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무분석가의 낙관주의가 walkdown에 미치는 영향과 예측어려움의 조절효과

        곽상진(Kwak, Sang-Jin),조용언(Cho, Yong-Eon),하순금(Ha, Soon-Gum) 한국경영교육학회 2020 경영교육연구 Vol.35 No.5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재무분석가의 낙관주의 동기 유인이 예측 walkdown에 미치는 영향을 인지심리적 측면에서 검증하고 예측어려움이 높을수록 재무분석가의 낙관주의 동기유인이 예측 walkdown을 보다 강화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재무분석가의 낙관주의 동기 유인과 예측어려움과 관련된 국내외 선행연구에 관한 문헌을 바탕으로 실증분석에 필요한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검증에 사용된 표본은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유가증권 시장의 상장기업 중 820개의 기업-연도표본이다. 재무분석가 이익예측자료와 재무자료는 Kis-Value에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Bradshaw et al.(2016)가 제시한 연구모형에 대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첫째, 재무분석가의 낙관주의 동기 유인이 클수록 예측walkdown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측어려움이 높을수록 재무분석가의 낙관주의 동기 유인이 예측walkdown을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재무분석가의 지향성 있는 결론에 대한 낙관주의 동기 유인이 클수록 매출액과 영업이익의 walkdown이 커지며, 이 과정에서 예측어려움이 조절작용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낙관적 예측 편의가 존재하는 재무분석가의 보고서를 이용하는 시장참여자들이 합리적 판단을 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고 재무분석가의 낙관적 예측편의에서 파생되는 시장의 부정적인 영향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정책수립의 근거를 제공하는데 시사점을 준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pattern of analysts’ forecasts within a fiscal year, which begins with optimism and declines as the earnings announcement date approaches, and also does that one factors, forecasting difficulty, interact with analysts’ incentives for optimism to induce cross-sectional variation in the steepness of forecast walkdown. [Methodology] As follows are univariate t-test and multivariate regressions results from a sample of 820 firm-years listed in Korea Exchange between 2011 and 2016. [Findings] The general association between analysts’ incentives for optimism and forecast walkdown is supported by empirical evidence. In addition, it is supported that as difficulty is higher, forecast walkdown becomes steeper. [Implications] This result means that analysts begin with optimism to react to motivation for a directional conclusion at the beginning of the year, adjust downward their forecast to react to motivation for accuracy as the earnings announcement date approaches. In addition, this means forecasting difficulty is in the highest at longer forecast horizons, it declines with the release of information during the year. Then, based on Kunda’s(1990) work, the biased accessing of information to support optimistic forecasts declines, leading to a forecast walkdown.

      • KCI등재

        대학 생활의 어려움 유형 분류 및 대학성과 차이 분석

        김진미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4 교육연구논총 Vol.45 No.2

        본 연구는 대학생활 어려움을 겪는 집단이 어떤 유형으로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잠재계층 구분을 예측하는 요인과 잠재계층에 따라 대학성과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대학생활의 어려움은 자기계발/취업준비, 시간관리, 교수와의 상호작용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학생활 어려움 프로파일은 네 가지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이는 적응 우수집단(5.6%), 적응 어려움집단(36.6%), 학업-시간 관리 적응 어려움집단(5.9%), 적응 양호집단(51.9%)이다. 그리고 잠재계층 분류 영향요인은 성별과 월평균 가구소득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일수록 적응 어려움집단보다 적응 우수집단에 속할 승산이 높았으며, 여학생이며, 월평균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적응 양호집단보다 적응 어려움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잠재계층에 따른 대학성과 차이를 검증한 결과, 적응 양호집단 및 우수집단이 적응 어려움집단보다 학업성취가 높으며, 대학만족도, 대학교육을 통한 역량 향상 정도를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활의 어려움을 높게 지각하는 학생일수록 대학성과를 얻을 개연성이 낮다는 점은 대학생활적응이 학생성공을 이끈다는 점을 방증한다. 따라서 학생성공이라는 기관의 주요 책무를 위해서 대학은 대학생활의 어려움을 겪는 집단을 조기에 선별하여,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ypes of groups that experience difficulties in college life and analyze the factors that predict the latent profile and the differences in college outcomes based on the latent classification. The latent profiles we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which were excellent-adjusted (5.6%), the highest level of difficulty adjusting to college life (36.6%), high level of difficulty with academic and time management (5.9%), and well-adjusted (51.9%). The predictors of latent profiles were gender and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Male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be in the excellent-adjusted group than the higher level of difficulty group, while female students and those with lower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were more likely to be in the higher difficulty group than the well-adjusted group.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differences in college outcomes according to the latent class, it was found that the excellent-adjusted and well-adjusted group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university satisfaction, and the degree of competency improvement through education at university to be higher than those who faced the difficulty of adapting to the college environment. Therefore, to fulfill the institution's main responsibility of student success, universities must early select groups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college life and seek ways to help them adapt successfully to college life.

