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2007년 대한간학회 학술연구기금 당선과제 발표 : 간경변 동물 모델에서 erythropoietin (EPO)의 항섬유화 효과 규명

        탁원영 대한간학회 2007 추계 학술대회 Vol.13 No.-

        간경변증은 만성 간질환의 말기 형태로 간섬유화(fibrosis)가 진행되어 발생한다. 간경변증이 발생하면 여러가지 합병증을 동반하여 심각한 문제를 유발하지만 아직까지 진행된 섬유화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제가 없어 큰 문제가 되고 있다. 간섬유화는 간 성상세포(Hepatic stellate cell)에 의한 간내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의 비정상적 생성, 축적 및 침착이 일어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하며 이 과정에서 TGF-β1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Erythropoietin (EPO)은 166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고, 아미노산 24, 28, 83 및 126번의 위치상에 4개의 글라이코실화 부위를 가지며, 약 34,000달톤의 분자량을 가진 체내에 천연으로 존재하는 당 단백질이다. EPO 단백질은 주로 신장에서 생성되나, 간 및 뇌에서도 낮은 비율로 생산된다. EPO 단백질은 체세포 분열 및 적혈구 전구체의 세포분화를 촉진하여 적혈구를 생성하게 한다. 또한 EPO 단백질은 기관 보호 효과 및 빈혈 보정효과를 가진다고 알려져 있고, 산화스트레스의 감소로 저산소-허혈 뇌손상을 억제하는 신경보호 효과를 가지며, 1, 2 anti-apoptotic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7 EPO 단백질의 섬유화 과정에 대한 효과는 잘 알려진 바가 없었으나, 최근에 신장의 섬유증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음이 보고 되었다. 8 또한 그 기전은 EPO 단백질이 TGF-β1에 의해 유도된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EMT)를 직접적으로 억제 하고 EMT 과정 중의 세포의 구조적 변화를 억제하여 섬유증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간의 섬유화 기전과 유사하여 간섬유화의 치료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EPO의 간손상 억제 및 항 섬유화 효과를 in vitro 및 in vivo 실험을 통해 조사하고 분자생물학 기전을 규명하고자 한다. In vitro 실험을 위해 쥐의 간 성상세포를 배양하여 EPO가 간 성상세포의 증식, 활성화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및 콜라겐 합성 및 분비에 미치는 영향 등을 연구하고, 흰쥐에 carbon tetrachloride (CCl4)를 투여하여 간경변증을 유발하는 간경변 동물모델에서 EPO를 피하주사로 주기적으로 투여하여 생체 내에서의 항 섬유화 효과를 조사할 계획이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EPO의 새로운 간 섬유화 억제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 SCOPUSKCI등재

        C형간염 치료 무반응환자와 재발환자의 치료전략

        탁원영 대한간학회 2010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16 No.4(S)

        초치료에 실패한 만성 C형간염 환자에게 재치료는 일반적으로 효과적이지 않으므로 재치료를 시작하기 전 환자의 전반적인 상태와 치료제의 적정 용량 사용 등의 과거 치료 기록을 검토하여 재치료의 효과를 예측하고 선별적으로 재치료를 시행해야 한다. 미국 간학회의 지침에 따르면 인터페론 알파 단독 또는 리바비린 병합요법재치료 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고, 특히 가교상 섬유화나 간경변증이 있는 환자에서는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적정 용량의 페그 인터페론과 리바비린 병합요법 치료 후에 SVR에 도달하지 못했던 환자에서 다시 페그 인터페론과 리바비린 병합요법으로 재치료 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으며 다른 종류의 페그 인터페론 투여도 권장되지 않는다. 또한 유지 요법으로 인터페론 알파 또는 페그 인터페론의 사용도 권장되지 않는다. Consensus 인터페론이나 amantadine은 좋은 반응이 예상되는 환자를 선별하여 사용해 볼 수 있겠다. 제 2상 연구까지 만성 C형간염 초치료 및 치료 실패 환자에게 효과가 있다고 입증된 telaprevir와 boceprevir가 현재 제 3상 연구 중이며 초치료에 실패한 환자에게 새로운 치료 전략의 개발이 기대된다.

