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논문의 글쓰기 사례 연구

        한재영 ( Jaeyoung Han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4

        과학교육 논문의 글쓰기 실태를 한국어 기초 문법과 번역투의 측면에서 조사하고 그 개선점을 찾아보았다. 과학교육 연구는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의 특성을 모두 나타내며 양적 연구를 더 많이 하는 특징이 있어 논문 글쓰기 방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번역투는 순수한 한국어가 아닌 외국어에서 유래한 상투적 표현을 말한다. 한국어 기초 문법은 호응의 문제, 맞춤법·띄어쓰기·문장 부호의 문제, 사동 표현의 문제, 무분별한 영어 사용의 문제로 정리하였고, 번역투는 영어번역의 문제, 일본어 번역의 문제, 영어와 일본어 번역의 문제로 구분 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한 호에 실린 논문 9편의 글쓰기 중에서 한국어 기초 문법에 어긋나는 사례와 번역투에 해당하는 사례를 찾아 문제를 논의하고 대안을 제시하였다. 빈도가 높은 문제사례는 ``~적``, ``영어 사용``, ``복수 표현``, ``하다류 피동``, ``~고 있는``, ``~을 통하여``, ``~에 대하여``, ``가지다``, ``관형격조사 ~의``, ``사물주어 수동태``, ``사동(시키다)`` 등이었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과학교육 소 논문의 글쓰기 특징을 ``양적 연구의 글쓰기``, ``학술 연구의 객관적 글쓰기``, ``외국에서 유래한 연구의 글쓰기`` 세 가지로 정리하였다. 과학교육 논문 글쓰기에 나타나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과학교육 연구자는 한국어 기초 문법과 번역투에 관심을 기울이고, 구체적인 사례와 내용을 숙지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한국어 글쓰기 교육과 문법 교육에 활용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writing in research papers of science education with focus on the translationese and basic Korean grammar, and found a way of improving the Korean language. The science education research have characteristics of both social science and natural science, and of having more quantitative than qualitative research, which could influence the writing of the research paper. The translationese means the conventional expression originated from foreign language other than Korean. The basic Korean grammar includes ``agreement,`` ``spelling, word spacing, punctuation mark,`` ``causative suffix,`` ``use of English or loanword,`` and the translationese is divided in ``English,`` ``Japanese,`` and ``English and Japanese.`` The sentences in nine research papers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were analyzed, and the problematic sentences were discussed and provided with alternatives. The cases with high frequency include ``-jeok,`` ``use of English,`` ``expression of the plural,`` ``passive voice of the verb with -hada,`` ``-go inneun,`` ``-eul tonghayeo,`` ``-e daehayeo,`` ``gajida,`` ``genitive case marker -eui,`` ``passive voice with subject of thing,`` and ``causative suffix, -sikida.`` Based on the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of science education research papers were described as ``writing of quantitative research,`` ``objective writing of academic research,`` and ``writing of research of foreign origin.`` In order to improve the writing of research paper of science education, the science education researcher should pay attention to basic Korean grammar and the translationese, and be familiar with the concrete examples of problematic ca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in the education of writing and grammar of Korean language.

      • KCI등재

        몽골과 한국의 지구과학 교과 내용 비교 연구

        간치멕 ( Ganchimeg Gantumur ),곽영순 ( Youngsun Kwak ),차희영 ( Heeyong Cha ) 한국과학교육학회 2020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0 No.6

