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적 콘텍스트에 의한 한국 제품디자인의 특성 분석 연구

        정채윤(Jung, Chae Yoon),장주영(Chang, Ju Young),윤지영(Yoon, Ji Young),박수진(Park, Soo Ji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2

        본 논문은 현대의 디자인에 한국문화가 어떠한 방법으로 표현되고 소비되고 있는지 그 특성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문화 전이 디자인 분석 모델을 개발하고 분석의 틀을 토대로 한국 제품디자인의 문화층위별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첫째, 문헌고찰을 통해 문화의 의미와 문화 3층위 구조에 대해 고찰하고, 한국예술의 현대디자인 적용 방법에 관한 논문들을 분석하여 한국예술의 현대 제품디자인 적용방법 분석 모델을 개발하였다 둘째, 사례분석으로 한국문화 콘텍스트에 기반 한 현대디자인 제품 16개를 선정하여 문화전이 3층위 모델로 분석하였다. 물리적, 행동적, 성찰적 요소 가운데 가장 많이 응용되고 있는 방법은 행동적 요소의 생활문화 적용 측면에서의 재창조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전통문화의 맥락을 적용하되 장식을 위한 목적보다 현대생활의 실용적 · 기능적 측면에서의 상품 가치에 비중에 두고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성찰적 요소에서 재창조의 방법도 많이 사용되고 있었는데, 이는 전통적 가치를 재해석하여 한국전통문화에 대한 관심을 이끌어내고 이를 통해 브랜드 이미지 향상을 통해 차별화하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ulture in contemporary design and how it is expressed and consumed. Specifically, a design analysis model for cultural transfer will be develop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roduct design by cultural level will be analyzed. As for the research method, first, the meaning of culture and the structure of the third level of culture were review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an analysis model of the application method for modern Korean product design was developed by analyzing papers on the application method of modern design of Korean art. As a case study, 16 modern design products based on the context of Korean culture were selected and analyzed as a third-level cultural transition model. Among the physical, behavioral, and reflective elements, the most widely applied method was re-creation in the aspect of behavioral elements to living culture. It can be seen that this applies the context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 but is used by putting emphasis on the product value in the practical and functional aspects of modern life rather than the purpose for decoration. The re-creation method was also widely used in reflective elements, which can be interpreted as trying to differentiate through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values to draw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to improve the brand image through this.

      • KCI등재

        한국 전래동화를 활용한 아동용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이미숙(Mi Suk Lee),정경희(Kyung Hee Ch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4

