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어와 몽골어에 있어서의 언어예절에 대한 비교연구 - 호칭을 중심으로-

        D. Otgontsetseg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0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15 No.-

        This study’s purpose is to explai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two countries’ use of honorific titles and raise awareness of manners in Korean language to Mongolians learning Korean and help them use Korean language correctly. Such attempt is meaningful in that it is important for Mongolian students to use honorific titles correctly in using Korean as an everyday language and to deepen their understandings in Korean language and its language manners. Therefore, there is purpose in helping Mongolians learning Korean have sounder and deeper understanding in Korean language and in a more systematic comprehension of cultural and social factors reflected in both language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itle use in Korean and Mongolian. In the first chapter of the thesis, we emphasized the necessity of cultural education. This is because explaining with cultural comparison of learners’ mother tongue to the foreign language they learn would not only help improve their language proficiency but also will work as an important study material for introducing the language’s culture and literature and play a crucial role in understanding the culture and customs of the nation’s people as well. In the second chapter, we discussed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and made it clear that manners in language are important in teaching Korean to foreigners. In the third and fourth chapters, we examined honorific titles in both languages and looked ove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actual characteristics in application. Moreover, through such comparative analysis we wanted to examine differences in honorific customs between the two languages and also shed a light on potential difficulties in learning languages or mutual cultural misunderstandings that could arise due to such differences. In the fifth chapter, we explained on forms and characteristics of honorific titles in Korean and Mongolian, and asserted that people learning Korean language must pay attention to the innate characteristics of Korean honorific titles. Therefore, we wanted to present Mongolian students principles to follow when using Korean titles which lack Mongolian counterparts. 본 연구는 양국의 호칭어 사용 특징의 공통성과 차이성을 밝히고 몽골인 학습자들의 올바른 언어 사용 및 한국의 언어 예절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시도는 몽골인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일상 언어로서 구사함에 있어 올바른 호칭어를 사용하고, 나아가 한국어에 대한 인식과 한국의 언어 예절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기 위해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한국어와 몽골어에 있어서의 호칭어 사용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한국어에 대한 더 깊고 확실한 이해를 돕고 언어에 투영된 서로의 사회와 문화적인 요소를 좀 더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려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논문의 1장에서는 외국어 교육에서 학습자의 모국어와 목표 언어를 문화적인 관점에서 비교하여 가르치는 것이 학습자들의 언어 능력의 향상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목표 언어의 문화와 문학을 소개하는 유일한 수업 자료가 되고 그 나라 민족의 문화와 풍습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지닌다는 것을 밝히면서 문화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논문의 2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하여 논의하고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서 언어예절의 중요성을 정리하였다. 논문의 3과 4장에서는 양 언어의 호칭법을 검토하고 실제 응용적 특징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이러한 대비적 분석을 통해 두 언어의 호칭 경어관례의 차이점을 규명해보고 그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잠재적인 상호 문화적 오해나 학습의 어려움 또한 밝혀보고자 하였다. 논문의 5장에서는 한국어와 몽골어 호칭법의 형태 및 특징을 밝히면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는 한국어 호칭어의 고유한 특징에 주목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래서 몽골인 학습자가 한국어의 호칭과 지칭을 올바르게 사용하는 데 있어서 몽골어 호칭에 없는 한국어 호칭을 쓸 때 지켜야 할 원칙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한국어 교사의 상호문화 능력 함양을 위한 문화 교육 현황과 개선 방안