        이 연구는 몽골과 한국의 중등 지구과학과 교육과정 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양국의 지구과학과 교육 내용을 점검하고 향후 지구과학교육과정 개정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첫째, 몽골과 한국의 지구과학 교과의 변천 및 현행 운영실태를 파악하고, 다른 국외 사례와 비교 분석하며, 둘째, 몽골과 한국의 지구과학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과학과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는 지구과학 관련 내용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서 중학교는 TIMSS 평가틀을 활용하였고, 고등학교는 미국의 차세대 과학교육 표준(NGSS)과 한국의 고등학교 지구과학과 교육과정 내용을 혼합하여 전문가의 타당도 분석을 거쳐서 분석틀을 만들었다. 연구 결과, 몽골과 같이 러시아식 교육 체제를 따르고 있는 국가들에서는 지구과학을 독립적인 과학과목으로 편성·운영하지 않았고, 지리교과의 자연지리 영역에서 지구과학 관련 내용을 다루었다. 몽골과 한국의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지구과학 내용을 분석한 결과 TIMSS 내용분석틀의 27개 내용 요소 중에서 몽골은 18개가 일치했고, 한국은 20개가 일치했다. 한국의 몽골의 고등학교 지구과학 관련 내용은 한국보다 매우 간략하게 서술되어 있었고, 다루지 않는 내용이 많았다. 특히, 몽골 지리 교과과정에서는 환경 관련 내용을 많이 다루었다. 몽골의 지구과학 교육과정 운영 방식과 환경 관련 내용의 강조는 한국의 과학과 사회 교과의 간학문적 통합형 교육과정을 개발시 참고가 될 수 있다.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secondary earth science curriculum in Mongolia and South Korea to check the contents of earth science education in both countries and to prepare basic data necessary for future earth science curriculum revision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first, to understand the changes and current operating conditions of earth science curriculum in both countries, to compare and analyze with other foreign cases, and second,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ntents of earth science and curriculum in both countries. The TIMSS evaluation framework is us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earth science-related contents included in the science curriculum of middle schools. For analyzing the contents of high school, the contents of NGS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earth science curriculum contents of high schools in South Korea were mixed and the analysis frameworks were created and validated by experts. As a result of the study, countries that follow the Russian-style education system did not organize and operate earth science as an independent science subject, and deal with earth science-related content in the natural geography area of the geography subject. The earth science contents covered in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in both countries, 18 of the 27 content elements of the TIMSS content analysis framework were matched in Mongolia and 20 in South Korea. In high school curriculum, the contents of earth science in Mongolia were described more briefly and not covered than in South Korea. In particular, the Mongolian geography curriculum dealt with many environmental issues. The emphasis o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earth science curriculum in Mongolia and the contents related to the environment can be used as a reference when developing an interdisciplinary integrated curriculum of science and social studies in South Korea.

      • KCI등재

        지구 환경을 고려한 미래 지향적 지구 과학 교육 과정 제안

        신동희,이양락,이기영,이은아,이규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00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5 No.2

        이 연구는 지구 과학 내용을 '지구 환경'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통합시키는 지구 과학 교육 과정의 새로운 안(案)을 제시함으로써 미래 지향적 지구 과학 교과목의 정체성을 확고히 하고자 목적을 가진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첫째, 세계 주요국들의 초ㆍ중등 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지구 과학 관련 내용과 존재 방식을 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했다. 둘째, 제7차 중학교 과학 교과서 중 지구 과학 관련 내용의 제시 상황과 내용을 분석하여 지구 환경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지구 과학 교육의 내용 개발에 반영했다. 셋째, 교육 과정 국제 비교 분석 결과와 교과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구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미래 지향적 지구 과학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고 구체적인 교육 과정의 내용을 개발했다. 외국의 지구 과학 관련 교육 과정 분석 결과, 전통적인 과학적 내용 외에 환경 지구 과학적 내용이 강조되고 있었고, 그 나라의 지역적 특성이 반영되었으며, 실생활과 관련된 주제를 강조하고 있었다. 제7차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포함된 지구 과학 내용의 제시 상황에 따른 분석 결과, 환경 지구 과학 상황보다는 전통적 지구 과학 상황을 주로 활용해 내용을 제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선진국들의 지구 과학 교육 현황을 상세하게 분석한 결과 및 국내 과학 교과서 지구 과학 영역의 현 상황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지구 환경을 고려한 국민 공통 지구 과학 교육 과정을 개발했다 새로 개발된 지구 과학 교육 과정은 7학년부터 10학년에 걸쳐 적용되며, 지구 환경, 우주에서의 지구, 지각의 물질과 지표의 변화, 지각 변동과 지구의 역사, 해양, 물의 순환과 날씨, 태양계의 운동 등 7개 대영역으로 구성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environment-concerned earth science curriculum to provide a new role to earth science educat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first, earth science education in the world-leading countries in science education was analyzed in consideration with status and contents of each country's national science curriculum. Second, our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were analyzed to understand what is learning and how the contents are present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curriculum and textbook analyses. a brand-new earth science curriculum with the emphasis on our earth environment were proposed. The newly proposed earth science curriculum contains 7 units, ranging from 7 to 10 grades. They are Earth Environment, Earth in the Universe, Earth Materials and Their Change, Plate Movement and Earth History, Ocean, Water Cycle and Weather, and Movements in Solar System. The proposed curriculum has several characteristics. First, contexts with emphasis on earth environment were situated in every unit. Each context was developed to best explain what the students should know in learning the units and what the teacher should have in mind in teaching the units. Second, earth science contents were considered in the perspectives both of global and local environmental issues. This proposed earth science curriculum is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fostering all students' scientific literacy as well as their earth literacy.

