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공 슬관절 치환술 후 활액막내에 주입한 Ropivacaine과 Morphine이 수술 후 통증에 미치는 영향: 전향적 연구

        한창동 ( Chang Dong Han ),최윤진 ( Yun Jin Choi ),양익환 ( Ick Hwan Yang ) 대한슬관절학회 2006 대한슬관절학회지 Vol.18 No.2

        목적: 인공 슬관절 수술을 받은 환자들의 수술 후 통증 관리는 입원 기간을 단축시키고, 환자의 운동성 제한을 해소시켜 주기 위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술 시 활액막 내에 morphine과 ropivacaine을 병용하여 투여함으로써 활액막내 약물 투여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연구는 전향적 이중 맹검 무작위로 진행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전신 상태가 미국 마취과학회 신체 등급 분류상 등급 1, 2에 해당되는 환자를 척추마취 하에서 양측 인공 슬관절 수술을 동시에 시행한 환자 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시 관절막 봉합 직전에 무작위로 한쪽 슬관절에는 morphine HCL 5 mg 0.5 mL, ropivacaine 0.6% 300 mg 40 mL, 1:200,000 epinephrine 0.25 mL 및 생리 식염수를 포함하여 전체 50 mL 그리고 반대측 슬관절에는 Normal saline 50 mL를 활액막내에 주입하였다. 수술 후 2, 4, 6, 12, 24, 32, 40, 48시간 동안 통증의 변화를 10 CM visual analogue pain scale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수술 후 양측 슬관절 간의 출혈량과 운동범위도 비교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전체 32명의 환자에서 양측 슬관절 간에 수술 후 2, 4, 6, 12시간에 휴식 시, 그리고 24, 32, 40, 48시간에는 휴식 시와 운동 시 모두 visual analogue scores (VAS)는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으며(p>0.05), 수술 후 슬관절의 운동범위에도 양측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p>0.05). 결론: 이상의 결과에 기초하여 인공 슬관절 치환술 시 척추 마취와 경막외 자가 통증 조절 장치 사용 시에는 활액막내국소 마취제나 아편계 약물의 투여는 진통 작용이나, 수술 후 운동 범위 증가 등에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여겨진다. Purpose: Pain control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reduces total admission days and is important in improving post operative range of motion. This study evaluates the efficacy of intrasynovial injection of morphine and ropivacaine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A prospective, double blinded and randomized study was performed in thirty two patients with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y stage I or II who underwent one staged total knee arthroplasty for both knees simultaneously under spinal anesthesia. Demographic data (age, height, weight, gender distribution,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knee score, Knee society score, visual analogue scores (VAS) and range of motion were evaluated in all patients preoperatively. Before closure of the joint capsule, a local injective analgesia of 50mL including 0.5 ml 5 mg of HCL morphine, 40 mL 0.6% 300 mg ropivacaine and 0.25 mL of 1:200,000 epinephrine was injected into the synovium of one knee and 50 mL of normal saline was injected into the synovium of the opposite knee. Analgesic efficacy was evaluated by visual analogue scores (VAS) at intervals of 2, 4, 6, 12, 24, 32, 40 and 48 hours after operation. During this period, the amount of postoperative bleeding and range of motion were compared between both knees in the same patient. Result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both knees in regard to VAS at intervals of 2, 4, 6, 12, 24, 32, 40 and 48 hours after surgery (p>0.05).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range of motion among both knees (p>0.05). Conclusion: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o not recommend the routine use of postoperative intrasynovial ropivacaine and morphine injection for the purpose of reducing pain in patients undergoing knee arthroplasty under spinal anesthesia with epidural patient controlled anesthesia.

