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학생과 일반학생의 읽기 특성 및 읽기 변인간의 관계 연구

        우정한 ( Woo Jeong Han ),김영모 ( Kim Young Mo ),신은선 ( Shin Eun Sun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8 No.4

        읽기는 초기 학령기 학교교육에서 반드시 성취해야 할 기본적이고 중요한 능력이다. 그러나 다문화 학생들은 언어적·문화적 차이로 인해 읽기에 어려움을 가진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다문화학생과 일반학생의 읽기유창성, 어휘지식, 듣기이해, 구어기술 및 읽기이해 등의 읽기 특성을 비교하고, 이들 읽기 변인 간의 상관관계 및 읽기이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1~6학년의 다문화학생(36명)과 일반학생(45명), 총 81명을 대상으로 하여 읽기유창성, 어휘지식, 듣기이해, 구어기술 및 읽기이해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다문화학생은 읽기유창성, 어휘지식, 듣기이해, 구어기술 및 읽기이해 능력이 일반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둘째, 읽기유창성, 어휘지식, 듣기이해, 구어기술 및 읽기이해는 서로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읽기이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듣기이해와 어휘지식 등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초등학생의 읽기지도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Reading is one of the fundamental and critical abilities that young school-age children should acquire. However, in general, multicultural students have difficulties in reading due to language and cultural differenc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reading fluency, vocabulary knowledge, oral language skill, and listening comprehens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between multicultural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Second, to know about the correlation of reading ability variables of students with multicultural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Third, to know about the influence of variables on reading comprehension. For this study, 84 elementary school students(36 multicultural students and 45 general students) were employed and tested by reading fluency, vocabulary knowledge, speaking skill, and listen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The data analysis method were two-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formance of multicultural students were lower than general students in reading fluency, vocabulary knowledge, oral language skill, listening comprehens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Second, reading fluency, vocabulary knowledge, listening comprehension, oral language skil and reading comprehensio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ach other. Third, the influenceable variables for reading comprehension were listening comprehension and vocabulary knowledge. Based on these results, some suggestions were provided for teaching reading to multicultural students.

      • KCI등재

        교사의 학생 이해 및 소통 수준 분석

        김정원,신철균 한국교원교육학회 201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1 No.3

        본 연구는 한국 초, 중, 고등학교 ‘교사의 학생 이해와 소통’ 수준을 파악하여 그것이 한국의 학교교육 현실 이해에 주는 시사점을 추출해 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해는 인지적, 공감적 이해로, 소통은 질적, 양적 소통으로 그 영역을 구분하여 교사의 학생 이해 수준과 학생과의 소통 수준을 묻는 설문지를 개발하여 전국 초, 중, 고등학교 1,000명의 교사와 그들의 담임학생 2,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초, 중, 고등학교 학생과 교사들은 담임교사의 학생 이해 및 소통 수준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으나 학교급이 높을수록 낮게 평가하였으며 특히 고등학교급에서는 학생와 학생 간 관련 인식차가 크게 나타났다. 성적이 높은 학생일수록, 대도시에 사는 학생들이 담임교사의 학생 이해 및 소통 수준을 높게 인지하고 있었다. 전체적으로 교사와의 소통의 양과 관련한 학생의 인식 수준이 특히 낮게 나타났으며 이와 관련한 학생와 교사 간 인식 차도 커서 향후 학교급을 불문하고 교사와 학생 간 긴밀한 관계 형성이 가능한 방향으로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시사를 얻을 수 있었다.