      • 만성B형간염 : HBsAg 정량검사의 임상적 의의

        탁원영 대한간학회 2014 간학회 싱글토픽 심포지움 Vol.2014 No.1

        Since its discovery in 1965, hepatitis B virus surface antigen (HBsAg) is used as the hallmarker of hepatitis B virus (HBV) infection. HBsAg is an important marker because it reflects the transcriptional activity of covalently closed circular DNA and indicates active hepatitis B infection. Two automated assays for HBsAg quantification are currently approved and commercially available. The correlation between both methods is quite good but not perfect especially in low HBsAg levels. So the use of the same assay in monitoring of individual patients with chronic HBV infection is strongly recommended. Recently, HBsAg quantification has been introduced and applied for monitoring chronic HBV infection during its natural history as well as for the prediction of the response to antiviral therapy. During Peg-interferon treatment, HBsAg quantification is used to determine stopping or switching treatment according to ``week 12 stopping rule``. With nucleos(t)ide analogues, HBsAg levels might identify patients in whom treatment can be stopped without subsequent risk of reactivation.

      • 간암과 감별이 필요한 양성 병변: 혈관성 병변

        탁원영 대한간학회 2012 간학회 싱글토픽 심포지움 Vol.2012 No.-

        Focal lesions of the liver are commonly found in middle aged and older patients because of increasing usage and improved sensitivity of imaging modalities. Focal lesions of the liver often have various imaging characteristics which may be interpreted as either benign or malignant. Benign lesions include cystic lesions, vascular lesions, benign tumors, pseudo lesions, and various infectious lesions. Hepatic hemangioma is known as the most common benign hepatic tumor and other vascular lesions are not common. Clinical significance of these vascular lesions is differentiation from other tumors. Understanding the underlying pathophysiology of these lesions may lead to characteristic imaging manifestations, which direct the radiologist to the diagnosis. We reviewed the characteristic imaging features, clinical symptoms, treatment and prognosis of the several hepatic vascular lesions based on the recent literatures.

      • 치료적 시술 : 간암의 고주파 열치료

        탁원영 대한간학회 2013 간학회 싱글토픽 심포지움 Vol.2013 No.2

        Radiofrequency ablation (RFA) was introduced recently as a local regional treatment modality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but it is coming into use worldwide. Many studies have confirmed the safety and efficacy of RFA for HCC and showed good long-term prognosis in spite of frequent tumor recurrences. Major indication of RFA is early-stage HCC but unresectable due to poor liver function or multiple tumors. Compare with surgical resection, RFA has several advantages such as less invasiveness, lower complication rate and lower costs. The outcomes of RFA are comparable to those of surgical resection in selected group of patients. There are opinions that RFA can be considered the first option for operable patients with very early HCC, but these opinions still remains controversial despite of previous comparative studies. With the recent advances of guidance and ablation technique, widening of indications and better efficacy of RFA are expected.

      • SCOPUSKCI등재

        간암과 감별이 필요한 양성 병변: 혈관성 병변

        탁원영 대한간학회 2012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18 No.1(S)

        Focal lesions of the liver are commonly found in middle aged and older patients because of increasing usage and improved sensitivity of imaging modalities. Focal lesions of the liver often have various imaging characteristics which may be interpreted as either benign or malignant. Benign lesions include cystic lesions, vascular lesions, benign tumors, pseudo lesions, and various infectious lesions. Hepatic hemangioma is known as the most common benign hepatic tumor and other vascular lesions are not common. Clinical significance of these vascular lesions is differentiation from other tumors. Understanding the underlying pathophysiology of these lesions may lead to characteristic imaging manifestations, which direct the radiologist to the diagnosis. We reviewed the characteristic imaging features, clinical symptoms, treatment and prognosis of the several hepatic vascular lesions based on the recent literatures.

