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빠 육아 참여와 제도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박철순(Park, Chul soon),고은미(Ko, Eun mi) 한국육아지원학회 2018 육아지원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맞벌이 여부와 자녀연령에 따른 아빠 육아 참여에 대한 인식, 육아지원제도에 대한 인지와 이용경험, 요구사항 등에 대해 알아보고 아빠 육아 참여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2학년(만 8세) 이하 자녀를 둔 아버지 1,000명을 대상으로 육아 참여에 대한 인식 및 요구내용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8세 이하 자녀를 둔 아빠들은 육아참여에 매우 공감하고 있었으며, 그 중 맞벌이 아빠가 자녀 육아 참여에 대한 인식이 더 높았다. 둘째, 아빠의 육아지원제도에 대한 인지도는 높은 반면 이용률은 낮았으며, 맞벌이가 육아지원제도의 인지도와 이용률이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 연령별에 따른 결과를 보면, ‘배우자 출산휴가제도’는 영아를 자녀로 둔 아빠의 인지도와 이용경험이 높았다. 셋째, 아빠 육아 참여를 위해 필요한 정보는 ‘아빠를 위한 육아 지식’이며, 맞벌이와 외벌이에게서 공통적으로 높은 요구도를 보였고, 자녀연령이 높아질수록 ‘정부의 교육과 보육 지원’등의 정보를 원하고 있었다. 아빠 육아 참여를 위해 필요한 제도에 대해서는 ‘배우자 출산휴가 제도’가 가장 높았고, ‘배우자 출산휴가제도’와 ‘남성 육아휴직’의 필요하다는 응답은 외벌이와 맞벌이 그리고 자녀 연령별 분석에서도 가장 높았다. 아빠 육아 활성화를 위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육아지원제도의 강제 시행’이 가장 필요하다고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wareness of paternal involvement, awareness and use of parenting support systems and related needs among fathers whether their spouses worked together for a living and their children’s ages in an effort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revitalization of paternal involvemen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000 fathers who dwelled in an urban community and whose children were in their second grade in elementary school(western age 8) or younger. A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ir awareness and needs for paternal involvemen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athers whose children were at the western ages of 8 and down were very sympathetic to the necessity of paternal involvement. Second, they were much aware of parenting support systems, but they didn’t make use of those a lot. The double income households tended to show more awareness and usage rate of parenting support systems. According to their children’s age, the fathers with infants were more likely to show high awareness and usage on ‘paternity leave.’ Third, the fathers needed proper information about ‘parenting knowledge for fathers’, and both single and double income households showed high needs for it. As children’s age is higher, the fathers needed more information about ‘education and care support of government’. The fathers responded that ‘paternity leave’ is most needed for paternal involvement in both single and double income households regardless of their children’s age.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on vitalizing paternal involvement, the fathers agreed on the needs of ‘implementing parenting support systems by force’.

      • KCI등재

        저 출산 고령화 사회의 육아지원 정책연구

        최종암(Choi Jong Arm),변길희(Byon Kil Hee) 한국육아지원학회 2005 육아지원연구 Vol.1 No.-

        본 연구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저 출산 고령화의 원인과 그에 따른 문제를 심각한 국가적 위기상황으로 보고 예방적 차원의 육아지원 정책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저 출산 고령화의 문제와 육아지원 정책 사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각 통계자료, 단행본, 학위논문, 학술지, 법조항, 언론매체 및 인터넷을 통해 검색된 자료를 검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저 출산 고령화 사회의 육아지원정책으로 육아지원 예산의 독립화, 대국민 PR 정책, 정부 조직 개편 정책, 공교육개혁을 위한 예산 지원정책, 부모들의 경제수준 안정화 지원 정책, 여성의 사회진출 장려 및 지원시스템 정착정책 등이 도출되었다. The study aim is indicate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support policy of low fertility aging society. The study method is examine closely that is statistical data, a book, a thesis for a degree, a learned journal, provisions, speech a medium, internet data. The result of this study is independence policy of childhood support, nation PR policy, government structure reform policy, budget support policy for public education reform, economy stability support policy of parents, the society entry of women in public affairs encouragement and support policy.