      • KCI등재

        정신분석학적 기독교 신앙교육 연구

        김선아(Sun Ah, Kim) 한국기독교학회 2018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10 No.-

        본 연구는 학제적 연구 방법을 통해 개인의 삶, 특별히 어린 시절에 겪어야 하는 삶의 어려움(difficulté)에 집중하는 돌토의 정신분석학적 관점과 기독교 신앙교육의 만남과 대화를 시도함으로써 모든 그리스도인들, 특별히 우리의 미래 세대로 하여금 예수 그리스도가 초청하시는 진정한 신앙의 삶, 즉 진정한 욕망과 만나는 모험의 삶에 응답하도록 돕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돌토는 예수님의 행적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해석에 기초하여 개인이 자신의 내면에 있는 진정한 무의식적 욕망을 깨닫고, 그것을 실현시켜 나가는 삶이 곧 ‘욕망의 삶’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돌토의 ‘욕망의 삶’ 관점을 기독교 신앙교육에 적용하여 모든 그리스도인으로 하여금 진정한 욕망의 도상에서 끊임없이 모험의 삶을 살아가도록 돕는 것이 기독교 신앙교육의 방향이 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즉,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기독교 신앙교육은 그리스도인으로 하여금 더 이상 자존심이나 자기애적 이익을 날마다 충족시키려는 삶에 매몰되지 않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사랑 안에서 하나님을 만나고자 희망하는 욕망의 길에 접어들 수 있게 돕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제안한다. 필자는 이를 위해 ‘통합성과 전체성을 이룬 존재의 집 형성’으로서의 기독교 신앙교육, ‘기쁨과 사랑의 소통’으로서의 기독교 신앙교육, 욕망의 진실을 추구하는 삶으로서의 기독교 신앙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자가 제시한 기독교 신앙교육의 방향이 실천되기 위해서는, 부모와 예비부모, 그리고 예비교사들과 교사들을 교육할 수 있는 돌토의 정신분석학적 통찰에 기초한 기독교 신앙교육 교재가 전문적으로 개발되어야 하며, 더 나아가 ‘욕망의 삶’을 지향하는 정신분석학적 기독교 신앙교육의 연령별 교육 과정의 이론과 실제를 위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This article attempts to help all Christians, especially our next generations to respond to Jesus Christ’s invitation for ‘the life of faith’, i.e. ‘the life of adventure’ for encountering ‘the authentic desire’. The purpose of this study calls for the interdisciplinary dialogue between Christian education and psychoanalysis. Dolto had made an emphasis on ‘the life of desire’ to realize and fulfil ‘the authentic desire’ in individual’s inner side. This study attempts to apply the Dolto’s perspectives of ‘the life of desire’ to Christian faith education for all Christian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Christian education for faith should help all Christians to live the adventurous life constantly. Furthermor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suggestions of the directions of Christian faith education are given to all Christians, especially our next generations, to live adventurously and vividly on the road of ‘the desire’. The directions of Christian education for faith help to save the trapped generations so that they could be freed. In this study, the directions of Christian education for faith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ly, as the Christian faith education for ‘constructing the house of being with integration and wholeness’. Secondly, as the Christian faith education for ‘communicating of joy and love’. Thirdly, as the Christian faith education for ‘the life pursuing the truth of desire’. For the praxis of this study, two proposals are given. First, the professional text books based on the Dolto’s psychoanalytical perspectives should be developed to educate the parents and pre–parents, teachers and pre– teachers. Second, systematic and professional follow–up study is needed to develop the age–specific curriculum of Christian faith education. This kind of the age–specific curriculum helps to clarify and certify the theory and practice of the psychoanalytical Christian faith education.