        문화적 콘텐츠가 중요시되고 있는 시기에 상품 경쟁력의 근원은 바로 디자인을 통한 문화 해석력과 창조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 아동용 텍스타일들은 대부분 아동을 대상으로 만화, 비디오, 영화 등과의 연관성 있는 캐릭터가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주로 외국의 캐릭터가 수입되어 사용되고 있고, 국내 캐릭터도우리 문화의 고유성이 반영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적·교육적 가치를 지니는 한국 전래동화를 모티브로 활용한 고감성 아동용 텍스타일 디자인을 시도해봄으로써 한국의 문학적요소가 지닌 디자인 소스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과 내용은 먼저 관련문헌과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전래동화의 개념 및 특징, 전래동화의 교육·문화적 가치, 한국 전래동화의 역사 및 특징, 아동용 텍스타일 디자인의 특성과 선행연구를 고찰한 다음, 한국 전래동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를 모티브로 활용한 텍스타일을 개발하였다.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은먼저,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캐릭터별 디자인과 이야기 장면별 디자인을 한 후, 벡터 이미지로의 변형, 컬러 조정 등의 단계를 거쳐 3종류의 텍스타일을 디자인하고 이를 활용하여 의류, 액세서리, 인테리어 소품등의 디자인에 시뮬레이션 하였다. 텍스타일 디자인, 시뮬레이션 작업은 Adobe Illustrator CS 5.0과 Adobe Photoshop CS 7.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용 텍스타일 디자인을 위해 한국 전래동화 중 인지도가 높고 아동복 캐릭터 모티프로 가장 어울리는 것으로 나타난 ‘해와 달이 된 오누이’를 디자인모티프로 선정하고 핸드 드로잉과 수채화 기법을 활용하여 전래동화 속 캐릭터와 장면별 디자인 한 후, 3종의 텍스타일 디자인을 제시하고 이를 활용하여 의류, 액세서리, 인테리어 소품 등의 디자인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 하였다. 텍스타일 Design 1은 “해와 달이 된오누이” 장면별 디자인을 모두 활용한 아기자기하고 귀여운 이미지의 텍스타일 디자인으로, 핸드 드로잉과수채화의 붓 터치를 강조하였다. Design 2는 전래동화이야기의 밤 장면들을 활용한 디자인으로, 밤하늘에 반짝이는 별과 달을 연상시키는 환상적인 이미지의 디자인을 하였다. Design 3은 불규칙한 옐로우 도트 패턴에 오누이와 해와 달 캐릭터 이미지를 합성하여 따뜻하고 귀여운 이미지의 디자인이다. 이상에서 전개된텍스타일 디자인을 의류, 액세서리, 인테리어 소품 등의 디자인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 하였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서 정형화된 이미지를 갖고있지 않은 한국 전래동화는 아동에게 창의적인 시각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아동용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을 위한 디자인 소스로서의 특징들을 갖고 있고 한국 전래동화 등장인물의 캐릭터화와 스토리텔링을 통한 텍스타일 디자인의 새로운 방법론을 모색해 보는계기가 되었으며, 융복합형 문화 콘텐츠디자인의 산업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아동용품이 개성화, 고급화, 패션화 되고있고 문화 해석력에 바탕을 둔 독창적인 디자인이 중요시되고 있는 시기에, 한국 전래동화를 모티브로 활용한 아동용 텍스타일 디자인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앞으로도 디자인 모티브로써 무한한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한국 전래동화를 활용한 고부가가치, 고감성 문화상품 개발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In a time period of regarding cultural contents asimportant, the source of product competitiveness iscultural interpretation and creation through design. However, most of textiles for kids in Korea useanimation-, video-, movie-related kids characters, which are mainly imported from foreign counties. Evendomestic characters do not reflect uniqueness of Koreancultur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the possibility to use Korean literature elements as adesign source by applying Korean folktales withcultural and educational value as a motive andattempting high sensitive textile design for kids. For the methods and contents of study, first, thisstudy review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educational and cultural value, history andcharacteristics of Korean folktales, the characteristics oftextile design for kids, and previous researches basedon related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Then, textileswere develop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Brotherand Sister who Became the Sun and the Moon’. Thedevelopment of textile design was first made bydesigning the characters and story scenes of the story. Three kinds of textiles were designed via the phasesof change into a vector image and color adjustmentswere simulated in clothes, accessories, and interior propdesign. Adobe Photoshop CS 7.0, and Adobe IllustratorCS 5.0 programs were used for the textile designs andsimulations. The results and conclusion of this studywere as follows. First, ‘The Brother and Sister who Became the Sunand the Moon’ was selected as a design motive fortextile design for kids as it was found to have thehighest recognition in Korean folktales and be the mostsuitable for kids wear. Using hand drawing andwatercolor techniques, characters and story of thisfolktale were designed and three kinds of textile designwere suggested. Finally, the developed textile designwas applied to and simulated in clothes, accessories, andinterior prop designs. Design 1 applied all scene designof ‘The Brother and Sister who Became the Sun andthe Moon’, represented a pretty and cute image, andstressed hand drawing and watercolor brush touch. Design 2 used the night scenes of the story andrepresented a fantastic image which suggests twinklingstars and the moon. Design 3 combined the brother andsister with the sun and the moon character imagesalong with an irregular yellow dot pattern andexpressed a warm and cute image. The developedtextile design was applied to and simulated in clothes, accessories, and interior prop design. Second, this study showed that Korean folktaleswhich have no a fixed image have the nature of a designsource to develop textile design for kids to improvechildren`s creative perspective. Also it served as anopportunity to explore new methodology of textiledesign through character- making of Korean folktalecharacters and storytelling and confirmed thepossibility of the convergence cultural contents designindustry.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suggested textiledesign for kinds in the motive of a Korean folktale inthe time period when kids goods have becomeindividual, advanced, and fashionable and lay stress onoriginal design based on culture interpretation. Further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develop highvalue-added and high sensitive cultural products usingKorean folktales having limitless possibilities of adesign motive.

      • KCI등재

        전통소반을 재해석한 현대주거공간의 테이블 디자인

        이슬(Seul Lee),최경란(Kyung Ran Choi)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2