      • KCI등재

        불안정성이 없는 슬관절과 전방십자인대 손상 슬관절에서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슬관절 전후방 및 회전 안전성에 관한 생체 비교 연구

        박상진 ( Sang Jin Park ),송은규 ( Eun Kyoo Song ),선종근 ( Jong Keun Seon ),허창익 ( Chang Ich Hur ),박기헌 ( Gi Heon Park ) 대한슬관절학회 2009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1 No.1

        목적: 불안정성이 없는 슬관절과 전방십자인대 손상 슬관절에서 네비게이션을 이용하여 전후방 및 회전안정성에 대한 생체 내 비교 연구를 통해 각 군에서의 객관적인 값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반월상 연골 손상으로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퇴행성 변화가 관찰되거나, 인대손상이 동반된 환자를 제외한 44명의 환자(Group A)와 전방십자인대 손상으로 재건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퇴행성 변화가 관찰되거나, 반월상 연골, 부분 전방십자인대, 후방십자인대, 내·외측측부인대 손상이 동반된 환자를 제외한 41명의 환자(Group B)를 대상으로 네비게이션을 이용하여 슬관절 굴곡 0, 30, 60, 90도 각각에서 전후방 전위와 회전 안정성을 검사하였다. 결과: 평균 총 회전값은 Group A에서는 각각 18.8°, 31.4°, 30.1°와 29.2°를 보였고, Group B에서 각각 22.7°, 37.6°, 34.0°와 31.8°를 보였다. 결론: 네비게이션을 이용하여 불안정성이 없는 슬관절과 전방십자인대 손상 슬관절에서 슬관절 전후방 및 회전 안정성 정도를 정량화한 값들을 얻을 수 있었다. Purpose: We compared the anteroposterior translation and the internal-external rotation of the tibia in stable knees without an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injury with those of ACL injured knees by using a navigation system and we report the objective data. Materials and Methods: Forty-four patients who were treated for a meniscal tear without ACL injury were allocated to the stable group, and 41 patients were allocated to the ACL injury group. The anteroposterior displacement and the rotation of the knees were measured in 0, 30, 60 and 90 degrees of flexion with using the Orthopilot(R) navigation system. Results: The mean total rotation values were 18.8°±4.5°, 31.4°±4.2°, 30.1°±5.1° and 29.2°±5.9° at 0, 30, 60 and 90 degrees of flexion, respectively, in the stable group and 22.7°±6.9°, 37.6°±5.8°, 34.0°±9.4° and 31.8°±8.8° at 0, 30, 60 and 90 degrees of flexion, respectively, in the ACL injury group. Conclusion: The quantitative values for anteroposterior translation and rotations of stable and ACL injured knee were obtained using a navigation system.

      • KCI등재

        완전 또는 부분 강직된 슬관절에 시행한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배대경,김진문,임찬택 대한슬관절학회 2002 대한슬관절학회지 Vol.14 No.2

