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년 이내 대사증후군 이환의 위험예측인자에 관한 전향적 코호트 연구

        강윤정 대한비만학회 2015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24 No.3

        배경: 본 연구는 건강검진 수검자 코호트(Korea Health Examinee Cohort, KOEX) 자료를 활용하여 2년 이내 대사증후군 진단 요소 및 대사증후군의 이환 가능성을 살펴보며 이환율을 높이는 위험예측인자를 규명함으로써 생활습관의 교정과 정기적인 검진의 필요성을 말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건강검진 수검자 코호트(Korea Health Examinee Cohort, KOEX) 자료의 건강설문조사와 건강검진자료를 활용하여 수행하였다. 2005년부터 2010년까지 기저조사 후 2년째의 추적조사자료 대상자 총 1,893명이었다. 이환율을 종속변수로 하여 2년 이내 대사증후군 이환위험예측인자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령은 10살 간격의 분획구간으로 나누어 위험도를 비교하였고 체질량지수는 저체중군, 정상체중군, 과체중군, 비만군의 체중 분획별로 나누어 위험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대사증후군으로 이환될 위험예측인자는 연령과 체질량지수로 분석되었다. 즉, 연령이 분획별로 증가할수록 대사증후군으로 이환될 가능성은 1.05배 증가하며, 체질량지수에 기준한 체중 분획별로 증가할수록 1.36배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2년 이내 대사증후군 이환위험예측인자를 규명하고자 분석한 결과 대사증후군 이환 가능성의 위험예측인자는 연령과 체질량지수로 관찰되었다. 대사증후군의 발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비만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심방세동 환자에서 혈전색전성 합병증의 새로운 위험인자

        조천영 ( Cheon Yeong Cho ),정대호 ( Dae Ho Jung ),고점석 ( Jum Suk Ko ),윤남식 ( Nam Sik Yoon ),이상록 ( Sang Rok Lee ),임상엽 ( Sang Yup Lim ),박형욱 ( Hyung Wook Park ),손일석 ( Il Suk Sohn ),김계훈 ( Kye Hun Kim ),홍영준 ( Youn 대한내과학회 2006 대한내과학회지 Vol.71 No.4