        강현주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8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4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ways to teach culture for Korean teachers to enhancing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Based on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model(Byram, 1997) and following research, the core of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s defined as critical cultural awareness and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t teacher should take a role of intercultural speaker who could transfer information and build a relation with students from different cultures. In order to discover the method to develop such competence,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assessment for teacher of Japanese, Chinese and English teacher as well as Korean teachers are analyzed.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eaching skills should be added to the current intercultural communicative model of Byram(1997) in order to train Korean teachers. The syllabus and sample teaching material is also provided and problem-based teaching methodology is recommended for this course.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repare Korean teachers dealing with intercultural communicative problems and teach culture effectively.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교사의 상호문화 능력 함양을 위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Byram(1997)의 문화 간 의사소통 모델과 구성 요소에 대한 이론을 바탕으로 교사에게 요구되는 상호문화 능력의 정의와 구성 요소를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서 외국어로서 일본어, 중국어, 영어 교사에게 요구되는 문화 능력과 현재 한국어 교육에서의 교사 양성 과정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상호문화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는 핵심 능력을 ‘교육 기술’임을 도출하고, 이를 교육하는 방법으로 자문화를 낯설게 보는 연습과 타문화를 해석하고 수용하는 태도, 그리고 문화 간 차이로 인한 문제 상황에 대한 사례 연구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한국 문화 교육 방법은 다양한 문화의 접경선에서 일하는 한국어 교사들의 상호문화 능력을 함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문화 능력 향상에도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일본 대학 한국어 교수자의 한국어 어휘 교육 내용 개념도 연구

        손다정,위햇님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23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63 No.-

        이 연구는 개념도 연구 방법을 통해 일본 대학 한국어 교수자들의 한국어 어휘 교육 내용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는 데 목표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캐인․트로침(Kane & Trochim, 2007)의 개념도 연구 방법에 따라 일본 대학 한국어 교수자의 한국어 어휘 교육 내용에 대한 인식을 분석해 그 결과를 시각화하였다. 진술문의 생성과 구조화, 개념도의 분석과 해석을 통해 일본 대학 한국어 교수자의 한국어 어휘 교육 내용별 분류, 중요도, 숙달도에 대한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 교수자들은 어휘 교육 기본 내용, 교수 어휘와 함께 제시해야 하는 내용, 어휘 교육 확장 내용, 대조언어학적 내용, 학습자 요구에 따른 내용 등이 그 순서대로 어휘 교육 내용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인식은 일본어를 제1언어로 하면서 주로 교양 교과로 한국어를 수강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상황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교수자들은 학습자의 어휘 사용 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한국어 어휘 교육 내용을 설계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교수자가 속한 기관의 교육 과정이나 담당하는 강의의 성격에 따라 숙달도를 유연하게 판단하고 있었다. 이를 고려해 향후 일본 대학의 한국어 어휘 교육에 한국어와 일본어 간 대조언어학적 연구 결과를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교양 교과로 한국어를 수강하는 학습자의 학습 동기를 고려한 교과 개발과 그에 적합한 어휘 교육 내용 마련, 일본 대학의 한국어 교과 상황에 적합한 숙달도 체계화와 그에 따른 어휘 교육 내용의 마련 등이 요구된다고 보았다. The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s of Korean language instructors in Japanese universities in the contents of Korean vocabulary education, using the concept mapping methodology. The instructors’ perceptions on content classification, importance, and proficiency were analyzed and visualized; overall, they prioritized basic vocabulary, followed by teaching vocabulary, extended instruction, contrastive linguistic content, and learner-specific contend. As their students primarily spoke Japanese and studied Korean language as a liberal arts course, this order was aligned with their teaching approach. The instructors emphasized on improving learners’ vocabulary use through adapted proficiency assessments based on the institutions curriculum and course nature. The study suggests that Korean vocabulary education in Japanese universities should integrate the findings of contrastive linguistic studies, design curricula based on learners’ motivations, and develop appropriate vocabulary content for Korean course context. Systematizing proficiency levels is also recommended to enhance vocabulary education.

      • KCI등재

        한국문학 연구에 대한 다양한 접근 방식: 러시아를 중심으로

        아나스타시아 구리예바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6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33 No.-