        목적: 강직성 슬관절에 대한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하고, 수술시 문제점과 성공적인 결과를 위한 요인들을 조사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86년 7월부터 1996년 8월까지 강직성 슬관절에 대해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37례중 지속적인 장기 추시가 가능하였던 32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7명, 여자가 25명이었고, 평균 40.4세(20~63세)이었다. 추시기간은 평균 5년 2개월 (2년~11년 10개월)이었다. 슬관절의 완전 강직이 20례, 부분 강직이 12례였다. 임상적 평가는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hHSS)의 슬관절 평가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방사선학적 검사는 Knee Society roentgenographic evaluation system을 이용하였다. 결과: HSS score는 술전 평균 56.8점 (26~87)에서 술후 평균 85.6점 (64~97)으로 향상되었다. 완전 강직 되었던 20례는 술후 관절 운동 범위가 평균 75.3˚(30~115)로 향상되었고, 부분 강직 되었던 12례에서는 평균 49.5˚(15~80)에서 술후 평균 98.7˚ (60~130)로 향상되었다. 술후 관절 운동범위나 HSS score를 이용한 임상적 분석결과 대퇴사두근건의 연장술이나 경골결절의 근위 이동술을 시행한 유무에 따른 차이는 없었고, 2mm 이하의 방사선 투과선 (radiolucent line)이 2례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일반적으로 수술 수기가 어렵고 예후 또한 불량한 것으로 알려져온 강직성 슬관절에 대한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에 있어서 슬관절 주위 연부 조직 및 골의 상태, 굴곡각도, 신전 기능 유무를 정확히 평가한 후, 구축된 연부 조직의 적절한 유리술 및 연장술과 세심한 수술수기 및 적극적인 재활요법이 병행된다면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clinical and radiologic results of total knee arthroplasty in complete or partial ankylosed knee.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ly 1986 to August 1996, total knee arthroplasties were performed in 37 ankylosed knees. Of these, five patients were lost to follow-up. Thirty two patients were evaluated. The average follow up period was 5 years 2 months (2 years-11 years 10month). Average age of patients at the time of total knee arthroplasty was 40.4 years (20~63 years). There were seven men and twenty five women. Twenty patients has complete ankylosis and twelve patients had partial ankylosis. Quadriceps tendon was lengthened with the method of modified V-Y advancement technique ub 10 cases. Tibial tubercle was proximally transferred in 3 cases. Result: The postoperative average range of motion was 75.3˚ (30˚ -115˚) in complete ankylosis, 98.7˚ (60˚ -130˚) in partial ankylosis. The average HSS knee score improved from 56.8 points preoperatively to 85.6 points postoperatively. Radiolucent line was observed in two knees with less than 2mm width in 3years and 4 years postoperatively, but the patient had no pain. Conclusion: In patient selection, healthy extensor mechanism and adequate soft tissue condition are most important. With meticulous surgical technique and aggressive rehabilitation, patients can obtain reasonable restoration of function in ankylosed knee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 KCI등재

        후방십자인대 대치형 Medial Pivot Knee를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 -단기 추시 결과-

        조성도 ( Sung Do Cho ),염윤석 ( Yoon Seok Youm ),정지영 ( Ji Young Jeong ),박기봉 ( Ki Bong Park ) 대한슬관절학회 2009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1 No.1

        목적: 후방 십자 인대 대치형 Medial Pivot Knee를 사용한 슬관절 전치환술 후 최소 2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환자들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0월부터 2006년 2월까지 PS Advance(R) Medial Pivot Knee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고 최소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48명(70예)을 대상으로 하였다. 술전 및 술후 슬관절의 관절운동 범위, 대퇴 경골간 각, Knee Society (KS) 슬관절 점수 및 합병증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 슬관절의 관절 운동 범위는 술전 굴곡 구축 6.3°, 후속 굴곡 116.4°에서 술후 굴곡 구축 1.9°, 후속굴곡 120.5°로 호전되었다. 대퇴 경골간 각은 술전 내반 4°에서 술후 외반 5.5°로 호전되었다. 슬관절 점수는 술전 46점에서 술후 87점으로, 슬관절 기능 점수는 술전 37점에서 술후 83점으로 향상되었다. 합병증으로는 치환물 주위 골절 2예와 경골 삽입물의 실패가 1예에서 발생하였다. 결론: 후방 십자 인대 대치형 Medial Pivot Knee를 사용한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고 최소 2년 추시 결과 만족할 만한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보였다. Purpose: To evaluate minimum 2-year follow-up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TKA) with a posterior cruciate ligament (PCL) substituting (PS) Medial Pivot Knee. Materials and Methods: Seventy knees in 48 patients, who could be followed up more than 2 years after TKA with PS Advance(R) Medial Pivot Knee from October 2004 to February 2006,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The evaluations included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range of motion (ROM), tibiofemoral angle, Knee Society (KS) knee and function score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Results: The ROM increased from preoperative mean flexion contracture of 6.3° and further flexion of 116.4° to a postoperative mean flexion contracture of 1.9° and further flexion of 120.5°. The tibiofemoral angle changed from preoperative varus 4° to postoperative valgus 5.5°. The KS knee and function score improved from 46 and 37 before surgery to 87 and 83 after surgery, respectively (p<0.05). The complications were 2 cases of periprosthetic patellar fracture and 1 case of early failure of the tibial component. Conclusion: The minimum 2 year follow-up results after TKA with PS Medial Pivot Knee were satisfactory.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원위 대퇴골의 계측 및 여성형 치환물의 적합성

