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물성실험 중심의 재료디자인 커리큘럼 연구

        김자영 ( Kim¸ Ja Yeong ),조재경 ( Cho¸ Jae Ky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5

        실재성이 사라진 디지털 전환의 시대, 아날로그에 대한 욕구와 필요를 포착하고 구별되는 디자인의 방법을 고민하는 것은, 인간의 감성과 지성마저 복제와 재현이 가능한 현재를 사는 디자이너에게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디자인의 잠재적인 표현 가능성과 의미를 확장하기 위한 방법으로 물성실험을 중심으로 하는 재료디자인 커리큘럼을 개발하고자 한다. 교안의 설계는 디자인과 재료의 관계, 디자인에서 재료연구의 역할을 바탕으로 단계별로 체계화 하였으며, 교안의 중심이 되는 물성실험은 예술성 탐구의 방향을 갖도록 계획하였다. 실험은 크게 다음 세 가지의 방법으로 실행하였다. 재료의 적극적인 형태 변형 실험을 통해 심미적 디자인 표현방법 탐구를 목적으로 하는 ①성형기법 연구, 두 가지 이상의 재료를 섞어 색다른 소재를 발굴하는 ②복합재료 연구, 그리고 촉각과 감성 자극에 크게 관여하는 마감 재질과 컬러의 적용을 실험하는 ③표면처리 연구방법으로 재료를 다루었다. 실험에 따른 물성측정은 서로 다른 실험재료들을 상대적 비교하였으며, 재료의 특성을 한 문장의 텍스트로 표현하여 재료에 대한 실험자의 주체적인 해석을 드러내도록 하였다. 재료실험으로 제작된 프로토타입은 창의적 아이디어 발상에 용이하였고, 컴퓨터 그래픽스에 의존적인 디자인 표현과 확연히 구별되는 결과물을 얻어낼 수 있었으며, 디지털이미지로 변환된 원본소스(Origin Source)는 디자인의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유형과 매체로 전개될 때 여타 디자이너의 작업과 구분되는 독창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사고의 틀을 열어 새로운 아이디어를 발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보다 체계적인 물성실험 중심의 재료디자인 수업모델을 제안하는 동시에 참여자를 통해 실시된 수업을 근거로 그 목적의 유용성과 결과의 유의미함을 확인하였다. For designers living in modern times where human sensibility and intelligence can be reproduced and reproducible, it is important to come up with designs that distinguish them from existing designs by discovering the need and desire for analog in an age of digital transformation that is lost in reality. Therefore, this thesis seeks to find potential representability of design and develop a material design curriculum based on physical experiments as a way to extend its meaning. The design for lesson plan was intended to be organized in stage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gn and materials and the role of material research in design, and the physical properties experiment, which is the core of the lesson plan was designed to find the direction of artistic exploratio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hree main ways: Materials were dealt with through three experiments, including ①forming techniques to explore aesthetic design expression through active shape-modification experiments, ②mixed material research to create different materials by mixing two or more materials, and ③surface treatment research methods to test application of finishing materials and colors. For the measurement of physical properties, different experimental materials were relatively compared, and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s were expressed in one sentence to show the subjective interpretation of the materials. Prototypes produced by material experiments helped build creative ideas, resulting in distinctive results from computer graphics-dependent design representations, and the original source, converted into digital images, was able to find originality distinct from existing designers' work when deployed into different types and media in various fields of design. This paper proposed a more systematic material design class model focused on physical experiments with the purpose of expanding the scope of thinking and expressing new ideas, while identifying the usefulness and significance of the results based on the classes conducted through participants.