        The paper aims at presenting a classification of major research approaches to the study of Korean literature. This topic will be considered with a focus on Russia, the country where literature has been a part of Korean studies since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ctive research on Korean literature resulted in several dozens of monographs and several hundred of research papers. Along with research activity there formed a popularization activity, i.e. translation of main works of Korean literature, writing forewords to literature collections and articles to literature encyclopedias, then presenting them to a wide readers' audience. Translations gained a high popularity, and works published in 10 000-50 000 volumes were usually sold in a short while. This paper analyzes the research approaches that laid the foundation for the above activities. The classification which includes nine major approaches, i.e. approach based on studying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nalyzing literature as a part of Korean culture, studying literature through antiquarian editions, considering social studies theories through literature works, studying language through literature works, considering certain phenomena representations in literature, comparative literature research etc. Most of the cases base on the general research theories, including literature studies theory (developed in Russia and abroad) applying also the knowledge on Korea received in the other fields of Korean studies. The classification is followed by the explanation to the core of each approach and analysis of its specifics illustrated with the examples of research by Russian scholars. Among the approaches the one basing on the one “perceiving Korean literature as a part of the complex of Korean culture and Asian culture” (Marianna I. Nikitina) and in case of modern/contemporary literature analyzing it with a consideration of Korean literary tradition” are set apart as one of representative ones for Korean studies in Russia. This approach is viewed in more detail as a tradition preserved for many decades by a young generation of scholars, as well. At the same time, this basic approach, choses as the main coordinates is often used along with some other methods described. The notion that comprehensive research on literature is one of the ways to make a positive impact on the relations and understanding between the two countries draws the conclusion of the paper. 본 논문은 한국문학을 연구하는 접근 방식을 분류해 검토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본 논문은 19세기 후반 이후 러시아에서의 한국문학을 연구 주제로 다루고자 한다. 100년이 넘는 기간 동안 러시아에서 한국학이 발전함에 따라, 한국문학에 대한 연구 서적이 수십 권, 연구 논문 수백 편이 발표되었다. 한국학 연구와 더불어 한국문학 보급화 활동의 일환으로 주요 한국문학 작품들이 번역되었다. 또한 문학전집의 서문과 문학 백과사전을 통해 광범위한 독자들에게 한국문학이 널리 소개된 바 있다. 번역된 책들은 대개 1만부~5만부가 단기간에 매진되며 높은 인기를 얻었다. 이 글에서는 위와 같은 활동의 기반이 되는 한국문학 연구 접근 방식에 대해 분석한다. 한국문학 연구 접근 방식은 9가지로 분류된다. 문학사적 접근 방식, 문학을 문화의 일부분으로 분석하는 접근 방식, 고전문학 저서들을 통한 연구 접근 방식, '순수' 문학 연구 방식, 문학 작품의 내용을 통해 사회에 관한 이론을 검토하는 접근 방식, 문학 작품을 통해 언어의 특징을 연구하는 접근 방식, 번역가의 관점에서 문학을 검토하는 접근 방식, 문학 속에서 나타나는 하나의 현상을 중심으로 삼는 접근 방식 그리고 비교 문학적 접근 방식 등이다. 대부분의 사례들은, 러시아와 해외에서의 문학이론(theory of literature)과 한국학(Korean studies)의 결과물을 같이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각 접근 방식의 핵심을 일러둔 다음, 접근 방식의 특징을 분석하며, 접근 방식을 대표하는 학자의 연구를 소개한다. 한국문학 접근 방식 중에서도 동양문화와 한국문화의 일부분으로서의 한국문학에 대한 연구 접근 방식과, 고전문학의 특징을 고려해 가며 근대/현대문학을 연구하는 접근 방식이 러시아에서의 한국학 연구의 주요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차세대 연구자들도 이어받는 전통으로서, 이 글에서 더 자세히 검토될 것이다. 이러한 접근 방식이 기본 방식이기는 하나, 다른 접근/분석법과 공용되는 경우도 일반적이다. 문학을 다면적으로 연구하는 것은 양국관계까지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한다.