        박형택 ( Hyung Taek Park ),최선진 ( Sun Jin Choi ),박종훈 ( Jong Hoon Park ),하정민 ( Jung Min Ha ) 대한슬관절학회 2008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0 No.2

        목적: 최근 남녀간 대퇴골의 계측학적 차이를 고려한 여성형 슬관절 치환물이 등장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수술 중 원위 대퇴골의 계측과 여성형 슬관절의 적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환자 중 여자 환자 10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중 대퇴골절제 이후, 절단부의 크기를 6군데로 나누어 측정하였고, 두 가지 삽입물 중 측정치에 가까운 대퇴 슬관절 치환물을 사용하였으며, 같은 크기에 속하는 치환물에서 여성형 슬관절 치환물이 적용된 환자군(1군)과 고식적 슬관절 치환물이 사용된 환자군(2군)의 계측학적 차이와 적합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58예에서 여성형 슬관절 치환물이 적용되었고(58%), 내외측 전방 크기를 제외한 수치에서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여성형 슬관절 치환물을 사용한 빈도는 size C에서 33.4%, size D는 57.4%, size E는 70.4%로 나타났고, 5%에서 치환물과 대퇴골 사이에 내외측 불일치가 관찰되었다. 치환물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대퇴골의 전후방 길이에 대한 내외측 길이비가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한국인에서 작은 대퇴골을 가진 여성은 고식적 치환물이 더 적합하고, 큰 대퇴골을 가진 여성에 있어 기존의 고식적 삽입물보다 여성형 치환물이 형태학적인 적합성을 가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여성형 슬관절은 술 중 대퇴골의 크기를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e new prosthesis was introduced for female recently considering anthropometric differences of distal femur between male and female. We evaluated th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of distal femur and compatibility of gender knee prosthesis in total knee replacement. Materials and Methods: The candidates were 100 female patients who underwent total knee replacement. We measured the size of resection site which was divided into 6 areas after resection of femur. According to this result, we made a decision which prosthesis would be better fit. Group 1 was whom gender knee prosthesis was used in and group 2 was whom conventional knee prosthesis was used in. Results: Gender knee prosthesis was used in 58cases out of 100 cases (58%).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surements between group 1 and 2 except anterior flange lengths (p<0.05). Gender knee prosthesis was chosen in 33.4% of size C, in 57.4% of size D, in 70.4% of size E. There were less than 5% discrepancies of width between components and femur. The larger the femur, the lesser the ML/AP ratio. Conclusion: Conventional knee prosthesis is adequate to who has smaller distal femur and gender knee prosthesis is adequate to who has larger distal femur in total knee replacement. It is thought that we may select gender knee prosthesis considering the size of femur intraoperatively.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의 10년 이상 장기 추시 결과