      • KCI등재

        성인 수면 어려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성인 초기를 중심으로

        양난미,하재필,박혜원,김남균,이하영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기초자료연구소 2023 연구방법논총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that measures the difficulty of sleep experienced by Korean adult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N=273)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N=272) were conducted on 30 preliminary questions for office workers. As a result, three factors and 17 questions were identified as 'difficulty falling asleep', 'diffculty deep sleep', 'sensory hypersensitivity'.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ree factors were suitable. In addition,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and incremental validity were verified. Sleep difficult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SQI-K, Insomnia Severity, Optimism, and Life Satisfaction. The incremental validity of sleep difficulty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QI-K and Depression and State Anxiety. The reliability of the test-re-test was confirmed after 4 weeks in 32 patients.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성인이 경험하는 수면의 어려움을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외 문헌을 분석하여 수면 어려움의 구성개념을 정의하고, 30개의 예비문항을 선정하였다. 직장인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N=273)과 확인적 요인분석(N=272)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입면 어려움’, ‘숙면 어려움’, ‘감각 과민성’ 으로 17개 문항, 3개 요인구조를 확인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에서도 17개 문항, 3개 요인구조가 적합하여, 구성개념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PSQI-K, 불면증 심각도, 낙관성, 삶의 만족과의 상관이 유의하게 나타나 준거 관련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PSQI-K가 우울 및 상태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면 어려움이 추가적 설명력이 유의하여, 증분타당도가 검증되었다. 척도의 안정성을 파악하기 위해, 32명을 대상으로 4주 간격으로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과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에 기술된 과학이야기에 대한 학생들의 어려움 분석 -6학년 과학을 중심으로-