      • KCI등재

        ' 한국 역사 속 과학탐방 ' 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박상우,박승재,오경진,조광희 한국과학교육학회 1999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는 한국 역사 속 과학탐방에 대하여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교육적 가치, 지도방식, 어려운 점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데 있다. 「98 과학교육자 큰 모임」에 참석한 현직 교사 및 과학교육자 97명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검사도구는 본 연구자들에 의해 개발되어 과학교육전문가 4인으로부터 안면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한국 역사 속 과학탐방은 교육적으로 매우 가치 있다고 응답하였다. 응답자의 다수가 한국 역사 속 과학탐방이 한국 문화를 이해하고, 탐구과정기능의 습득에 기여할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발산적 탐구와 협동학습의 기회를 제공하며, 통합교과적이고 종합적인 사고능력을 기르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반응하였다. 정규 과학교과 내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과학관련 진로지도 및 생활지도로 활용할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기존 과학탐방의 지도경험에 대한 조사를 통해 볼 때, 탐방 전 활동이 거의 없었고 탐방 중에는 교사설명 중심의 활동이 이루어졌으며 탐방 후에는 과학기사나 일기 형식의 작문을 주로 하였다. 이에 비해 교사들이 생각하는 바람직한 한국 역사 속 과학탐방의 지도방식은 학생용 탐방자료나 비디오를 통한 탐방 전 활동, 간단한 안내 후 조별 탐구로 이루어진 탐방 중 활동, 탐방결과에 대하여 발표·토론하는 탐방 후 활동을 강조하였다. 한국 역사 속 과학탐방의 어려운 점으로 교사들은 교수학습자료의 부족과 거리·비용 및 교통문제, 교사의 경험부족 등을 언급하였다. 또한 한국 역사 속 과학탐방이 잘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과학탐방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과 탐방활동에 대한 정규 교사 연수 과정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 about 'Science Field Trip(SFT) to Korean historical sites'. Ninety-seven teachers were asked to reply the questionnaire about SFT to Korean historical sites. This questionnaire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educational value, teaching method, and difficulty of management. Firstly, teachers indicated that SFT to Korean historical sites had much educational value in that it could give students chances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to acquire investigative process skills, to experience divergent investigation and cooperative learning, to raise integrated thinking skill concerning science and other subjects, and to learn contents related with science curriculum. It also had advantages of caring for students out of school and giving the information for future occupation. Secondly, teachers suggested the desirable teaching method: teachers' explanation about SFT to Korean historical sites with worksheets before it, students' group work during it, and the presentation and discussion after it. Finally, the most frequent answer in the difficulty of management was the lack of teaching materials for SFT to Korean historical sites.

      • 초등학교 과학교과목표, 지도방법 및 평가방법의 변화 분석

        김효남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4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67 No.-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과학교과목표, 지도방법 및 평가방법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교수요목기부터 2009개정교육과정기까지 살펴보았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홈페이지에 수록된 국가교육과정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우선 초등학교 과학교과목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과학교과목표로 교수요목기부터 2009개정교육과정까지 과학 개념의 이해, 기초적인 탐구방법, 자연에 대한 흥미와 과학적 태도는 꾸준히 제시되고 있었다. 둘째, STS 관련 교과목표는 6차교육과정부터 2009개정교육과정까지 제시되고 있었다. 셋째, 제1차교육과정에서 탐구능력과 과학 관련 태도가 구체적으로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었다. 넷째, 과학 지식의 문제해결에의 적용은 5차부터 2009개정교육과정까지 제시되고 있었다. 초등학교 과학교과 지도방법의 변화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탐구적인 지도방법과 안전지도는 2차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 모든 교육과정기에서 강조되었다. 둘째, 학생중심의 활동위주의 지도는 4차부터 2009개정교육과정까지 강조되었다. 셋째, 과학사, 첨단과학 내용의 지도는 5차부터 2009개정교육과정까지 국가교육과정 문서에서 언급되었다. 넷째, 교과내용의 재구성은 2차, 4차-2009개정교육과정에서 언급되고 있다. 다섯째, 발문에 대한 언급은 4-7차 교육과정에서 찾아 볼 수 있었다. 평가에 대한 내용 변화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에서 과학과 평가에 대한 내용은 4차 교육과정 부터이다. 둘째, 과학지식, 탐구능력은 4차-2009개정교육과정에서 꾸준히 언급되고 있다. 셋째, 평가방법으로 지필, 면담, 실기, 관찰을 4차부터 강조하였다. 국가교육과정에서 강조되고 있는 과학교과목표, 지도방법 및 평가방법은 초등학교과학 교과서 개발 및 지도자료 개발에 큰 영향을 주었고,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얼마나 학교 현장에서 구현되고 있는가 하는 것은 또 다른 문제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ERIC 검색을 통한 미국의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분석

