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온라인 콘텐츠 활용 교과서의 개념과 미래형 교과서의 방향 정립을 위한 이론적 고찰

        안성훈 ( Sung Hun Ahn ) 한국창의정보문화학회 2021 창의정보문화연구 Vol.7 No.4

        COIVD-19로 인해 2020년부터 온라인 수업이 실시되면서 e-book, 구글 도구, 동영상 등 수업 시 온라인 콘텐츠 활용이 증가하였다. 이에 학생들이 온라인 환경에서도 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교사가 만들어가는 교과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교사들은 온라인 수업 및 다양한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하는 학생 참여형 수업이 확대됨에 따라 서책형 교과서뿐 아니라 온라인 콘텐츠 활용 교과서를 능동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즉, 온라인 수업을 위한 대비에만 국한하지 않고, 미래 교육체제로 변환을 위해 온라인 교과서의 개념 정립과 현행 교과서의 제도 및 방향성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재 도입되고 잇는 온라인 콘텐츠 활용 교과서의 개념 정립을 위한 기초 자료들을 분석하였고 향후에 개발될 미래형 교과서의 개발 방향에 대한 이론적 내용을 탐색하였다. As online classes started in 2020 due to the COVID-19 outbreak, the use of online content in classes such as e-books, Google tools, and videos has increased. Accordingly, the need for textbooks made by teachers is emerging so that students can learn effectively even in an online environment. In addition, as online classes and student-participatory classes using various online contents expand, teachers are actively using online content-using textbooks as well as book-type textbooks. In other words, it is a time not only to prepare for online classes, but to establish the concept of online textbooks and to think about the system and direction of current textbooks in order to transform into a future education system. Therefore, in this paper, th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the concept of online content utilization textbooks that are currently being introduced have been analyzed and theoretical contents for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future textbook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are explored.

      • KCI등재

        미래형 국어과 온라인 교과서 모형 개발 연구

        정혜승,옥현진,서수현,박치범,노들 국어교육학회 2023 國語敎育學硏究 Vol.58 No.2

        This study proposes a future model of an online textbook for Korean Language Arts by reflecting future changes in edu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Arts subject. The textbook was conceptualized as a system that supports and manages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the Internet as well as individuality, variability, interactivity, and expandability were presented as the textbook’s main characteristics. The main principles to be considered while developing the textbook were listed as a textbook consistent with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Arts competence, a textbook that supports individualized education, supports growth through evaluation, and that promotes the connection and expansion of language and culture.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e textbook model’s core components were proposed as the operating system and basic software, developed materials, support and manage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external links. In the final part, the need for reexamining the textbook’s legal definition, the search for practical support measures for future textbooks, the development of a textbook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the study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ion methods were discussed. The latter will be used for future textbook development to spread future online Korean Language Arts textbooks. 이 연구의 목적은 미래 교육의 변화와 국어 교과의 특성을 반영하여 미래형 국어과 온라인 교과서의 구체적인 모형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국어과 온라인 교과서를 인터넷을 통해 교수·학습을 지원하고 관리해주는 시스템을 갖춘 교과서로 개념화하고 주요 특징으로 개별성, 가변성, 상호작용성, 확장성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미래형 국어과 교과서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주요 원리를 ‘국어과 역량 계발에 부합하는 교과서’, ‘개별화 교육을 지원하는 교과서’, ‘평가를 통한 성장을 지원하는 교과서’, ‘언어와 문화의 연결 및 확장을 촉진하는 교과서’, ‘사용자 친화적 체제를 구축하는 교과서’로 열거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미래형 국어과 온라인 교과서 모형의 핵심적인 구성 요소를 ‘운영체제 및 기본 소프트웨어’, ‘개발자료’, ‘교수·학습 지원 및 관리’, ‘외부 연계’로 제안하였다. 또한, 미래형 국어과 교과서 개발과 확산을 위해 교과서의 법적 정의에 대한 재검토, 미래형교과서의 실제적 지원 방안 모색, 교과서 질 관리 체제 개발, 미래형 교과서활용을 교수·학습과 평가 방안 연구 등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말하기 활동 연구-한국어 초급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무사,최은경 국제어문학회 2024 국제어문 Vol.- No.100