      • KCI등재

        조선 시대 일기 자료의 실상과 가치

        최은주 (Choi, Eun-ju ) 대동한문학회 2009 大東漢文學 Vol.30 No.-

        본 논문은 조선시대 일기 자료 가운데 개인 일기 중심으로 그 전반적 현황과 관련된 지식정보 구축 및 연구 성과를 조사 검토하여, 현재 남아있는 무수한 기록유산들 가운데 개인 일기 자료들이 어떤 형태와 모습으로 남아있으며 그 가치와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먼저, 일기 내용과 형식을 고려하여 유형별로 분류 개괄하였는데, ①종합생활 일기, ②사환일기, ③유배일기, ④기행일기, ⑤사행 일기, ⑥전쟁 일기, ⑦사건 견문일기, ⑧독서 강학일기, ⑨고종 상장례 일기 등 약 9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 각각의 일기들은 그 유형마다 기록목적과 주요 내용에 따라 그 나름의 특징적 면모와 다양한 기록형태를 형성하고 있었다. 조선시대 일기자료 현전과 관련하여 살펴 본 조선시대 일기 자료에 대한 지식정보 구축 상황은 대체로 일기자체에 집중된 것이 아니라 목적 지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지식정보 구축 속에서 일부분으로 이루어졌으므로, 하나로 연결되지 못하고 이리저리 흩어져 있어 현재로서는 일정한 한계가 있어 보였다. 그렇지만, 일기 자료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반영이라도 하듯 온라인의 기관 웹페이지나 오프라인의 기획 출판물 등 지식정보 구축이 지속적으로 확충되고 있는 것은 분명하였다. 일기 자료 연구는 자료발굴에 따른 가치 분석의 성과와 사료중심의 심화 연구로 대략 구분이 가능했다. 대개 자료 발굴과 관련해서는 시대적 흐름이 크게 중요하지 않았던 반면, 사료 중심의 심화 연구 측면에서는 특히 2000년대 들어서면서 더욱 활성화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는데, 이는 미시적 일상 생활사 연구의 붐을 타고 연구 자료로서 적극 활용되었기 때문이었다. 조선시대 일기자료에 대한 지식정보 구축과 연구는 자료 경계 확장의 욕구를 토대로 상호간을 부추기며 지속적으로 그 저변을 확대해가고 있었다. 본 논문에서 조사 개괄한 약 950여권의 개인 일기는 전통시대 기록유산이란 점에서 일단 자료적 가치를 확보하였으며, 그 다음부터는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접근하느냐에 따라 가치와 의미가 유동적으로 달라지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저마다 다른 개인이 자신의 시각에서 기록한 것이기에, 무엇을 볼 것인가에 따라 일기 자료의 가치는 다각도에서 끌어낼 수 있으며 어느 일기에 어떻게 접근하느냐에 따라 연속적 재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보였기 때문이다. 일부 시각에서는 역사 사료로서의 객관성 여부를 문제 삼기도 하지만, 자료 활용과 연구는 연구자의 몫이라는 측면에서 그러한 한계 때문에 일기 자료 자체의 가치와 의미가 퇴색될 수는 없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d the overall state of diary material of Joseon period, centered on private diaries and reviewed the performance of researches and informatization efforts. This paper aimed to find the forms and aspects of those diary material and know their values and meanings. The diary material can be classified into nine types by the contents and forms: ① common living diary, ② official post diary, ③ exile diary, ➃ travel diary, ➄ envoy diary, ➅ war-time diary, ➆ experience diary, ➇ reading diary, ⑨ deathbed diary. Each type has its own characteristics and versatile recording methods according to its purposes and main contents. There is no informatization system set up only for Joseon's diary material. Diary material are just forming parts of many informatization efforts with various purposes, not being linked together. However, as if it reflects the hot interests on diary material, informatization systems including websites of institutes or offline publications have surely been expanded. Diary material researches are composed mainly of the value analysis of discovered material and the depth study centered on historical documents. While material finding has not been different over the time periods, historical documents-centered depth studies have been activated especially more from 2000. It is because diary material were used widely as research material along with microscopic life history research boom. The research on Joseon's diary material and informatization system building continue to expanding their bases, encouraging each other, based on the common needs to extend boundaries. This paper examined 950 and more private diaries. They have basic value as conventional documentary legacy and could have different values and meanings according to how and from where they were approached. As diaries were written by different peoples and from their own viewpoints, their values could change from readers' viewpoints and the consecutive reproductions would be possible by readers' approaches. Some people doubt the objectivity of diaries as historical documents. Nevertheless, diaries' values and meanings cannot be cut down because the use and research of material is the researcher's job.

