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일본의 학술지를 통해 본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최근 5년간을 중심으로

        강홍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3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일본수학교육학회에서 발행하는 초등수학교육에 관한 학술지 ‘산수교육’을 통하여 학술지의 구성, 게재된 초등수학 관련 논문의 개요를 파악하여 정통적 초등수학교육 학술지인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에 시사점을 주기 위함이다.

      • KCI등재

        한국 초등교육 연구의 성과와 과제 :『초등교육연구』(1987-2022) 분석을 중심으로

        김민호 한국초등교육학회 2024 초등교육연구 Vol.37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육연구』(1987-2022)에 게재된 1,005편의 논문에 대한 양적, 질적 내용 분석을 통해 한국 초등교육 연구의 성과와 과제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2013년의 선행연구와 달리 2022년까지 발간된 논문을 추가 분석했고, 선행연구가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은 한국초등교육학계의 초등교육의 본질 규명 시도를 ‘교과교육론자’‘교육의 과정론자’‘사회적 실제론자’등으로 유형화했으며, 각 유형에 대한 학문적 반론을 제기하였다. 나아가 교육학과 초등교육학, 초등교육학과 교과교육학의 관계에 관한 논문을 분석, 논의하였다. 또한 연구자는 『초등교육연구』에 게재된 논문을 초등교육의 11개 구성 요소별로 분류한 뒤, 각 요소에 해당하는 논문을 지속적 비교방법을 통해 하위범주로 코딩함으로써 초등교육 연구의 구성 요소별 특징과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끝으로 연구자는 향후 초등교육 연구를 초등학교 교육이 아니라 평생교육 관점에서 접근할 것을 제안했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sults and challenges of Korean elementary education research throug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f 1,005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1987-2022 ). Unlike previous study in 2013, this study further analyzed the papers published until 2022, and categorized attempts to find out the essence of elementary education of the Korean elementary education academia, which were not specifically revealed in previous studies, into ‘subject-matter education,’‘educational process,’and ‘social practices.’And this study raised academic objections to each type.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y of education and the study of elementary educ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y of elementary education and the study of subject-matter education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researcher 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mponent and future challenges of elementary education research by classifying the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into 11 components of elementary education and coding the research papers belonged to each component into subcategories through a constant comparative method. Finally, the researcher suggested that elementary education be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lifelong education rather tha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 KCI등재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변천 및 시대구분

        김현미,신항균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2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교수요목기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이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변화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 으로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의 시대를 구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시기별 교육과정 의 총론에서 개정 배경 및 방향과 편제 및 시간 배당을 분석하였고, 초등학교 수학 과 교육과정에서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 부분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지 금까지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은 기존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사회에서 요구되는 새로운 지식, 기능, 태도 요소를 추가하면서 꾸준히 변화하는 특징을 보 였다. 따라서 앞으로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은 미래 사회에 필요한 새로운 수 학적 개념이나 기르고자 하는 수학적 능력 및 태도를 중심으로 다양한 교수학적 변환이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은 변화의 특성을 기준으로 ‘도입기(교수요목기~3차)-확립기(4차~6차)-전환기(제1: 7차, 제2: 2007 개정)-통합·안정기(2009 개정~2015 개정)’로 시대를 구분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우리나라 초등 수학교육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정립하고 미래 지향 적인 교육과정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the contents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mathematics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s in Korea, and also to divide the periods of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To this end, the background, direction, organization, and time distribution of a revision were analyzed in the curriculum generals in each period.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ims, contents, methods for teaching and study, and the evaluation parts were analyzed in the mathematics curriculum. Until now,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in Korea has shown a characteristic that it has steadily changed by adding new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elements required by society based on the existing curriculum, while being in accordance with the backgrounds and directions of the revisions by period. Therefore, i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a various pedagogical transformation centered at new mathematical concepts or mathematical abilities and attitudes to be develop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 changes, the history of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in Korea is divided into ‘introductory period(syllabus~3rd)-establishment period(4th~6th), transition periods(1: 7th, 2: 2007 revision), integration·stabilization period(2009 revision~2015 revis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the systematic establishment of the education history of Korea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and also for the development of the future-oriented curriculum.