        This study proposes a plan for organizing speaking activities toimprove communication skills in real-time online classes by analyzingbeginner Korean textbooks. Owing to the impact of COVID-19, variousforms of real-time online classes have been distributed to universityaffilia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and continue to thisday. While teachers experienced the convenience of real-time onlineclasses, they also focused on the difficulties in the real-time online classprocess, particularly on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The need todevelop specialized teaching materials for online classes is emerging;however, a shortage of teaching materials developed for online classescurrently poses a challenge. Therefore,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asuitable method for online classes by analyzing the impact of speakingactivities in online classes on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throughan analysis of recently published textbooks from Korean languageeducation institutes affiliated with major universities. Based on the TICSA developed by Khan and Tas (2020), speakingactivities were divided into pre-communicative and communicativeactivities and then subdivided into structural, para-communicative,functional activities, and social interactions. According to this classification, the types of speaking activities in the textbooks were analyzed, andstatistical data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allthe textbooks analyzed in this study had a high rate of communicativeactivity; however, the type of speaking activity accounted for asignificant differe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analyzed the impact of textbooksused in existing classroom classes on improving learners’ communicationskills in an online class environmen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atio ofeach type of speaking activity and proposed a composition of speakingactivities. This will be helpful in class design and textbook developmentfor online classes, and verification in actual class situations is requiredin the future.

      • KCI등재

        포스트코로나시대의 교과서 개발과 적용의 지향

        윤지훈 ( Yoon Ji-hun ) 한국한문교육학회 2021 한문교육논집 Vol.56 No.-

        본고는 시대의 변화에 맞춰 학교 교육의 방향도 다양한 변화를 예고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학교 교육에서 교수ㆍ학습 활동의 주요 기재로 활용하고 있는 교과서 역시 기존의 틀을 깨고 변화된 시대상을 반영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해 나갈 필요가 있다는 전제하에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교과서 관련 정책의 현안을 짚어보고, 포스트코로나시대에 걸맞은 교과서상과 교과서 개발 및 적용의 방향을 검토해 보았다. 검토 결과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교과서 관련 정책은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를 활용하여 교사가 온ㆍ오프라인 교육에 적합한 온라인 교과서를 저작하여 사용하는 체제를 구축한다는 것이 핵심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정책 기조에서 부합하는 교과서 편찬을 위해서는 교과서를 서책뿐 아니라 다양한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하여 제작한, 교육과정 정합성을 충족시키는 넓은 의미의 교수ㆍ학습 자료로 정의할 필요가 있으며, 많은 내용을 다루기보다는 교과의 기본 개념과 원리를 탐구할 수 있는 형태로 조직되어야 하고, 다양한 형태의 온ㆍ오프라인 수업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개별 콘텐츠들의 완성도를 높이면서도 활용성 제고를 위해 유연한 구조의 콘텐츠를 개발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렇게 개발된 교과서는 흥미 유발과 학습 동기 부여, 핵심적 교과 지식 전달, 다양한 학습 자료 제공을 중심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school education and textbook development and application that reflects various changes in line with the change of the time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analyzed the current issues of textbook-related policies promoted by the government, and reviewed the concept of textbooks in the post-corona era and the direction of textbook development and application. As a result, the government's current policy on textbook was to establish a system in which teachers produce and use online textbooks suitable for online and offline education by utilizing various digital contents. Therefore, in order to compile textbook that conform to this policy stance,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m a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that meet the convergence of the curriculum by utilizing books and online contents. Also it should be organized in a form that allows us to explore the basic concepts and principles of the subject rather than addressing much of the content. Finally, it was necessary to develop flexible structure contents that would effectively respond to various forms of online and offline classes. In addition, the developed textbooks were considered desirable to focus on motivating interest and motivating learning, conveying core curriculum knowledge, and providing various learning materials.

      • KCI등재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 기초한 미래 디지털교과서의 설계·개발방향 탐색

        임정훈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2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6 No.1