      • KCI등재

        실험고고학을 통해 본 영산강유역 옹관의 제작 기술에 대한 연구 -성과와 과제를 중심으로-

        전용호 호남사학회 2013 역사학연구 Vol.52 No.-

        영산강유역의 고대사회를 이해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키워드를 꼽으라고 하면 ‘옹관(甕棺)’을 들 수 있다. 기존에 영산강유역 옹관에 대해서는 고고학・역사학・자연과학적 측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연구되어 왔다. 하지만 옹관이 지니고 있는 기술적 측면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제대로 이루어지 않아 옹관이 지니고 있는 정치사회적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기는 더더욱 어려웠다. 무엇보다도 크기가 2m에 달하는 옹관을 어떻게 만들었고, 무덤까지 운반한 지에 대해서는 막연한 추측에서 논의가 이루어질 뿐 세밀한 검토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에 영산강유역의 옹관에 대한 제작 기술을 복원하기 위한 본격적인 시도로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는 2008년부터 『대형옹관제작 고대기술 복원 프로젝트』 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다. 이 사업은 영산강유역의 U자형 전용옹관에 대한 제작기술을 고고학적 조사 및 연구뿐만 아니라 자연과학적 분석과 실험고고학적 연구를 함께 융합하여 추진하여 왔다. 특히 옹관에 대한 ‘자료수집 및 분석’+‘고고학적 발굴조사(옹관가마 및 고분)’+‘자연과학적 분석’을 토대로 하여 ‘모의실험→태토조성 및 배합실험→성형실험→가마 제작 및 복원 실험→소성실험’의 과정으로 2008년부터 2012년에 걸쳐 총 5회의 제작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매 회 실험에 대한 결과를 ‘고고학적 발굴조사+자연과학적 분석’에 환류시켜 검증하고 이런 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평가 및 진단하여 후속 실험을 추진하였다. 이런 방식은 기존의 옹관, 더나나아 실험고고학적 연구와 차별화된 시도로 평가받고 있다. 그동안의 옹관에 대한 제작실험을 통하여 영산강유역의 옹관을 제작하기 적합한 태토, 성형기법을 비롯한 제작 기술 공정을 복원하였다. 옹관 태토는 구릉성 산지의 기저부에 퇴적된 점토에 풍화석영이 10~30% 혼입되어 있어야 한다. 그리고 옹관은 점토띠를 3~4단 올린 후에 건조시킨 후에 다시 올려 쌓아 저부를 먼저 만든 후에 뒤집어서 거치대에 올린 후에 동체 및 구연부를 쌓아 올리는 방식(도치후 정치성형)이 실제 옹관에서 나타나는 분할성형흔, 손누름흔, 타날흔 등을 가장 잘 보여주는 기법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옹관 가마는 지하로 130~140cm 땅을 파고 나무나 띠풀 등 식물 재료를 새끼줄로 엮어 골격을 만든 후에 볏짚을 섞은 진흙을 올려 가마의 아궁이를 포함한 연소부를 제외하고 지붕을 만들었다. 이어서 한달 이상 건조한 옹관을 옹관편이나 모래 등으로 받쳐 재임한 후에 아궁이를 만들어서 가마를 마무리를 하였다. 옹관의 색상은 소성온도[중저화도(900℃이하), 고화도(900~1,200℃)] 및 방식(산화소성, 환원소성), 태토에 따라 적갈색・회백색(중저화도 산화소성)・회청색(중저화도・고화도 환원소성)을 나타내고, 흑반은 소성온도(중저화도)와 재임방식(모래받침, 토광받침)에 의하여 다양한 형태를 띠고 있다. 다음으로 영산강유역 옹관의 제작기술을 실험고고학적으로 복원함에 있어 다각적인 조사 및 연구방법론을 결함함으로써 한국의 실험고고학적 연구방법론에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여 주었다. 이를 통해 영산강유역 옹관고분사회를 좀더 입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면서도 영산강유역 옹관에 대한 제작실험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문제점과 한계도 엄연하게 존재한다. 제작실험의 횟수가 좀 더 늘어나야 할 뿐만 아니라 외 ... Jar Coffin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keywords in understanding the ancient society created near Yeongsan River. It has been studied in various ways from the archaeological, historical and natural scientific aspects. However, its technological aspect has not been researched in depth; therefore it has been difficult to figure out its sociopolitical significance properly. In particular, it has been vaguely assumed how 2 m tall jar coffins were made and transported to ancient tomb without any detailed review. The Na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has executed the research project for restoring the technology used in making ancient big jar coffins since 2008. The project includes archaeological investigation and research, natural scientific analysis and experimental archaeological research on the U-shape jar coffins found in the Yeongsan River