        목적: 심방세동은 가장 흔한 지속성 부정맥이며 전신 혈전색전증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심방세동에서 혈전색전증은 사망률이 높고 심각한 불구를 초래하므로 예방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위험인자의 정확한 규명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심혈관 질환 치료에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안지오텐신-II 수용체 차단제, 스타틴 등이 활발히 사용된 이후에 심방세동의 혈전색전 위험인자에 새로운 변화가 있는지 조사하고 심방세동에서 혈전색전 위험의 증가 기전을 규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혈전색전의 위험인자를 파악하기 위해 심방세동으로 치료받고 있는 환자 192명(61±11세, 남자 137)을 색전성 뇌경색증이 합병한 색전군(n=95명)과 합병하지 않은 비색전군(n=97명)으로 나누어 인구학적 특성, 동반 질환, 심전도 소견, 심초음파도 소견 및 치료 약제 등을 비교하였다. 혈전색전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기전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심장 율동이 정상인 25명과 심방세동 환자 71명[발작성: 21명(46±18세), 지속성: 19명(59±10세), 영속성: 31명(51±12세)]을 대상으로 내피세포기능을 반영하는 von Willebrand factor (vWF; factor 8 related antigen), 전신 염증 상태를 나타내는 백혈구 수, 적혈구 침강속도, 고예민성 C-reactive protein (hsCRP), 혈액 응고계 상태를 반영하는 fibrinogen, fibrinogen degradation product, fibrin d-dimer 등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1. 심방세동에서 혈전색전의 위험인자 심방세동 환자 중 색전군이 비색전군에 비해 의미있게 나이가 많았고(p<0.05), 동반 질환으로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흡연이 색전군에서 의미있게 더 많았다(각각 p<0.05). 심전도에서는 심방세동파의 크기가 1mm 미만인 경우가 색전군에서 의미있게 많았고(p<0.05), 심초음파도에서는 좌심실기능부전(좌심실 구혈률 <40%), 판막질환, 심근증의 빈도가 색전군에서 의미있게 높았고(각각, p<0.05), 좌심방 직경도 색전군에서 의미있게 컸다(p<0.05). 색전군에서 비색전군에 비해 항응고제(p<0.01), 안지오텐신-II 수용체 차단제(p<0.05), 스타틴(p<0.05)을 복용한 경우가 의미게 적었다. 2. 심방세동에서 혈전색전 위험 증가의 기전 심방세동 환자에서 vWF-factor 8 related antigen의 농도는 좌심실부전(EF<40%), 고혈압, 고령(>65세), 당뇨병, 승모판협착증이 동반된 경우에 의미있게 증가하였다(각각, 165±53% vs. 116±49%, p<0.05; 135±22% vs. 119±24%, p<0.05; 136±55% vs. 113±51%, p<0.05; 138±59% vs. 120±52%, p<0.05; 151±34% vs. 120±33%, p<0.05). 또한 vWF-factor 8 related antigen의 농도는 나이(r=0.392, p<0.001), 좌심방 크기(r=0.375, p<0.01), 좌심실 수축기말 직경(r=0.283, p<0.05), 좌심실 확장기말 직경(r=0.234, p<0.05), 좌심실구혈률(r=0.255, p<0.05), 심방세동의 유병 기간(r=0.341, p<0.01) 등과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전신 염증 표지자는 혈전색전 위험인자 동반 유무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혈중 fibrinogen 농도는 나이(r=0.368, p<0.001), NYHA class (r=0.314, p<0.01)와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있었고 d-dimer는 NYHA class와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있었다(r=0.505, p<0.001). 결론: 본 연구 결과로 기존의 혈전색전 위험인자에 더하여 흡연, 심전도에서 미세 심방세동파(<1 mm), 안지오텐신-II 수용체 차단제나 스타틴의 무복용 등이 심방세동의 새로운 혈전색전 위험인자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심방세동에서 혈전색전의 증가는 주로 심내막과 동맥의 내피세포 기능 저하에 의해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Atrial fibrillation (AF) is the most common cause of embolic cerebral infarc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new risk factors and the mechanism underlying thromboembolism (TE) in patients with AF. Methods: 192 patients (M:F=137:55, 61±11 years) with AF were randomly selected and divided into a TE (n=95) and non-TE group (n=97). Another 71 patients with AF (M:F=38:33, 55±14) were studied for endothelial function by measuring the level of von Willebrand factor (vWF; factor 8 related antigen), inflammation by WBC, ESR, and high sensitive CRP and coagulation system by fibrinogen, fibrinogen degradation product and fibrin d-dimer;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25 patients with normal sinus rhythm. Results: The TE group was older than non-TE group. Hypertension (HTN), diabetes mellitus (DM), hypercholesterolemia, smoking and fine AF (AF wave amplitude <1 mm) were more frequent in the TE group. Mitral valvular disease, an ejection fraction <40% and dilated cardiomyopathy were more frequent in the TE group and the left atrial (LA) dimension was greater in the TE group. The use of anticoagulants, an angiotensin-II receptor blocker and statins were less frequently observed in the TE group. The vWF-factor 8 related antigen was higher in patients with advanced age, LV dysfunction, HTN, DM, mitral stenosis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age, LA dimension, LV end-diastolic and end-systolic dimension, ejection fraction, NYHA class and AF duration. The fibrinogen leve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ge, NYHA class, LA dimension and d-dimer with NYHA class. Markers for inflammation or coagula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atrial fibrillation and the sinus rhythm group. Conclusions: No use of an angiotensin-II receptor blocker or statin and fine AF may be new risk factors for TE in patients with AF. The TE risk factors are thought to increase TE by impairing endothelial function.(Korean J Med 71:371-380, 2006)

