 職種別 血糖, 總콜레스테롤 및 傳移酸素 活性値

        金三鐸,金斗熙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87 慶北醫大誌 Vol.28 No.2

        1986년 4월 1일부터 동년 7월 15일까지 대구 파티마병원에서 실시한 시내 일부 초·중·고 교직원 1,585명, 대학 교직원 217명, 일반직 공무원 195명 및 경찰직 공무원 287명등 총 2,285명의 정기신체검사자를 대상으로 주요 성인병의 집단검진치의 일부 특성과 연령별 이상율을 구하여 그 호발 연령과 직종별 차이를 분석한 성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혈당치, 총 콜레스테롤, AST 및 ALT의 평균치는 남자가 여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1). 혈당치 및 총 콜레스테롤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모든 직종군에서 대체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표준화한 각 임상검사치의 평균치 중에서 혈당은 대학 교직원군에서 103㎎%로, 총 롤레스테롤치는 초·중·고 교직원군에서 163.2㎎%로, AST 및 ALT치는 경찰직에서 각각 28.31IU/ℓ, 36.71IU/ℓ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표준화한 임상 검사치의 각 직종별 이상자율은 혈당은 대학 교직원군에서 15.0%로, 총 콜레스테롤은 일반직 공무원에서 21.5%로, AST 및 ALT는 경찰직에서 각각 11.7%, 27.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각 직종별 연령에 따른 혈당치, 총 콜레스테롤치, AST 및 ALT치의 이상율에 있어서 그 호발 연령은 다음과 같다. 혈당치에서는 초·중·고 교직원과 경찰직에서 50대 초반이, 대학 교직원은 60대 초에, 일반직 공무원은 50대 후반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콜레스테롤치는 231㎎% 이상이 초·중·고 교직원은 40대 후반에, 대학 교직원이 60대 초에. 일반직 공무원과 경찰직에서는 40대 초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AST치는 초.중.고 교직원은 40대 후반에, 대학 교직원은 50대 초반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ALT치는 초·중·고 교직원이 50대 초에, 대학 교직원이 30대 초에, AST 및 ALT치에 있어서 일반직 공무원과 경찰직 공무원이 20대 후반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values of serum glucose, total cholesterol, AST and ALT level, and to identify the rates of outliers beyond the normal limits of these parameters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these mean values and rates of outliers relevant to types of occupation, i.e. school personnel, college personnel, public officials and policemen. The data were abstracted from 2,285 officials who were checked for regular physical examination at the Taegu Fatima Hospital between April 1 and July 15, 1986. The mean values of serum glucose, total cholesterol, AST and ALT were significantly higher among the male group than among the female group (p<0.01). The mean values of serum glucose and total cholesterol were gradually increasing with age in all the groups of occupation. Age-adjusted mean values of serum glucose and cholesterol were 103㎎% and 163.2㎎% in college personnel and school personnel, respectively. Those were the highest among the four groups. Age-adjusted mean values of AST and ALT in policemen were 28.3IU/ℓ and 36.71IU/ℓ, respectively, which were the highest among the four groups. Fifteen percent of the college personnel and 21.5% of the public officials showed abnormality in serum glucose and in cholesterol level, respectively. Those were the highest among the four groups. Age-adjusted rares of outliers of policemen were 11.7% and 27.1% in AST and ALT level, respectively, which were the highest among the four groups. The most prevalent ages of high serum glucose level were in the early fifties in both school personnel and policeman, in the early sixties in college personnel, and in the late fifties in public officials. The most prevalent ages of high cholesterol level (above 231㎎%) were in the late forties in school personnel, and in the early sixties in college personnel, and in the early fourties in both public officials and policeman. The most prevalent ages of high AST level were in the late fourties in school personnel, in the early fifties in college personnel and in the twenties in both public officials and policeman. Th most prevalent ages of high ALT level were in the early fifties in school personnel, in the early thirties in college personnel, in the late twenties in both public officials and policeman.

      • SCOPUSKCI등재

        포스터 발표 : 비정상적인 간기능을 가진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조직학적 간염 활성도와 Aminotransferase 및 HBV DNA와의 상관관계

        황준영,박혜원,서상혁,장병국,박경식,조광범,황재석,안성훈,박승국,강유나 대한간학회 2003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9 No.3(S)