      • KCI등재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금융 이해력 비교 분석

        이윤호 ( Yun Ho Lee ) 한국경제교육학회 2015 경제교육연구 Vol.22 No.3

        이 연구는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금융 이해력을 동일한 평가지로 평가하여,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금융 이해력 수준의 차이와 금융 이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설명 변인들에 대한 비교 분석을 행하는 데 연구의 중심 목적을 두고 있다. 고등학생과 대학생에게 공통으로 적용할 평가지 도구와 설문지를 개발하고, 전남 지역의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평가와 설문조사를 행하였다. 초우 검정을 통해 회귀 추정에서 구조적 안정성을 확인한 후 고등학생과 대학생 집단 각각에 대한 회귀 분석을 행하고, 금융 교육에 대한 교육적 및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의 금융 이해력 평균 점수는 20점 만점에 고등학생에 비해 1.4점이 유의하게 높다. 대학생의 경우 금융 지식의 이해와 현실 적용이라는 두 영역 간에 점수 차이가 없으나, 고등학생의 경우는 금융 지식의 현실 적용 점수가 지식 점수보다 유의하게 낮다. 고등학교에서의 경제·금융 교육은 고등학생 시기뿐 아니라 대학생 시기에도 금융 이해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고등학생, 대학생 모두에게 학교교육이 친지와의 대화, 언론, 금융거래 경험 등 다른 어떤 학습 경로보다 금융 이해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통장이나 카드의 사용은 고등학생과 대학생 모두에게 금융 이해력 증진에 도움을 주지만, 대학생 본인의 주식투자 경험은 의미 있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고등학생의 경우에는 집에서 집안 어른들과의 재무적 대화 빈도가 높을수록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대학생의 경우에는 대화 빈도 자체보다는 집안 어른들의 금융 이해력 수준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empirically financial literacy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and university students. The data for empirical testing was obtained from a survey for Korean highschool students and university students in Chollanamdo province. Estimation was done for comparing two empirical models of financial literacy between highschool students and university students after checking structural stability of estimating two dataset. The empirical results finds that the average score of university students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highschool students. The empirical analysis also shows that economic and personal finance education at highschool mak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financial literacy of highschool students and also university students consistently over time. It is also found that personal finance education at schools is a better delivery way than any others such as family and friends, media, and personal finance experience. The results implies that personal finance education at schools should be strengthened to improve financial literacy of young students. When highschool students and university ones hold bank account and credit/debit card, it help them enhance their financial literacy. But investing at stocks by university students do not help to improve their financial literacy. As highschool students get more talks with their elders at home, they tend to be more literate at personal finance. University students get more literate when their elders are more informed.

      • KCI등재후보

        장애이해교육을 포함한 국어과 협력교수가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태도와 학급 분위기에 미치는 영향

        이동현,박지연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1 특수교육 Vol.10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비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장애이해교육을 포함한 국어과 협력교수를 실시하고, 이것이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태도와 학급 분위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P초등학교 4학년 두 학급의 학생 61명으로, 학급에 장애학생이 속해 있지 않고, 연 2회 이하의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장애이해교육 외에는 지속적인 장애이해교육에 참여해 본 적이 없는 학생들이다. 실험집단은 특수교사와 실험집단의 담임교사가 8주 동안 총 18회기의 협력교수를 국어시간에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담임교사가 정규 국어수업을 실시하였다. ‘장애학생 수용성 척도(A-Scale)’를 사용하여 장애이해교육을 포함한 국어과 협력교수가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고, ‘나의 학급 척도(MCI)’를 사용하여 학급 분위기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두 종속변인 모두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변화정도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 수정을 통해 정규 교과 시간 안에서도 장애이해교육을 실시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프로그램의 계획과 실행, 평가에 이르는 전반적인 과정을 특수교사와 일반교사가 협력하여 진행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disability awareness program embedded in Korean language classes using cooperative teaching on the elementary students'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class climate. Sixty-one typically developing 4th graders from a public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with the disability awareness program for 8 weeks (18 sessions) during regular Korean language classes while the control group was provided with regular Korean language classes only. The Acceptance Scale and My Class Inventory were used to measure the intervention effec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2)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class climate. Finally, discussions of the results as well as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provided.

