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reventive Effects of the Angiotensin-II Receptor Blocker on Atrial Remodeling in an Ischemic Heart Failure Model of Rats

        윤남식,김계훈,Keun Ho Park,심두선,Hyun Ju Youn,홍영준,박형욱,김주한,안영근,정명호,조정관,박종춘 대한심장학회 2013 Korean Circulation Journal Vol.43 No.10

        Background and Objectives: It is widely known that angiotensin-II receptor blockers (ARBs) have reverse remodeling effects in atrium. Although atrial fibrillation is frequent in ischemic heart failure clinically, experiments to demonstrate ARB’s effects on atrial remodeling in a heart failure model are rare. Materials and Methods: A heart failure model and a sham-operated group were formed in 25 Sprague-Dawley male rats of roughly 260 g in weight. Ischemic heart failure models were obtained via ligation of the left anterior descending coronary artery. In the ARB group, 30mg/kg of losartan was administrated over a day for 4 weeks. Echocardiography was performed to measure left ventricle ejection fraction and left atrial diameter (LAD) at the baseline and 4 weeks after the operation. 4 weeks later, histologic and immunohistochemical evalua-tion were performed. Results: Groups were divided into the sham group, heart failure group, and heart failure-ARB group. We maintained 5 rats in each group for 4 weeks after operation. The decrease of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in the heart failure-ARB group was less than that in the heart failure group (p=0.023). The increase of LAD in the heart failure-ARB group was less than that in the heart failure group (p=0.025). Mas-son’s trichrome stain revealed less fibrosis in the heart failure-ARB group. Immunohistochemical stain and western blot for connexin 43showed less expression in the heart failure-ARB group. Conclusion: In the ischemic heart failure model of rats, structurally and histologically, the ARB, losartan, has atrial reverse-remodeling effects. However, electrically, its role as an electrical stabilizer should be studied further.

      • KCI등재

        급성 ST 분절 비상승 심근경색증의 경색 관련 동맥 완전 폐색 예측인자

        정대호 ( Dae Ho Jung ),정명호 ( Myung Ho Jeong ),김계훈 ( Kye Hun Kim ),이우석 ( Woo Seok Lee ),이기홍 ( Ki Hong Lee ),윤현주 ( Hyun Joo Yoon ),윤남식 ( Nam Sik Yoon ),문재연 ( Jae Youn Moon ),홍영준 ( Young Joon Hong ),박형욱 ( H 대한내과학회 2008 대한내과학회지 Vol.74 No.3