        성상철,박윤근,김충현,이명철 대한슬관절학회 2003 대한슬관절학회지 Vol.15 No.1

        목적: 슬관절 전치환술 후 10년 이상 장기 추시가 가능하였던 환자에서 후향적으로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하고 실패의 원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1985년 1월부터 1992년 3월까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에서 시행한 슬관절 전치환술 중 10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110명, 156예의 슬관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퇴행성 관절염(DA) 105예, 류마토이드 관절염(RA) 45예, 기타 6예이었으며 후방십자인대 보존형(CR)이 139예, 후방십자인대 치환형(PS)이 17예, 시멘트를 사용한 예가 71예,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은 예가 15예, 그리고 hybrid 슬관절 전치환술이 70예이었다. 사용된 삽입물은 Press Fit Condylar(PFC) 형이 133예, Miller-Galante(MG)형이 16예, 기타 7예이었고 슬개골은 140예에서 치환술을 시행하였으며 16예에서는 보존하였다. 임상적 평가는 Hospital for Special Surgery(HSS)의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방사선적 평가는 미국슬관절학회의 방사선적 평가법을 사용하였다. 삽입물의 생존율에 대한 분석은 실패의 기준을 슬관절 재치환술을 시행한 경우로 정하였고, Kaplan-Meier의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통계학적으로는 t test를 이용하였다. 결과: 술전과 최종 추시 시의 HSS 점수는 술전 51.7점에서 86.4점으로 상승하였고 슬관절 운동범위는 술전 101.3도에서 112.7도로 향상되었다. DA와 RA군의 비교에서 관절운동범위의 향상 정도는 DA군에서 더 많은 향상이 있었다(P<0.05). PFC 형과 MG 형의 비교시 술후 HSS 점수는 각각 87.2점, 77.9점으로 PFC형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실패한 예 또한 각각 7예(43.8%), 7예(5.3%)로 MG 형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슬개골 치환 여부에 따른 결과에는 차이가 없었고 후방십자인대 보존 여부에 따른 비교와 시멘트 사용여부에 따른 고정방법의 비교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재치환술은 모두 14예 시행되었고 그 원인으로 무균성 해리 6예, 심부 감염 3예, 슬개골 치환물 합병증 5예이었다. Kaplan-Meier에 의한 생존률은 술후 10년에 93.0%, 14년에 88.8%이었다. 결론: 본원에서 시행한 슬관절 전치환술은 술후 동통 감소 등 뚜렷한 기능향상을 가져왔으며 특히 metal-backed 슬개골형의 초기 모델을 제외하고는 장기 생존율을 보이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Purpose: We purpose to analyse the clinical and radiologic results of total knee arthoroplasty and long term survival rate and to assess the cause of failure. Methods & Materials : W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156 TKAs(110 patients) from January 1985 to March 1992 followed up for more than 10 year. These series of 110 patients included 20 men and 90 women,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2 years 3 months(range 10~18 years). In primary diagnosis, there were Degenerative Arthritis (DA) 105 knees, Rheumatoid Arthritis(RA) 45 knees, others 6 knees. Of 156 knees, there were 139 Cruciate-Retaining type(CR), and 17 Posterior-Stabilized type(PS). Both femoral and tibial component was fixed with cement in 71 knee, 15 knee were fixed without cement, and only one component was fixed with cement in 70 knees(Hybrid). Press Fit Condylar(PFC) prosthesis were 133, Miller Galant(MG) were 16, and others 7. 16 cases of patella were preserved and 140 knees were resurfaced. The clinical outcome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HSS and American Knee Society scoring system and radiologic analysis was made by tibiofemoral angle and radiolucent line by American Knee Society system. Results : The HSS score was improved from 51.7 to 86.4 and ROM was improved from 101.3° to 111.7°. The last ROM was improved in DA group than RA, and HSS score of PFC prosthesis was higher than Miller-Galante. The failure were seven(5.3%) in PFC, but seven (43.8%) in MG. The survival rate was 93.0% after 10 years, and 88.8% after 14 years when the endpoint was defined as revision arthroplasty. The arthroplasty fails due to wear, aseptic loosening and deep infection and patellofemoral complication. Conclusion : The total knee arthroplasty is a safe, durable, and predictable procedure and has a long survivorship if we select the proper prosthesis.