        기술, 문화, 감성의 융합시대인 21세기의 문화산업은 디자인 영역을 중심으로 국가경쟁력과 정체성을 확립하는 필수 요소이다. 전 세계적으로 주거환경디자인에 있어 북유럽이 강세를 보이는 반면, 동양 문화권에 대한 오리엔탈리즘도 유행하고 있지만 한국적 디자인의 정체성 확립 및 다양한 상품개발까지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한국의 정체성에 대한 차별성이 뛰어난 디자인 진흥 정책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적 디자인이 이슈화가 되면서 전통디자인의 원형을 단순히 응용하고 가공한 디자인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그러나 한국적이라는 개념은 전통형식의 모방 및 재현이 아닌 근원적인 한국정서를 드러낼 수 있어야 하는 것으로써 1차적 형상의 계승이 아닌 정신을 현대화함에 의의가 있다. 한국적 디자인은 생활 양식, 문화의 계승 및 현대적 재해석을 통한 실천화에 따른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통의 주생활과 식생활 전반에 걸쳐 가장 오랜 시간 전해지고 있는 전통 대표 가구인 소반을 고찰하여 전통의 미를 유형화 하고, 현대 주거생활문화의 특성과 니즈를 이해함으로써 전통과 현대문화의 융합적 디자인을 꾀하였다. 또한 동양사상 중 전통 창조 원리인 천지인 사상을 재해석하여 테이블디자인에 접목하였으며 이를 통해 정서와 문화가 어우러진 한국적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는 현대 주거문화의 좌식과 입식생활의 혼재를 거스르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한 해결책으로서 문화적 통찰과 전통의 재해석을 통해 한국적 디자인을 제안할 수 있었다. 소반 뿐 아니라 전통 문화의 요소를 적극적으로 연구하여 현재 및 미래의 트렌드와 결합한다면 우리의 정체성과 미감을 원동력으로 하는 세계적 디자인의 창조가 가능하며, 이는 국가 이미지 제고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디자인 문화산업영역에서 위상을 드러낼 것으로 예측된다. The culture industry of the twentieth century, which is the age of the integration of technology, culture, and sensibility, is an essential element that establishes competitiveness and identity of the nation focusing on the design field. While Northern Europe is dominating in the living environment design field all over the world, though the Orientalism from the Asian cultural area is on trend, the Korean design has not yet reached the level of establishing its identity or of developing various products. Hence, the design promotion policy with superior differentiation on the Korean design has been required; so as the Korean design has come into the fore, simple applications and manufactures of the original traditional design are pouring out now. The notion of the Korean style, however, is aimed to reveal the original Korean sensibility, not simply to imitate or realize the traditional form; its significance lies in the modernization of the spirit, not the inheritance of the primary form. Also, perspective and identity of the Korean design can be obtained from collision or integration of the traditional beauty and the modern culture. In that way, the Korean design can be realized in a way of practicing through living style, cultural inheritance, and modern reinterpretation. This study thus, by considering the traditional representative furniture Soban which has been succe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ll over the traditional living and eating lives, formalized the traditional beauty, understood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living life culture, and pursued an integrated design of the traditional and the modern cultures. Also, this research reinterpreted one of the Asian philosophies, the traditional creation principle, the ‘Heaven-Earth-Human’ philosophy and grafted it onto the table design, and through these, intended to suggest a Korean design, accompanied with sensibility and culture.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suggest a Korean design through the cultural discernment and reinterpretation as appropriate solutions within the boundary that does not counter with the coexistence of the sedentary and standing style of modern living culture. If not only the Soban but also the elements of the traditional culture are studied and combined with the present and future trends, it is possible to create a world-class design driven by our identity and sense of beauty;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not only help the image making of the nation but also reveal our status in the design culture industry field.