      • KCI등재

        읽기방식에 따른 초등학교 5학년 읽기이해 부진학생의 이야기 글 이해능력

        장현숙,이은주 한국특수교육학회 2016 특수교육학연구 Vol.50 No.4

        본 연구는 읽기방식에 따라 읽기이해 부진학생과 일반학생의 이야기 글 이해능력이 어떤 차이를보이는지 그리고 추론 오류의 특성은 어떠한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서울과 경기 및 인천 지역의 초등학교 5학년에 재학 중인 읽기이해 부진학생 10명, 일반학생 10명, 총 20명을 대상으로 읽기방식에 따른 이야기 글 이해능력 과제를 실시하였다. 읽기방식은 묵독과 음독으로 나누고, 이야기 글의 이해유형을 사실적 정보이해(literal information), 텍스트 연결추론(text-connecting inference) 그리고 빠진정보추론(gap-filling inference)으로 나누어 과제를 실시하였다. 또한 추론 오류유형은 네 가지(잘못된내용이해, 잘못된 추론, 모호한 추론 그리고 표현능력 부족)로 분류하여, 읽기방식별 추론 오류유형의 빈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읽기이해 부진학생은 일반학생과 비교하여 음독에서는 사실적 정보이해에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묵독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읽기방식에 따른 두 집단의 추론오류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두 집단은 모두 음독보다 묵독에서 더 많은 오류를 보였으며, 읽기이해 부진학생은 일반학생과는 다르게 읽기방식에 상관없이 표현능력 부족의 오류가 많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읽기이해 부진학생의 읽기교수 시, 사실적 정보이해의 향상을 위해 읽기방식을 고려하여야 하며, 읽기를 통해 추론한 내용을 정리하고 구어로 표현하는 훈련이 필요하다고 볼수 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look for how narrative text comprehension ability of normal students and poor comprehenders varies by reading methods an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rrors in inference to help teach reading. 10 poor comprehenders and 10 normal students in 5th grade were selected as subjects. Reading methods were silent reading and oral reading and the assignments types of narrative text understanding were categorized into literal information, text-connecting inference, and gap-filling inference. In addition, the error types in inference were reviewed by 4 divisions (wrong content understanding, wrong inference, ambiguous inference, and lack of expressive power). In result, poor comprehenders showed better reading practice performance in oral reading than silent reading and they showed different performance in understanding of literal information by reading methods. Compared to normal students, they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ral reading but significant difference in silent reading. Lastly, both groups showed more errors in silent reading than oral one. Poor comprehenders committed many ‘lack of expressive ability’ errors regardless of reading methods. On the ground of the result, reading methods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o improve understanding of literal information when teaching reading to poor comprehenders.

      • KCI등재

        초·중등 현직교사의 학생 이해에 대한 인식 및 연수 요구도

        최지연(Choi, Jiyeon),송현순(Song, Hyunsoon),권동택(Kwon, Dongtaik),조용선(Cho, Yongsun),이태석(Lee, Taese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1

        이 연구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학생 이해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생 이해의 현황, 학생과의 소통, 학생 이해 관련 연수의 필요 및 요구도 등에 대해 질문지를 구안하였고 전국의 초ㆍ중등 현직 교사들을 대상으로 유층표집을 통해 온라인/오프라인 설문으로 총 445명의 자료를 확보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교사들은 학생을 이해하고 있고 (9.8%) 학생 이해를 위해 노력 한다고(84.9%) 응답하였다. 둘째, 교사들은 가장 이해하기 어려운 학년으로 초등학교 6학년(59.2%), 중학교 2학년(66.7%), 고등학교 1학년 (57.6%)을 꼽았다. 셋째, 교사들은 학생 이해가 어려운 원인으로 교사 자신(37.1%) 을, 학생 이해의 방해 요인으로 업무 부담(56.1%)과 성장 경험(43.2%)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넷째, 학생에 대한 정보의 원천으로 교사들은 개인적 경험(62.6%)에 의존하고 있었다. 다섯째, 학생 이해를 위한 연수에 필요한 내용으로 초·중등교사들은 공통적으로 학생들 사이의 또래 문화 및 집단 심리, 정서적 교류 방법, 커뮤니케이션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eacher s perceptions and needs of student understanding in the field of education. A questionnaire designed to elicit teacher s perceptions and needs of student understanding that was consist of student understanding current status, communication with students, needs of student understanding education training program. It was given to 445 school teachers who were teaching at different sized district by non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teachers showed that they understand students(79.8%) and they try to understand students(84.9%). Second, most teachers replied that 6th grade of primary school, 2nd grade of middle school and 1st grade of high school students were most difficult to understand. Third, most of teachers showed that a cause of difficulty of student understanding was teachers themselves(37.1%) and factors of disturbance of student understanding were a load of business(56.1%) and experience of growth(43.2%). Fourth, most of teachers depend on private experience(62.6%) to understand student. Fifth, peer culture, group psychology, emotional exchanging method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strengthening program were commonly required in both primary school teachers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for teacher training program of student understanding.