      • KCI등재

        한국과 캐나다 대학생의 다문화 감수성 비교 연구

        전미현,김대희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20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51 No.-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에 대한 감수성의 국가 간 비교를 통해서 한국과 캐나다의 대학생들이 갖는 다문화 감수성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고, 다문화 감수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내재적 변인을 파악하는 데 있다. 두 국가 대학생의 다문화 감수성의 비교 항목은 상호작용 참여, 문화 간 차이 존중, 상호작용 자신감, 상호작용 향유, 상호작용에 대한 관심의 다섯 가지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특징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다문화 감수성 구성 요인별 한국과 캐나다 대학생 간 비교 결과, 양국 간 대학생의 다문화 감수성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캐나다 대학생과는 달리 한국 대학생들의 다문화 감수성에 해외여행 경험이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3) 외국인과의 대화 경험이 한국 대학생들의 다문화 감수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캐나다에서 태어난 학생들이 타국에서 태어나 캐나다로 유입되어 온 학생들보다 다문화 감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캐나다 대학생의 가정 언어는 다문화 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캐나다 대학생들 중 유학생이 아닌 학생들이 유학생인 학생들에 비해 다문화 감수성이 유의할 정도로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multicultural sensibilities of Korean and Canadian university students, and to identify the inherent variables for promoting multicultural sensibilities. Comparisons of the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participants were set up in five categories: interaction engagement, respect for cultural differences, interaction confidence, interaction enjoyment, and interaction attentivenes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1) The multicultural sensitivities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two countries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2) Unlike Canadian university students, Korean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 in overseas travel has a significant impact on multicultural sensitivity. 3) Experience in conversation with foreigner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multicultural sensibility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4) Students born in Canada are more sensitive to multiculturalism than those born in other countries and immigrated to Canada. 5) The heritage language of Canadian university students affects multicultural sensitivity. 6) Native Canadian students who are not study-abroad students are more sensitive to multiculturism than international students.

      • KCI등재

        다문화 학생을 위한 한국어 듣기 교육 방안

        정명숙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6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32 No.-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to teach Korean listening for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Korean writing is one of the most difficult part for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fter entering school, and in contrast with it, it is Korean listening that the least difficult one for them. In consequence, Teaching Korean listening for them has been neglected. It is true that the ability of children’s Korean listening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s higher than other skills,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their ability is lower than that of children’s from families with Korean parents. As in Krashen(1982), ‘Listening’ is the skill that helps leaners acquire a language, which makes it important in language learning. The underachievement of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fter their entering school is related to their lack of Korean listening ability.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to teach them Korean listening, to do this, reviews previous studies to find out if their listening skill is lower than general children in reality and what the causes are. Then this study goes over how the educational objective of listening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as set in ‘KSL curriculum’ officially announced in July of 2012.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listening part presented is examined. Based on this, chapter 4 proposes a method to teach Korean listening for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core is how to give input data which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did not get enough during their growth, how to design listening tasks to develop the inferential comprehension and how to draw their interest to perform listening activities not by listening itself but by listening, watching and acting.(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을 위한 한국어 듣기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취학 후 겪는 가장 크게 어려움을 겪는 영역은 쓰기이며, 가장 어려움이 덜한 영역이 듣기이기 때문에 지금까지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듣기 교육은 등한시되어 왔다. 그러나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한국어 듣기 능력이 다른 기술에 비해 뛰어난 것이 사실이나 일반 한국인 부모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들에 비해 듣기 기술이 떨어지는 것은 사실이다. Krashen(1982)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듣기’는 언어 습득을 가능하게 하는 영역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영역이며,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취학 후 겪는 학업 부진의 문제는 이들의 부족한 듣기 능력과도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들을 위한 한국어 듣기 교육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먼저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일반 아동들에 비해서 실제로 듣기 기술이 부족한지, 그 원인은 무엇인지를 선행 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위한 듣기 교육의 목표를 2012년 7월에 고시된 ‘KSL 한국어 교육과정’에서 어떻게 설정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4장에서는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위한 듣기 교육의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그 중 핵심적인 것으로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성장 과정에서 충분히 제공 받지 못했던 입력 자료를 최대한 제공해 주는 방안, 추론적 이해 능력을 기르는 데 주력하는 방안, 듣기 활동을 듣기라는 단일 기능만으로 구성하지 않고 들으면서, 보면서, 행동하면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유도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한국어 교사의 아랍어권 문화에 대한 인식 조사