        목적: 급성 ST 분절 비상승 심근경색증 환자들 중 일부분은 경색 관련 동맥의 완전 폐색이 동반될 수 있으므로 이를 선별하여 초기에 관혈적 치료방침을 시행하는 것이 임상적으로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ST 분절 비상승 심근경색 환자에서 관상동맥 조영술 전에 경색 관련 동맥의 완전 폐색을 예측할 수 있는 비 침습적 인자들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2005년 4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심장센터에 입원하여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받은 연속적인 205명의 ST 분절 비상승 심근경색 환자(63.3±10.5세, 남자: 123명)들을 각각 I군(IRA의 완전 폐색군: 총 62명, 61.1±13.3세, 남자: 42명)과 II군(비폐색군: 총 143명, 64.2±11.3세, 남자: 81명)으로 대별하여 임상적, 생화학적, 심초음파도의 차이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관상동맥 조영술에서 총 62명(30.2%)이 경색 관련 동맥의 완전 폐색을 보였고, 완전 폐색을 가장 많이 보인 혈관은 좌회선지이었다. 다변량 분석 결과 경색 관련 동맥의 완전 폐색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로는 계속되는 흉통의 시간(OR:9.67, 95% CI:1.59~80.6, p=0.03), 높은 수치의 CK-MB(OR:5.35, 95% CI:1.31~90.0, p=0.035)와 fibrinogen(OR:6.73, 95% CI:1.48~50.2, p=0.043), 12-유도 심전도에서 ST 분절 하강이 보인 유도의 수(OR:4.78, 95% CI:1.22~41.9, p=0.048) 등이 있었다. 결론: ST 분절 비상승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연속되는 흉통의 지속시간이 길고, CK-MB와 fibrinogen 수치가 높으면서, 내원 시에 심전도에서 여러 유도에서 ST 분절 하강을 보이는 경우에 IRA의 완전 폐색 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Aims: Some patients with non-S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NSTEMI) have total occlusion of the infarct related artery (IRA) and may benefit from early invasive treatmen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dictors of total occlusion of the IRA in patients with NSTEMI before coronary angiography. Methods: A total of 205 consecutive patients with NSTEMI (63.3±10.5 years, 123 males) who were admitted and underwent coronary angiogram from April 2005 to December 2006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I (total occlusion of IRA: n=62, 61.1±13.3 years, 42 males) and group II (patent IRA: n=143, 64.2±11.3 years, 81 males). Clinical, biochemical and echocardiographic parameters on admission were compared between the groups. Results: A total occlusion of the IRA in patients with NSTEMI was observed in 62 (30.2%) patients most frequently in the left circumflex coronary artery. The predictive factors for total occlusion, according to the multivariate analysis, were prolonged duration of continuous chest pain (OR:9.67, 95% CI:1.59~80.6, p=0.03), a higher level of the creatine kinase-MB fraction (CK-MB) (OR:5.35, 95% CI:1.31~90.0, p=0.035) and fibrinogen (OR:6.73, 95% CI:1.48~50.2, p=0.043), and multiple leads with ST depression on the ECG (OR:4.78, 95% CI:1.22~41.9, p=0.048). Conclusions: Total occlusion of the IRA in patients with acute NSEMI is associated with a long duration of chest pain, high levels of CK-MB and fibrinogen, and ST changes in multiple ECG leads. (Korean J Med 74:271-280, 2008)