      • KCI등재

        슬관절 재치환술 후 관절운동 범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최영준 ( Young Joon Choi ),이기원 ( Ki Won Lee ),김정환 ( Chung Hwan Kim ),안형선 ( Hyung Sun Ahn ),황재광 ( Jae Kwang Hwang ),김재현 ( Jae Hyoun Kim ),주윤석 ( Youn Suk Joo ),조병규 ( Byeong Kyu Jo ) 대한슬관절학회 2010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2 No.3

        목적: 슬관절 재치환술 후 임상 결과를 알아보고 관절운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NexGen(R) LCCK 치환물을 이용하여 슬관절 재치환술을 시행 받은 환자 55명, 61예를 대상으로 운동 범위를 측정하고 이와 환자의 연령, 체질량 지수, 술 전 관절운동 범위, 변형, 재치환술의 원인 (감염군과 비감염군) 및 폴리에틸렌 삽입물(구속형과 후방십자인대 보완형) 등과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임상적 결과의 평가와 방사선학적 평가는 미국슬관절학회 점수와 미국슬관절학회 방사선학적 평가지침을 이용하였다. 결과: 관절 운동범위는 술 전 평균 113.7o에서 술 후 평균 127.2o로 호전되었다. 술 전 관절운동 범위 (p=0.000)와 원인질환(p=0.006)이 술 후 관절운동 범위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고, 연령(p=0.386), 체질량 지수(p=0.054), 변형 정도(p=0.218) 및 폴리에틸렌 삽입물의 종류(p=0.195)는 술 후 운동범위와 상관 관계가 없었다. 슬관절 점수 및 기능 점수는 각각 술전 평균 31.7점, 27.9점에서 술 후 평균 86.7점, 64.7점으로 호전되었다. 결론: NexGen(R) LCCK를 이용한 슬관절 재치환술은 만족할 만한 임상 결과와 운동 범위를 얻었으며 술전 관절운동 범위와 원인 질환이 술 후 운동 범위와 연관성이 있었다. 구속형 폴리에틸렌 삽입물을 사용한 경우 후방십자인대 보완형 삽입물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운동 범위의 소실은 없었다. Purpose: We aimed to analyze the clinical results and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range of motion (ROM) after revision total knee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We measured the range of motion from 61 knees of 55 patients who underwent revision total knee arthroplasty using the Nexgen(R) LCCK and we investigated the factors affecting the postoperative ROM, including age, the body mass index (BMI), the preoperative ROM, deformity, causes of revision (septic vs. aseptic) and the type of polyethylene inserts (constrained vs. posterior-stabilized). The clinical results and radiographic findings were assessed using the American Knee Society Score and the roentgenographic method of the American Knee Society. Results: The mean range of motion was improved from 113.7o to 127.2o. The preoperative ROM (p=0.000) and diagnosis (p=0.006)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postoperative ROM, yet age (p=0.386), BMI (p=0.054), deformity (p=0.218) and the type of polyethylene insert (p=0.195) were not related to the postoperative knee ROM. The American Knee Society Knee Score and Function Score on average was improved from 31.7 and 27.9 points to 86.7 and 64.7 points, respectively. Conclusion: The range of motion and clinical results were satisfactory after revision total knee arthroplasty using the Nexgen(R) LCCK, and th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range of motion after operation were the preoperative ROM and the causes of revision. The range of motion after arthroplasty using the constrained type polyethylene insert was not inferior to that using the posterior-stabilized insert.

      • KCI등재

        슬관절 동통에 대한 평가에 있어 Likert 척도와 Numeric Rating Scale과의 상관관계

        최충혁 ( Choong Hyeok Choi ),김석환 ( Suk Hwan Kim ),이영석 ( Young Seok Lee ),강창남 ( Chang Nam Kang ) 대한슬관절학회 2011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3 No.1