        송금숙,이유경,위햇님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4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26 N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Korean teachers toward, especially Arabic culture, by measuring ‘Cultural Quotient (CQ),’ which is used to assess the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other cultures’ beliefs, values, languages, and behavioral patterns. For this study, a survey that is based on the Cultural Quotient Scale (CQS) (Ang et al., 2007) was conducted to Korean teachers. The result of the survey shows the Korean teachers’ CQ is 2.7, which is slightly higher than the average, 2.5. The Behavioral CQ factor is the highest, and the Cognitive CQ is the lowest among the CQ factors. It tells us that although the Korean teachers can actively work with students from Arabic-speaking countries, they have insufficient knowledge about Arabic culture. Also, it implies that teacher training for those who teach Arabian students should contain various CQ factors, particularly the Cognitive CQ ones. 본 연구는 한국어 교사가 타문화에서 중시되는 신념, 가치, 언어, 행동 양식에 대해 어떤 태도와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는 ‘문화지능’을 측정하는 연구로 특히, 아랍어권 문화에 대한 교사들의 태도와 인식 수준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Ang, Dyne & Koh(2007)의 문화지능 척도에 따라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 교사의 아랍어권 문화에 대한 문화지능은 2.7로 중간 수준(2.5)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문화지능 요인 중 행동적 문화지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인지적 문화지능이 가장 낮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를 통해 한국어 교사는 아랍어권 학생에 대해 능동적으로 행동할 수 있지만 아랍어권 문화에 대한 지식은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아랍어권 학생들을 교육하는 교사 교육에 있어 문화지능의 여러 요인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며, 특히 인지적 문화지능과 관련된 부분에 대한 교육에 대해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는 것을 함의한다.

      • KCI등재

        다문화 배경 학생의 이중언어학습을 위한 이중언어문식성 인증제 고찰

        이인혜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8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42 No.-

        The present study proposes the Seal of Biliteracy (SoBL) as a way to promote bilingualism of KSL learner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 An analysis of the SoBL in the U.S. is provided. As suggestions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Korean SoBL for KSL learners, this study proposes that (a) Korean and any other foreign language, except for English, can be assessed for the Korean SoBL; (b) it is reasonable to require the Intermediate level of proficiency for the award; (c) language proficiency can be evidenced by TOPIK,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ssessments based on the KSL curriculum, foreign language proficiency assessments, and/or high school GPA; and (d) researchers and stakeholders should consider the unique context surrounding KSL learners and challenges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the SoBL policy. 본고는 미국의 이중언어교육 관련 제도인 Seal of Biliteracy(SoBL)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상황에 맞는 다문화 배경 학생 대상 이중언어문식성 인증제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본고에서는 한국의 이중언어문식성 인증제는 한국어와 그 외 하나 이상의 언어를 대상으로 하되,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제1외국어와 같은 지위를 갖는 영어를 제외한 외국어를 인증 대상으로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인증을 위한 평가 방법으로는 숙달도 시험 및 학점을 활용할 수 있으며, 인증 기준이 되는 숙달도는 중급이 적절할 것으로 보았다. 마지막으로 한국에서 이 제도를 시행할 경우의 고려사항 및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중언어교육 관련 정책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다문화 배경 학생 대상 이중언어교육에 대한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제도 마련의 가능성을 모색했다는 데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통합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화 학습 활동 분석

        오문천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2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21 No.-