      • KCI우수등재

        목둘레와 심혈관계 위험인자와의 연관성

        강지현,유병연 대한비만학회 2003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2 No.2

        연구배경: 최근 단순 비만 지표로서의 목둘레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 목둘레와 심혈관계 위험인자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없었다. 이에 한국 성인 남녀에서 목둘레와 심혈관계 위험인자들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체질량 지수. 허리둘레, 체지방률 등과 비만 지표로서의 목둘레의 유용성을 비교해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일개 대학 병원 종합 검진 센터에 내원한 남녀 292명을 대상으로 목둘fp와 심혈관계 위험인자와의 상관관차를 알아보고 목둘fp를 4분위 (quartiles)로 나누어 가장 낮은 목둘레 4분위군과 가장 높은 목둘레 4분위군 간 심혈관계 질환들의 교차비 (odds ratio)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하여 구해 보았다. 체질량 지수. 허리둘레, 체지방률 등과 비교하여 목둘레가 독립적으로 심혈관계 위험인자들을 설명할 수 있는 변수인지를 단계별 다중 회기 분석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목둘레는 남자에서 수축기 혈압 및 요산, 여자에서 이완기 혈압. 총콜레스데롤 및 저밀도 콜레스테롤을 제외한 심혈관계 위험인자들과 유의한 상관관차를 보였으며, 가장 높은 목둘레 사분위군에서 가장 낮은 목둘레 사분위군에 비해 HOMA score는 남자 29.2배, 여자 5.1배 증가하였곤, hsCRP는 남자2.0배, 여자 6.6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계별 다중 회기 분석에서 목둘레는 다른 비만 지표들에 독립적으로 남자에서는 이완기 혈압. 혈당, 총 콜레스테롤, 저밀도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공복시 인슐린, HOMA score, 여자에서는 공복시 혈당, 고밀도 콜레스테롤, 공복시 인슐린 HOMA score의 변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목둘레는 인슐린 저항성 및 hsCRP의 상승과 관련된 심혈관계 위험인자들과 연관되어 있으며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이 증가되어 있는 비만 환자의 선별 검사로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test the association of neck circumfernce with the cardiovascular risk factors. Methods: We examined 292 persons, who visited a health examination center. The correlation between neck circumference and other cardiovascular risk factors was tested, and the odds ratio was calculated for various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the highest quartile of neck circumference compared to lowest. We use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o find out whether the neck circumference could be the independent variable to other obesity indices for cardiovascular risk factors. Results: Neck circumferenc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cardiovascular risk factors except diastolic blood pressure, uric acid in men and systolic blood pressure, total and LDL cholesterol in women. This odds ratio for HOMA score in the highest quartile of neck circumference compared to lowest was 29.2 in men, 5.1 in women, and for hsCRP the odds ratios was 2.0 in men, 6.6 in women. I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neck circumference accounted for diastolic blood pressure, total and LDL cholesterol, triglyceride, insulin, HOMA score in men, glucose, HDL cholesterol insulin, HOMA score in women independently to other obesity indices. Conclusion: Neck circumference is associated with the cardiovascular risk factors related to insulin resistance and hsCRP. The measurement of neck circumference could be useful in clinical screening for obese person at an enhanced risk for cardiovascular diseases.

      • KCI등재

        자발성 척추 경막 외 혈종의 위험 인자 및 수술적 치료 후 예후인자

        김환정,정상욱,이규상,박경훈,박건영,권원조,성환일,최원식 대한척추외과학회 2015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2 No.4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explore the risk factors a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neurological improvement after operation in the spontaneous spinal epidural hematoma.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 cause of the spontaneous spinal epidural hematoma is unknown. The objective risk and prognostic factors are still controversial.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6 to December 2014, a total of 12 patients with spontaneous epidural hematoma were evaluated. The risk and prognostic factors analyzed were sex, age, underlying diseases, medications, neurologic status, level and extent of hematoma, cord edema, and interval from onset to surgery.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factor and neurologic recovery. The neurologic status was analyzed using the American Spinal Injury Association impairment scale (AIS) at the first and the last neurologic examination. Results: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68.6 years. Sev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anticoagulation therapy, and two were advised to switch to a healthier diet. The initial neurologic status of the patients was AIS A in 2 cases, B in 5 cases, C in 4 cases, D in 1 case, and in two patients, cord edema was revealed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The interval of time from onset to surgery was less than 24 hours in 6 cases, 24–48 hours in 4 cases, and more than 48 hours in 2 cases. Conclusions: The prognostic factors associated with spontaneous spinal epidural hematoma were found to be initial neurologic status, cord edema on MRI, and interval from onset to surgery. We found no correlation between anticoagulation therapy or healthy diet and spontaneous spinal epidural hematoma, but anticoagulation therapy cannot be excluded as a risk factor.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적: 자발성 척추 경막외 혈종 발생 원인과 관련된 위험 인자와 예후 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선행 문헌의 요약: 자발성 척추 경막외 혈종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아직 발생 원인에 대해서 밝혀지지 않았고 이와 관련된 위험 인자와 예후 인자에 대해서도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자발성 척추 경막 외 혈종으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1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발생 원인과 관련된 위험 인자로서 성별, 나이, 기저 질환, 약물 복용 및 건강 보조 식품 복용 여부를 신경학적 증상과 관련된 예후 인자로서 내원 당시의 신경학적 손상 정도, 혈종의 발생 부위, 혈종의 범위, 척수 부종 동반 여부, 초기 증상 발생 후 수술적 치료까지 걸린 시간에 대해 교차분석을 하였다. 결과: 환자의 평균 연령은 68.6세였고, 항응고제 복용이 7예, 건강 보조 식품 복용이 2예였다. 초기 신경학적 증상은 AIS A가 2예, B가 5예 C가 4예, D가1예였고, 척수 부종이 2예였다. 증상 발생 후 수술적 치료까지 걸린 시간은 24시간 이내가 6예, 24~48시간이 4예, 48시간 이상이 2예였다. 결론: 자발성 척추 경막 외 혈종의 예후 인자로 내원 시 AIS정도, 척수 부종의 유무, 초기 증상 발생 후 수술적 치료까지 걸린 시간이 관련이 있었다. 또한, 자발성 척추 경막 외 혈종의 발생과 관련된 위험 인자로서 항응고제의 사용과 건강 보조 식품 복용이 통계적 상관성을 확인할 수는 없었으나 위험인자임은 배제할 수 없다.