        임영현 ( Young Hyun Lim ),신영준 ( Young Joon Shin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科學敎育硏究誌 Vol.3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6학년 과학교과서에 실린 과학이야기의 내용 분석 및 과학이야기를 읽고 이해하는데 있어서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과 그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시흥시에 위치한 J초등학교 6학년 2개반(65명)이다. 초등학교 6학년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이야기 총 26편을 영역별, 내용별(지식의 심화 보충, 과학자와 과학사, 생활 속 과학, 첨단 과학 기술, 환경 문제)로 분류하고 그 성격을 조사, 분석하였다. 또 과학이야기(26개)를 이해하는데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65명), 그리고 설문을 통해 수집한 자료의 의미를 명확히 하기 위한 목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4명). 과학교과서에 나온 과학이야기 내용과 설문지의 응답, 면담결과를 분석한 결과 과학이야기는 ‘에너지’, ‘물질’, ‘생명’, ‘지구’의 4개 영역이 고르게 제시되었으며 내용별로 생활 속 과학과 지식의 심화보충 관련 내용이 가장 많이 제시 되었는데 이는 학습한 지식을 실제 사회 문제에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제공하고자 한 과학교과의 성격과 관련이 있었다. 과학이야기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은 과학을 공부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느끼는 등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지만 과학이야기를 제대로 이해하는 데 있어서 어려움을 겪는 부분도 있었다. 내용 이해의 어려움, 교과서 내용 제시 방식의 문제, 과학 용어의 어려움, 흥미 부족 등이 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그 세부적 원인으로 설명식 수업과 중요하지 않은 내용이라는 생각, 교과서에 제시된 내용의 설명 부족, 삽화의 문제점 등 다양한 학생들의 반응이 나왔다. 연구를 통해 학생들과 교사들 모두 과학 수업을 하는데 있어서 과학이야기가 흥미를 돋우며 과학적 지식을 이해하고 적용하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는데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이런 도움을 주는 과학이야기를 이해하는데 조금이라도 겪게 되는 어려움이 있다면 앞으로도 그 원인을 제대로 파악하고 좀 더 나은 내용을 제시하여 학습 현장에 적용시킬 수 있어야 하겠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look into the difficulty of students in understanding science stories in 6th grade science textbooks and to analyze those factors. To do this, 6th grader (N=65) were selected from J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Siheung-si as study subjects. 26 science stories in 6th grade science textbooks were classified by field and context (complement of knowledge, science history of scientists, science in life, cutting-edge science technology, environment issues) in which the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lso, a survey about th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science stories(26 items) was conducted(65 students) and a semi-structured interview was conducted for students to clarify the meaning of collected data from surveys(4 students). As result of analyzing surveys on science story context in science textbooks and interviews, 4 fields of ‘energy,’ ‘matter,’ ‘life,’ and ‘earth’ were evenly mentioned. Science in life and complement of science knowledge were mentions most for context and this had relation with the characteristic of science textbooks to provide many opportunities to apply learned knowledge in actual social issues. Reactions of students on science stories were mostly positive that they help studying science, but there was also difficulty in well understanding science stories. Difficulty of understanding context, problems of context suggesting methods, difficulty of science terminology, lack of interest, and etc. were analyzed as factors. Specific causes were mentioned to be description type class, unimportant context, lack of explanation on suggested context, problem of pictures by students.

      • KCI등재

        빅데이터에 나타난 장애 유아 부모의 어려움 의미연결망 분석

        김길숙,신지민 한국육아지원학회 2023 육아지원연구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by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one of analytic methods using a big data, to enhance understanding of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o find implications for better educating disabled children. To this end, data was searched on the TEXTOM program, using search terms of parents of disabled infants & difficulty of parents of disabled infants, and setting two years for the search period, which was from November 27, 2020 to November 2022. Then, through two rounds of refinement, the TF-IDF and frequency of the refined final data were identified, and the top 50 words based on TF-IDF were selected as final keywords.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se 50 final keywords. As a result, first, among 50 keywords, 'development', 'kid', 'child', 'education', 'infant', and 'disability' were ranked high. Second, as a result of centrality analysis of 50 keywords, the six keywords of 'disability', 'parent', 'difficulty', 'infant', 'child', and 'development' are all consistently ranked high across the connection centrality, proximity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analyses. Third, as a result of the CONCOR analysis, a total of four clusters were formed. This study identified the difficulties of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uggesting that it can be used as a source to set up effective policy measures for the educ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본 연구는 빅데이터 분석법인 의미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장애 유아 부모가 겪는 어려움을 분석해서 장애아 가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장애 유아를 교육하는 데 시사점을 찾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위해 TEXTOM 프로그램에서 ‘장애 유아 부모 + 장애 유아 부모 어려움’을 검색어로 해서 데이터 수집날짜인 2022년 11월 27일을 기준으로 2년을 총 기간으로 잡아 2020년 11월 27일부터 2022년 11월27일까지 장애 유아 부모 어려움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후, 두 차례의 정제과정을 거쳐 정제된 최종 데이터의 TF-IDF와 빈도를 파악하였고, TF-IDF를 기준으로 상위 50개를 최종 키워드로 선정하였다. 또한, 최종 키워드 50개로 의미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50개의 키워드 중‘발달’, ‘아이’, ‘아동’, ‘교육’, ‘유아’, ‘장애’가 높은 순위를 보였다. 둘째, 50개의 키워드를 중심성 분석한 결과, 6개의 키워드 ‘장애’, ‘부모’, ‘어려움’, ‘유아’, ‘아동’, ‘발달’은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 순위가 모두 일치하여 상위 순위에 해당하였다. 셋째, 담론(CONCOR) 분석 결과 총 4개의 군집이 형성되었다. 본 연구는 장애 유아 가정의 어려움을 파악하였으며, 이는 장애 유아교육을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 방안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2015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개편이 빈곤층의 물질적 어려움에 미치는 영향