      • KCI등재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내용개발

        조운주(Cho, Woon-Ju) 한국육아지원학회 2020 육아지원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유아들의 놀이를 효과적으로 지원하는데 필요한 유아교사의 역량 내용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관련 문헌분석, 놀이지원 역량에 대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20명의 면담 내용을 기초로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내용(안)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유아교사 놀이지원역량 내용(안)은 놀이이해 6개, 놀이관찰 4개, 놀이운영 10개, 놀이반응 ․ 소통 10개의 총 4개 범주 30개 역량이었다.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내용(안)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서울, 경기, 충청 지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262명에게 설문조사를 하고,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역량 내용(안)과 같이 4개 요인이 나왔으나, ‘놀이관찰’ 범주에 다른 범주에 있던 ‘놀이분석’ 역량들이 속하게 되어 범주명을 ‘놀이관찰 ․ 분석’으로 수정하였다. 최종 개발된 유아교사 놀이지원역량 내용은 놀이이해 6개, 놀이관찰 ․ 분석 11개, 놀이운영 7개, 놀이반응 ․ 소통 6개, 총 4개 범주 30개 역량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놀이지원역량을 유아교사들이 갖추기 위해서는 유아 놀이에 대한 체계적인 예비유아교사 교육이 필요하고, 현직유아교사도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contents of competencies necessary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effectively support young children"s play. For this purpose, relevant literature was analyzed and telephone interviews were conducted about the competencies necessary to support play with 20 teachers in kindergartens or daycare centers. Based on the literature analysis and phone interview, the preliminary conten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mpetencies in supporting play was created. The preliminary conten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mpetencies in supporting play consisted of a total of 30 competencies in 4 categories: (1) understanding of play (6 items), (2) observation of play (4 items), (3) management of play (10 items), and (4) response of play and communication (10 items).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preliminary conten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mpetencies in supporting play,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nd completed by 262 kindergarten or daycare teachers in Seoul, Gyeonggi, and Chungcheong provinces, and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four factors were found, which was same to the preliminary contents. However, in factor analysis, the ‘analysis of play’, which had been originally in a different category, moved to the ‘observation of play category’, so the title of the category was modified to ‘observation and analysis of play.’ The final conten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mpetencies in supporting play consisted of a total of 30 competencies in 4 categories: (1) understanding of play (6 items), (2) observation and analysis of play (11 items), (3) management of play (7 items), and (4) response of play and communication (6 items). In order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have competencies developed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provide systematic education about young children’s play to preservice teachers, and support in-service teachers to enhance their competencies.

      • KCI등재

        보육정보센터의 육아지원 역할과 방향

        권용은(Kwon Yong Eun),김미화(Kim Mi Wha),박민정(Park Min Jung),우현경(Woo Hyun Kyung),이세나(Lee Se Na) 한국육아지원학회 2006 육아지원연구 Vol.1 No.1

        본 논문은 최근에 논의되고 있는 육아지원과 관련하여 보육정보센터의 기능과 역할을 육아지원관점에서 조명하여 앞으로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육아지원의 필요성을 정책적 측면, 일상적 육아의 측면, 포괄적 서비스 측면에서 살펴보고, 보육정보센터의 기능과 관련된 연구와 정책보고서를 중심으로 역할을 재정리하였다. 그리고 시군구보육정보센터의 육아지원 사업 관련 사업의 현황 분석과 이용자의 요구조사 결과분석을 반영하여 향후 방향으로 전국보육정보센터간의 연계와 지역사회의 자원을 연계를 통하여 육아지원을 도모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Recently fertility ratio have declined very rapidly and young parents of nuclear family suffer many difficulty of child rear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ole of child rearing support in Educare Information center and suggest some implications. The method of study is to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thesis, journal, policy plan and analyzed Child-rearing Support Program of Educare Information center. Educare Information Center have to develop direct service toward parents, services for daycare centers, services for administrator, comprehensive services for community. Especially, lt is very important for child rearing support to network with Educare Information Center and other sources in community.

      • KCI등재

        영아기 자녀를 둔 전업주부의 육아 경험 연구

        김은주(Kim Eun-Ju),서영희(Seo Young Hee) 한국육아지원학회 2012 육아지원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전업주부의 육아 경험을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 를 위해 전업주부로서 자녀를 기관에 맡기지 않고 24시간 돌보는 엄마 10명을 목적표집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연령은 20대 후반에서 30대 후반까지 다양하며, 아이 한 명만 집에서 양육하 는 경우와 첫 아이는 유아교육기관에 보내고 영아기인 둘째 아이는 집에서 양육하는 경우가 반 반이었다. 연구 참여자 10명을 대상으로 3-5차에 걸쳐, 1회 1-2시간씩 심층면접을 실시하였 다. 심층면접 결과, 전업주부로 육아를 하게 된 동기, 전업주부로서의 육아 어려움, 전업주부로 서의 육아 경험의 의미로 유목화 되었다. 전업주부로 육아를 하게 된 동기는, 내적인 의지보다는 외적인 상황으로 선택된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업주부로 육아를 하면서 개인적으로는 사회와의 단절 및 고립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다중적 역할 요구 및 가족의 도움 부족으로 인한 육체적·심리적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 가운데 자기 아이를 자신이 직접 키울 수 있다는 점과 아이가 잘 자라고 있다는 점에 대해 스스로 자기 의미를 찾고 있었다. 저출산이라는 사회적 상황 속에 공보육에 대한 관심 및 지원이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직장을 가진 엄마에 비 해 전업주부의 육아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은 매우 문제이다. 전업주부의 육아 경험 이 육아를 선택한 엄마만의 소외된 경험이 되지 않도록 정서적인 지원 방법이 마련되어야 할 뿐 아니라 제도적으로 육아를 지원해주는 시스템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observe the child rearing experience of stay-at-home moms with infancy children. For this, 10 purposive samples – stay-at-home moms who do not leave children in the nursery and take care of them 24 hours a day – were selected. The age of the targets varied, ranging from late 20s to late 30s. Half of them had one child and took care of them at home. Another half had two children and sent one to a kindergarten and took care of the infant at home. The 10 targets participated in 3 to 5 in-depth interviews and each session lasted 1 to 2 hours. During the interviews, the topic went from how they became stay-at-home moms to the difficulties they face as stay-at-home moms when rearing child to the meaning of child rearing experience as stay-at-home moms. Many answered that they became stay-at-home moms not voluntarily but due to external factors. They personally felt cut-off and isolated from the society as they stayed home to rear children. They also spoke about their physical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from lack of help from the family members and pressures to play various roles. However they found meanings in the fact that they can raise their own children and they are doing well. Amid the society with a low birth rate, the interest and support for public child care has been growing. However it is problematic that the attention given to stay-at-home moms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at of working moms. To make the choice of stay-at-home moms to raise children themselves does not become an alienated experience, emotional supports need to be provided and also an institutional childcare support is necessary.