      • KCI등재

        임상 ; 자궁내 태아사망의 모성 및 출생전후기 위험인자에 관한 연구

        송태복 ( Tae Bok Song ),김윤하 ( Yoon Ha Kim ),김종운 ( Jong Woon Kim ),조혜연 ( Hye Yeon Cho ),김은경 ( Eun Kyoung Kim ),조아라 ( Ah Ra Cho ),김현정 ( Hyun Jung Kim ),송은송 ( Eun Song Song ),최영륜 ( Young Yun Choi ) 대한주산의학회 2010 Perinatology Vol.21 No.3

        목적: 자궁내 태아사망률은 줄어드는 추세이지만 여전히 전체 주산기 사망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아직도 자궁내 태아사망의 원인을 모르는 경우가 많아 이의 위험인자들을 조사하여 향후 산전관리에 도움을 주고 궁극적으로는 자궁내 태아사망의 발생률을 낮추는데 기여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2003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5년 동안 전남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서 분만한 임산부에서 단태아이면서 임신 28주 이상인 경우 중 자궁내 태아사망이 있었던 경우(연구군)와 없었던 경우(대조군)에 대하여 임상기록을 토대로 발생빈도를 알아보고, 임신부와 태아의 임상적 특성에 대한 고찰을 시행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자궁내 태아사망의 위험인자들을 교차비, Student t 검사, 카이제곱 검정을 통하여 조사하고 또한 찾아낸 태아사망 위험 인자들에 대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기여도가 높은 위험인자를 산출하였다. 결과: 연구기간동안 임신 28주 이상 총 분만 3,637예 중 단태분만은 3,298예이었고 이중 자궁내 태아사망은 53예로 발생빈도는 1.6%이었다. 태아사망군의 임신부 연령분포는 25-29세에 20예(37.7%)로 가장 많았고, 임신28-32주가 22예(41.5%)로 가장 많았으며, 미산부가 23예(43.4%)이었다. 자궁내 태아사망은 20세 미만 전체의 5.3%에서, 40세 이상 전체의 3.0%에서 발생하여 20세 미만과 40세 이상 연령군에서 다른 연령군의 1.3-1.8%보다 더 많았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태아사망 위험 인자로는 분만직전 체중이 적은 경우, 임신 중 체중증가가 작은 경우, 모체 키가 작은 경우, 그리고 태반조기박리이었다. 이 인자들 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의한 기여도가 높은 위험인자로는 태반조기박리(β=-0.067, P=0.000)와 임신 중 작은 체중증가(β=0.002, P=0.000) 이었다. 결론: 임신 28주 이상 단태임신에서 자궁내 태아사망의 위험인자는 분만직전 체중이 적은 경우, 임신 중 체중증가가 작은 경우, 모체 키가 작은 경우, 그리고 태반조기박리 등이었으며 이 중 기여도가 높은 위험인자는 태반조기박리와 임신 중 작은 체중증가이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for intrauterine fetal death (IUFD). Methods: We carried out a case control retrospective study, at th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Korea. We included all pregnant women diagnosed as singleton IUFD in pregnancies of 28 weeks of gestation or more, admitted to the hospital from Jan 2003 to Dec 2007. There were 53 cases of singleton IUFD and 3,298 cases of singleton live birth during that period. The incidence, age distribution, and prevalent gestational weeks were analysed. The risk factors were analyzed by using odds ratio, Student`s t test, and Chisquare test.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determine independent risk factors. Results: The overall incidence of IUFD was 1.6%. The age distribution of mother with IUFD was highest in the age group of 20 year old or less (5.3%). IUFD was the most prevalent at 28-32 weeks of gestation (41.5%). Significant risk factors were maternal body weight just before delivery,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and abruptio placentae. The independent risk factors were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β=0.002, P=0.000) and abruptio placentae (β=-0.067, P=0.000). Conclusion: Lower maternal body weight just before delivery, lower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and abruptio placentae are factor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UFD. Further investigations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complex etiology of stillbirth.