        이래혁 ( Lee Raehyuck ),남재현 ( Nam Jaehyu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保健社會硏究 Vol.40 No.3

        본 연구는 2015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개편이 빈곤층의 가처분소득을 통해 물질적 어려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자료와 인과매개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제도의 개편이 가처분소득을 통해 전체 물질적 어려움 및 물질적 어려움의 하위 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첫째, 2015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개편이 빈곤층의 가처분소득을 증가시켰고, 이어서 물질적 어려움을 경험할 가능성을 낮추는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물질적 어려움의 하위 유형에 대한 분석 결과, 2015년 개편은 가처분소득 증가를 통해 빈곤층의 식품 미보장, 공과금 납부의 어려움, 의료 곤란, 주거 곤란 경험의 위험도를 낮추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남성에 비해 여성집단에서만 2015년 개편이 물질적 어려움 경험의 가능성을 낮추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비노인에 비해 노인집단에서만 2015년 개편이 물질적 어려움 경험의 위험도를 낮추는 효과가 나타났고, 특히 후기 노인집단에서 더 두드러졌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를 통해 빈곤층의 생활여건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정책적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2015 welfare reform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NBLSS) on material hardship through disposable income among the poor. For the purpose, utilizing data from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and the causal mediation analysis method,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the welfare reform on overall material hardship as well as on individual items of material hardship. First, the main findings show that the 2015 welfare reform of the NBLSS decreased the likelihood of experiencing material hardship through an increase in disposable income among the poor. Second, analyses of individual items of material hardship show that the 2015 welfare reform decreased likelihoods of experiencing food insecurity, difficulties in paying bills, medical hardship, and housing hardship. Third, the likelihood of experiencing material hardship decreased by the 2015 welfare reform only for women but not for men. Fourth, the likelihood of experiencing material hardship decreased by the 2015 welfare reform only for the old group but not for the non-old group, and were more pronounced for the old-old age group than for the young-old age group.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policy implications to improve the living conditions of the poor through the NBLSS.

      • KCI등재

        다문화 장애아동·청소년의 학교생활에서의 어려움 유형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이현주,조영희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24 다문화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복합적인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다문화가정의 장애 아동·청소년의 학교생활에서의 어려움의 유형은 어떠한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향후, 이들을 위한 실제적인 지원을 제공하는데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07년 1월부터 2023년 6월까지 국내 주요 학술 검색사이트에서 “다문화”, “이주배경”, “학습 부진”, “장애”, “부적응” 등의 키워드를 가지고 연구물을 검색하여 98개의 다문화 장애 아동·청소년의 학교생활과 관련된 연구물을 수집한 후, 질적 메타분석이 가능한 논문 17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다문화 장애아동·청소년의 경우 다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장애 진단 도구의 부재, 주 양육자인 결혼이주 어머니의 심리·정서적 어려움, 언어 문제로 인한 의사소통에 대한 어려움, 교육적, 치료적 정보 접근의 어려움, 다문화가정과 장애, 복합적이고 중복적인 어려운 환경에 대한 사회적 차별과 편견에 대한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다문화 장애 아동·청소년 가정에 대한 지속적인 의사소통 영역에서의 지원이 제공되어야 하며, 복합적인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다문화가정 장애 아동·청소년에 대한 관심과 이들을 양육하고 있는 부모들의 심리 정서적 어려움에 대한 이해 및 사회적 인식개선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무엇보다 다문화교육과 특수교육 상호 간의 이해와 긴밀한 협력이 이루어져야 하며 다문화 장애 아동·청소년을 양육하는 부모나 교사들에게 필요한 정보의 접근성을 높이고 이를 위한 지원이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다문화 장애 아동·청소년의 명확한 진단을 위해 다문화가정의 특성을 반영한 장애 진단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며 학교 현장에서 증가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장애아동.청소년을 위한 교사 연수프로그램 등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iculties in to school life for youths with disabilitie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ith complex difficulties and contribute to practical support for these youths. For this study, a qualitative meta-synthesis was conducted to extract and analyze 17 research papers. As a result of the study,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social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against complex issues with multicultural families and disabilities, difficulties in accessing educational and therapeutic information, the absence of disability diagnostic tools reflecting multicultural characteristics, and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of marriage immigrant mothers were also identified.