      • KCI등재

        『육아지원연구』의 변천 및 연구동향 분석: 2005-2020

        이승연(Lee, Seung Yeon),최일선(Choi, Il Sun) 한국육아지원학회 2021 육아지원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사)한국육아지원학회에서 발행하는 학술지인 『육아지원연구』와 게재 논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지난 16년간 지나온 길을 되짚어보고, 향후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 대상 기간은 2005년부터 2020년까지이며, 『육아지원연구』 학술지 출판본과 게재 논문, 한국학술지인용색인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기준으로는 발행 관련 변화 및 인용 현황, 시기·형식·내용적 측면의 연구동향이 포함되도록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그동안 총 15권, 45호의 학술지가 발행되었고, 360편의 논문이 게재되었다. 학회 창립과 학술지 발행이 비교적 늦게 시작되었음에도, 각종 인용 현황 지표에서 우수한 성과를 달성하였다. 둘째, 동향분석에서는 시기별(형성기, 강화기, 성숙기)로 게재 논문의 수가 점차 증가해왔으며, 논문 1편당 저자는 평균 1.8명, 분량은 평균 23.5쪽, 주제어는 평균 3.3개, 피인용 횟수는 평균 11.04회로 나타났다. 연구주제 상으로는 교사 관련(30.1%)과 유아교육·보육(28.8%)의 비중이, 연구대상에서는 교사(36.9%)의 비중이, 연구방법에서는 양적연구(62.2%)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향후에도 이제까지와 같이 학술지의 정체성 확립과 우수한 논문 게재를 위해 노력할 필요성과 게재 논문의 주제, 대상, 방법 측면에서의 다양화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trace the historical transitions and research trend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ECEC)’ journal published by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for the past 16 years and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the journal. This study analyzed the ECEC journal issues and articles that were published between 2005 to 2020. The data provided from Korea Citation Index (KCI) were also analyzed. The analysis included publication-related changes, citation status, and research trends in terms of time, format, and cont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total of 15 volumes, 45 issues, and 360 articles have been published. Although the organization was launched in 2005, the journal has shown strong citation indicators. Second, in trend analysis, the number of published articles has gradually increased by period (formation period, consolidation period, and maturity period), with an average of 1.8 authors, 23.5 pages, 3.3 keywords, and 11.04 times of citation per article. In addition, teacher-related (30.1%)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28.8%) in terms of research topics, teachers (36.9%) in terms of subjects/participants, and quantitative studies (62.2%)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occupied the highest por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journal should make continuous efforts to consolidate the identity of the journal, to publish high-quality articles, and to diversify topics, subject/participants, and research methods of the articles.

      • KCI등재

        지역중심 자녀양육지원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강민정(Kang, Min Jung),곽정인(Kwak, Jung In),유희정(You, Hee Jung) 한국육아지원학회 2017 육아지원연구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중심 자녀양육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지역중심 자녀양육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알아보는데 있다.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지역중심 자녀양육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315명의 어머니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대부분의 어머니들은 지역중심 자녀양육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자녀양육지원을 통해 자녀양육 방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자녀의 긍정적인 정서능력을 함양할 수 있으리라고 인식하였다. 둘째, 자녀양육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자녀의 성장과 발달을 바르게 이해하고 적절한 양육에 대해 도움받기를 요구하였다. 지역중심 자녀양육지원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내용으로 자녀와 함께 놀이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육아상담을 받기를 요구하였으며, 프로그램의 주기는 1주에 1회, 약 1시간 정도, 6개월 이상 지속하기를 원하였고 전문가에 의해 지역의 영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되기를 요구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영아기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어머니를 위한 지역중심 자녀양육지원 프로그램 모형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mothers" perceptions of and needs for the child-rearing support program and to provide basic research to develop the regional based child-rearing support program.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315 mothers of infants to find out mothers" perceptions and needs. First, the result showed that most of the mothers recognized the needs for the regional based child-rearing support program. The mothers expected that this program would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f parenting methods as well as their competency to strengthen their children’s positive emotional capability. Second, they wanted to learn about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ir children and receive assistance in childcare by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Mothers requested specific program contents, such as participating in play programs with their children and having professional counseling about parenting. They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once a week, for about an hour. They also expressed the needs for the program that lasts for at least about 6 months at local educational institu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develop a model of regional based child-rearing support program for mothers of inf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