      • KCI등재

        궁서와 디와니서체 캘리그래피를 컬래버레이션한 섬유&패션 제품디자인 개발연구

        소피아 엘콜리,엄경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9 No.1

        Recently, the Korean cultural wave (Hallyu) has been gaining great popularity in the Arab world and spreading rapidly. It has broken the cultural and linguistic barrier between the Koreans and Arabs through (Korean dramas, popular songs, movies, food, fashion, literature, language, etc.). Collaboration across cultures seeks to harmonize people with diverse cultures to benefit from each other and discover a new vision and concept for society. T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aborate two types of calligraphy scripts, “Korean Gungseo script” and “Arabic Diwani script” to innovate contemporary collaborative calligraphy designs for textile and fashion products. Which reflects the Korean and Arabic cultural heritage beauty while preserving the identity of each culture and displaying its calligraphy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s. The collaborative designs will provide consumers with a new experience that grape their attention to unique designs. In addition, keep pace with the modern trend i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extile and fashion products. Enhance opportunities to establish new markets and economic channels in fashion industry and strengthen design competitiveness. The scope of the study is first, selecting two scripts that have the same commonalities in terms of the place of use in ancient imperial palaces and calligraphy characteristics. The Korean “Gungseo” script was used in the “Korean” palace, and the Arabic “Diwani” script was used in the “Ottoman palace”. As for calligraphy characteristics, both scripts are distinguished by the curved lines. Second, two words were selected “Love and Hope” for the design concept to be implemented in the selected textile & fashion design products to suit female consumers in the age of their twenties and thirties. These words were inspired by the “king’s Sejong” policy and philosophy to improve the lives of his people through love and hope.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collaboration definition and types besides the history of Korean “Gungseo script” and the Arabic “Diwani script”, will be reviewed through related literature, papers, books, specialized websites, museums, and other publications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Then, designing motifs and sources will be developed by using computer graphics software Photoshop and illustrator, and simulations are conducted to produce prototypes. Analyzing the new collaborative design scripts through the four calligraphy elements such as the sensory element, the semantic element, the constitutive element, and the emotional element. Accordingly, the following conclusion could be obtained from the development of the textile and fashion design products in collaboration between “Gungseo” and “Diwani” scripts. The two calligraphy styles above have their own distinct visual language and cultural significance, and their collaboration can create a harmonious fusion of two different artistic traditions. Both calligraphy scripts have a rich tradition of flexible connection, the strokes are clear and the shape is neat, and there is a variety of thickness in which combining them can create a vibrant and dynamic visual Image. The first design suggestion with the word “Love” was designed to meet the needs of customer’s attention at the age of thirty. Women at this age are practical and effective, and warm-hearted. The second design with the word “Hope” was designed to attract customers in their twenties. People at this age are active, looking to the future, and enthusiastically promote the Korean wave culture. Finally, the newly collaborated calligraphy design is expected to open new markets and economic channels to Korean and Arab consumers who are enthusiastic about the Korean cultural wave (Hallyu). It is also hoped that the new collaborative designs can remove barriers and serve as a cultural bridge between Korea and Arab world. For this reason, this study is expec... 최근 세계에서 한류가 큰 인기를 얻고 있으며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한국 드라마, 대중가요, 영화, 음식, 패션, 문학, 언어 등을 통해 한국과 아랍 사이의 문화적, 언어적 장벽을 깨지고 있다. 따라서 문화 간 컬래버레이션으로 하여금 다양한 문화를 가진 사람들을 조화롭게 만들며 서로 혜택을 주고 사회에 대한 새로운비전의 개념을 발견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궁서체’와 ‘아라빅 디와니체’의 두 가지 서체를 컬래버레이션하여 섬유&패션제품의 현대적 캘리그래피 컬래버레이션 디자인을 혁신하는 것이다. 이는 한국과 아랍 문화유산의 아름다움을반영하면서도 각 문화의 정체성을 보존하고 서체적 특성과 미학을 보여준다. 컬래버레이션 디자인은 소비자들에게 독특한 디자인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새로운 경험을 제안함과 동시에 섬유&패션 제품의 디자인과 구현에 있어 현대적인 추세에 발맞춤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패션산업의 새로운 시장과 경제 채널을 구축할 수있는 기회를 선도하고 디자인 경쟁력을 강화한다. 연구범위는 첫째, 한국(조선)과 아랍(오스만 튀르크) 궁중에서 각각 고대 황궁의 사용처와 특성의 측면에서공통점이 있는 서체인 ‘한국 궁서체’와 ‘아라빅 디와니체’를 선정하였다, 이 두 서체의 특징은 모두 곡선의부드러움이 강조된 것이다. 둘째, 한글을 창제하신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 정신을 담은 사랑(Love), 희망(Hope)을 콘셉트로 하여 20~30대 소비자에게 적합한섬유&패션 상품에 응용하였다. 연구방법은 이론적 고찰을 위한 국내외 선행연구를바탕으로 관련 논문, 박물관 자료, 서적, 인터넷, 기타각종 간행물 등에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는 것으로시작하였다. 이러한 제안을 위해 두 서체의 공통점과특징을 살리고 4가지 요소로서 감각적 요소, 의미적요소, 구성적 요소, 감성적 요소를 파악하고자 했다. 컴퓨터 그래픽 소프트웨어 포토샵, 일러스트를 이용한디자인 리소스와 모티프를 전개하였고, 시제품을 제작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이에 따라 한글 궁서와 아라빅 디와니 서체의 컬래버레이션 섬유&패션 제품디자인 개발이 가능하다는 결과를 도출시켰다. 위의 두 서체 양식은 그들만의 독특한시각적 언어와 문화적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그들의 협력은 두 가지 다른 예술적 전통의 조화로운 융합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이 두 서체는 글자의 연결이 유연하며획이 깔끔하여 이를 조합하면 생동감 있고 역동적인 다양한 시각적 이미지를 만들 수 있다. 첫 번째 제안 ‘사랑’은.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감각, 따뜻한 가정의 느낌즉, 활동적인 30대 여성의 니즈를 부합하도록 디자인하였다. 두 번째 제안 ‘희망’은 역동적인 미래를 내다보며, 한류 문화를 열정적으로 증진할 에너지를 가진 20대들이 열광하는 한류문화의 느낌을 표현하였다. 마지막으로 새롭게 컬래버레이션한 캘리그래피 디자인이 ‘한류’에 열광하는 한국과 아랍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시장과 경제 채널들을 열어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이를 컬래버레이션한 현대 디자인 제품의 다양성을 통해 한국과 아랍 국가 간 장벽을 제거되고 문화적 다리가 놓여지길 기대한다. 이러한 이유로본 연구는 한국과 아랍권의 문화적 협력을 통해 섬유&패션 제품디자인의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강조된다.

      • KCI등재

        K-디자인에 기반한 아이덴티티 전략 및 문화상품 개발

        김진경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4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6 No.-