        이 연구는 지금까지 주로 기술과 기능 중심, 인지적 사고 중심, 개인적 학습활동 중심으로 개발·운영되어 온 디지털교과서가 다가오는 첨단 정보통신공학 사회, 유비쿼터스 사회에 미래 학습세대를 위한 교수학습 매개체가 되기 위하여 향후 어떤 방향으로 설계·개발·운영될 필요가 있는지를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서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홀리스틱 교육은 전인적인 인간발달 측면, 전체적 조화를 강조하는 전일성, 관계를 중심으로 한 공동체 의식, 생활경험에 기반한 교육 등을 강조하는데, 이 연구에서는 홀리스틱 교육의 핵심적 특징을 전인성, 전일성, 관계성, 생태성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요소들이 미래 디지털교과서 설계·개발을 위해 어떤 시사점을 줄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인지적·창의적 사고를 함께 촉진시키는 융통적 디지털교과서, 온라인과 오프라인, 형식학습과 비형식학습이 통합된 융합적 디지털교과서, 보편적 학습설계원리에 기반한 보편적 디지털교과서, 온라인 학습공동체에 기반한 상호작용적 디지털교과서, 미래 교실생태를 반영한 확장적 디지털교과서의 설계·개발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uture direction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digital textbook as a new teaching and learning media for the future learning generation based on the viewpoint of holistic education. Holistic education is founded on three basic principles - balance, inclusion, and connection. It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each person finds identity, meaning, and purpose in life through connections to the community, to the natural world, and to spiritual values. In the study, Whole-being, wholeness, connectedness, and ecology were presented as the fundamental principles(or main characteristics) of holistic education from the literature review. Based on these key concepts, som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current digital textbook and digital textbook-based instruction in classroom were discussed. In conclusion, flexible digital textbook facilitating both cognitive thinking and creative thinking together, convergent digital textbook integrating online and offline learning, formal and informal learning, general digital textbook based on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nteractive textbook based upon online learning community, and expanded digital textbook reflecting the future classroom ecology were recommended as strategies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digital textbook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웹 기반 한국어 교재의 현황과 과제-<누리-세종학당>의 온라인 한국어 교재 편찬 방향을 중심으로-

        박재현,이아름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4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26 No.-

        본 연구는 일반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대표적인 웹 기반 한국어 교재인 <누리-세종학당>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웹 기반 한국어 교재의 개발 방향을 제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최근 한국어 학습자의 유형이 다양해짐에 따라 이들의 요구에 부합하는 학습 내용과 방법을 제공할 필요가 있는데, 그 방법 중 하나로 웹 기반 한국어 교재의 활용을 들 수 있으며, 이는 스마트 시대의 도래라는 측면에서도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누리-세종학당>이 웹의 특성을 활용하여 다양한 범주의 학습자를 포용하고 있는지, 교육적인 측면에서 효과적인 학습 내용과 방법을 담고 있는지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웹 기반 한국어 교재의 개발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1)다양한 학습자 변인을 고려하여야 한다, (2)종이 교재와의 차별화를 구현하여야 한다, (3)웹 기반 교재 내에서 상호작용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웹 기반 한국어 교재가 이러한 방향으로 개발된다면, 웹의 특성을 충분히 활용하여 다양한 학습자의 차별화된 요구를 수용하고 학습 효과 또한 높일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present status of web-based Korean textbook and to suggest the future tasks for development of the textbook. As there is an increased number of KFL learners who have different learning styles and purposes, various needs have requested from them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Most of all, web-based Korean textbooks become an appropriate solution for satisfying those learners who are familiar with new media technology because it has a high accessibility and creates interesting individualized learning environment for learners. To achieve the purpose the paper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web-based Korean textbooks according to the preceding researches and set up the standard for analyzing web-based textbooks. Moreover, the paper analyzed “Nuri-Sejonghakdang”, one of major online Korean textbooks for KFL learners. As a result of analysis, the study concluded with some future task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web-based Korean textbooks. The suggested tasks are; (1) Considering diverse variables of KFL (2) Differentiating from printed textbooks (3) Facilitating of dynamic interaction.