      • KCI등재후보

        관상동맥 중재술을 받은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체질량 지수의 영향

        정선영 ( Seon Young Jeong ),이정애 ( Jung Ae Rhee ),정명호 ( Myung Ho Jeong ),황선호 ( Seon Ho Hwang ),윤남식 ( Nam Sik Yoon ),홍서나 ( Seo Na Hong ),이상록 ( Sang Rok Lee ),김계훈 ( Kye Hun Kim ),문재연 ( Jae Youn Moon ),홍영준 (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3 No.6

        목적: 비만은 관상동맥 질환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으나,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비만이 미치는 영향이나 관상동맥 중재술 후 장기 예후에 대한 영향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를 통해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비만이 미치는 영향과 관상동맥 중재술 후 장기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2년 2월 1일부터 2006년 6월 30일까지 전남대학교 심장센터에서 급성 심근경색증으로 진단되어 관상동맥 중재술을 시행한 309예(60.5±11.3세, 남:여=243:66)를 대상으로 하였다. 체질량 지수가 25 kg/m2미만인 194예의 환자를 I 군(61.7±11.1세, 남:여=151:43), 체질량 지수가 25 kg/m2 이상인 115예의 환자를 II 군(58.6±11.5세, 남:여=92:23)으로 하여 두 군 간의 임상적 특성이나 위험인자들을 비교하였고, 6개월간 추적 경과관찰 동안 발생한 주요 심장 사건을 분석하였다. 결과: I 군에서 II 군에 비하여 나이가 많았고(61.7±11.1세 vs. 58.6±11.5세, p=0.017), II 군에서 고혈압(59/115 vs. 75/194예, p=0.033)과 고지혈증(60/115 vs. 75/194예, p=0.024)의 빈도가 높았다. 고지혈증의 경우 II 군이 I 군에 비해 혈중 총 콜레스테롤(201.4±42.6 mg/dL vs. 184.3±39.9 mg/dL, p=0.001), 중성지방(147.1±96.2 mg/dL vs. 121.2±61.6 mg/dL, p=0.005), 저밀도 콜레스테롤(134.1±37.8 mg/dL vs. 120.3±35.1 mg/dL, p=0.002)이 높았으나, 고밀도 콜레스테롤(42.3±10.2 mg/dL vs. 44.5±12.1mg/dL, p=0.109)은 차이가 없었다. 관상동맥 조영술이나 중재술과 연관된 인자는 두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178예(I 군 109예, II 군 69예)의 환자에서 6개월 추적 관상동맥 조영술이 시행되었다. 재협착은 I 군에서 14예(12.8%), II 군에서 18예(26.1%)가 발생하여 II 군이 I 군에 비해 재협착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0.025). 결론: 비만을 동반한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는 고지혈증과 고혈압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관상동맥 중재술 후 재협착이 유의하게 많이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비만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가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중재술 후 재협착 예방에 중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Background: Obesity is one of the major risk factors for coronary artery disease. However, the long-term clinical effects of obesity after percutaneus coronary intervention (PCI) in Korean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have not been sufficiently evaluated. Methods: A total of 309 patients (mean age 60.5±11.3 years, M:F=243:66) that underwent PCI with a diagnosis of AMI between February 2002 and June 2006. The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body mass index (BMI): group I (n=194; BMI<25 kg/m2; mean age 61.7±11.1 years, M:F=151:43) and group II (n=115; BMI≥25 kg/m2, mean age 58.2±11.3 years, M:F=92:23).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and major adverse cardiac events during a six-month follow-up were compared between patients in the two gropus. Results: The mean age of group I patients was older than that of group II patients (61.7±11.1 years vs. 58.6±11.5 years, p=0.017).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was higher in group II patients (75/194, 38.7% vs.59/115, 51.3%, p=0.033) and hyperlipidemia was more prevalent in group II patients (75/194, 38.7% vs. 60/115, 52.2%, p=0.024). The levels of total cholesterol (184.3±39.9 mg/dL vs. 201.4±42.6 mg/dL, p=0.001), triglycerides (121.2±61.6 mg/dL vs. 147.1±96.2 mg/dL, p=0.005), low-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120.3±35.1 mg/dL vs. 134.1±37.8 mg/dL, p=0.002) were lower in group I patients than in group II patients. The restenosis rate on a follow-up coronary angiogram was higher in group II patients (18/69, 26.1%) than in group I patients (14/109, 12.8%, p=0.025). Conclusions: Obesity is associated with hyperlipidemia and hypertension in patients with AMI. The restenosis rate after PCI was higher in obese AMI patients. (Korean J Med 73:603-610, 2007)

      • KCI등재후보

        심방세동 환자에서 혈전색전성 합병증의 새로운 위험인자

        조천영 ( Cheon Yeong Cho ),정대호 ( Dae Ho Jung ),고점석 ( Jum Suk Ko ),윤남식 ( Nam Sik Yoon ),이상록 ( Sang Rok Lee ),임상엽 ( Sang Yup Lim ),박형욱 ( Hyung Wook Park ),손일석 ( Il Suk Sohn ),김계훈 ( Kye Hun Kim ),홍영준 ( Youn 대한내과학회 2006 대한내과학회지 Vol.71 No.4