        21세기 K-컬처가 전 세계적으로 각광 받는 시점에 한국 고유의 아이덴티티를 지닌 디자인 문화상품은 한국 문화를 알리는 데 큰 영향력을 전파하고 있다. K-디자인에 기반한 문화상품은 한국적 미감을 지닌 아이디어가 구체화되고 생산, 유통, 서 비스 과정을 통해 실제 상품으로 출시한다. 본 연구는 한국적 가치가 담긴 우수한 문화상품 발굴의 중요성 및 K-디자인 아이덴티티가 분명한 문화상품 활성화에 목적이 있으며 본 연구 목적에 맞게 문헌연구, 사례분석, K-디자인 문화상품 개발 순으로 진행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K-디자인에 기반한 문화상품의 아이덴티티는 정체성, 독창성, 연상성, 역사성의 네 가지 특성으로 도출하였으며 이 후 2022년-2020년의 대한민국 관광기념품공모전에 당선한 문화상품을 선정하여 사례 분 석하였다. 사례분석을 토대로 실제 K-디자인 문화상품 4종을 개발하여 아이덴티티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결론적으로 K- 디자인에 기반한 아이덴티티 전략으로는 한국문화를 대표하는 정체성, 한국문화를 연상하는 연상성, 한국문화의 역사를 반 영한 역사성, 한국문화와 연계한 차별화된 독창성이다. 한국문화의 고유성을 오래도록 기억할 수 있는 디자인 요소의 아이 덴티티를 연구하여야 하며 아이디어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K-디자인 전략을 세운 후 실제 제품에 적용하여 상품화 해야 함을 시사한다. 상품 기획을 도출하고 실제 상품으로 출시하는 과정에서 한국문화의 정체성을 바르게 세워 이미지를 통합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문화상품은 향후 실질적 상품화를 통하여 한국문화를 알리는 아이덴티티 전략 확보를 목표로 하며 후속 연구를 통해 실효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K-디자인 전략은 세계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잠재력 있는 자원이며 국가 위상을 높일 수 있는 활동이다. 본 연구로 인하여 한국의 고유한 전통과 문화적 가 치를 지닌 경쟁력있는 디자인 문화상품 발굴과 발전에 밑거름이 되길 기대한다. At a time when 21st-century K-culture is gaining global recognition, Korean design cultural products with a unique Korean identity are spreading significant influence in promoting Korean culture. These cultural products based on K-design are being developed by concretizing ideas imbued with Korean aesthetics, going through the processes of production, distribution, and services, culminating in the release of actual products. This study aim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discovering outstanding cultural products with Korean values and to activate cultural products with a clear K-design identity. To achieve this goal, the research proceeded in the following sequence: literature review, case analysis, and the development of K-design cultural product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identity of cultural products based on K-design was derived with four characteristics: identity, originality, association, and historical context. Subsequently, a case analysis was conducted by selecting cultural products that had won awards in the Republic of Korea's tourism souvenir competition Between 2022 and 2020. Based on the case analysis, four actual K-design cultural products were developed and the validity of their identity was verified. In conclusion, the identity strategy based on K-design includes representing the identity of Korean culture, evoking associations with Korean culture, reflecting the history of Korean culture, and showcasing distinctive originality linked to Korean culture. Research on the identity of design elements that can help preserve the uniqueness of Korean culture for a long time is necessary. After establishing a K-design strategy that reinterprets ideas in a contemporary context, it is important to apply it to actual products for commercialization. The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ccurately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Korean culture through the process of deriving product planning and releasing actual products. we intend to verify their effectiveness through subsequent research. We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discovery and development of competitive design cultural products with Korea's unique traditions and cultural values.

      • KCI등재

        한국박물관에서의 타문화 전시 현황 연구

        김태연(Tae Yeon Kim),박옥미(Ok Mi Pak)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3

        한국의 올바른 정체성 확립과 전통문화 전승을 위해 두 가지 자세의 필요성 즉 자민족중심주의 편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지 되돌아보고 다시 점검하는 것과 내 것을 알기 위해 네 것을 알아야 하는 의미를 바탕으로 한국박물관의 현황과 문제점을 조사하여 21세기 한국박물관 역할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은 한국박물관의 성장과 타문화관련 전시의 현황을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중앙박물관, 행정안전부 등 국가기관에서 발표된 자료와 박물관 관련 국내외 전문서적, 인터넷 사이트 등으로 조사되었다. 박물관 명칭에서 나타나는 전문성을 기준으로 박물관을 분류하였으며, 타문화 전시 현황은 상설전시와 기획특별전의 운영 여부로 나누었으며, 각 국 유물의 소장여부로 다양성을 측정하기엔 너무나 많은 경우의 수가 생겨 유물 소장 유무와 개수와는 별개로 하는 것으로 연구범위를 제한하였다. 또한 관람자에게 제공되는 문화의 다양성이 한국문화전승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한국박물관은 2008년까지 579개의 박물관이 설립되었으나 국가 간의 비교에서 많이 부족한 상황이며 박물관의 전문성 또한 서로 비슷한 한국문화위주의 전시를 운영하고 있었으며 타문화권의 다양성을 제공하는 박물관은 전국 579개중 총 13개의 공·사립박물관과 국립중앙박물관의 아시아관 그리고 2010년 기준으로 한국 전체 박물관 중 총 20건의 기획특별전만으로 세계문화의 다양성을 제공하고 있었다. 이것마저도 일정한 지역으로 집중되는 심각한 불균형을 이루고 있었다. 문화권별로 봐도 유럽, 오세아니아, 아프리카, 아메리카 등의 문화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위 두 자세의 실천과 한국에서 소외되고 있는 문화권의 적극적인 전시 운영을 위해 장기적인 안목을 바탕으로 한 유물 수집 노력은 다양한 문화의 배경을 가진 관람자들에게 한국문화를 바르게 소개하고 전승함에 있어서 높은 설득력과 가치를 가져올 것이라 기대한다. In the twenty-first century, the new role of Korean museums, which is to represent national identity and preserve traditional culture, should be based the two different kinds of attitude, namely, to eliminate ethnocentrism and acknowledge other cultures, i.e, multi-culturalism. Within this mind,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eums and the status of exhibitions of other cultures, and the effect of preserving Korean traditional culture on audiences who have multi-cultural experience of museums. The information used to investigate this study was suppli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he National Korean museum,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nd other government offices, and includes worldwide references of museums and the internet. The multi-culturalism in Korean museums was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characteristics of museums through their names and their operation of permanent and special exhibition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acquisition of ‘object’ and ‘quantity’ were not able to be considered because this led to too many different cases to call them multi-cultural. As a result, although 579 museums had been established by 2008, some points still need to be reconsidered. For example, there are not many museums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similar characteristics within the Korean culture and others. Sadly, only thirteen public and private museums, and one Asian Art gallery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a total of twenty special exhibitions among the 579 museums have conveyed a variety of cultures in particular areas. In fact, European, Oceanic, African and American cultures were rarely found. Lastly, the above two attitudes and an endeavor to collect objects of neglected cultures in Korean museums to host great exhibitions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introducing and preserving Korean culture for worldwide audiences.