      • KCI등재

        한지를 활용한 한국화 교육 사례연구 - 온라인 교육을 중심으로 -

        김주령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21 미술교육연구논총 Vol.64 No.-

        Korean painting is an important academic realm that allows one to understand contemporary painting based on Korean traditional materials and methods but is not dealt sufficiently in elementary schools; researches on its status and case studies are also insufficient. Thu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Korean painting programs using traditional paper Hanji starting with preceding researche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grams by empirically applying them to students, and to secondarily examine the future direction and possibility of online class by systematizing and analyzing the developed Korean painting programs to respond to online class. To verify the benefits of the developed programs, the four-hour program was conducted once a week (total eight hours in two weeks) targeting total 15 artistically-gifted 5 th graders of the Gifted Science Education Center, SNUE. The educational program was produced for helping their understanding of Korean traditional material Hanji and its techniques, and the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outcomes drawn by students and their survey before/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In the conclusion of the empirical experiment, firstly, most of the students knew about Hanji and Korean painting in the survey before starting the educational program while they were lacking in experiences of them. Secondly,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an ink smear experiment to let them know the production method of Hanji and the differences of papers for explaining the materials of Korean painting, the students understood the differences of papers. Thirdly,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Korean painting educational program in each session, in the stage of introduction, the passive attitude was observed due to the online class which was relatively unfamiliar. However, as the session was more proceeded, their attitude was changed to be active, and the interest was also increased. Fourthly, in the survey after completing the educational program, the overall understanding was improved compared to the moment when starting the program. And they also showed highly-increased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Korean painting online class. Fifthly, despite some strengths and weaknesses compared to the traditional face-to-face class, this study verified the benefits of online art class. In the results of a survey targeting 20 teachers of online class in the same period, it could be developed into a new genre of education if there are lesson plan and preparation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class. In the results, the case study on Korean painting class using Hanji had positive effects. Moreo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Korean painting education systematized to respond to online class would have a possibility of development in the upcoming new paradigm art education in the future. 한국화는 전통적인 재료와 기법을 바탕으로 현대회화를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학문이지만 초등 교육현장에서는 낮은 비중으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그 실태와 사례연구도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시작으로 한지를 이용하여 한국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생에게 실증 적용하여 어떤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고, 부차적으로 개발 한국화 프로그램이 온라인 교육에 대응될 수 있도록 체계화하여 온라인 교육의 방향성과 가능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개발 프로그램의 효용성을 점검하기 위해 S 교대 영재교육원 미술영재 초등 5학년 15명을 대상으로 일주일에 1회, 4시간 프로그램을 2주에 걸쳐 8시간 진행하였다. 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한국의 전통적 재료 한지와 기법을 이해하도록 제작되었고, 학생들이 그린 결과물과 프로그램 참여 전ㆍ후 학생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실증실험을 통하여 첫째, 교육 프로그램 시작 전 설문조사에서 대부분 학생들은 한지 및 한국화에 대해 알고 있었으나 경험이 부족하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둘째, 한국화 재료 설명을 위한 한지 제작법과 종이의 차이점을 알려주기 위한 먹 번짐 실험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학생들은 종이의 차이점을 이해했다. 셋째, 한국화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회기별 분석 결과, 도입단계에서 상대적으로 생소한 온라인 교육으로 소극적 태도가 관찰되었고 회기가 진행될수록 적극적 태도로 변화되었으며 흥미도 증가했다. 넷째, 교육 프로그램 종료 후, 설문조사는 프로그램 시작에 비해 전반적으로 이해도 향상을 볼 수 있었으며, 한국화 온라인 교육에 대한 높은 관심과 이해도 증가를 보였다. 다섯째, 온라인 미술교육은 전통적 대면 수업 대비 장단점이 공존하나 그 효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동시기 온라인 교육 진행 교사 20명 설문 결과 온라인 특성에 맞는 수업계획과 준비가 된다면 새로운 교육 장르로 발전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 한지를 이용한 한국화 교육 사례연구는 긍정적 효과를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온라인 수업에 대응되도록 체계화시킨 한국화 교육은 앞으로 다가올 새로운 패러다임 미술교육에서 발전 가능성도 확인시켜주었다.