Basin. Based on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rchaeological excavation (jar coffin kiln and ancient tomb) and natural scientific analysis, the institute has conducted five times of production experiments from 2008 to 2012 and the following is the experiment process; mock-up experiment → raw material composition and mix → coiling a clay → kiln production and restoration → firing jar coffins. The result of each experiment was verified through the feedback to the archaeological excavation and natural scientific analysis and the results were integrated and organized and evaluated and diagnosed for the follow-up experiments. This method was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research on jar coffins and further existing archaeological researches. So far, the method of production experiment on jar coffins has been used to restore the production technology and processes including raw material suitable for making jar coffins and coiling clay. The raw material should be composed of 10 -30 % of weathered quartz and clay deposited at the bottom of hill. And it has been found out that the production method (piling up three or four layers of lay bands, drying and upbuilding again to make the bottom, turning upside down and putting it on a support and making body and mouth on it, Jeongchi after Dochi Forming) most clearly shows the traces of separation forming (the traces left when clay bands are separated and piled up), the traces of hand pressuring (the traces left when clay bands were pressed by hands) and the pounding traces. And to make jar coffin kiln, people dig 130-140m into the ground and in order to make the roof part except for furnace and firing place, plant materials such as trees or miscanthus sinensis are used to make straw rope for the structure and the mud mixed with straw is covered on the structure. And the completed structure should be dried for more than one month on broken jar coffin pieces or sands and the furnace is made on the structure as the last step. The color of jar coffin could differ from firing temperature (low temperature below 900℃), high temperature (900 – 1,200℃) and firing methods (oxidizing firing, reduction firing) and raw materials. Red brown, grayish white (mid-low temperature and oxidizing firing), grayish blue (low temperature firing, high temperature firing) and the black spots show different shapes according to firing temperature (mid-low temperature) and supporting methods (on sand or digging the earth). The combination of multidimensional investigation and research methodologies in restoring jar coffin production technology in the Yeongsan River Basin presents a new idea to the experimental archaeology world. It presents more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on the jar coffin society in the Yeongsan River Basin. However, there have been issues and limitations in the experiment process. The number of experiments should increase and the experiment should be conducted in the condition where the outside environment is not controlled, such as in Naju Oryang-dong kiln site. In addition, the origin of raw materials should be s...

