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alcification of Intervertebral Discs ofthe Cervical Spine in Children - Report of 2 Cases -

        김환정,김하용,김갑중,이상기,이도현 대한정형외과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4 No.5

        Calcification of intervertebral discs of the cervical spine in a child is an uncommon disorder, and is often associated with clinical symptoms. The etiology is still unknown, but the natural history has been reported as having a self-limiting course with an excellent prognosis. Here we report two cases of symptomatic cervical disc calcification in a child and provide a literature review. 임상적 증상을 동반한 소아 경추의 추간판 내 석회화는 매우 드문 질환으로, 정확한 병인은 아직 밝혀져 있지 않다. 병의 자연 경과 및 예후는 매우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임상적 증상을 동반한 소아 경추의 추간판 내 석회화를 진단하고 보존적 치료 및 경과 관찰을 통해 증상 및 경추의 추간판 내 석회화가 소실된 2예의 소아 환자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 KCI등재

        퇴행성 요추 후만증의 보존적 치료 시 자연경과

        김환정,장선호,이규상,김용호,박건영,박경훈,최원식 대한척추외과학회 2017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4 No.1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evaluate the natural history of conservatively treated lumbar degenerative kyphosis (LDK).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clinical and radiologic parameters of general adult spinal deformity (ASD) are widely known. However, in LDK, dynamic sagittal imbalance is present during ambulation, meaning that its pathogenesis and natural history are different and not widely recognized compared to those of other forms of ASD, resulting in many controversies regarding treatment. To elucidate the natural history of LDK, we analyzed the clinical and radiologic outcomes of patients, comparing their first and final follow-up visits, and evaluated correlations among clinical and radiologic parameter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ne 2006 to January 2014, 31 patients diagnosed with LDK who underwent conservative treatment were studied.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72.5 years,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59.2 months. Clinical and radiologic evaluations were conducted on the first and final follow-up visits. Clinical evaluations were done using a visual analog scale and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and radiologic evaluations were performed using spinal and pelvic parameters over a follow-up period of at least 24 months. Results: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LDK and underwent conservative treatmen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clinical outcomes between the first and final follow-up. Some radiologic parameters significantly progress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linical and radiologic parameters at the initial and final follow-up visits. Conclusions: During the follow-up period of patients diagnosed with LDK, some radiologic parameters progressed. However, the progress of LDK and the clinical symptoms reported by the patients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Decisions regarding the treatment of LDK should not be made according to radiologic parameters showing the degree of deformity, but by carefully determining the patients’ clinical symptoms and disability level.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목적: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지 않은 퇴행성 요추 후만증 환자들에서 자연경과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선행문헌의 요약: 일반적인 성인 척추 변형 환자에서의 임상적 증상과 방사선학적 지표들간의 연관성은 많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주로 동양 사람들에게발생하는 퇴행성 요추 후만증은 특징적으로 보행 시 동적인 시상면 불균형이 나타나기 때문에 이 것의 병인 및 자연경과는 다른 성인 척추 변형과 다르게잘 알려져 있지 않아 치료 방법에 대한 논란의 여지가 많다. 우리는 퇴행성 요추 후만증의 자연경과를 밝히기 위하여 처음 내원 시와 최종 추시 시의 임상적 결과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하였고, 임상적 결과 및 방사선학적 결과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6월부터 2014년 1월까지 퇴행성 요추 후만증으로 진단 받은 모든 환자 중 보존적 치료를 받은 총 3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72.5세, 평균 추시 기간은 59.2개월 이었다. 모든 례에서 처음 내원 했을 때와 최종 추시 시의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 평가를 하였다. 최소 24개월 이상의 추시 기간을 가졌으며, 임상적 평가는 visual analogue scale (VAS)와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를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방사선학적 평가는 척추 및 골반 지표들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퇴행성 요추 후만증 환자들에서 비수술적 치료 시의 임상적 결과는 VAS, ODI 모두 처음 내원 시와 최종 추시 시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방사선학적 지표들 중 시상 수직축, 흉요추 후만각, 요추 전만각, 골반 지수와 요추 전만각의 차이 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골반 경사각은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또한 환자들이 처음 내원 시와 최종 추시 시에 호소하는 임상증상과 방사선학적인 지표 값들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퇴행성 요추 후만증 환자에서 추시 시 방사선학적 지표들은 진행되었으나 그 진행 정도와 환자가 느끼는 임상 증상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퇴행성 요추 후만증 환자의 치료 결정은 변형의 정도를 나타내는 방사선학적 지표들로 결정하면 안되며, 환자의 임상증상 및 장애 정도에 따라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 색인 단어: 퇴행성 요추 후만증, 자연경과, 보존적 치료약칭 제목: 퇴행성 요추 후만증의 보존적 치료 시 자연경과