        목적: 심방세동은 가장 흔한 지속성 부정맥이며 전신 혈전색전증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심방세동에서 혈전색전증은 사망률이 높고 심각한 불구를 초래하므로 예방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위험인자의 정확한 규명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심혈관 질환 치료에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안지오텐신-II 수용체 차단제, 스타틴 등이 활발히 사용된 이후에 심방세동의 혈전색전 위험인자에 새로운 변화가 있는지 조사하고 심방세동에서 혈전색전 위험의 증가 기전을 규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혈전색전의 위험인자를 파악하기 위해 심방세동으로 치료받고 있는 환자 192명(61±11세, 남자 137)을 색전성 뇌경색증이 합병한 색전군(n=95명)과 합병하지 않은 비색전군(n=97명)으로 나누어 인구학적 특성, 동반 질환, 심전도 소견, 심초음파도 소견 및 치료 약제 등을 비교하였다. 혈전색전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기전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심장 율동이 정상인 25명과 심방세동 환자 71명[발작성: 21명(46±18세), 지속성: 19명(59±10세), 영속성: 31명(51±12세)]을 대상으로 내피세포기능을 반영하는 von Willebrand factor (vWF; factor 8 related antigen), 전신 염증 상태를 나타내는 백혈구 수, 적혈구 침강속도, 고예민성 C-reactive protein (hsCRP), 혈액 응고계 상태를 반영하는 fibrinogen, fibrinogen degradation product, fibrin d-dimer 등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1. 심방세동에서 혈전색전의 위험인자 심방세동 환자 중 색전군이 비색전군에 비해 의미있게 나이가 많았고(p<0.05), 동반 질환으로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흡연이 색전군에서 의미있게 더 많았다(각각 p<0.05). 심전도에서는 심방세동파의 크기가 1mm 미만인 경우가 색전군에서 의미있게 많았고(p<0.05), 심초음파도에서는 좌심실기능부전(좌심실 구혈률 <40%), 판막질환, 심근증의 빈도가 색전군에서 의미있게 높았고(각각, p<0.05), 좌심방 직경도 색전군에서 의미있게 컸다(p<0.05). 색전군에서 비색전군에 비해 항응고제(p<0.01), 안지오텐신-II 수용체 차단제(p<0.05), 스타틴(p<0.05)을 복용한 경우가 의미게 적었다. 2. 심방세동에서 혈전색전 위험 증가의 기전 심방세동 환자에서 vWF-factor 8 related antigen의 농도는 좌심실부전(EF<40%), 고혈압, 고령(>65세), 당뇨병, 승모판협착증이 동반된 경우에 의미있게 증가하였다(각각, 165±53% vs. 116±49%, p<0.05; 135±22% vs. 119±24%, p<0.05; 136±55% vs. 113±51%, p<0.05; 138±59% vs. 120±52%, p<0.05; 151±34% vs. 120±33%, p<0.05). 또한 vWF-factor 8 related antigen의 농도는 나이(r=0.392, p<0.001), 좌심방 크기(r=0.375, p<0.01), 좌심실 수축기말 직경(r=0.283, p<0.05), 좌심실 확장기말 직경(r=0.234, p<0.05), 좌심실구혈률(r=0.255, p<0.05), 심방세동의 유병 기간(r=0.341, p<0.01) 등과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전신 염증 표지자는 혈전색전 위험인자 동반 유무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혈중 fibrinogen 농도는 나이(r=0.368, p<0.001), NYHA class (r=0.314, p<0.01)와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있었고 d-dimer는 NYHA class와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있었다(r=0.505, p<0.001). 결론: 본 연구 결과로 기존의 혈전색전 위험인자에 더하여 흡연, 심전도에서 미세 심방세동파(<1 mm), 안지오텐신-II 수용체 차단제나 스타틴의 무복용 등이 심방세동의 새로운 혈전색전 위험인자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심방세동에서 혈전색전의 증가는 주로 심내막과 동맥의 내피세포 기능 저하에 의해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Atrial fibrillation (AF) is the most common cause of embolic cerebral infarc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new risk factors and the mechanism underlying thromboembolism (TE) in patients with AF. Methods: 192 patients (M:F=137:55, 61±11 years) with AF were randomly selected and divided into a TE (n=95) and non-TE group (n=97). Another 71 patients with AF (M:F=38:33, 55±14) were studied for endothelial function by measuring the level of von Willebrand factor (vWF; factor 8 related antigen), inflammation by WBC, ESR, and high sensitive CRP and coagulation system by fibrinogen, fibrinogen degradation product and fibrin d-dimer;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25 patients with normal sinus rhythm. Results: The TE group was older than non-TE group. Hypertension (HTN), diabetes mellitus (DM), hypercholesterolemia, smoking and fine AF (AF wave amplitude <1 mm) were more frequent in the TE group. Mitral valvular disease, an ejection fraction <40% and dilated cardiomyopathy were more frequent in the TE group and the left atrial (LA) dimension was greater in the TE group. The use of anticoagulants, an angiotensin-II receptor blocker and statins were less frequently observed in the TE group. The vWF-factor 8 related antigen was higher in patients with advanced age, LV dysfunction, HTN, DM, mitral stenosis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age, LA dimension, LV end-diastolic and end-systolic dimension, ejection fraction, NYHA class and AF duration. The fibrinogen leve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ge, NYHA class, LA dimension and d-dimer with NYHA class. Markers for inflammation or coagula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atrial fibrillation and the sinus rhythm group. Conclusions: No use of an angiotensin-II receptor blocker or statin and fine AF may be new risk factors for TE in patients with AF. The TE risk factors are thought to increase TE by impairing endothelial function.(Korean J Med 71:371-380, 200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