      • KCI등재

        2020-2030 문화트렌드를 반영한 디자인제품 선호도 연구 -밀레니얼세대를 중심으로-

        엄경희,엄태경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2

        As a new strategy according to the change in market environment, the understanding and the analysis of cultural trend is the process to discover new opportunity for the enterprise and to create the products and services, which can satisfy the consumer based on the overall human knowledge and information. In addition, since the millennials, who occupy 30% of the world consumption and are the center of the global corporate management activity, are skilled with smart devices and can perform multitasking, they acquire the information through sharing and communication of diverse lifestyles and have a freedom of wide range of choice. As the real global generations experienced the growth in a rich environment and having many experience, the millennials having active attitude on the consumption for themselves, are the future generations focused by entire world. For such millennials who are the center of cultural trend, it is deemed to be necessary to establish the marketing strategy by the cultural emotion of millennials. In addition, the research fit to the timestream for the design products matched to the consumer’s needs is deemed to be necessary through the 2020-2030 cultural trend, which is coming around the millennials. Therefore,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marketing strategy establishment of the differentiated and competitive design products to be developed in future and the opportunity to create new market by investigating and analysing the preference of the design products reflected with the 2020-2030 cultural trend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analysis of the millennials. As the research methods, the analysis of preceding researches, literature review and internet data search were performed for the theoretical contemplation such as definition of cultural trend, millennials and the change of consumption, the case of design product reflected with 2020-2030 cultural trend, etc. The results was drawn by conducting online questionnaire survey utilizing basic statistical analysis and Likert 5-point scale. For the scope of research,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the millennials (19~39 years old)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y selecting 4 cultural trends of ‘individualism’,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sustainability’ and ‘automation’, which are launched as design products out of 6 2020-2030 cultural trends.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design product preference reflected with 2020-2030 cultural trend and the elements preferred when purchasing the design produc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trend, following results were drawn. First, it was observed that the most preferred product reflected with the 2020-2030 cultural trend with the overall pattern of general, age group, marital status, occupation, and the residential area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millennials was the design product reflected with the trend of ‘individualism’ and the design product of ‘sustainability’ also have higher preference followed by ‘automation’ and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in order. Second, it was observed that as the preferential element when purchasing the design produc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2020-2030 cultural trend of the millennials, for ‘individualism’, my own personality can be expressed and the exceptionalness felt by using and purchasing the product is considered important, for ‘virtuality and augmented reality’ the pleasure and happiness through experience were considered important. It was investigated that for ‘sustainability’, the environmentally positive impact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and the socially and economically positive impact was investigated as the important element and for ‘automation’, the guarantee the safety i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Therefore, the design products reflected with 2020-2030 cultural trend for the millennials are de... 시장 환경 변화에 따른 기업의 새로운 전략으로 문화트렌드의 이해와 분석은 인간의 총체적 지식정보를바탕으로 기업의 새로운 기회를 발굴하고, 소비자에게만족을 줄 수 있는 제품 또는 서비스의 제공을 창출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이다. 또한, 세계 소비 30%를차지하며 세계적 기업 경영활동의 중심이 되는 밀레니얼 세대는 스마트기기에 능숙하여 멀티테스킹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삶을 빠르고 쉽게 공유하고 소통을 통한 정보 습득과 폭넓은 선택의 자유를 가진다. 자기자신을 위한 소비에 적극적인 태도의 밀레니얼세대는 풍요로운 성장과 많은 경험을 겪은 진정한 글로벌 세대로 전세계에서 주목하는 미래 세대이다. 이러한 문화트렌드가 중심이 되는 밀레니얼 세대의 문화적 감성에 의한 마케팅 전략의 수립이 필요하다고사료된다. 또한 밀레니얼 세대를 중심으로 다가오는2020-2030 문화트렌드 분석을 통해 소비자 니즈에 맞는 디자인제품을 위한 시대 흐름에 적합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밀레니얼 세대인구통계학적 분석에 따른 2020-2030 문화트렌드를반영한 디자인 제품의 선호도를 조사 분석하여 앞으로 개발될 차별화되고 경쟁력 있는 디자인제품 마케팅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와 새로운 시장 창출 기회의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화트렌드에 대한 정의, 밀레니얼 세대와 소비 변화, 2020-2030 문화트렌드를 반영한 디자인제품 사례 등의 이론적 고찰을 위하여 선행연구 분석과 문헌 조사, 인터넷 자료조사를 실시하였다. 기초통계분석과 리커트(Likert) 5점 척도를 활용하여 온라인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범위로는 2020-2030 문화트렌드 6개 중 디자인 제품으로 출시 된 문화트렌드 4가지 ‘개인주의,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지속가능성’, ‘자동화’를 선정하여 밀레니얼 세대(19~39세)를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의한조사를 실시하였다. 따라서 2020-2030 문화트렌드를 반영한 디자인제품선호도와 문화트렌드 특성에 의한 디자인제품 구매시 선호하는 요소를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도출시켰다. 첫째, 밀레니얼 세대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성별, 연령대, 결혼여부, 직업, 학력, 거주지역의 전반적인 양상으로 2020-2030 문화트렌드를 반영한 디자인제품 중 가장 선호하는 제품은 ‘개인주의’ 트렌드를 반영한 디자인제품이며, 지속가능성’ 디자인제품 또한 높은 선호도를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자동화’,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순으로 높은선호도를 보였다. 둘째, 밀레니얼 세대의 2020-2030 문화트렌드 특성에 의한 디자인제품 구매 시 선호 요소로 ‘개인주의’는 나만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어야하고, 제품을 사용하고 구매함으로써 느껴지는 특별함을 중요하게 여기며,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은 체험을통한 즐거움과 행복감을 중요하게 여기는 것을 알 수있었다. ‘지속가능성’은 환경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이가장 중요 요소이며 사회적, 경제적인 긍정적인 영향도 중요하게 여기는 요소로 조사되었으며, ‘자동화’는안전의 보장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향후 밀레니얼 세대를 중심으로 한 2020- 2030 문화트렌드를 반영한 디자인제품은 ‘개인주의’ 트렌드를 반영하여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개인 맞춤형 제품, 소비자에게 특별함을 부여하는 디자인으로개발 ...