      • KCI등재

        국민학생의 독서 실태 연구

        최현섭,김선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1992 한국초등국어교육 Vol.8 No.-

        요약敎育大學 敎授學習의 改善硏究는 83년에 서울교육대학 주관으로 시작되었다. 84년부터 각 교육대학이 한 敎科씩 맡아 보다 전문적인 연구활동을 시작하였는데, 국어교육과는 서울교대 주관하에 「敎育大學 敎授學習方法의 改善硏究-國語敎育-」이란 題號로 4집(86년)까지 간행되었다. 5·6·7집은 「國語科敎育硏究」란 제호로 春川敎育大學에서 간행되었다.그러나 90년부터 연구비 지원이 敎育部에서 學術振興財團으로 이관되면서 연구비 지원이 끊기자 중단되는 위기를 맞게 되었다. 敎育大學 存立과 미래의 位相이 初等敎科敎育硏究에 있음을 뼈저리게 재인식하여 이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에 이르렀다. 이처럼 중대한 시기에 우리 大學이 간사대학으로서 국어교육연구 활동을 적극 추진하게 되었다.국어교육과 전교수님들이 1년에 한 차례 연구발표회와 협의회를 가지고 연구비 지원 없어도 스스로 연구지를 발간하기로 뜻을 모아 주시고 회비 전액을 납부하여 주시니 함이 솟지 않을 수 없었다. 92년 7월 8일 우리 大學에서 31명의 국어과교수님들이 참여하여 연구발표 및 협의회를 갖고, 한국초등국어교육을 선도해 나갈 수 있는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를 결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로써 초등국어교육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수 잇는 기틀이 확립되었다고 할 수 있다. 敎大附國을 비롯하여 전국 국민학교에서 현장연구에 열정을 쏟고 있는 교사들이 참여하여 전국 각 支會를 결성함으로써 大學과 현장연구를 보다 긴밀하게 결합할 수 있는 길도 열리게 되었다.게재원고난으로 2년간의 진통 끝에 「한국초등국어교육」 8집을 내놓게 되니 기쁨 이루 말할 수 없다. 앞으로는 초등교사들의 알차고 우수한 현장연구로 학회지가 채워질 것을 생각하면 가슴이 벅차오른다.초등교과 교육의 중요성을 절실히 느끼시고 만날 때마다 격려와 지원을 쏟아 주신 본 대학 康文柱학장님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 회비를 전액 납부해 주시고 서툰 저에게 격려와 협조를 해주신 국어교육과 모든 교수님들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특히 더위에 편찮으시면서도 玉稿를 보내주신 최현섭교수님께 고마움을 드리지 않을 수 없다.

      • KCI등재

        싱가포르 한국학교의 사례를 통해 본 해외 한국 학교의 국어교육 프로그램 개선 방안 : Focus on the Case of Singapore Korean School