      • KCI등재

        슬관절 인공관절 전치환술 후 심부정맥혈전증 -발생 빈도와 임상적 위험인자와의 상관관계-

        이종서 ( Jong Seo Lee ),김태완 ( Tae Wan Kim ),서정탁 ( Jeung Tak Suh ) 대한슬관절학회 2010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2 No.4

        목적: 슬관절 인공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심부정맥혈전증의 발생빈도와 임상적 위험인자와의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월부터 2009년 1월까지 슬관절 인공관절 전치환술을 시행받은 10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34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험인자를 가진 고위험군, 74예는 위험인자를 가지지 않은 저위험군 이었다. 결과: 고위험군 34예중 6예(17.6%)에서, 저위험군 74예 중 11예(14.9%)에서 심부정맥혈전증이 발생하여, 두 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그러나, 심부정맥혈전증의 위험인자 중 연령이 증가할수록, 비만도가 증가할수록 그 발생빈도는 의미있게 증가하였다(p<0.05). 심부정맥혈전증이 발생한 17예중 4예에서는 심부정맥혈전증의 증상을 보였으며, 항혈전제로 치료하였다. 결론: 슬관절 인공관절 전치환술 후 심부정맥혈전증의 발생 빈도는 고위험군과 저위험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심부정맥혈전증의 증상을 보인 경우는 17예 중 4예에 불과하였다. 따라서, 슬관절 인공관절 전치환술 후 심부정맥혈전증의 증상이 있는 경우에 한해서 컴퓨터 단층촬영 정맥조영술 등의 확진검사를 시행하고 항응고 약물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 생각된다. Purpose: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cidence and clinical risk factors of deep vein thrombosis (DVT)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TKA).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eight patients underwent TKA between January 2008 and January 2009. Thirty four cases were in the high-risk group (having at least one risk factor) and 74 cases were in the low-risk group (not having any risk factors). Results: Six (17.6%) of 34 high-risk cases and 11 (14.9%) of 74 low-risk cases experienced DVT, a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But among the risk factors, age and obesity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incidence of DVT (p<0.05). Among the 17 cases of DVT, 4 patients showed symptoms of DVT and they were treated with anticoagulants. Conclusion: The incidence of DVT after TKA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high and low risk groups, and among the 17 cases of DVT, 4 patients showed symptoms of DVT.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perform definitive diagnostic modalities like CT venography and then to treat with anticoagulants only the patients with DVT symptoms after TKA.