      • KCI등재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를 통한 패키지디자인의 PROTOTYPE 개발 연구

        이종선(Jong Sun Lee),김승인(Seung In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1

        최근 산업의 패러다임은 제품중심에서 서비스 중심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으며, 다양한 기술과 새로운 소재의 개발로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의 기회는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는 디자인의 영역이 인간의 감성을 만족시키는 좋은 경험과 서비스의 영역까지 확대되어 감에 따라, 보이지 않고, 복잡한 경험을 수반하며, 소비와 동시에 일어나는 서비스 디자인의 연구는 점차 목적, 기능, 영역의 확대 및 타 분야와의 융합으로 광범위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를 통해 패키지 용기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제안하였으며, 차별화된 서비스디자인 측면에서 Bio-Material이 활용된 패키지 용기 디자인을 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좋은 경험과 만족감을 제공하는 새로운 기회로 활용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연구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 첫 째, 문헌조사를 통한 이론적 고찰로, 패키지디자인에서의 서비스 디자인의 개념을 정의하여 그 범위를 설정하였다. 둘 째, 사례조사에서 적용할 Bio-Material를 정리하여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론적 배경을 통한 사례연구로, 사용자의 요구와 기회요소를 도출하기위해 ``경험기반 사용자중심 디자인프로세스(Experience based User-centered Design Process)``를 방법론으로 사용하여, 유기농 감자 패키지 용기 디자인의 프로토타입을 제안 하는 것으로 연구의 범위를 제한하여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패키지디자인의 범위를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로 확대하여 접근했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Bio Material인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활용한 유기농 감자패키지 프로토타입의 제안은 신소재의 적용 범위를 확대시켜 서비스 제공자와 사용자의 새로운 가치 창출의 기회를 제공하리라 기대한다. Recently, industry paradigm is rapidly changing from products to service, and due to various technologies and development of new material developments, opportunities to provide service are increasingly larger. This involves invisible and complex experiences as the area of design is getting expanded to good experiences and services satisfying human emotion. Studies on concurrent service design with consumption are widely being conducted due to the expansion of purposes, functions, and areas as well as the combination with other fields.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suggested package container design prototype through service design process, and it aims to use the development of package design with Bio-Material from the perspectⅣe of differentiated service design as a new opportunity to provide good experiences and satisfaction to users. The main method of the first, defined a concept of service design in package design as a theoretical review through literary research. Second, it arranged Bio-Material that will be applied to the case study and dⅣided it. Finally, to draw user needs and opportunities as the case study through the theoretical background, ``Experience based User-centered Design Process`` was used as the methodology so the scope of the study was limited and processed to the suggestion of organic potato package container design prototyp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pproached by expanding the scope of package design to user-centered service design process. Organic potato package prototype suggestion applying bio-degradable plastic that is Bio Material is hoped to expand the application of new materials and gⅣe opportunities to create service providers and users` new value.

      • KCI등재

        한국 최초 우주인 실험 결과를 활용한 물리교수학습 자료 개발과 적용

        채민,이정숙,김중복 한국물리학회 2013 새물리 Vol.63 No.1

        In April 2008, the very first Korean astronaut conducted various experiments in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ISS). One of these was an educational experiment in microgravity that wa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We have developed materials for physics instruction by using the various images taken from the experiments. We will introduce the experiment's main purpose, core scientific concept,equipment and experimental design. We will also present the contents of materials, which include a scientific explanation of the experiment video, the experiment conducted on the ground compared to the experiment conducted in space in order to help students'understanding, an introduction of real-life material that fits each experiment topic, and teaching guidelines that teachers can use during class. The creatively mapped out educational experiment and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aterial by using such an experiment will be a valuable contribution to educators who want to apply space science in education. 2008년 4월에 역사적인 한국 최초 우주인이 탄생하였다. 최초 한국우주인은 국제 우주 정거장에서 여러 가지 과학 실험을 수행하였는데 그중 한 가지는 학생들의 교육을 위한 실험이었다. 교육용 실험은 4개의카테고리로 이루어졌다. 한국 최초 우주인이 우주에서 수행한 실험의영상들을 이용하여 학습용 영상 DVD를 개발하였다. 우주에서 실시한실험의 영상에 대한 과학적 설명, 학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우주와비교할 수 있는 지상 실험, 각 실험별 주제에 맞는 실생활 소재 도입,교사들이 수업시간에 활용할 지침서 등이 포함되었다. 개발된 영상자료를 교실에서 활용하기 위해 활동 모듈을 구성하여 뉴턴의 제 1법칙과제 3법칙과 관련하여 실제 수업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마이크로 중력환경에서의 실험 영상을 활용한 활동은 뉴턴의 운동 법칙 이해에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뉴턴의 운동 제3법칙 및 질량과무게에 관한 이해에 도움이 되었다.