        김창원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5 한국초등국어교육 Vol.28 No.-

        이 연구는 싱가포르 한국학교의 국어교육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하여 해외 한국학교 국어교육의 지향과 현황을 알아보고. 해외 한국학교의 국어교육 프로그램 개선에 관한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그를 위하여 싱가포르 한국학교의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자료, 평가 자료를 분석하고, 교장과 교사, 학생 및 학부모를 면담하였으며, 정규 초등학교와 토요학교의 국어 및 다른 교과 수업을 관찰하였다.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대사관과 한인회의 관련자와 면담하였으며, 싱가포르 일본인학교 및 호치민과 상해, 자카르타의 한국(국제)학교 자료도 참고하였다. 기초 조사 결과 싱가포르 한국학교는 국적 교육과 현지 적용 교육, 문서로서의 제7차 교육과정과 현지화 한 학교 교육과정, 한국학교 자체의 완결된 교육 시스템과 현지 학교 및 국제 학교와 연결된 교육시스템 사이의 긴장 관계속에서 국어교육을 실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긴장은 영어ㆍ중국어 중심의 생활 언어의 압박, 학교의 언어 환경과 학교 밖의 언어 환경의 차이, 중학교를 국내/현지 중 어디로 진학할 것인지에 대한 고려로 인해 더욱 첨예화 되고 있다. 그에 따라 국어교육의 방향이나 교수법에 대해서도 일반적인 국어교육 방법에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방법에 이르기까지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접급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는 해외 한국학교의 국어교육이 태생적으로 가지는 문제로서, 일거에 해결하기보다는 기초 여건을 개선하고 학부모의 인식을 제고하면서 조금씩 해결해나가야 하는 문제다. 이 연구에서는 그와 관련하여 해외 한국학교용 국어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한국학교 지원센터 설치를 제안했거니와, 그에 관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성과물들을 이끌어낼 때 의도한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한국학교를 위하여 정규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해설본을 만드는 일을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로 제시한 바, 이러한 작업을 통해 좁게는 싱가포르 한국학교의 국어교육 프로그램을 개선하고, 넓게는 재외 동포를 위한 국어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을 찾아갈 수 있을 것이다. I, in this article, intended to research the present condition and efficient methods of Korean language teaching at overdseas Korean schools through the case of 'Singapore Korean school(SKS)', In order to collect informations about the topic, I analyzed the curriculum, textbooks, and evaluation data of Korean language teaching of SKS and interviewed the principal and teacher, students and parents. I observed the classes of primary school and Saturday Korean school, too. And I tried compare the SKS's case to 'Singapore Japanese School' and Korean International School of Shang Hai, Ho Chimin City, and JaKarta. According to the collected informations, I know that Korean language teaching of SKS has some conflicts between Korean national education and localized education to Singapore,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MOE and SKS's Singapore oriented school curriculum, and Singapore's educational system and Korean educational system that SKS based on. Moreover, the problem is getting worse by influences of English and Chinese used in Singapore, difference of language using enviroment between inside and outside of school, and confusion of the choice to secondary school. To solve these problems, it needs that reform the fundamental of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changing of parents' consciousness about Korean language teaching. In this article, I suggested that improving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Program for Overseas Korean Schools" and establishing the "Centre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Oversea Korean school". Especially, I emphasized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an "Adapted Korean Language Texbooks for Overseas Korean School."

      • KCI등재

        한국어 문화와 한국 문화의 관계 설정

        최영환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6 한국초등국어교육 Vol.60 No.-

        한국어교육에서 한국 문화교육은 한국어 능력을 확장하는 데 기여하게 해야하며, 한국 문화의 전반에 내재하는 공통성을 기반으로 한 문화적 이해까지 다룰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어교육에 출발점을 두고 분석적 교육단계에서는 다양한 한국어 자료를 사용하고, 한국어 문화의 통합적 교육 단계에서는 한국어 문화 여러 요소 및 수준이 복합된 한국어 자료를 사용하도록 해야 한다. 우리가 한국어 사용 방식 또는 한국어 문화에 담긴 내적 체계와 공통성을 발견할수 있는 한국 문화적 요소를 찾아 연계하여 교육한다면, 한국어교육을 지향하면서도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촉진할 수 있는 중요한 기반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concepts of korean language culture and korean culture. Korean language culture has intimate relations with korean cultur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 have dealt with the uniqueness of korean education, the relations between korean language materials and korean language culture and korean culture. The conceptual spectrum of culture are followings. conceptual spectrum and elements of culture elements spectrum of concept concepts (A)basis of thinking (B) symbol system style of living (C) procuct categories way of thinking religion ⇩ ⇦ ⇨ worship, funeral art ⇧⇩ ⇦ ⇨ painting, novel society ⇧⇩ ⇦ ⇨ family, economy system ⇧ ⇦ ⇨ education, law prope rties visibility internal explicit abstraction abstract concrete approach percipient analytic We should consider the heterogeneity and homogeneity of korean language culture and korean culture in korean education. Korean culture education should be the teaching of Korean language culture, not the teaching of korean culture itself. There seems to be three typ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lation between korean language culture and korean culture. ① Teaching korean through korean education materials ② Teaching language culture through korean education materials ③ Teaching culture with various korean education materials The teaching of language culture seems to be desirable in a particular sequence - from ① to ③(① → ② → ③)- in korean education. Korean education for non-native speakers in multicultural situation should not be taught as “social” culture itself but as “language” culture. Advanced communication skills with the well-ordered language culture education will be helpful for non-native speakers to adapt themselves to korean society.