        배경/목적: 만성 B형 간염의 면역관용기는 바이러스의 활동도와 조직소견과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면역제거기의 경우에는 조직학적 간염 활성도와 AST, ALT의 수치, HBV DNA와의 상관관계가 정립되어 있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임상적으로 면역제거기로 생각되는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ALT, AST, HBV DNA와 조직학적 간염 활성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2001년부터 2003년 3월까지 내과를 방문하여 만성 B형 간염으로 초음파 유도하 경피적 간생검을 시행한 환자 중에서 혈청 ALT가 100 IU/L 이상으로 증가되어 있었던 77명을 대상으로 조직학적 간염 활성도 및 간섬유화 정도와 ALT, AST, HBV DNA 수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HBV DNA가 음성인 환자는 대상에서 제외시켰다. 결과: 77명중 남자가 58명이었고, 여자가 19명이었다. 평균 나이는 34.09±11.71세(14세-69세)였다. 간소엽 활성도는 minimal 30명(39.0%), mild 31명(40.3%), moderate 12명(15.6%), severe 4명(5.2%)이었고, 문맥 활성도는 minimal 9명(11.7%), mild 30명(39.0%), moderate 28명(36.4%), severe 10명(13.0%)이었다. 간섬유화는 none 1명(1.3%), mild 9명(11.7%), moderate 19명(24.7%), severe 36명(46.8%), 간경변 12명(15.6%)이었다. 각각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면 간소엽 활성도와의 상관계수는 ALT가 0.499 (p<0.001), AST가 0.529 (p<0.001), HBV DNA가 -0.164 (p=0.182)였고, 문맥 활성도는 ALT가 0.494 (p<0.001), AST가 0.523 (p<0.001), HBV DNA가 -0.336 (p=0.05)이었으며, 간섬유화 정도는 ALT가 0.187 (p=0.103), AST가 0.219 (p=0.055), HBV DNA가 -0.420 (p<0.001)이었다. 상기 결과에 의하면 ALT와 AST는 간염 활성도가 증가할수록 수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AST가 ALT보다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간섬유화 정도와는 상관관계가 적었다. HBV DNA는 간섬유화 정도가 심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유의한 역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간염 활성도와는 상관관계가 적었다. Mann-Whitney 검증으로 조직소견의 단계별로 비교하였을 때 ALT와 AST는 간소엽 활성도와 문맥 활성도 모두 mild와 moderate간의 차이가 가장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HBV DNA는 간섬유화 정도에서 mild와 moderate간의 차이가 가장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면역제거기의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ALT와 AST는 간소엽 및 문맥 활성도가 심해짐에 따라 증가하며, AST가 간염 활성도를 더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HBV DNA는 간섬유화가 심해짐에 따라 감소하며, 특히 간섬유화 초기에 의미있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대한민국 고혈압 성인에서 아스파르트산 아미노전이효소/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 비율과 맥압의 관련성

        윤현 ( Hyun Yoon ) 대한임상검사과학회 2021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KJCLS) Vol.53 No.3

        본 연구는 고혈압이 있는 대한민국 성인에서 아스파르트산 아미노전이효소(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alanine aminotransferase, ALT) 비율과 맥압(pulse pressure, PP) 사이의 관계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제6차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 VI-3, 2015)에서 성인 1,515명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본 연구에서는 몇 가지 중요한 결과가 있다. 첫째, AST (odds ratio [OR], 1.018; 95% confidence interval [CI], 1.002∼1.033), ALT (OR, 0.982; 95% CI, 0.969∼0.996) 및 AST/ALT ratio (OR, 1.367; 95% CI, 1.027∼1.819)는 고PP 결정하는 독립적인 요인이었다. 둘째, 관련변수(연령, 성별, 흡연, 음주, 규칙적인 운동, TC, TG, HDL-C, FBG, BMI, WC)를 조정한 후의 결과에서 AST/ALT ratio의 1 사분위에 대한 고PP의 OR을 기준으로, AST/ALT ratio의 2 사분위(OR, 1.188; 95% CI, 0.817∼1.727) 및 AST/ALT ratio의 3 사분위(OR, 1.169; 95% CI, 0.800∼1.710)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AST/ALT ratio의 4 사분위(OR, 1.632, 95% CI, 1.113∼2.393)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적으로, 고혈압이 있는 대한민국 성인에서 고PP은 AST/ALT ratio 및 AST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ALT와 음의 상관계가 있었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anine aminotransferase (AST/ALT) ratio and pulse pressure in Korean adults with hypertension. Data from 1,515 adults from the six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3, 2015) were analyzed. There were several key findings in the present study. Fir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odds ratio [OR], 1.018; 95% confidence interval [CI], 1.002 to 1.033), alanine aminotransferase (OR, 0.982; 95% CI, 0.969 to 0.996),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anine aminotransferase ratio (OR, 1.367; 95% CI, 1.027 to 1.819) were the independent factors determining high pulse pressure. Second, after adjusting for related variables [age, gender, smoking, alcohol consumption, regular exercise, total cholesterol (TC), triglycerides (TGs), high-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HDL-C), fasting plasma glucose (FPG), body mass index (BMI), and waist circumference (WC)], the ORs of high pulse pressure with the 1st quartile as a referenc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4th quartile of aspartate aminotransferase/alanine aminotransferase ratio [1.632 (95% CI, 1.113∼2.393)]. The high pulse pressur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spartate aminotransferase and alanine aminotransferase/alanine aminotransferase ratio in Korean adults with hypertension, but was inversely associated with alanine aminotransferase. Copyright Ⓒ 2021 The Korean Society for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ll rights reser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