        김성원,홍숙희 한국과학교육학회 2000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0 No.1

        과학영재교육이 국가와 사회적 책임이라고 인식하는 이 때, 오래전부터 과학영재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가 진행되어 왔고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는 교육선진국의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ERIC(Education Research Information Center)에 대한 검색을 실시하여 과학영재 관련 문헌을 선정하고 내용별 분류를 실시한 후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문헌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981년에서 1997년까지의 ERIC 검색 결과, 과학영재 관련문헌은 150개로 나타났고, 그 중 과학영재 교육 프로그램 문헌은 63개로 42.0%를 차지했다. 2. 학술지논문의 출판형식이 과학영재 관련문헌의 42%,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의 65.1%로 가장 많았다. 3.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의 71.4%가 중,고등학교 과학영재에게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의 52.4%가 여름프로그램이나 단기 기숙프로그램 등의 정규 이외의 추가적인 심화 교육과정으로 진행되고 있었고, 정규수업으로 실시되는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은 38.1%로 나타났다. 5. 대학과 전문기관과의 영계가 잘 이루어져 멘토제도, 인턴제도 등이 잘 활용되고 있으며, 과학 관련 전공과 직업선택을 독려하는 프로그램이 많이 있었다. 6. 학습능력, 관심, 태도 등 여러 특성이 다른 과학영재들을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하여 개별학습이 잘 이루어지고 있었다. In this study, literatures concerning the scientifically gifted/talented were identified through exploration of ERIC(Education Research Information Center) and then categorized. Existing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scientifically gifted/talented were analyzed to aid in development and progress of education program of the scientifically gifted/talented.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1. Exploration of ERIC from 1981 to 1997 showed 150 documents related to the scientifically gifted/talented and of those found there were 63 scientifically gifted/talented education program documents which accounts for 42.0%. 2. 42.0% of documents related to the scientifically gifted/talented and 65.1% of education program for the scientifically gifted/talented were in the publication type of journal articles. 3. 60.0% of documents related to the scientifically gifted/talented and 68.3% of education program for the scientifically gifted/talented were in the type of paper of reports. 4. 71.4% of education programs for the gifted/talented was centered around scientifically gifted/talented students in middle or high school. 5. 52.4% of education programs for the scientifically gifted/talented was being carried out as an supplementary enrichment education program such as summer programs or short term projects. Education programs for the scientifically gifted/talented carried out as a regular class accounted for 38.1 %. 6. Systems like Mentorship System and Internship System is being well carried out due to good interrelationships between universities and institutions. There were many programs encouraging majors and careers in science related fields. 7. Individualized education, which is effective in teaching the scientifically gifted/talented whose abilities, interests, and attitudes differ, is being well carried out.

      • KCI등재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기초한 2007 및 2009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과 미국의 차세대 과학 표준(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의 성취기준 비교 분석

        최정인 ( Jung In Choi ),백성혜 ( Seoung Hye Paik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2