      • KCI등재

        유아의 물감과 찰흙 조형 매체 탐색 경험의 의미 -예술적 경험과 앎의 과정 관계를 중심으로-

        정선아,서윤희,탁혜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학논집 Vol.15 No.1

        본 연구는 유아가 물감과 찰흙의 조형 매체 탐색의 경험을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조형 매체의 탐색을 통한 예술적 경험과 유아의 앎의 과정과의 관계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유아의 물감과 찰흙의 조형 매체 탐색 과정에서 발견되는 경험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형 매체 탐색은 매체와 유아의 지각 간의 상호 교류와 순환의 과정이 동반되며 매체는 유아에게 새로운 아이디어와 이미지를 불러일으켜 유아들의 수많은 학습과 놀이를 가능하게 한다. 둘째, 조형 매체 탐색은 표현을 위한 전초 과정이 아닌 그 자체로서 사고가 일어나는 학습의 과정이며 유아의 다양하고 창의적인 사고를 지원한다. 셋째, 조형 매체 탐색은 사적인 경험을 공적으로 옮겨주는 표상의 과정 즉 앎의 과정 이다. 따라서 조형 매체 탐색 과정은 유아의 감정과 느낌, 지각과 사고가 한데 어우러지는 완전한 학습의 형태이며 교육에서 가치를 두는 문제해결력 발달을 완성하는 필수 작업으로 보아야 한다. 결론적으로 물감과 찰흙의 조형 매체의 탐색 과정은 예술적 표현 경험에 그치지 않고 유아의 앎의 과정 그 자체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children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interacting with colors and clay art materials. Especially our study focuses on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artistic experience and children's thinking process. The findings are as the following. First, while exploring artistic materials, the processes of mutual exchanges and circulations between materials and children's perceptions can be accompanied with, in which the materials can evoke new ideas and images among children and it makes possible for children to experience many types of learning and play. Second, exploring artistic materials is not a primary process but a learning procedure accompanying the thinking process, and supports diverse as well as creative thinking. Third, exploring artistic materials is a representation process which converts private experiences into public experiences. Therefore exploring artistic materials, is not only is a mastery of learning which gathers up emotions, feelings, perceptions and thinking but also has to be considered as a necessary process for development of problem solving skills which is one of the important values in education. The experience of artistic materials evokes children's thinking rather than allowing simple artistic expression.

      • KCI등재

        계획되지 않은 햅틱 경험이 상품의 가치 평가에 미치는 영향

        박용배,박주화,조광수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15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4 No.5

        People often use haptic experience as a basis for their preference decisions and value judgments, assuming that haptic experience with a product results from the properties of the products. However, research has suggested that unplanned haptic experience, which does not arise from the properties of the product itself, can also influence people’s preference and value evaluation (Ackerman, Nocera, & Bargh, 2010). In this study, in order to verify (1) if such unplanned or accidental haptic experience changes user’s cognitive tendency and (2) if accidental haptic experience leads to misattribution of the cause of haptic experience, two hypotheses were suggested and empirically investigated. Participants of the experiment were exposed to certain products on a display of a tablet PC and asked to decide on the maximum price they were willing to pay for each product. The products displayed on the screen were made up of either soft material or hard material. Results of the experiment revealed that accidental haptic experience had an effect on participants’ value evaluation of products via altering their cognitive inclinations. Possible applicability of accidental haptic experiences that occur in various situations were discussed. 사람들은 상품에 대한 선호 결정과 가치 평가를 위해 제품을 직접 만져보기를 원한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경험되는 햅틱 경험이 제품의 속성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음을 가정하고, 계획적으로 선호와 판단의 근거로 사용한다. 하지만 경험되는 햅틱 경험이 제품의 속성에 의해 이루어지지 않았음에도, 즉 비계획적인 햅틱 경험이 제품의 선호와 가치 평가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하는 연구가 제안되고 있다 (Ackerman, Nocera, & Bargh, 2010). 본 연구는 이러한 비계획적/우연적 햅틱 경험이 (1) 사용자의 인지적 경향성을 변화시키는지 (2) 햅틱 경험의 원인에 대한 오귀인을 일으키는지, 두 가설을 제안하고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 실험 참여자는 태블릿 컴퓨터 화면에 제시되는 상품을 보고 부드러운 소재의 제품군과 딱딱한 소재의 제품군의 최대 지불 용이 가격을 책정하였다. 실험 결과 비계획적 햅틱 경험은 사용자의 인지적 경향성을 변화시킴으로서 상품의 가치 평가에 영향을 주었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커버, 오프라인 커머스 환경에서 제품의 포장재, 판촉물, 메뉴판 등 사용자들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다양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비계획적 햅틱 경험의 활용가능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Research on the Entrainment of Path Material by the Granular Flow