      • KCI등재
      • KCI등재

        자발성 척추 경막 외 혈종의 위험 인자 및 수술적 치료 후 예후인자

        김환정,정상욱,이규상,박경훈,박건영,권원조,성환일,최원식 대한척추외과학회 2015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2 No.4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explore the risk factors a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neurological improvement after operation in the spontaneous spinal epidural hematoma.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 cause of the spontaneous spinal epidural hematoma is unknown. The objective risk and prognostic factors are still controversial.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6 to December 2014, a total of 12 patients with spontaneous epidural hematoma were evaluated. The risk and prognostic factors analyzed were sex, age, underlying diseases, medications, neurologic status, level and extent of hematoma, cord edema, and interval from onset to surgery.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factor and neurologic recovery. The neurologic status was analyzed using the American Spinal Injury Association impairment scale (AIS) at the first and the last neurologic examination. Results: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68.6 years. Sev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anticoagulation therapy, and two were advised to switch to a healthier diet. The initial neurologic status of the patients was AIS A in 2 cases, B in 5 cases, C in 4 cases, D in 1 case, and in two patients, cord edema was revealed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The interval of time from onset to surgery was less than 24 hours in 6 cases, 24–48 hours in 4 cases, and more than 48 hours in 2 cases. Conclusions: The prognostic factors associated with spontaneous spinal epidural hematoma were found to be initial neurologic status, cord edema on MRI, and interval from onset to surgery. We found no correlation between anticoagulation therapy or healthy diet and spontaneous spinal epidural hematoma, but anticoagulation therapy cannot be excluded as a risk factor.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적: 자발성 척추 경막외 혈종 발생 원인과 관련된 위험 인자와 예후 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선행 문헌의 요약: 자발성 척추 경막외 혈종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아직 발생 원인에 대해서 밝혀지지 않았고 이와 관련된 위험 인자와 예후 인자에 대해서도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자발성 척추 경막 외 혈종으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1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발생 원인과 관련된 위험 인자로서 성별, 나이, 기저 질환, 약물 복용 및 건강 보조 식품 복용 여부를 신경학적 증상과 관련된 예후 인자로서 내원 당시의 신경학적 손상 정도, 혈종의 발생 부위, 혈종의 범위, 척수 부종 동반 여부, 초기 증상 발생 후 수술적 치료까지 걸린 시간에 대해 교차분석을 하였다. 결과: 환자의 평균 연령은 68.6세였고, 항응고제 복용이 7예, 건강 보조 식품 복용이 2예였다. 초기 신경학적 증상은 AIS A가 2예, B가 5예 C가 4예, D가1예였고, 척수 부종이 2예였다. 증상 발생 후 수술적 치료까지 걸린 시간은 24시간 이내가 6예, 24~48시간이 4예, 48시간 이상이 2예였다. 결론: 자발성 척추 경막 외 혈종의 예후 인자로 내원 시 AIS정도, 척수 부종의 유무, 초기 증상 발생 후 수술적 치료까지 걸린 시간이 관련이 있었다. 또한, 자발성 척추 경막 외 혈종의 발생과 관련된 위험 인자로서 항응고제의 사용과 건강 보조 식품 복용이 통계적 상관성을 확인할 수는 없었으나 위험인자임은 배제할 수 없다.

      • KCI등재

        단분절 경추 추간판 탈출중에서 추체간 골유합술의 결과 : 전방 금속판 보강술과의 비교

        김환정,김규현,최원식 대한척추외과학회 2000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7 No.3

        연구 설계 : 전방금속판을 사용한 전방 추 체간 유합술과 전방금속판을 사용하지 않은 전방 추 체간 유합술을 시행한 단 분절의 경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에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목적 : 단 부절의 경추 추간판 탈출증의 치료에서 전방 경추 추간판 제거술과 추 체간 유합술 후 치료결과 및 전방금숙판 보강술의 유용성에 대해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단분절에 경추 추간판 탈출증으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35례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두 군 모두 자가골이식술을 이용한 Smith Robinson 방법을 사용하여 추간판 제거술 및 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하였다. A군은 14례로 전방금속판을 이용한 경우였으며 B군은 21례로 전방금속판을 이용하지 않은 경우였다. 곧 유합 및 추간 간격의 변화를 방사선적 분석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고 Robinson의 방법에 의한 임상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방사선적 분석에서 추간 간격의 감소는 B군(특히 61세 이상의 환자)에서 흔하였으나 골유합 기간은 두 군에서 비슷하였다. 임상적 결과 분석에서는 양호이상이 A군에서 86%, B군에서 90% 였으나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 전방금속판 보강술을 골다공증 환자에서 선택적으로 사용시 조기에 활동할 수 있는 장점과 더불어 이식골의 변형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나 이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되며 비록 여러가지 전방 금속판 보강술의 장저미 보고되고는 있지만 단분절의 추체간 유합술 시에는 특별한 효과가 없었다. Study Design : A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in patients with one level cervical disc herniation who had undergone anterior discectomy and fusion with or without plate fixation.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analysis the result of anterior discectomy and fusion, and to assess the benefits of the supplemental anterior cervical plate in the treatment of one level cervical disc herniation. Materials and Methods : 35 surgically treated patients for one level disc herniation were reviewed. The Smith Robinson with autologous iliac crest bone graft was performed in both groups. Group A consisted of 14 patients who had supplemental anterior cervical fixation performed. Group B consisted of 21 patients treated without plate fixation. Radiologic parameters included the bone union and changes of intervertebral space. Clinical results were classified using the criteria of Robinson. Results : In radiologic analysis, decreases in intervertebral space were common in group B, especially in older than 61 years old age group, and the bone union time was same in both groups. The overall clinical success rate was 86% in group A and 90% in group B. This difference between group A and group B is not significant. Conclusion : When selectively used in osteoporotic patient, supplemental anterior cervical plate fixation allows an early return to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patients and prevent deformities in graft bone. However, further studies are neeed to confirm this result. Although many advantages of anterior plate stablilzation have been previously reporte, the plate osteosynthesis after on level fusion for radiculopathy was not thought to be a major advantage.

