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읽기 부진아 지도 과정에서 나타난 예비 초등 교사의 반성적 사고 양상

        서수현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9 교과교육학연구 Vol.23 No.3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flective thinking of pre-service primary school teachers in teaching struggling readers. For the study, 92 journals on the records of the teaching experiences with the struggling readers are analyzed.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pre-service primary school teachers expressed embarrassment and confusion in the process of teaching struggling readers and tended to solve the problem of the student with reading difficulty with their own efforts. Pre-service primary school teachers have taken into consideration of the emotional aspects such as learner's interest as well as the cognitive aspects in the process of teaching struggling readers, and some have tried to solve these problems in various aspects, depending on the seriousness of reading difficulty. Although the reflective thinking of pre-service primary school teachers does not always guarantee successful results, it seems that the process of reflective thinking contributed a part to cultivating practical knowledge of pre-service primary school teachers. 이 연구는 예비 교사가 읽기 부진아를 지도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반성적 사고 양상을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A 교육대학교 3학년 학생들이 읽기 부진아를 실제 지도하고 그에 대한 경험을 기록한 일지를 연구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 교사는 읽기 부진아를 지도하는 과정에서 당혹감과 혼란스러움을 표현하였으며, 대체로 교사 개인의 노력으로 읽기 부진이라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양상을 보였다. 예비 교사는 읽기 부진아를 지도하는 과정에서 인지적 측면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흥미와 같은 정서적 측면을 고려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으며, 일부는 읽기 부진이 갖는 심각성을 고려하여 교실 수업을 넘어서 다양한 교육의 장에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노력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예비 교사의 반성적 사고가 항상 성공적 결과를 담보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일련의 반성적 사고의 과정은 예비 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함양하는 데에 일정 부분 기여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실제성을 강화한 교사 양성 프로그램이 구성되어야 한다는 점, 예비 교사의 반성적 사고를 다양한 차원에서 정교화하고 이를 현장에서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점, 개별 읽기 부진아의 특성을 고려하되 합리적인 접근에 기반하여 읽기 부진 지도를 시행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 PP선호현상과 공백구문에 대한 연구

        서수현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7 敎育論叢 Vol.54 No.2

        본 연구는 공백현상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검토하고, 더 나은 해결안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목적 으로 한다. 순수한 통사적 현상은 구성소에만 적용되며, 의미를 배제하고 일어나는 것이다. 구성소 가 아닌 것에도 적용되며 통사와 의미가 혼재되면 그것은 순수한 통사적 현상이 아니며 이동으로 설명할 수 없다. 이동은 자질점검이 반드시 필요할 때에만 일어난다. 공백구문에 대한 분석은 크 게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초점이동으로 분석한 Winkler(2010)이고, 또 하나는 PF삭제로 분석한 김연승(2015)이다. 생성문법은 인간언어의 핵심적 구조를 격과 시제로 설명하고 그 둘을 자질일치로 일원화한다. 그 에 대한 Pesetsky & Torrego(2001)의 이론을 소개하였다. 그리고 생략현상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PP 선호현상에 대한 Lasnik(2014)과 김연승(2016)의 주장을 소개하고 두 입장을 다 비판한다. 이 논 문에서는 새로운 해결방법을 제시한다. 생성문법에서 격과 T는 그 본질이 같고 이동을 촉발하는 요소이다. T를 가지고 있는 CP와 PP는 안정된 구조이지만, NP는 T가 없기 때문에 불안하다. 이러 한 특징 때문에 공백구문이나 생략구문에서 잔여성분은 NP보다 PP를 선호한다. 그러나 격을 주는 동사가 직접 지배하고 다른 불안요인이 없다면 잔여성분이 NP라고 해도 예외적으로 허용된다. 이 경우에는 구조적 안정성이 보존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Lasnik(2014)의 우향초점이동이나 김연승 (2016)의 형태론적 제약조건이 포착하지 못한 더 본질적이고 합리적인 설명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쓰기 교육과정의 확장성 제고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수용 방안

