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8~19세기 제주지역 匠人의 호적 기재 양상 — 『東城里戶籍中草』를 중심으로 —

        김우리 수선사학회 2024 史林 Vol.- No.87

        , This article tracks the occupational classes of Artisan listed in census registers such as Hojeokjungcho of Dongseongri to examine the changes in occupational classes and household composition by their period.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ecupational classes of Artisan in Jeju became the subject of the avoiding of labors as a lower class comer. If he did not fulfill his duty, he was in trouble, and he was also in charge of being demoted, and even took charge of the exile. In the late 18th century, the status of the Artisan householder recorded in the Dongseongri'census register was mostly Gongnobi (public servant) and was also composed of local military. They took charge of their work as soon as they were born, and even when they were over 60 years old, they could not get out of work. None of them have risen to Yangban status. Jijang(紙匠) is one of Six obliged labors, and at that time, Jeju needed a considerable amount of paper because it had to handle government paper and paper identification cards in addition to the paper used for book publication and Hojeokjungcho. Artisan in Jeju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a poor social position, but their role seems to have never been small.

      • KCI등재

        작업기억과 학습의 관계: 장애(위험군) 학생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억 연구 분석

        김우리,고은영 한국학습장애학회 2015 학습장애연구 Vol.12 No.1

        This study reviewed the research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memory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or at-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LD); it also provided implications for sensitive identification and effective interventions for the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A total of 24 studies were review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in most studies had reading disabilities or were at-risk for LD. The most frequently targeted academic area was also reading. Second, in reading, working memor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reading comprehension and it predicted the achievement of reading comprehens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lso, reading comprehension was highly correlated with central executive and phonological loop, but the correlation between comprehension and visuospatial sketchpad was inconsistent across studies. Third, in math, working memor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number sense skill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auditory working memory and number sense was higher than visual-spatial working memory. In writing, working memor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omposition, but the correlation was not high.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working memory and writing fluency. Fourth, in language, working memor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tory-telling. Fifth, assessment tools to measure working memory were inconsistent across studie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국내 장애(위험군) 학생들의 작업기억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들을 개괄 및 분석하여, 장애(위험군) 학생의 학습능력 진단과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총 24편의 논문이 분석되었으며, 연구동향 및 교과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연구들이 읽기장애 및 위험군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학습영역 또한 읽기교과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둘째, 작업기억과 읽기와의 관계에서는 작업기억은 읽기이해와 유의미한 상관이 있으며 읽기이해의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체로 읽기이해는 중앙집행기, 음운루프와 높은 상관이 있었으나, 시공간잡기장과의 관계는 연구마다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셋째, 수학에서는 작업기억은 수 관련 기술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고, 작업기억 중에서도 음성관련 작업기억과 상관이 높았다. 쓰기에서는 작업기억은 작문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으나 상관이 높지 않았고, 작업기억과 쓰기유창성은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넷째, 언어의 경우, 작업기억은 이야기산출능력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고, 언어문제를 동반한 ADHD의 경우 더 높은 상관을 보였다. 다섯째, 연구에서 사용된 작업기억 검사도구는 일관되지 않았으며, 종류 및 형태에 차이가 있었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한 논의와 함께 후속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표현활동수업 참여 중학생의 교사-학생간 의사소통과 수업인식 및 자신감의 관계

        김우리,박경석 한국체육교육학회 2019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4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of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teacher-students communication type to their perceived dance class and intention of self-confidence. Method: This study selected a total of 264 copies as final valid samples using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students of 5 middle schools located in Gyunggi areas. Collected data were put to 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 t-test, one way-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Ver 24.0. Result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tudents communication affected to their students' perceived dance class at some extend. Second, teacher-students communication affected to the level of self-confidence. Third, students' perceived dance class affected to their self-confidence. Teacher and student's high level of receptive communication had higher students' perceived dance class and self-confidenc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the theoretical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표현활동수업 참여한 중학생의 교사-학생간 의사소통과 수업인식 및 자신감의 관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에 소재하는 중학생 295명을 집락무선표집(cluster random sampling)을 이용하여 추출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95부 중 불성실 응답자31부를 제외하고, 최종 264부의 자료가 이용되었다. 자료의 처리는 Window용 SPSS 24.0 Version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의 목적에 맞게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통계방법으로는 기술통계분석,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 분석(pearson correlation analysis)과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학생간 의사소통과 표현활동수업 인식 및 수업 자신감은 유의한 차이가 있다. 둘째, 표현활동수업에서 교사-학생간 의사소통은 표현활동수업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표현활동수업에서 교사-학생간 의사소통은 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넷째, 표현활동수업 인식은 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 KCI등재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 학생을 위한 그래픽조직자 중재 연구 분석