        Yunyun Fan,Fengyuan Wu,Ming Li,Li Liang 대한토목학회 2019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23 No.12

        The experiment and numerical simulation were used to study the entrainment of path material by the granular flow. The effects of several factors on the entrainment were observed through the experiment. Research results show that when the granular flow passes on the loose material, the entrainment and deposition occur simultaneously. The final mass reduction in the entrainment area is a comprehensive performance of the entrainment and deposition. In general, the mass reduction in the entrainment area i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source area and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length of the entrainment area. The longer the entrainment area, the stronger the retarding effect on the granular flow. Within the ability of the entrainment area to support grains, the deposition mass increases as the mass of the material from the source area increases. The numerical results show that the entrainment mainly passes through three main stages. In the first stage, the shear friction and collision between grains form a limited entrainment. In the second stage, the granular flow mainly scales up the entrainment by scraping. In the last stage, the rear part of the granular flow is deposited in the formed pit due to resistance.

      • 교사 연수를 통한 실험 활동 자료의 현장 적절성 연구

        심재호,한재영,최정훈 국제과학영재학회 2008 국제과학영재학회지 Vol.2 No.1

        Many experiment activity materials are developed by various science teachers associations. Howeverthose materials are used in the school education or in the teacher education without checking rele-vancy of the materials to the science class.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experiment activity materi-als which reinforce hands-on activity, to apply the materials to in-service education program, and toexamine the field relevance of the materials. Among the physics experiment activity materials devel-oped by a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7 experiments were selected and modified to improve the con-cept, inquiry and science attitude. The developed materials were applied to in-service educationprogram. As the results, we could identify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developed hands-on activitymaterials and check the field relevance of the materials.

      • KCI등재

        한국 대학생의 경험 소비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제품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도강혁,이선화,김경일 한국상품학회 2018 商品學硏究 Vol.36 No.6

        Consuming experience is one of the consumption strategies to pursue happiness. Recently, studies on experiential purchas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to understand trends of experience consumption. On the other hand, criticism continues that the boundaries of experiential category are ambiguous.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various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on purchasing experience through various product group and categories. But domestic experience consumption research is vulnerable to such criticism because there are many studies through representative products. In addition, there is a lack of experience purchasing analysis through various product categories and classification.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experiential products and material products recognition through 20 products. And the difference of purchase pleasure in each product group was analyzed. Also, we examined the effect of purchase pleasure on happi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confirmed that Korean people distinguish between material and experiential products. Second, purchase pleasure through experience was found to be higher than purchase pleasure through material. Finally, the purchase pleasure of experiential product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happin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erception of the experience category is properly distinguished in Korea and suggest that the pleasure of purchasing experience contributes to happin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necessity of follow - up studies considering cultures and new products was discussed. 경험을 소비하는 것은 행복을 추구하기 위한 소비 전략 중 하나이다. 최근 경험 소비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경험재 구매(experiential purchases)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지만, 한편에서는 경험재 범주의 경계가 모호하다는 비판이 지속되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제품과 범주군을 통한 경험 구매 연구가 진행 중이다. 그러나 국내 경험 소비 연구는 대표적인 상품을 통한 연구가 많아 이러한 비판에 취약하며, 다양한 제품군과 범주 분류를 통한 경험 구매 분석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개의 상품을 통해 경험재와 물질재 인식과 각 제품군에서의 구매 즐거움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구매 즐거움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한국인들은 물질재 제품과 경험재 제품을 타당하게 구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경험 구매를 통한 즐거움은 물질 구매를 통한 즐거움보다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경험재의 구매 즐거움은 행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결과는 한국에서도 경험 범주에 대한 인식이 타당하게 구분된다는 것을 보여주며, 경험에 대한 구매 즐거움이 행복에 기여한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문화와 새로운 제품을 고려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