        과학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은 교육목표를 안내하고, 교육의 내용을 구성하며, 평가의 방향을 지시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2009 개정과학과 교육과정은 자연현상과 사물에 대하여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고 탐구하여 과학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과학적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길러 일상생활의 문제를 해결할 줄 아는 과학적 소양을 기르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새롭게 개정된 교육과정인 만큼 이전의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과학교육이 추구하는 목표를 지향하는 성취기준이 되어야 바람직할 것이다.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를 사용하여 우리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으로 분석함으로써 다양한 지식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을 담아내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은 이전의 2007 개정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인지과정 및 지식 차원에서 고등사고를 촉진하는 인지과정 및 지식 차원의 유형이 확장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미국의 NGSS와 비교하여 인지과정 차원과 지식 차원에서 특정 범주의 인지과정이나 지식 유형에 편중되어 있었다. ‘분석하다’, ‘평가하다’, ‘창안하다’와 같은 인지과정이나 ‘메타인지 지식’과 같은 지식의 유형은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었다. 성취기준에서 소홀히 다루어진 인지과정과 지식의 유형은 교사용 지도서의 학습목표에서도 다루어지지 않음을 비교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교육과정에서 천명하고 있는 과학교육의 목표를 고려하였을 때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및 교사용 지도서의 학습목표 진술이 일부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에 편중되어 있는 것은 분명 개선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진술방식에 대한 제고를 통하여 다양한 인지과정과 지식의 유형을 지향하는 성취기준을 작성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point for improvement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2007 &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the NGSS of the United States with Bloom`s revised taxonom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compared to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7 has expanded the type of cognitive process and knowledge, which promote a higher level thinking. However,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has been biased to the type of specific cognitive process and knowledge in cognitive process dimension and knowledge dimension as compared to the NGSS of the United States. In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the type of cognitive process such as ‘analyze,’ ‘evaluate,’ ‘create,’ and the type of knowledge such as ‘meta-cognitive knowledge’ have been treated inattentively. In additio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it was identified that the type of cognitive process and knowledge that were neglected in achievement standards were not dealt with in the learning objective of teachers` guides, either. The revised curriculum should consist of achievement standards in comparison to the previous curriculum to reflect better the goals of science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achievement standards including various types of cognitive processes and knowledge by improving the method of state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of science curriculum.

      • KCI등재

        영국 학교 과학교육의 개척자 T. H. Huxley : 생애와 활동을 중심으로 focused on his life and activities

        송진웅,조숙경 한국과학교육학회 200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1 No.1

        본 논문에서는, '다윈의 불독' 등 그의 다른 측면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알려져 있는, 학교 과학교육의 개척자로서의 헉슬리(T. H. Huxley) 생애와 활동을 종합적으로 조망하였다. 의심의 여지없이 헉슬리는 빅토리아 시대의 가장 위대한 과학자 중 한 사람이었다. 하지만 동시에 그는 여러 가지의 정부 및 비정부 조직의 활동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 그리고 연설과 집필에 대한 타고난 능력을 통해서 과학의 진흥과 학교 과학교육의 개혁을 적극적으로 추진한 인물이기도 하였다. 헉슬리는 데본셔 위원회 등 다양한 왕립 조사위원회 활동들에 참여하였으며, 왕립학회 등 여러 곳의 중요한 과학단체의 회장직을 수행하였고, 또한 여러 권의 매우 영향력 있는 책자들을 발간하기도 하였다. 특히 과학교육자로서의 그의 면모를 요약하면, 스스로 30년 이상 생물학과 생리학을 가르쳤던 뛰어난 과학교사였으며,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 각종 교육 개혁 활동들을 주도한 인물이었고, 과학교사교육자 및 과학기예부의 과학시험관 그리고 각급 학교용 과학교재의 집필가로서 다양한 측면에서 학교 과학교육을 개혁하고 그 수준을 높이려고 노력하였다. 과학교육의 개척자로서의 헉슬리의 이러한 역할은 학생의 과학학습 활동에 대해 보다 철저하게 이론적으로 무장한 채 그의 뒤를 이어 등장하였던 암스트롱(H. E. Armstrong)이라는 전문 과학교육자의 활동으로 이어졌다. This study aims to illustrate T. H. Huxley's life and activities as a pioneer of British school science education which have been relatively little known than other aspects of him (e.g. Darwin's Bulldog). Undoubtedly, Huxley was one of the great scientists of the Victorian era, but he was also an active reformer of scientific enterprises and school science education through his strong engagement in various governmental and non-governmental positions and through his talents of delivering speeches and of writing books. He joined as a member to various royal commissions (esp. Devonshire Commission), became a president of several important scientific societies (e.g. Royal Society, BAAS) and published many well known books (e.g. Science and Culture, Selected Essays). As a science educator, Huxley himself taught biology and physiology for thirty years and known as an excellent teacher, participated in several historical education reform activities (e.g. a member of Devonshire Commission and of London School Board), worked as a science teacher trainer and as a DSA science examiner for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science teaching, and wrote a number of textbooks (esp. Physiography, The Crayfish) for various levels of schooling including elementary and secondary, imprinted his new idea on science teaching. His great role as a pioneer of school science education followed by a more professional successor, Prof. H. E. Armstrong who was better equipped with a more theoretical framework on the activities of learning science.