      • KCI등재

        읽기과제를 통한 지적장애 학생의 문장부호 이해 및 표현 능력에 관한 연구

        김화수,최선영,이지우,엄윤지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9 No.1

        본 연구는 지적장애 학생 15명과 이들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학생 15명 총 30명을 대상으로 문장부호 상위영역 7가지(마침표, 쉼표, 따옴표, 묶음표, 이음표, 드러냄표, 안드러냄표)의 이해 및 표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지적장애 학생, 언어연령 일치 학생)의 문장부호 이해 및 표현능력을 분석한 결과 지적장애 학생 집단이 언어연령 일치 학생 집단에 비하여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둘째, 언어연령별로 문장부호 이해 및 표현능력을 비교한 결과 언어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두 집단 모두 문장부호 이해 및 표현능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적장애 학생 집단의 경우 언어연령 일치 학생 집단에 비하여 문장부호 이해 및 표현능력 모두에서 현저히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셋째, 지적장애 학생의 문장부호 이해 및 표현능력에서의 오류를 살펴본 결과 지적장애 학생의 문장부호 이해 및 표현능력 모두에서 묶음표, 쉼표, 이음표, 안드러냄표, 따옴표, 드러냄표, 마침표 순으로 오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지적장애 학생들은 문장부호의 이해보다 표현에서 더 어려움을 나타내었으며, 문장부호의 정확한 사용방법에 대하여 알지 못하여 오용이 많이 나타났다. 따라서 지적장애 학생에게 쓰기를 교육할 때 다양한 문장부호의 정확한 명칭 및 사용방법에 대한 보다 세부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학교 내 교사 협력이 교사의 학생 이해에 미치는 효과 분석

        박소영(朴昭暎),김진희(金鎭熙),이고운(李고운)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아시아교육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교사의 전문성 영역 중에서 ‘학생 이해’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이에 대한 학교 내 교사 협력의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이 제공하는 「한국교육실태 및 수준 분석연구」 중 중학교의 2004년, 2007년, 2010년, 2013년 교사와 학생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1주기(2004년) 196개교, 2주기(2007년) 175개교, 3주기(2010년) 190개교, 4주기(2013년) 195개교의 학교의 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단위 학교의 고유한 특성뿐만 아니라 특정 시점의 고유한 특성을 추가적으로 통제하기 위해 이원고정효과 모형을 최종 분석모형으로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추세 분석 결과 2004년부터 2013년까지 교사들이 인식하는 단위 학교 내 교사 협력 정도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로 나타났으나 그 변화 정도가 크지는 않았다. 둘째, 학교 수준에서 교사 협력은 학생의 인지적 영역인 학습영역 이해, 비학습영역 이해, 공감적 이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학교 내 교사의 협력은 학습 영역 이외에도 비학습영역, 공감적 이해와 관련하여 학생의 이해에 대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학교 내 교사 협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학생 이해와 관련하여 학습적 영역의 학생 이해뿐만 아니라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계량적 데이터로 잘 분석되지 않았던 비학습영역과 공감적 이해 영역에 대해 교사의 협력이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에 대해 종단데이터를 활용하여 연구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influence of teacher cooperation in a school on ‘student understanding’ among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domains of teachers. The data of teachers and students from 2004, 2007, 2010, and 2013 of middle school from “Analysis on Korean Educational Status and Level” of KEDI are employ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trend analysis, the degree of teacher cooperation in a school perceived by teachers from 2004 to 2013 has not changed much, but it has been increasing steadily. Second, at the school level, teacher cooperation has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 understanding in learning, non-learning domain and student learning in empathic area, which belongs to emotional area. The policy emphasizing teacher cooperation in a school is worthy supporting in a sense with these results. This study focuses on importance of student understanding not only the learning domain but also on the non-learning domain. Based on the high demand on student learning in professional development, emotional domain should be much more emphasized. This study explores teacher collegiality in a school needs to be encouraged for better student understanding with longitudinal data base.