      • KCI등재

        중·고등학생의 전자교재 기반 온라인 학습 경험 모형 탐색

        이성혜,최효선,채유정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18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 conceptual model by exploring learners' learning experiences, factors influencing these learning experiences, and learning outcomes associated with learning experiences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using electronic textbook. To do thi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voluntary attending A university's online learning program participated in semi-structured interview.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data analysis is done through three stages of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to derive a conceptual framework. And the data analysis process was validated by three educational researchers.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design principles of electronic textbook affect the learners' cognitive learning experience as the most important, and the cognitive experienc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learners' affective experience, and consequently influences various learning outcomes. Specifically, in electronic textbook-based online learning, learners have experienced deep thinking, challenging, self-directed learning, using metacognitive strategies, exploring / writing, applying to real world, and these experiences have influenced positive learning experiences such as fun/interest, sense of accomplishment, confidence, and patience. The learners’ cognitive and affective learning experiences were directly affected by the design principles of the electronic textbook including the actual tasks, question-oriented content, and deepened content, and the media characteristics, content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nic textbook, and learner characteristics were also related to learning experiences. Learners’ cognitive and affective learning experiences have been associated with various learning outcomes such as extension of interests, ability to learn, improvement of creativity and digital literacy, and career choice.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전자교재(e-book) 기반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학습 경험과 이러한 학습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학습 경험과 연결되는 학습 성과를 탐색하여 개념적 모형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 대학교의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을 수강한 중학생 및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인터뷰(semi-structured interview)를 진행하였다. 자료분석은 근거이론에 기반 하여 개방코딩(open coding), 축코딩(axial coding), 선택코딩(selective coding)의 세 단계를 거쳐 개념적 틀을 도출하고(Strauss & Corbin, 1998), 이를 타당화하는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그 결과 전자교재의 설계적 특성이 가장 핵심적으로 학습자의 인지적 학습 경험에 영향을 주고 이러한 인지적 경험이 정의적 경험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결과적으로 다양한 학습 성과와 연결되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전자교재 기반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자들은 깊이사고하기, 도전하기, 주도적으로 학습하기, 메타인지전략 활용하기, 탐구/글쓰기, 실세계 적용하기, 새로운 경험하기, 열린 사고 등의 인지적 경험을 하며 이러한 경험이 재미/흥미, 성취감, 자신감, 인내심 등과 같은 정의적 학습 경험에 영향을 주었다. 학습자의 인지적, 정의적 학습 경험에는 실제적 과제, 질문중심 콘텐츠, 심화된 내용 등 전자교재의 설계원리가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전자교재의 기능적 특성, 학습자 특성, 내용 특성 또한 학습자의 학습 경험과 관련이 있었다. 학습자의 인지적, 정의적 학습 경험은 관심 분야의 확장, 혼자 공부하는 능력 신장, 창의성과 디지털 리터러시 향상, 학교 공부에 도움, 진로선택 등과 같은 학습 성과로 연결되었다.

      • KCI등재

        교과용도서 질 관리에 관한 초등 교사의 인식 분석:초점 집단 분석을 중심으로

        천승민,박상완 한국초등교육학회 2023 초등교육연구 Vol.36 No.3

        This study analyzes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textbook quality management and explores improvement tasks.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eight elementary teachers, including those experienced in textbook monitoring.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teachers showed a high level of trust in the quality of textbooks and empathized with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textbook quality management. Second, textbook quality management at schools involves informal sharing and collaboration among teachers of the same grade, rather than formal procedures. Decisions regarding modifications and updates are left to the discretion of individual teachers, and the guidance on revisions and improvements is communicated through official documents. Some of the main issues with the textbook quality management system include the considerable time required for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involvement in tasks unrelated to teachers' primary responsibilities, and the bifurcated textbook quality management system. Third, the key improvement tasks for the textbook quality management system include creating a user-friendly system with a focus on convenience, providing useful and actionable information, establishing an open space for free discussion and sharing, implementing various promotional strategies to attract teachers' attention, and offering effective communication and feedback channel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eply analyzes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are the main users of textbooks, regarding textbook quality management and derives improvement tasks for the qual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elementary school settings. 이 연구는 교과용도서 질 관리에 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과용도서 질 관리제도 개선 과제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과서 모니터링단 활동 경험이 있는 교사와 일반 교사 8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교사들은 교과용도서의 질에 대한 높은 신뢰, 교과용도서 질 관리의 가치와 의미에 대해 공감하였다. 둘째, 학교에서 교과용도서 질 관리는 공식적 처리보다 동학년·동료 교사 간 공유, 수정·반영 여부는 교사의 재량, 수정·보완 결과 안내는 공문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교과용도서 질 관리제도의 주요 문제점으로는 수정·보완까지 많은 시간 소요, 내 업무가 아닌 일, 이원화된 시스템을 들 수 있다. 셋째, 교과용도서 질 관리제도 개선 과제로 사용자 편의성 중심의 시스템 만들기, 유용하고 활용 가능한 정보 제공하기, 자유 토론과 공유 가능한 열린 공간 만들기, 교사들의 관심을 끌 수 있는 다양한 홍보하기, 소통과 피드백 제공하기 등으로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교과용도서의 활용 주체인 초등 교사들의 교과용도서 질 관리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확인하고 현장에 기반을 둔 교과용도서 질 관리제도 개선과제를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일본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온라인 경제학 교육 콘텐츠의 어휘 비교