      • KCI등재

        TV공익광고 문화 커뮤니케이션 효과 비교 연구 : 한국과 중국의 성별에 따른 실증분석

        조우리,정해원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3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5 No.-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is a from of the communication, which is based on human beings and its’ aim is to realize public welfare.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reflects the current agenda and trends of the society because it has the purpose of solving the social and public problems of the n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advertisement. Especially, TV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exposed through video media is more realistic and can communicate better compared to print and radio media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Based on Geert Hofstade cultural dimensional theroy, we explore the influence of masculinity and femininity on audience in China and South Korea and their attitudes towards and behaviors of TV public service advertising by means of empirical analysis. This research, with the methods of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finds out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inese audiences and South Korean audiences: Compared to Chinese audience. South Korean males have weaker masculinity and stronger femininit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provide a new way for researchers to explore TV public service advertising from China and South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gnitive, attitude and behavioral analysis of the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audiences by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model with the Hofstede cultural variables and contents of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Then, we could recognize the cultural value of a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of China and South Korea. 공익광고의 목적은 공공복리를 실현하는 커뮤니케이션의 한 형태이다. 공익광고에선 사회와 공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 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공익광고는 사회의 현재 문제와 트렌드를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영상매체를 통해 노출 되는 TV 공익광고가 인쇄, 라디오에 비해 더 나은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Geert Hofstade(2010)의 문화이론 5가지 요소 중 여성주의 문화와 남성주의 문화 요소에 따른 한국과 중국의 TV 공익광고 수용자들의 성별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실증분석으로 비교 연구한 것이다. 남성성과 여성성이 한국과 중국의 수용자들에게 TV 공익광고에 대한 태도와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연구하였다.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분석의 방법으로 중국 수용자와 한국 수용 자를 비교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했다. 한국의 공익광고 수용자 중 남성이 홉스테드의 문화이론 요소 중 여성주의 문화 성향이 중국의 공익광고 남성 수용자들보다 더 강하게 나타났다. 또 한 중국의 공익광고 여성 수용자들이 한국의 공익광고 여성 수용자들보다 남성주의 문화성향이 더 강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한국과 중국의 성별에 따른 공익광고 문화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홉스테드의 문화이론 요소 중 여성주의/남성주의 요소에 따 른 한국과 중국의 문화적 차이와 그에 따른 공익광고 커뮤니케이션 효과 차이 또한 다르다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중요한 점은 한국과 중국의 공익광고 수용자들을 이해하기 위한 문화를 먼저 이해한 후 공익광고의 커 뮤니케이션 효과에 대한 가치를 명확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 연구를 중심으로 앞으로 심도 있는 한 국과 중국의 공익광고 수용자들의 문화 커뮤니케이션 비교 연구들이 진행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한국적 화투디자인의 소재개발에 관한 연구

        최영옥,남구희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1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28 No.-