        목적: 슬관절 동통을 평가하는데 흔히 사용되는 미국슬관절학회 슬관절 점수에 포함된 Likert 척도의 한글 번역판을 숫자 등급 척도(numeric rating scale, NRS)를 사용하여 검정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6월부터 2009년 6월까지 본원에서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술받기 위해 입원한 환자 98명(제1군), 슬관절 전치환술 후 1년 이상(범위: 1-5년) 추시한 환자 141명(제2군), 슬관절염에 대하여 보존적 치료중인 환자 111명(제3군)의 슬관절 동통의 정도를 Likert 척도에 의한 동통의 정도와 NRS에 의한 동통 정도를 동시에 평가하여 두 척도 간의 상관관계를 Pearson 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총 350명의 환자의 Likert 척도에 의한 동통의 정도와 NRS의 상관관계는 -0.91이었다. 두 척도간의 상관관계는 제1군 -0.75, 제2군 -0.78, 제3군 -0.68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Likert 척도는 NRS와 강한 상관 관계를 보여 슬관절 동통의 정도를 측정함에 있어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Likert scale and the numeric rating scale (NRS) have been widely used to evaluate knee pain.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ompare the Likert scale and the NRS. Materials and Methods: The records of 350 patients who had painful knees were investigated from June 2008 to June 2009.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Group 1 included 98 patients who were admitted for total knee replacement, while group 2 consisted of 141 patients who underwent total knee replacement within a minimum of 1 year (range: 1 to 5 year), and group 3 included 111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conservative methods. We simultaneously evaluated the Likert scale and the NRS and we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 using Pearson``s correlation test. Result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Likert scale and the NRS was -0.91.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each group was -0.75 (group 1), -0.78 (group 2), and -0.68 (group 3), respectively. Conclusion: The Likert scale was correlated with the NRS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scales for evaluating knee pain. It is believed that the Likert scale is another useful tool for expressing knee pain.

      • KCI등재

        고도 굴곡형 슬관절 전치환술 후의 기능평가

        송영준 ( Young Joon Song ),하철원 ( Chul Won Ha ) 대한슬관절학회 2009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1 No.1

        목적: 고도 굴곡형 슬관절 전치환술의 결과를 한국인의 생활 방식과 관련한 기능에 주안점을 두어 분석하고, 술 후 임상 결과를 평가하는 여러 방법들 중 어떠한 것이 이를 잘 반영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Scorpio-flex 치환물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 266예를 최소 1년 이상 추시 관찰하였다. 기능적 평가는 양반다리로 앉기, 쪼그려 앉기, 무릎 꿇기, 바닥에서 일어서기, 의자에서 일어서기, 계단 오르기 및 계단 내려가기가 가능한지를 설문지로 평가하였다. 기존의 평가 방법(미국 슬관절 학회 슬관절 점수, 슬관절 기능 점수, WOMAC점수 그리고 환자 만족도)들이 이러한 기능들을 평가하는데 적합한지를 통계 분석하였다. 결과: 슬관절의 최대 굴곡 각도는 최종 추시 시 평균 132.6도였다. 양반다리로 앉기는 90.6%, 쪼그려 앉기는 32.3%, 무릎 꿇기는 28.0%, 바닥에서 일어서기는 66.9%, 의자에서 일어서기는 99.6%, 계단 오르기는 96.2%, 계단 내려가기는 90.6%에서 가능하다고 응답하였다. WOMAC 점수 및 슬관절 점수는 이러한 각 기능 평가 항목에서 해당 활동에 대한 군 간의 차이를 모두 잘 반영하였으며 슬관절 기능 점수 및 환자 만족도는 일부 항목에서 군 간의 차이를 반영하지 못하였다. 결론: 고도 굴곡형 슬관절 전치환술 후 양반다리, 의자에서 일어서기, 계단 오르내리기는 양호한 결과를 보이나 쪼그려 앉기와 무릎 꿇기의 회복은 부족하였다. 술 후 임상 평가 지표 중에서는 WOMAC과 슬관절 점수가 고도 굴곡 기능과 관련하여 좋은 평가 방법으로 판단되며 슬관절 기능 점수 및 환자 만족도는 일부 기능과는 관련되지 않아 기능 평가에 이용 시 주의를 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functional result of High-Flex (HF) total knee arthroplasty (TKA) with focusing on the activities related to the Korean life style, and we identified the suitability of the presently used tools for performing functional evaluation.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266 knees that underwent HF-TKAs with using a Scorpio-flex and the follow up period for all the knees was over 1 year. Functional evaluation was performed by questionnaire on activities, including cross-leg sitting, squatting, kneeling, standing from the floor, standing from a chair and ascending and descending stairs. The clinical evaluation included the Knee Society Knee Score (KSKS) & Function Score (KSFS), the WOMAC score and the patient`s satisfaction score. The identification of suitable tools for the functional evaluation of high flexion activities was performed by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Deep flexion of the knees averaged 132.6˚. Cross-leg sitting was possible for 90.6%, squatting for 32.3%, kneeling for 28.0%, standing from the floor for 66.9%, standing from a chair for 99.6%, ascending stairs for 96.2% and descending stairs for 90.6%. The WOMAC score and KSKS well differentiated the groups for the possibility of their activities, but the KSFS and patient`s satisfaction did not differentiate between the groups for some activities. Conclusion: The functional evaluation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with HF-TKA revealed good results on cross-leg sitting, standing from chair, ascending & descending stairs, but still poor results on squatting and kneeling. For the functional evaluation of HF-TKA, we believe that the WOMAC and KSKS are good evaluation tools. The KSFS and the patient`s satisfaction need careful interpretation when using these for high flexion-related functional evaluation due to their lack of ability to differentiate between good and poor results by some activities.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경골 골결손시 골쐐기를 이용한 자가골 이식술