      • KCI등재

        대학생의 코로나 19(COVID-19)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 어려움의 매개 효과

        정은선,이성원,하정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6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코로나 19 스트레스와 정서조절 어려움이 우울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확인하고 코로나 19 스트레스가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조절 어려움의 매개 역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21년 12월 20일부터 2022년 1월 7일까지 코로나19 스트레스, 정서조절 어려움, 우울 변인을 측정하기 위한검사를 온라인으로 실시하였으며 총 426명이 참여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기술통계, 빈도분석, Pearson 적률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 19 스트레스와 정서조절 어려움은 우울과 부적인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코로나 19 스트레스 하위 요인 중에서 감염에 대한 두려움과 거리두기로 인한 어려움이 우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정서조절 어려움의 하위 요인 중에서 정서에 대한 주의/자각 부족, 정서적 명료성 부족, 정서조절전략 접근 제한이 우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코로나 19 스트레스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과정에서 정서조절 어려움이 부분적으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론은 첫째, 코로나 19 스트레스가 우울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코로나 19 스트레스와 정서조절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개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감염에 대한 두려움과 거리두기로 인한 어려움을 완화할 수 있는 구체적인 개입방안을마련할 필요가 있겠다. 둘째, 정서에 대한 주의/자각과 정서적 명료성을 높이고 정서조절전략 접근 제한을 낮출 수 있도록 조력이필요하다. 상담과 교육 장면에서 대학생들의 정서조절 어려움을 낮출 수 있는 개입이 중요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재난경험자들의 재난 후 정서․행동․신체․인지적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 재난유형별 비교

        이나빈,김도희,주혜선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37 No.3

        본 연구는 재난경험자들의 정서, 행동, 신체, 인지적 어려움의 위험요인과 그 효과크기를 비교하고 재난유형별 위험요인에 차이가 있는지 탐색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재난경험자 2000명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재난 후 정서, 행동, 신체, 인지적 어려움에 공통적인 위험요인 중 중간 효과크기 이상의 영향력을 가진 요인은 ‘재난을 인생 전반에 영향을 미친 사건으로 인식하는지 여부’, ‘경제적 및 신체적 피해 정도’였다. 이들 요인의 효과크기를 상대적으로 비교해 보면, ‘재난을 인생 전반에 영향을 미친 사건으로 인식하는지 여부’와 ‘경제적 피해 정도’는 재난 후 정서적 어려움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컸고, ‘신체적 피해 정도’는 재난 후 신체적 어려움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컸다. 재난 유형별로 차이를 보였던 위험요인들을 살펴보면, 자연재해 경험자의 경우에는 연령에 따라 행동적 어려움과 신체적 어려움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사회재난 경험자의 경우에는 연령 차이보다는 성별에 따라 신체적 어려움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재난 지속 기간이 길어질수록 자연재해 경험자들의 신체적 어려움이, 사회재난 경험자들은 정서적 어려움이 증가하고 있었으며, 법적 소송 여부는 사회재난 경험자의 인지적 어려움에만 유의한 차이를 가져왔다. 본 연구 결과는 재난 후 심리지원을 위한 선별평가를 위한 위험 기준을 마련하고 개입 전략의 다각화를 위한 기초 정보를 획득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