      • KCI등재후보

        한 · 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임현수,강홍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0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예로부터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육 등 모든 분야에서 서로 영향을 주고받아 왔던 한국과 일본의 교육과정을 비교하고 분석하여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교육과정 편성 운영에 시사점을 찾는 것으로 한국과 일본의 새 교육과정의 개정배경 및 개정중점, 목표 및 내용영역을 비교하였다. 두 나라는 비슷한 시기에 교육과정을 개정하였다. 두 나라 모두 시대적 흐름을 반영하고, 국가의 요구사항과 직전 교육과정 체제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정하였다. 우리나라는 학생, 학교의 자율권을 확대와 교과별 교육내용을 적정화, 주5일제 월2회 시행에 따른 수업시수 감축 등을 중심으로, 일본은 살아가는 힘, 기초적인 지식과 기능의 습득, 사고력 · 판단력 · 표현력 육성 등을 중심으로 강조하였다. 일본의 학력향상을 위한 수업시수를 증대는 이번 개정의 최대 성과라고 보아도 좋을 것이다.

      •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과 목표에 관한 고찰 - 20세기 말 개정된 교육과정 및 해설서를 중심으로 -

        임문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05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9 No.2

        이 연구는 20세기 말 거의 같은 시기에 개정된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및 그 해설서를 비교하여, 차후 한국의 교육과정과 해설서 개발에 도움을 얻기 위함이다. 첫째로, 한국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은 학문의 체계와 학습의 우열 및 발전 의지를, 일본은 수학의 일상생활에의 적용과 수학 학습의 즐거움을 중시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둘째로, 일본의 산수과 교육과정 해설서는 한국에 비해, 교육과정의 개정에 초점을 맞추어 산수과 목표를 세분하여 구체적으로 해설하고 있다. 각 내용 영역에 대한 전체적 목표를 진술하고 학년별 내용의 관련을 표로 만들어 제시한 것은 좋은 점으로 생각된다. 끝으로, 일본은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해설서의 학년별 목표에서, 교육과정에 제시된 산수과의 목표를 일관성있게 반영하면서 큰 틀만을 개략하고 있는데. 이는 교과서 제작에서 융통성과 창작성 발휘를 기대하는 배려로 생각할 수 있다. In this study I compared Korea's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and its handbook with Japan's curriculum and its handbook. Based on that work, I induced some suggestions which is useful to develop mathematics curriculum in the future. First, the purposes of Korea's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focused on the system of mathematics, scholastic ability and learning volition. On the other hand, Japan's curriculum concentrated on the utility of mathematics in daily life and the motive of learning mathematics. Secondly, purposes of mathematics education written in Japan's curriculum handbook, differing from Korea's, are closely divided into concrete items. Finally, purposes of mathematics education in each grade, written in Japan's curriculum handbook, are presented in outlined form according to general purpose of mathematics curriculum. The merit of this way is that the researcher could display flexibilities and creativities in making mathematics textboo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