      • KCI등재후보

        의인성 편평배부 증후군 환자에서 척추경을 통한 후방 절골술의 치료 결과

        김환정,최원식,강종원,염진섭 대한정형외과학회 200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8 No.6

        To analyze the results of radiologic and clinical outcomes after pedicle subtraction osteotomy in iatrogenic flat back syndrome.

      • KCI등재
      • KCI등재

        요추부 인접 분절 질환에 대한 위험 인자 분석 및 수 술 후 결과

        김환정,강종원,김병섭,강성일,권원조,박건영,박재국,성환일,최원식 대한척추외과학회 2010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7 No.2

        연구계획: 요추 유합술 후 인접 분절 질환으로 재수술을 시행한 증례에 대한 후향적 연구목적: 인접 분절 질환에 대한 위험 인자와 수술적 치료에 대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선행문헌의 요약: 인접 분절 질환 발생의 위험 인자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있었으나,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7월부터 2006년 7월까지 인접 분절 질환으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 받은 총 50예 환자 중 최소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35예(남자 13예, 여자 2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기공명영상 촬영을 통해 인접 분절의 퇴행성 변화의 정도, 방사선학적으로 유합 분절 수, 요추 전만각, 시상면 균형(sagittal balance)을 측정하여 각각 재수술까지 기간을 분석하였으며 Brodsky 기준에 따라 재수술의 임상적 결과를 평가하였다. 결과: 인접 분절 질환으로는 척추관 협착증이 21예(60%), 불안정성이 14예(40%)였으며 이중 2예는 의인성 편평배부 증후군을, 2예는 요부 변성 후만증을 동반하였다. 유합 범위가 2분절 이하가 20예(57%), 3분절 이상인 경우가 15예(43%)였으며, 재수술까지의 기간은 2분절 이하인 경우는 평균 93개월,3분절 이상인 경우는 평균 62개월이었다. 또한 요추 전만각은 25예(71%)에서 정상범위, 10예(29%)에서 비정상 범위의 전만각을 보였으며, 재수술까지의 기간은 요추 전만각이 정상인 경우 평균 101개월, 비정상인 경우 64개월이었다. 1차 수술 후 시상면 균형이 정상 범위를 벗어난 경우가 6예(17%)였고, 평균 재수술까지의 기간이 59개월로 시상면 균형이 유지된 109개월에 비해 유의하게 짧았다(p=0.007). 임상적 결과에서는 우수 6예(17%), 양호 15예(43%)로 21예(60%)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보였다. 결론: 요추부 유합술 후 발생하는 인접 분절 질환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 1차 수술시 유합 분절의 범위에 대한 신중한 검토와 유합시 요추부 전만각 및시상면 균형의 생리적 범위로의 유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Study Design: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We analyzed the risk factors and the surgical results for adjacent segment disease after lumbar fusion.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Many studies have been performed about the risk factors for adjacent segment disease, but the findings are still controversial.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35 (13 men, 22 women) of 50 patients who underwent lumbar fusion due to adjacent segment disease with a minimum of 2 year follow-up period from July 1999 to July 2006. The differences of the interval to revision (IR)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the examining preexisting degenerative change in the adjacent segments on MRI, the number of fused segments, the lumbar lordosis and the sagittal balance. The surgical outcomes of reoperation were assessed by Brodsky’s criteria. Results: Junctional stenosis as adjacent segment disease was seen in 21 cases (60%) and instability was seen in 14 cases (40%),including 2 iatrogenic flat backs and 2 cases of lumbar degenerative kyphosis. The average IR was 93 months for the cases that had less than 2 segment fusion (20 cases) and 62 months in those with more than 3 segment fusion (15 cases). As for lumbar lordosis, 25 cases (71%) had a normal range of angle as well as 101 months until the IR and 10 cases (29%) had an abnormal range of angle as well as 64months until IR. Six cases were beyond the normal range of sagittal balance (17%) and their average IR value was 59 months. Otherwise,the cases with a normal range of sagittal balance had 109 months for the IR. The clinical outcome was excellent in 6 cases (17%) and good in 15 cases (43%). Conclusion: To decrease the adjacent segment disease, we should seriously consider the extent of lumbar fusion and we should restore the angle in lumbar lordosis to the physiological range and the sagittal balance during the initial op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