        한국어 교육계에서 문화교육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최근 한국어 교재에서는 문화교육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효과적인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해서는 교육의 내용, 교재 제시 방식, 교실 수업 방법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 한국어 교재는 문화 지식만 아니라 문화 수행 능력에 도달할 수 있는 정도의 내용과 도달하기 위한 방법을 동시에 고려하여야 한다. 즉 교재에서 한국 문화를 다룰 때 단순히 지식만을 소개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그런 지식을 다루고 평가하는 문화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일방적인 설명 위주의 문화가 아니라 학습자 스스로 목표 문화를 비교하고 평가하게 하도록 유도하여야 하며 이를 통해 언어 숙달은 물론, 문화 이해에도 효과적이다. 그러나 문화 교육 내용에 대한 활발한 연구에 비해 문화 교육의 방법인 교재의 문화 학습 활동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부족하다. 교재 내 문화 교육에 있어 문화 내용의 이해를 촉진하기 위하여, 그리고 나아가 문화 능력을 기르기 위하여 문화 학습 활동의 역할을 의식해야 하고 다양한 문화 학습 활동의 개발이 매우 필요하며 절실하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 내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화교육을 위한 연구로서 구체적으로 말하면 중국의 통합 한국어 교재 내 문화 학습 활동의 개발을 위하여 중국과 한국의 통합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화 학습 활동을 분석하고 교재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바람직한 개발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논문의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마련하기 위해 중국과 한국의 경우를 나누어 각각의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화 교육의 기본적인 틀과 성격을 파악한다. 3장에서는 중국의 통합 한국어 교재와 한국의 통합 한국어 교재에서 문화 학습 활동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각각의 특색과 문제점을 지적한다. 교재 분석은 중국의 통합 한국어 교재와 한국의 그것을 나누어 하고 분석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우선, 교재의 서지상항을 통해 교재의 기본적인 정보를 파악한다. 다음, 교재의 단원구성 및 학습 활동 구성의 틀을 밝힌다. 이런 틀에 교재에서 문화 학습 활동을 어떻게 나타나는 지를 표로 정리한 후에 나타난 문화 학습 활동에 대해 교재의 예를 결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마지막에 분석 결과로 중국의 한국어 교재와 한국의 그것의 각각의 특색과 장단점을 밝힌다. 4장에서는 분석의 결과로 중국의 통합 한국어 교재에서의 문화 학습 활동의 개발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며 본 연구의 한계와 남은 과제를 제시한다.

      • KCI등재

        한국어 교재의 평가 기준 설정 연구–국내외 사례 연구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홍종명,이준호,안정호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20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51 No.-

        This study aims to develop comprehensive evaluative criteria and checklist of Korean Language Textbook.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s several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 studies on universal characteristics of (language) textbooks checklist. Related literature that this study examined includes ‘the Standards of Official Approval on textbooks by Ministry of Education, Korea’, ‘the Standards of Textbook Recommendation System by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as well as several reviews on previously released KSL/KFL, ESL/EFL research articles. By means of deriving critical findings from those case studies, this study presents four evaluative criteria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such as ‘legislation, norm and fairness’, ‘physical make-up and utilitarian’, ‘Curriculum and objectives’, ‘teaching method and contents’ and develop expansive checklist to evaluate textbooks. 10 items for ‘legislation, norm and fairness’, 20 items for ‘physical make-up and utilitarian’, 7 items for ‘Curriculum and objectives’, 65 items for ‘teaching method and contents’ are presented and 110 in total items are presented as a result of the study. 본고는 국내외의 교재ㆍ교과서의 평가 기준 설정 사례를 분석하고, 분석의 결과로 도출된 시사점을 반영하여 한국어 교재의 평가 기준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내 사례의 경우, 한국어 교재의 평가 혹은 분석 기준 설정에 관한 선행 연구를 고찰하고, 교육부의 교과용도서 개발을 위한 편찬상의 유의점 및 검정 기준, 국립국어원의 한국어 교재 추천 제도 등에서 제시된 교재 평가 기준과 관련된 항목들을 분석하였다. 더불어 외국어로서의 언어 교육용 교재의 평가 기준에 보다 집중하고자 ESL/EFL 교재의 평가 기준 설정에 대한 해외 사례도 분석하였다. 본고는 이렇게 한국의 교과용도서 평가 기준, 기존의 한국어 교재 평가 기준, 해외의 영어 교재 평가 기준을 분석하여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평가 기준의 체계를 마련하였으며, 크게는 범령ㆍ규범 및 공정성’, ‘외형 및 실용성’, ‘교육과정의 준수’, ‘교육 방법 및 내용’의 4대 대범주를 설정하고 각각의 하위 평가 기준을 제시하였다. 또 범령ㆍ규범 및 공정성’ 범주에 10개, ‘외형 및 실용성’ 범주에 20개, ‘교육과정의 준수’ 범주에 7개, ‘교육 방법 및 내용’ 범주에 교육 방법 8개, 교육 내용 65개 범주로 73개 항목을 제시, 총 110개의 항목을 제시하여 구체적이고 포괄적인 평가 기준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