        서수현 한국작문학회 2022 작문연구 Vol.- No.52

        이 연구는 미래 세대를 위한 교육을 실효성 있게 준비하기 위하여 쓰기 교육과정에 디지털 리터러시를 반영하는 방안을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 표현 영역과 관련된 선행 연구, 호주, 핀란드, 싱가포르의 자국어 교육과정과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개발 기초 연구의 성과를 검토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이 연구에서는 쓰기와 재매개되는 디지털 리터러시의 의사소통 양상의 특성에 주목하여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내용에 대한 보강이 필요하다는 점, 다양한 디지털 텍스트의 표현 활동을 강화하고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쓰기 능력의 신장에 대한 내용이 강조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쓰기 교육과정 구성의 전제로 도출하였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쓰기 영역 교육과정에 디지털 리터러시를 반영하는 방안으로 두 가지를 제안하였다. 첫째, 쓰기 교육의 대상이 되는 텍스트가 다변화되고 확장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여 쓰기 영역의 학년군별 목표에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내용을 반영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둘째, 리터러시는 재매개적 속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쓰기 교육과정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왔던 교육 내용을 재매개하여 쓰기 영역의 학년군별 내용 체계에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내용을 제시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ways to reflect digital literacy in the writing curriculum to effectively prepare education for future generations. To this end,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digital literacy expression areas, the language curriculum of Australia, Finland, and Singapore, and the basic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the 2022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were reviewed. Through this process,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 contents related to digital literacy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patterns that are remediated with writing education from the basic level. As a premise for the composition of the writing curriculum, the results showed that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content on the development of writing ability. Accordingly, two ways to reflect digital literacy in the writing curriculum were proposed. First, by emphasizing that the text of writing education is being diversified and expanded, a plan to reflect digital literacy-related contents in the goals of each grade level in the writing area was proposed. Second, considering the need to re-mediate educational content that has been important in the existing writing curriculum, it was proposed to present digital literacy-related content to the content system of each grade in the writing area.

      • KCI등재

        질문에 대한 중등학생의 인식 연구

        서수현,김소현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21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suggestions regarding the direction of student-centered question education. Therefore, we conducted surveys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chool meals and gender in situations where secondary school students asked questions, and why they did not ask questions during school hours. Analysi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questions revealed their important role in the communication and learning process of students. The need to learn the art of posing questions was also recognized. It was observed that students asked more questions to enquire about what they did not know than to further existing knowledge. These revelations suggests the necessity to actively utilize student questions as a tool to promote learning in classroom instruction. This study analyzes how students perceive questions as a medium of classroom communication, what we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questions students usually asked in the classroom, and what makes it difficult to ask these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have explored the various requirements necessary to ensure that the question is settled in the classroom instruction. 이 연구는 중등학교 학생들이 어떤 상황에서 질문을 하는지, 질문을 하지 않는다면 왜 질문하지 않는지에 대해서 학교급이나 성별에 차이가 있는지를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함으로써 학생 중심의 질문 교육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중등학생들의 질문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질문이 의사소통과 학습의 과정에 중요하게 작용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질문을 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문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면서도 학생들은 심화된 학습을 위한 질문보다 모르는 것을 알기 위한 질문을 좀 더 많이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교실 수업에서 질문이 그 중요성에 비해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지 못하며, 향후 질문을 학습을 촉진하는 도구로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학생들이 교실 의사소통의 매개로 질문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 학생이 주로 교실 수업에서 제기하는 질문은 어떠한 성격인지, 질문을 하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질문이 교실 수업에 정착하는 데에 필요한 제반 요건을 탐색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중국의 어문 교육과정 분석 연구

        서수현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5 한국초등국어교육 Vol.58 No.-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language curriculum of China announced in 2011 and offer implications for Korea to consult in future curriculum development. The language subject holds the greatest importance in China's education. It was analyzed to inherit the tradition of embodying the national spirit and, at the same time, display a future-oriented aspect of making active responses to the rapid flows of the times. The language curriculum consisted of five domains including learning the Chinese characters, reading, writing, communication in spoken language, and learning the totality. It set specific learning objectives to embody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language education, namely instrumentality, humanities, and unification. In the language education of China, love for the mother tongue and the active responses to new communication environments can serve as meaningful reference points in the revision process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It is, on the other hand, needed to make a careful approach to it since it does contain different aspects from Korean education in the simplification of educational content, concrete patterns of text selection, and setting of subareas. 이 연구는 2011년 발표된 중국의 어문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향후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발에 참조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중국의 어문교과는 중국 교육에서 가장 중시되는 교과로, 국가 정신의 구현이라는 전통의 계승과 함께 급변하는 시대적 흐름에 대한 적극적인 응답이라는 미래 지향적 모습을동시에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어문 교육과정은 글자 익히기, 글읽기, 글쓰기, 구어 의사소통, 종합성 학습이라는 다섯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구성, 인문성, 통일이라는 어문 교육의 기본 특성을 구현하기 위한 세부적인 학습 목표를 갖추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중국의 어문 교육이 갖고 있는 지위, 모국어에 대한 애정, 새로운 의사소통 환경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은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목표 및 교육 내용을 구성하는과정에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한편, 교육 내용 하위 영역 설정의 문제, 교육 내용의 대강화와 텍스트 선정의 구체화 양상, 부록을 통한 학습 내용의 제시등은 우리의 국어 교육과는 사뭇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으므로 신중하게 접근할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은유 분석을 활용한 대학생 필자의 ‘협동 작문’에 대한 인식 연구