      • KCI등재

        설명글과 이야기글 읽기에서 읽기이해부진 학생과 일반 학생의 추론 특성 분석 : Think-aloud를 이용하여

        김우리,고혜정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9 한국초등교육 Vol.30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inferential types of poor comprehenders and average comprehenders in reading comprehension. We presented two types of texts (narrative and explanatory) to 54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used the "Think-aloud" method to look at the differences in inferential patterns. First, the Mann-Whitney U test, a non-parametric 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inferences of poor comprehenders and average comprehenders.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valid elaborative inferences', 'valid predictive inferences', 'bridging inferences', 'text repetitions/paraphrases,' and 'no responses/ meaningless responses'. Second,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inferential patterns according to the type of text(narrative and expository). As a result, average comprehend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valid elaborative inferences', 'invalid elaborative inferences', 'associations', and 'bridging inferences' depending on the type of text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poor comprehender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ssociations' and ''bridging inferences' depending on the type of texts. Finally,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the intervention plan for the improvement of the inferential ability an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읽기이해란 글에 제시된 정보와 독자의 생각을 통합하여 의미를 형성하는 것으로 글을 이해하기 위 해서는 주어진 정보들을 잘 연결시키고 의미를 형성해나가는 추론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읽기이 해과정에서 읽기이해부진학생과 일반학생이 보이는 추론 유형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K시와 J도에 소재한 13개 공립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교 4학년 학생 54명을 대상으로 두 가지 유형의 글(이야기글, 설명글)을 제시하여 글을 읽고 그 동안 떠오르는 생각을 소리내어 말하는 ‘소리내어 생각 하기(Think-aloud)’ 방법을 이용하여 추론 양상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먼저 일반 학생과 읽기이해부 진 학생의 일반적인 추론양상을 살펴본 결과, 일반학생은 ‘정교화시키기’와 ‘연결짓기’의 추론유형을 많이 보였고, 읽기이해부진 학생은 ‘반복하기/바꾸어 말하기’의 비추론유형을 가장 많이 보였다. 한편, 읽기능력과 읽기과제별로 두 집단의 추론유형을 분석한 결과, 먼저 일반 학생과 읽기이해부진 학생 집 단의 추론 양상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비모수 검정법인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두 집단 간 ‘정교화시키기’, ‘예측하기’, ‘연결짓기, ‘반복하기/바꾸어 말하기’, ‘무응답/의미없는 말하기’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글의 유형(설명글, 이야기글)에 따른 추론 양상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Wilcoxon signed-rank test를 실시한 결과, 일반학생들의 경우, 글의 유형에 따라 ‘정교화시키기’, ‘잘못된 정교화시키기’, ‘연상하기’, ‘연결짓기’ 추론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읽 기이해부진 학생들의 경우, 글의 유형에 따라 ‘연상하기’와 ‘연결짓기’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끝으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읽기이해부진 학생들에게 적절한 추론능력 향상을 위한 중재방안 제 시 및 본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생명과학Ⅰ 개념에 대한 체육계 고등학생의 이해 조사 및 학생 중심 수업을 통한 개념 이해 향상

        윤지영,심재호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0 교사교육연구 Vol.5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of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students’ concepts of Life Science I and to investigate if student-centered activities were more helpful in improvingunderstanding of concepts compated to lecture-style classes. To this end, ten 1st grade of physical education highschool student were surveyed for what they did not know among the vocabulary and concepts contained in LifeScience I textbook, and after investigating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each concept among the 2nd gradestudents, we investigated whether students’ meaningful learning about these concepts occurred when student-centeredlearning was applied.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roughout the entire unit of Life Science I, thestudents of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 had a very poor understanding of the basic concepts required to learncertain scientific concepts which served as a scaffold to explain more complex scientific concepts. Second, among thecontents of Life Science I, student-centered active classes were designed for the unit on ‘Conduction andTransmission of Excitement’,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Brain’, ‘Diseases and Pathogens’, and ‘Human andGenetics’. As a result, students’ understanding of most science concepts on these three topics except ‘Diseases andPathogens’ had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concept-oriented class. To help students learn meaningfully,reviewing concepts and appropriate examples should be used, but it can be seen that student-centered active classes were more effective than teacher-centered explanatory classes. However, student-centered active classes require more class tim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content of learning in consideration of conditions and levels of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생명과학 Ⅰ에 대해 체육계 고등학교 학생들이 개념을 어느 정도 이해하는지를 조사하고, 강의식 수업에 비해 활동형 수업이 학생들의 개념이해를 더 높이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체육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생명과학Ⅰ의 교과서에 제시된 개념을 포함한 어휘들에서 모른다고 하는 것을 조사한 후 2학년 학생 35명을 대상으로 이 각각의 개념에 대한 이해의 정도를 조사하고 학생 중심의 활동형 수업을 적용하였을 때 이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유의미한 학습이 이루어지는지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계 고등학교학생들은 특정 과학 개념의 유의미한 학습을 위한 정착지 역할을 하는 선행 과학 개념과 과학 개념을 설명하는 데 비계 역할을 하는 일상 언어 개념에 대한 이해가 생명과학 Ⅰ의 전 단원에 걸쳐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명과학 Ⅰ의 내용 중 ‘흥분의 전도와 전달’, ‘뇌의 구조와 기능’, ‘질병과 병원체’, ‘사람의 유전’단원에 대해 총 17차시의 학생 중심의 활동형수업을 설계하여 수업에 적용한 결과 개념 중심 수업에 비해 ‘질병과 병원체’를 제외한 3가지 주제에 대해대부분의 과학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가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유의미한 학습을 돕기 위해서는 선행개념과 적절한 예시를 활용해야하겠지만 이것을 교사 중심의 설명식 수업으로 하기보다는 학생 중심의 활동형 수업으로 할 때 더 효과가있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교사 중심의 설명식수업에 비해 학생 중심의 활동형 수업을 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수업 시간이 요구되므로 체육계 고등학교학생의 조건과 수준을 고려하여 학습 내용을 축소할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