      • 초등과학교육 교재연구 및 내용 지도법 관련 교재 편찬 논의

        전영석,박형민,나지연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79 No.-

        초등과학교육 관련 강좌는 초등학교 예비교사가 과학수업 전문성을 갖추는 첫 시작점이 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국 교육대학교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초등과학교육 관련 강좌는 수업 내용, 수업방식이 서로 달라, 내실 있고 일관된 교원 양성 체제를 이루기 어렵고, 이로 인해 예비교사들의 학습 부담이 매우 과중한 실정이다. 2020년 동계 학술대회에서 초등 과학교육 관련 강좌가 가진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같이 하는 초등과학교육학회 회원들이 모여 교육 실태를 파악하고 개선점을 논의하였다. 그 논의의 주된 내용 중 한 가지는 초등과학교육 이론과 관련하여 개발된 교재는 몇 종 있으나, 구체적인 초등과학교육 지도방법과 관련된 교재는 찾기 어렵고, 현실적으로 그에 대한 자료가 축적되고 공유되는 것이 더욱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초등과학교육학회에서는 ‘초등과학교육 교재연구 및 내용지도법’ 관련 과목의 교재를 학회 차원에서 개발하기로 하였다. 그 첫걸음으로 교과서의 단원별, 차시별 교수법과 관련된 강의 사례를 수집하고 논의하여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작업을 수행하고자 한다. 사전에 학회 회원을 대상으로 교재에 담겨야 할 내용에 대한 의견을 수합하였고, 본 워크숍을 통해 구체적인 집필 방향과 일정에 관해 관심 있는 회원들과 함께 논의하고자 한다.

      • KCI등재

        202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지구과학 내용 구성 방안 탐색 -천문 영역을 중심으로-

        김현종 ( Hyunjong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1 No.6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지구과학 내용 영역과 핵심개념의 변화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을 조사하고, 국내외 지구과학과 교육과정의 천문 영역 학습 요소 비교·분석을 통해 202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지구과학 선택과목의 천문 영역 내용구성(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으로 전환하면서 지구과학 교과목에 도입된 내용 영역 및 핵심개념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4명의 지구과학교육 전문가들이 우리나라를 비롯한 미국, 캐나다 British Columbia(BC)주, 일본, 국제바칼로레아 디플로마 프로그램(IBDP) 교육과정에 제시된 천문 영역학습 내용을 비교·분석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지구과학 내용 영역중 학생들이 가장 큰 매력을 느끼는 내용은 천문 영역으로 나타났다. 천문 관련 핵심개념에 가장 큰 흥미를 느낀다고 응답한 고등학생들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천체관측 관련 내용이 삭제된 것에 대해 많은 아쉬움을 나타내었다. 국내외 교육과정을 비교한 결과, 우리나라와 IBDP 교육과정이 가장 많은 양의 천문 영역 학습 내용을 다루고 있었다. 캐나다 BC주와 IBDP의 경우, 천문 영역을 독립된 과목으로 개설하며, 우리나라와 가장 유사한 일본의 교육과정은 지구과학 과목에서 천문 영역의 내용을 다루고 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천문교육강화를 위해 학생들이 흥미를 가질 수 있는 학습 요소와 변별력을 확보할 수 있는 천문 관련 내용으로 지구과학 일반 선택과목을 구성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문 영역은 다양한 학문의 배경지식이 요구되며 교과 연계 학습이 필요하므로 일반적인 천문학의 지식체계를 따라 진로 선택과목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천문교육을 통한 과학소양교육 실현에 초점을 두고 2022 개정 교육과정 지구과학 선택과목의 천문 영역 내용 구성(안)을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composition of contents on the area of astronomy for high school Earth Science elective courses for the 2022 revised curriculum based on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changes in Earth Science core concepts over the curriculum revisions, and analysis of learning elements in the area of astronomy for domestic and foreign Earth Science curriculum. Four Earth Science education experts compared and analyzed the astronomy contents presented in Korea, the US, British Columbia (BC) in Canada, Japan, and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 (IBDP) curriculum.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high school students who answered that they were most interested in the core concepts of astronomy expressed a lot of regret that the contents related to astronomical observation were eliminated from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s a result of comparing domestic and foreign curriculum, Korea and IBDP curriculum dealt with the largest amount of learning elements in astronomy. In the case of BC in Canada and IBDP, astronomy was offered as an independent subject, and the curriculums of Japan and Korea dealt with astronomy in the Earth Science subject. According to th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general elective courses in Earth Science with astronomy-related contents with high discriminating power in order to strengthen astronomy education. Since astronomy requires background knowledge from various disciplines and inter-disciplinary learning was required,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career-related elective courses in Earth Science so that astronomy can be dealt with according to the knowledge structure of general Astronom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ays to organize astronomy contents for Earth Science elective courses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