        현대사회는 물질문명의 발달로 인해 객체주의 성향을 지닌 핵가족의 문화생활을 형성해 나가면서 남녀노소 함께 어우러져서 흥을 돋구던 고대부락국가의 놀이문화가 근세에 내려오면서 더더욱 서로가 담을 쌓게 되었다. 지금의 놀이문화는 또래놀이, 세대놀이의 성향을 강하게 지니고 있으며 가족이라는 구성원에서 벗어나 개인주의적인 성향으로 흐르고 있다. 따라서 개인주의적인 성향이 두드러지는 것이 요즘의 놀이문화의 특징이라 하겠다. 화투놀이는 남녀노소 누구나 즐기고 있는 오랜 역사를 가진 놀이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우리가 무심코 즐기고 있는 화투의 내용에는 일본에서 만든 그림으로 되어있으며 아쉬운 내력을 지니고 있다. 이제는 우리가 즐기고 있는 화투의 소재와 디자인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때라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소재개발의 필요성을 온라인 설문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그 겱과 많은 사람들이 화투디자인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또 한국적 화투디자인 소재로서는 관습적 의례가 매년 거듭되는 전승행사인 세시풍속이 가장 적합하다고 선정되었다. 한국적 화투디자인 소재개발을 탐구하기 위해 2차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얻어진 자료를 기초로 12달의 화투 디자인 소재를 정리하였다. 1월]새배 2월]윷놀이 3월]한식 4월]연등회 5월]단오 6월]농악 7월]뱃놀이 8월]한가위 9월]국화전 10월]개천절 11월]동지 12월]복조리 한국고유의 세시풍속을 소재로 한국적 화투디자인이 개선되어 우리국민에게 홍보되고 즐긴다면 우리만의 고유한 카드놀이로서 자리잡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다시말해서 앞으로 지속적인 연구와 노력을 통해 우리의 것을 찾아 우리 만족의 긍지와 자부심, 주체성을 확립하여 올바른 놀이문화로 정착할 수 있다고 기대해 본다. The modern society, which was built the nuclear family life style with objectivity based on material civilization, refused the amusements joined all tribes without distinction of age or sex in an ancient clan society. The modern amusement forms into ones contemporaries and generations, as is the tendency with individualism out of family category. Therefore contemporary amusements can be characterized as the individualism. Playing "hwa-tu" cards is one of the most popular games for a long time in Korea. But it is very sorry that we unconsciously play "hwa-tu" cards designed by Japanese. I think that it is the time to develop the Korean design of "hwa-tu" cards, the most popular game, in Korea. I have detected the necessities of the subject development of "hwa-tu" cards through the online questionnaires for the research. As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s, I found for what people want to develop for "hwa-tu" cards. And it said that the design and subjects will fit the most for Korean traditional manners and customs in times and seasons. I selected the design of "hwa-tu" cards for 12 months based on the results form the 2nd questionnaire. The subjects are selected in every month: the new years calls in January, a Korean stick game, yut, in February, the cold food day in March, Buddhist parades in April, the female festival, Tano, in May, a farm band in June, a boating in July, the Korean thanksgiving day, Chuseok, in Angust, a chrysanthemum-shaped rice cake in September, the Korean national foundation day in October, the winter solstice in November and a bamboo strainer calling for happiness in December. The design of "hwa-tu" to follow the Korean traditional manners and customs in times and seasons can make "hwa-tu" be the traditional and characteristic games.

      • KCI등재

        사용자 중심의 현대 문화 상품의 지역성 특징에 관한 연구

        포내퐁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2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1 No.-

        문화 소비의 고도화와 사용자의 요구가 끊임없이 변화하는 시대적 배경에서 "사용자 중심"의 제품 디자인의 원칙 적용은기초적 진행에 중요한 기반이 된다. 사용자와 문화 체험에서 문화 상품 수요의 특성상 지역별 시각에서 문화 상품의 분석설계와 판매의 문제점이 개선될 수 있는 환경이 요청된다. 본문의 연구에 실증적 참고 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화의 지역적 특징과 문화 상품 설계의 방식, 척도 및 융합의 미에 연구를 전개한다. 지역 문화 상품 설계는 대상 사용자의경험 요구를 충족시켜야 한다는 디자인 원칙과 과학적 통계 방법을 사용한다. 이 연구는 대상 사용자의 문화 경험 요구를수집해야 한다는 설계 포지셔닝(Positing) 원칙을 확정했다. '사용자 중심'을 전제로 대상 사용자의 문화 경험 요구에 따라디자인의 다양한 단계에서 효과적인 디자인 방법을 사용하여 문화 상품을 디자인하는 전략을 결정한다. 대상 사용자의 문화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을 목표로 지역 문화와 문화 상품을 디자인으로 소통해야 한다. 문화 상품 디자인은 이미지를통합 및 변형하고 문화 상품의 문화적 차이를 효과적으로 표현한다. 사용자의 소비 행동을 제고하는 것이 현대 문화 상품의 가치와 의의이다. 본고의 연구 성과는 현대 문화 상품의 디자인과 지역 문화의 전승과 발전에 새로운 사고방식과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