        서수현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6 리터러시 연구 Vol.- No.18

        This study explored college student writer‘s awareness on cooperative writing by conducting metaphor analysis. To discover how college student writer constitute concepts of cooperative writing, this study employed metaphor analysis as methodology. Of 37 metaphorical expressions, 6 patterns were induced. These patterns were “collaboration, accountability about each of the roles, experience of positive feeling, process of goal achievement, confusion or difficulty, foot-dragging.” Based on such a college student writer‘s awareness, I expect to operate a more effective college writing curriculum if we form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collaborative writ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empirical study of the college writing classes of college student writer’s awareness, and it has provided a way for research methods that can be applied to research of college writing educ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은유 분석을 활용하여 대학생 필자의 협동 작문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 필자를 대상으로 협동 작문 과제를 수행하게 한 다음, 협동 작문에 대한 은유 표현과 은유 표현의 이유를 쓴 기술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 필자들의 협동 작문에 대한 인식은 ‘협력’, ‘각자의 역할에 대한 책무성’, ‘긍정적 감정의 경험’, ‘목표 수행의 과정’, ‘혼란 또는 어려움’, ‘더딤’의 여섯 가지 유형으로 범주화되었으며, 이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유형은 ‘협력’으로 확인되었다. 협동 작문에 대한 대학생 필자의 은유 분석을 통해 대학생 필자는 협동 작문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집단의 책무성인 ‘협력’과 개인의 몫인 ‘구성원의 책무성’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학생 필자의 인식을 바탕으로 협동 작문의 교육 내용을 구성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대학 작문 강좌를 운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 연구는 대학생 필자가 경험하고 있는 작문 수업에 대한 인식을 실증적으로 탐색했다는 점, 은유 분석의 방법을 활용하여 대학 작문 교육 연구에 새롭게 적용할 수 있는 연구 방법론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Word order and Agreement

        서수현 公州敎育大學 敎育硏究所 2000 公州敎大論叢 Vol.37 No.1

        This paper purposes to present how to explain English expletives and several agreement effects in the constructions within the Minimalist framework. We have surveyed Frampton’s proposal, criticizing some problems. We have adopted that expletives should receive EPP feature, N feature, agreement feature checking to be adated to the Minimalist theory. Next, we have investigated the relation between word order and Spec-head agreement. We have objected to the recent proposals by ABS(1994), Johannessen( 1996) and Munn(1999). We claim that structure reanalysis must be postulated as a optional rule in order to cover all variations around first conjunct agreement and singular agreement in the VS word order Adopting reanalysis, we can handle some optional derivations without undermining Spec-head agreement in the Minimalist spirit. This proposal accounts for more than one possibilities in agreement. Some kinds of agreement phenomena might be optional or obligatory from language to language, but they are not a problem to our claim. It will be easily triggered by parameter setting.

      • 국면이론에 대한 연구

        서수현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9 초등학교교육연구 = Elementary school education research Vol.9 No.2

        이 논문의 연구목적은 왜 생성문법이 영어자료를 설명하고 통사적 현상을 분석하는 기 존의 작업 대신,새로운 관점에서 이론을 대폭 수정하였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인간 언어는 선천적 유전자가 구조생성과 발달을 한 성과물이며,이는 오랜 진화를 통해 얻 어진 신체설계도면에 따른 것이다. 가장 본질적인 원리는 연산적 효율성이며 강력최소 주의이다. 가장 작은 에너지로 원하는 결과를 얻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진화론적 관점에서 이론을 검증한다면 단어와 국면은 같은 원리이며,이제는 문장이 아니고 국면 을 단위로 작업을 해야 한다. 이동은 자연계에도 도처에서 발견되므로 비용이 없다고 본다. 인간의 몸이나 인간의 언어는 똑같은 생물학적 원리에 의하여 만들어진다. This paper purposes to make clear why generative grammar stops working on linguistic data and syntactic principle, turning to changing a new model in a biological perspective. Natural language results from genetic growth, a mature form of invisible physical plan. The basic principle is computational efficiency and strong minimality. Nature works by the economy principle. So, we can use minimal energy to do something. Therefore, a phase is a unit in making a human language, and a frozen phase is equal to a word. Movement is cost-free and found in both a human body and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