      • SCOPUSKCI등재
      • 식도정맥류 출혈의 내시경적 결찰술후 재출혈의 예측인자

        탁원영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7 慶北醫大誌 Vol.38 No.2

        목적 : 간경변증 환자에서 발생한 식도정맥류 출혈의 치료로 최근에는 고무밴드를 이용한 내시경적 정맥류 결찰술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결찰술을 시행한 후에 재출혈을 일으키는 인자에 대해서는 별로 보고된바 없다. 이에 저자는 간경변증 환자에서 식도정맥류 결찰술 후에 재출혈에 관계하는 인자들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 1월부터 1996년 9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에서 식도정맥류 출혈로 내시경적 정맥류 결찰술을 시행한 환자중 추적 경과 관찰이 가능했던 133예를 대상으로 하여 재출혈 유무에 따른 임상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결과 : 1) 대상환자의 시술전 Child-Pugh 분류상 A, B, C가 각각 38, 70, 25예였고 간암이 동반된 경우가 30예였으며, 이중 9예에서 간문맥혈전증이 있었다. 시술중 활동성 출혈 소견이 있던 경우는 45예(33.8%)였다. 2) 재출혈 시기를 시술후 6개월, 12개월, 24개월로 나누어 보았을 때, 누적재출혈율은 6개월내에 21.0%(28예), 12개월내 34.8%(40예), 24개월내에 63.1%(53예)였고 재출혈 빈도는 시술후 경과 기간과 직선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3) 시술중 활동성 출혈소견이 있는 경우에서는 없는 경우에 비해 6개월 이내의 재출혈율이 의미있게 높았고, 간암이 동반된 경우에 12개월, 24개월 이내의 재출혈율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간문맥 혈전이 동반된 경우에는 기간에 관계없이 재출혈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4) 시술후 베타차단제를 복용한 경우는 복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6개월, 12개월 이내의 재출혈율이 의미있게 낮았으며 (p<0.01, p<0.05), 시술전 위정맥류가 동반된 경우에도 없는 경우에 비해 낮은 재출혈 빈도를 보였다. 5) 시술 당시의 Child-Pugh 분류와 재출혈율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간경변증 환자에서 식도정맥류 출혈시 내시경적 정맥류 결찰술을 시행한 후에 생기는 재출혈에는 시술당시의 활동성 출혈 소견 유무와 간문맥 혈전증, 위정맥류의 동반여부가 영향을 미치며, 시술후 베타차단제 투여 여부도 중요한 인자로 생각된다. Objectives : Endoscopic variceal ligation(EVL) is widely used for control of esophageal variceal bleeding. But there is little information about predictve factors of rebleeding after EV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factors related to rebleeding after EVL. Methods : The 133 cirrhotic patients, underwent EVL due to esophageal variceal bleeding,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about clin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presence or absence of rebleeding. Results : 1) Cumulative rebleeding rate in 6, 12 and 24 months was 21.0%, 34.8% and 63.1% respectively, and frequency of rebleeding had linear correlation with time after EVL. 2) In the cases of active bleeding during EVL, rebleeding rate within 6 month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without active bleeding. 3) In the patients with primary liver cell carcinoma(PLCC), rebleeding rate within 12, 24 month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without PLCC. 4) In the patients with portal vein thrombosis, rebleeding rate was higher than without portal vein thrombosis regardless of time. 5) In the patients who took β-blocker after EVL, rebleeding rate within 6, 12 month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other and in the patients with cardiac varices, rebleeding rat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other. 6)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initial Child-Pugh class and rebleeding rate regardless of time. Conclusion : In this study, we presumed that rebleeding rate after EVL in liver cirrhosis patients with esophageal variceal variceal bleeding is influenced by presence or absence of active bleeding during EVL, associated portal vein thrombosis and gastric varices and by use of β-blocker after EV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