      • KCI등재

        이중관이 있는 투석환자에서 포도알균 균혈증의 위험인자

        문수연 ( Soo Youn Moon ),이미숙 ( Mi Suk Lee ) 대한내과학회 2008 대한내과학회지 Vol.75 No.3

        목적: 투석 치료 중인 신부전 환자에서 감염을 증가시키는 위험인자로 이중관을 제외하고는 아직 정립된 것이 없다. 이에 이중관을 통해 혈액투석중인 환자에서 포도알균 균혈증의 위험인자를 알아보기로 하였다. 방법: 5년간 이중관을 통해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입원환자 중 포도알균에 의한 균혈증이 있었던 환자 군과 대조군의 기저질환, 나이, 성별, 신부전의 원인, 항생제 사용 유무와 항생제의 종류 및 혈액검사소견과 APACHE II 점수를 구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포도알균 균혈증이 있는 환자 군이 대조 군에 비해 나이가 많았으며, 입원 시 혈액투석이나 복막투석 치료를 받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입원 시 APACHE II 점수와 혈액요소질소가 높았고, 입원 시 크레아티닌 수치는 낮았다. 다변량 분석에 의하면 입원 시 투석 치료를 시행 받고 있는 것이 포도알균 균혈증의 위험인자였다. 황색포도알균에 의한 균혈증 환자의 경우 대조 군에 비해 나이가 많았으며, 입원 시 투석 치료의 빈도와 APACHE II 점수, 혈액요소질소, 크레아티닌이 황색포도알균에 의한 균혈증 환자에서 높았다. 이중관 삽입 전 항생제 사용도 황색포도알균 균혈증 군에서 더 많았으며, 다변량 분석 결과 입원 시 투석을 시행하고 있는 경우와 이중관 삽입 전 항생제의 사용, 입원 시 크레아티닌이 높은 것이 황색포도알균에 의한 균혈증의 위험인자였다. Methicillin 내성 포도알균에 의한 균혈증 군은 methicillin 감수성 포도알균에 의한 균혈증 군보다 이중관 삽입 시 혈청 알부민과 크레아티닌이 낮았으며, 삽입 전 항생제의 사용 빈도가 높고 일반 병실이나 중환자실에서 이중관을 삽입한 경우가 많았다. 다변량 분석에서 중재시술 실 이외 장소에서의 이중관 삽입과 이중관 삽입 전 항생제의 사용이 위험인자였다. 결론: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들에서 입원 당시 투석치료를 받고 있는 것이 이중관이라는 위험인자를 배제한 상황에서 균혈증이 발생하는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이런 환자 군에서 이중관을 통한 혈액투석 시 더욱 더 철저한 감염관리가 필요하겠다. 이중관 삽입 전 예방적 항생제 이외의 목적으로 항생제를 투여했던 것이 methicillin 내성 포도알균이나 황색포도알균에 의한 균혈증의 독립적 위험인자였으므로 항생제 사용시 적절한 기준에 맞추어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고 항생제 사용 중인 환자에서 균혈증이 발생한 경우 반드시 내성 균주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하겠다. Background/Aims: Risk factors for infection in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during dual lumen catheterization have not been adequately defined. We investigate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Staphylococcal bacteremia (SB) in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using a catheter. Methods: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with a catheter were categorized into either the SB group (n=43) or control group (n=44). Data on patient demographics, the presence of underlying diseases, antibiotic use, APACHE II scores, and laboratory findings were collected retrospectively. Results: Patients in the SB group tended to be older, and underwent dialysis upon admission more frequently, as compared with controls. In addition, the SB group had higher APACHE II scores, BUN, and lower creatinine levels upon admission,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dialysis upon admission was a risk factor for SB in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using a catheter. Patients with Staphylococcus aureus bacteremia (SAB) also tended to be older and showed a higher incidence of both dialysis upon admission and antibiotic therapy prior to catheterization,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atients with SAB also had higher APACHE II scores, BUN and creatinine levels upon admission. Antibiotics prior to catheterization, higher creatinine levels, and dialysis upon admission were all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SAB. Patients with methicillin-resistant SB had lower albumin and creatinine levels than those with methicillin-susceptible SB. The incidences of catheterization in the general ward or ICU and antibiotic therapy prior to catheterization were both higher in the methicillin-resistant SB group. Catheterizations in the general ward or ICU and antibiotic therapy prior to catheterization were both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methicillin-resistant SB. Conclusions: In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with a catheter, dialysis upon admission w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SB. Additionally, antibiotic therapy prior to dual lumen catheterization was a risk factor for methicillin-resistant SB. (Korean J Med 75:307-315, 2008)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1인 가구와 다인 가구의 제2형 당뇨병 위험인자의 비교

        이경무,이광원,황유석,강태호,박윤수,정재민 대한가정의학회 2019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9 No.1