        ( Naoyuki Kuida ) 한국경제교육학회 2018 경제교육연구 Vol.25 No.2

        본 논문의 목적은 일본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 ‘커뮤니케이션 영어 Ⅰ, Ⅱ, Ⅲ (총 93권)’의 어휘와 온라인 경제학 교육 콘텐츠 ‘CORE-Econ(Beta-version)’의 어휘를 비교함으로써 교과서 어휘 활용을 통한 어휘 부담의 경감과 함께 영어로 경제학의 학습이 가능함을 밝히는 데에 있다. 그 결과, ‘CORE-Econ’에서 사용된 어휘의 약 70%가 교과서 어휘로 되어 있었다. 또, 본 연구에서 독자적으로 개발한 기수(旣習) 어휘 지수(Already-learned-vocabulary index, ALV index)가 포함된 어휘표를 활용함으로써 영어 전공이 아닌 교사도 학생들의 어휘력 측정이 가능하고 내용지도와 어휘지도의 병행이 가능하다는 것이 시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vocabulary used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English Communication I, II and III” in Japan with the vocabulary of online English Economics education “CORE-Econ” and to demonstrate that the English textbooks vocabulary is helpful for students to study Economics in English. Vocabulary comparison made in this paper showed about 70 percent of the words in CORE E-con were used in the English communication textbooks. In addition, the vocabulary lists with an original index called “already-learned vocabulary” index (ALV index) help teachers understand students’ vocabulary and enable them to teach Economics and English vocabulary to students easily.

      • KCI등재

        온라인 주석시스템에서 학생들의 지식공유를 통한 과학교과서의 협력적 독해 양상 분석

        이지원 ( Jiwon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8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8 No.5

        이 연구에서는 온라인 주석시스템을 이용한 과학교과서 독해 과정에서 학생들이 동료들에게 요청한 지식의 종류, 학생들이 동료들에게 제공한 지식의 정확성, 지식공유행동의 빈도, 협력적 독해의 효과성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 그리고 동료 간 신뢰의 정도를 조사하였다. 중학교 2학년 241명의 학생이 과학 교과서의 2개 대단원을 온라인 주석시스템을 이용하여 작성한 주석(질문과 답변)을 Bloom의 개정된 분류틀과 답변의 정확성 분석틀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 효과성설문지, 인지기반 신뢰와 정서기반 신뢰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학생들이 교과서를 읽으면서 만든 질문의 80%는 ‘이해 질문’이었고, 이 유형의 질문은 개인의 독해를 위한 메타인지 전략과 유사하였다. 이러한 요구에 의해 학생들 간에 공유한 지식은 71%가 과학적으로 올바른 지식이었다. 지식공유행동의 빈도를 살펴보면 학생들은 온라인 주석시스템을 이용한 독해과정에서 활발하게 지식공유행동을 수 행하였으나, 행동의 빈도는 보상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학생들은 온라인 주석시스템을 통해 수행한 지식공유행위가 학습에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학생들끼리 서로를 지식공유자로서 신뢰하는 비율은 80%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온라인 주석 시스템을 사용하여 독해를 하였을 때 학생들이 지식공유를 함으로써 독해과정에서 발생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온라인 주석 시스템을 사용한 협력적 독해는 일방향적인 정보전달에 그쳤던 기존의 교과서 읽기와 달리, 쌍방향적이고 역동적으로 지식을 공유하게 함으로써 인지적 개별화 교육이 가능하도록 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1) the types of knowledge students ask for in their reading comprehension of science textbooks using an online annotation system, 2) the accuracy of the knowledge provided by the students to their peers, 3) the frequency of knowledge sharing behaviors, 4) the evaluation of the effect of collaborative reading, and 5) the trust among peers as knowledge sharers. Questions made by 241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of middle school using an online annotation system in two chapters of the science textbook were analyzed using Bloom’s revised taxonomy and their answers were grouped according to five accuracy categories. Also, questionnaires for the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collaborative reading comprehension and of trust among the students were used. The students asked their peers ‘understanding questions’ which comprised almost 80% of the total questions they made and were similar with individual metacognitive strategies for reading comprehension. Of the total threads, 71% has scientifically correct threads shared by the students. The frequency of the knowledge sharing behaviors was high but this was affected by the rewards (point system). Students evaluated that collaborative reading comprehension conducted through an online annotation system were helpful in their learning. In addition, the ratio of students trusting their peers who did the knowledge sharing is over 80%. This study shows that when students use an online annotation system, they can fill one another’s cognitive gaps in the reading process by sharing knowledge. Also, collaborative reading using an online annotation system has proved that cognitive individualization is possible through sharing knowledge interactively and dynamically, unlike reading hard copies of textbooks which are a one way information transf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