        김우리,고혜정,김동일 한국특수교육학회 2013 특수교육학연구 Vol.48 No.1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examine intervention studies of graphic organizer (GO)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and analyze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s used in those studies on improv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wenty-two studi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between 2000 and 2012 were reviewed. This review investigated general features of the studies and effect sizes by subject type (math, writing, reading, and social studies), type of GO (visual display, semantic mapping, cognitive mapping, and story mapping), intervention types (single intervention, multiple intervention), and delivery methods(group size and dur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articipants in most studies were students from grade 4 to 6, and they used GOs in core areas such as reading, math, and writing. Compared to reading and writing, Using GOs in math was associated with higher effects sizes. The math studies used GOs to improve word-problem solving skills of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overall, it was effective across the type of GOs. In writing, the studies implemented GOs to increase quality of writing; cognitive mapping and semantic mapping were effective on improving quality of writing, compared to the other type of GOs. In reading, the studies used GOs to improve reading comprehension; cognitive mapping among the four types of GOs was most effective on comprehension. Effect sizes by intervention types and delivery methods were inconsistent across studies. Lastly, discuss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본 연구는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 학생을 대상으로 한 그래픽조직자 중재연구를 수집·분석하여, 각 교과별 학업성취 향상에 효과적인 그래픽조직자 유형과 전달방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2000년 이후부터 2012년까지 국내의 학술저널에 출간된 13편의 (준)집단설계연구와 9편의 단일대상연구, 총 22편의 연구가 분석대상으로 선정되었다. 본 연구는 선정된 연구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고, 교과별(수학, 쓰기, 읽기, 사회) 효과크기를 살펴보았다. 또한 각 교과를 그래픽조직자 유형(이야기도식, 인지적도식, 의미적도식, 시각적배열), 중재구성(단일중재, 복합중재), 전달방법(집단크기, 중재기간)에 따라 분류하여 효과크기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그래픽조직자 중재연구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래픽조직자는 읽기, 쓰기, 수학과 같은 주요교과에 주로 사용되었으며, 수학교과에서 가장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고, 다음 읽기, 쓰기 순으로 나타났다. 수학교과에서는 주로 문장제 문제해결 능력 향상을 중재의 목적으로 하였고, 그래픽조직자의 유형에 관계없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쓰기교과에서는 주로 글의 내용 향상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그래픽조직자의 유형 중 인지적도식과 의미적도식이 상대적으로 높은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읽기교과에서는 글의 이해력 향상을 목적으로 하였고, 그래픽조직자의 유형 중 인지적도식이 상대적으로 높은 효과크기를 산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복합중재여부와 중재전달방법에 따른 효과크기는 일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한 논의와 함께 후속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국내 학습장애 읽기이해 중재의 효과분석

        김우리,고은영 한국학습장애학회 2012 학습장애연구 Vol.9 No.3

        This study selected intervention studies of reading comprehension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analyzed the effect sizes of the interventions implemented in the studies. This study included 13 group design studies and 12 single-subject design studi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between 1993 and 2012. This review described features of the studies and investigated effect sizes by intervention types and delivery methods such as group size and duration.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participants in most studies were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most studies implemented cognitive strategy instruction and their effect sizes were large. Third, small group instruction showed larger effect sizes than whole group instruction, implying the strong effect of small group instruction on reading comprehension. Fourth, effect sizes by intervention duration were inconsistent across studie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실시된 학습장애를 대상으로 한 읽기이해중재 연구를 선정하여, 각 연구에서 제시된 중재의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1993년부터 2012년까지 국내 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을 검색하였고, 그 결과 12편의 단일대상연구와 13편의 (준)집단설계연구를 포함한 국내 읽기이해중재 연구 총 25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선정된 논문의 일반적인 특성을 기술하고, 중재유형과 전달방법(집단크기, 중재기간)에 따라 분류하여 그에 따른 효과크기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읽기이해중재 연구의 대부분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읽기이해중재 유형에 따라 분석한 결과, 대부분 인지전략을 중재로 사용하였고, 대체로 효과크기가 높았다. 중재전달방법과 관련해서는, 소집단교수가 대집단교수에 비해 효과크기가 높았고, 중재기간에 따른 효과크기는 일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논의에서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학습장애를 가르치는 교사들에게 읽기이해중재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끝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함의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읽기이해부진 학생과 일반 학생의 추론 능력 차이 분석: 소리내어 생각하기 과제를 활용하여

        김우리,신미경,유용석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8 No.3

        Objectives: This is a conceptual replication aiming to investigate the cognitive processes of students with reading comprehension difficulties using the think-aloud protocol. Methods: Among 72 third- and fourth-grade participants, 28 poor comprehenders and 44 average students were identified based on screening criteria and standardized tests. The think-aloud protocol was used to monitor comprehension processes during reading. The participants verbalized their thoughts as they read expository and narrative texts. Those responses were transcribed and coded according to inference rates, correctness, and inferential types (explanation, prediction, or association). Results: First, poor comprehenders showed significantly lower rates and accuracies of inferences for both expository and narrative texts than average students did.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oor comprehenders and average students in the proportions of the three types of inferences. Poor comprehenders generated significantly lower rates of explanatory, predictive, and associative inferences. Third, the inference types differed for different type of texts. Both groups made more predictive inferences when reading the narrative text than when reading the expository text. Conclusion: Differences in inference patterns between poor comprehenders and average students were identified using the think-aloud protocol. Different types of inferences were involved in processing different types of tex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developing learning strategies for encouraging solid inference are discussed.

      • KCI등재

        예비특수교사의 디자인씽킹 기반 수업에 대한 경험 및 인식

        김우리,옥민욱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3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4 No.6

        We attempted to understand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 and perceptions of a class based on design thinking. We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nine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d experienced the design thinking process: they designed and created a prototype to support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clas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n open coding method, and a total of 2 categories, 5 themes, and 16 sub-themes were derived. The findings show that participants generally had positive perceptions of the class experience and reported that it helped them strengthen their capabilities as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such as problem solving,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and knowledge on special education. The implications of support needs for the successful operation of design thinking are discussed in this paper, based on these results. 본 연구는 예비특수교사의 디자인씽킹 기반 수업에 대한 경험 및 인식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특수교육공학 수업에서 디자인씽킹을 적용하여 장애인을 지원하기 위한 도구를 디자인하고 프로토타입을 구안하는 과정을 경험해본 특수교육전공 학생 9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자료는 개방형 코딩방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총 2개의 범주, 5개의 주제, 16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 참여자들은 디자인씽킹 기반 수업에 대해 전반적으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문제해결력, 협동 및 의사소통 능력, 특수교육 전공지식 향상 등 예비특수교사로서의 역량 강화에 도움을 주었다고 보고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성공적인 디자인씽킹 기반 수업 운영을 위한 지원요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