        Background: Recently, the number of one-person households has increased, and the prevalence of type 2 diabetes mellitus has risen in Korea. Major complications of diabetes, such as stroke and myocardial infarction are major causes of death. Therefore, we conducted this study to test the hypothesis that the risk factors and prevalence of type 2 diabetes mellitus differ between one-person and multi-person households.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analyzed data of 3,691 adults over 19 years old from the 7th (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were analyzed by composite sampling for age, family history, waist circumference, body mass index, hypertension,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triglycerides, smoking, alcohol consumption, physical activity, and consumption of breakfast.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household-type in order to estimate the relative risk of factors associated with diabetes. Results: Hypertension was a significant risk factor for diabetes in both groups. Among other diabetic risk factors, individuals in one-person households were more likely to skip breakfast and less likely to engage in physical activity than those in multi-person households. Conclusion: One-person households have a high risk of hypertension, skipping breakfast, and poor physical activity.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role of one-person households when studying the management and treatment of disease. 연구배경: 최근 1인 가구는 증가하고, 건강관리 취약계층으로 대두되고 있다. 제2형 당뇨병 유병률은 최근 증가 추세로, 국내 질병부담1순위를 차지한다. 당뇨병의 합병증은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리고,그 중 뇌졸중 및 심근경색과 같은 대혈관 합병증은 주요한 사망 원인이다. 따라서 1인 가구는 다인 가구와 비해 제2형 당뇨병 유병률이높고, 당뇨병의 위험인자가 다인 가구와 다를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1차년도(2016년) 자료를바탕으로 만 19세 이상의 성인 3,691명을 분석하였다. 가구유형은 1인 가구와 다인 가구로 분류하여 연령, 가족력, 복부비만, 체질량지수, 고혈압,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중성지방, 흡연, 음주, 신체활동, 아침식사에 대하여 복합표본 설계분석을 통해 연구대상자 및 가족 유형별 당뇨병에 미치는 위험인자의 차이를 카이제곱검정을 시행, 당뇨병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의 상대적 위험도를 추정하기위해 가구별로 다변량 다중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1인 가구에서 다인 가구에 비해 제2형 당뇨병 유병률, 평균 나이, 평균 허리둘레, 평균 수축기 혈압, 평균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이 높았으나, 평균 이완기 혈압, 평균 공복혈당, 평균 신체활동시간,가족력 비율이 낮았다. 다변량 다중 로지스틱회귀분석에서 당뇨병위험인자 중 공통적으로 고혈압의 위험도가 높았으며, 다인 가구와달리 1인 가구에서 아침식사 결식과 비 신체활동의 위험도가 높게나왔다. 결론: 1인 가구와 다인 가구는 위험인자와 상대적 위험도에서 차이를 보였다. 1인가구는 수정 불가능한 가족력을 제외하고 고혈압, 아침식사 결식, 비 신체활동의 위험도가 높았다. 앞으로 1인 가구는 증가할 것이며, 신체적, 정신적 건강 상태가 취약한 계층으로 각 질환별 1인 가구의 특성을 고려한 관리 및 치료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겠다.

      • KCI등재

        연구실 위험성평가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김수태 한국재난정보학회 2022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8 No.3

        Purpose: Laboratories require Preliminary Risk Analysis of Hazard Factors, but there are many laboratories that do not. For the purpose of securing the safety of the laboratory, it is intended to find improvements so that the Risk Assessment can be easily applied. Method: Research papers and data from the Laboratory Safety Management Survey Report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were used. The study was conducted by comparing Preliminary Risk Analysis of Hazard Factors and Risk Assessment under the Occo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Result: A technique for Risk Assessment of a laboratory was proposed. When Risk Assessment of the laboratory, a method was proposed to estimate the size of the possibility(frequency) and severity(intensity). Conclusion: For easy application in the laboratory, a checklist-type Risk Assessment technique was presented and actual evaluation was conducted. It is expected that the laboratory will improve through Risk Assessment to help prevent safety accidents. 연구목적: 연구실험실에는 사전유해인자위험분석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으나 실행하지 않는 연구실험실이 많다. 연구실험실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좀 더 쉽게 위험성평가를 적용 할 수 있도록 개선점을 찾고자 한다. 연구방법: 선행논문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실 안전관리 실태조사 보고서 자료를 활용하였다. 사전유해인자위험분석과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위험성평가를 비교하여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실험실에 대한 위험성을 평가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연구실험실 위험성평가시 가능성(빈도)과 중대성(강도)의 크기를 추정할 수 있도록 방법을 제시하였다. 결론: 연구실험실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체크리스트 형태의 위험성평가 기법을 제시하였고, 실제 평가해 보았다. 연구실험실에서 위험성평가를 통한 개선을 실시하여 안전사고 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