        홍기도,하성식,정남식,심재천,서세익 대한슬관절학회 2002 대한슬관절학회지 Vol.14 No.2

        목적: 심한 내반 변형에 따른 경골 내과 골결손의 슬관절염 환자에게 골쐐기를 이용한 자가골 이식술 방법으로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후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하여 이 수술방법의 유용성을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 1998년 7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내과 골결손이 있어 골이식과 시멘트성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해안 1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경골 근위부를 절제한 후 골결손부위를 대퇴 원위부와 경골 상단부의 절제되어진 골을 전후면 사진상에서 쐐기모양으로 만들어 결손 부위에 압축 고정을 시켰다. 초기 안정성을 위해 나사못이나 K-강선을 사용하는 대신에 골결손부의 처리시 외곽의 경화성 골조직을 그대로 유지하고 골쐐기와 정확한 모양으로 디자인하여 압축 고정만을 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평가 방법으로 HSS Knee rating scale을 이용하였고 방사선 사진상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HSS 슬관절 점수는 술전 평균 52.4점에서 술후 1년에 84.7점으로 향상되었고 대퇴경골각은 평균 17.8˚ 내반에서 수술 후 추시 1년에 5.8˚ 외반을 보였다. 이식골의 평균 유합 기간은 5개월이었으며 자가 이식된 골편의 전위나 삽입물의 해리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골쐐기를 이용한 자가골 이식술은 나사못이나 K-강선 사용 없이도 비교적 견고하게 고정하여 안정성을 얻을 수 있는 수술 방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usability of autogenous bone graft with bone peg in total knee arthroplasty in the patients with tibial medial bone defect from osteoarthritis due to severe varus deformity.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ly 1998 to December 2000, fifteen total knee arthroplsties with autogenous bon graft were performed for the medial tibial bone defects. The proximal tibia was resected and then bone pegs which were prepared from resected portion of distal femur and proximal tibia were inserted into the defect site with the shape of peg in the anterior posterior view using press fitting method. Instead of applying screw of K-wire, we performed press-fitting method for early stability. For attaining the stability, we preserved the sclerotic rim and designed precisely the bony defect site, We reviewed the result using the HSS Knee Rating Scale and observed the radiologic change. Results: In HSS Knee Rating Scale review, 52.4 of preoperative score was improved to 84.7 at postoperative 1 year. Tibio-femoral angle, the average 17.8˚ of varus was improved to the average 5.8˚ of valgus at 1 year postoperatively. The average union period was 5 months, and there was no evidence of the displacement of grafted bone and loosening of the inserted implants. Conclusion: The method of autogenous bone graft applied with bone peg could be supposed as the stable fixation method without using screws of K-wi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