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운동과 염증지표

        조재혁 한국스포츠학회 2022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0 No.2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an exercise program that can positively improve the level of inflammation by examining how exercise affects the inflammatory index through several previous studies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and inflammatory index. There is this. Several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moderate-intensity aerobic exercise can reduce the levels of inflammatory markers such as CRP, TNF-α, and IL-6. It can be confirmed that CRP, CPK, IL-6, and TNF-α levels at rest are reduced by reducing body weight, insulin resistance, and intravascular inflammatory response due to decreased cytokine production in cells, so cardiovascular disease, coronary artery disease, etc. For prevention, long-term moderate aerobic exercise may help reduce the inflammatory response. A significant number of studies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and inflammatory response have observed the change in the level of the inflammatory index during or immediately after exercise, and it would be desirable to exercise with the type or intensity of exercise in which the level of the inflammatory index does not change or shows small fluctuations in the amount of increase. However, considering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evel of the inflammation index at rest through physical adaptation to the level of the inflammation index increased by exercise after long-term training, a longitudinal study is needed to examine the effect of exercise on the inflammation index for a long time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운동과 염증지표의 관계를 살펴본 여러 선행연구들을 통해 운동이 염증지표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고 긍정적으로 염증지표 수준을 개선시킬 수 있는 운동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중등도 강도의 유산소 운동이 CRP, TNF-α, IL-6 등의 염증지표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부분은 여러 선행연구에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규칙적이고 지속적인 중등도 강도 수준의 운동은 지방, 근육 단핵세포에서 사이토카인 생성 감소로 인한 체중, 인슐린 저항성 감소와 혈관 내 염증반응을 감소시켜 안정시 CRP, CPK, IL-6, TNF-α 수준을 감소시킴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심혈관질환, 관상동맥질환 등의 예방을 위해서는 장기적인 중등도 유산소 운동이 염증반응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운동과 염증반응과의 관계를 살펴본 상당수의 연구는 운동 중이나 운동 직후 염증지표 수준의 변화를 관찰하여 염증지표 수준이 변화가 없거나 증가량이 작은 변동폭을 보이는 운동의 형태나 강도로 운동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라 말하고 있으나 장기적 트레이닝 후 운동으로 증가된 염증지표 수준에 대한 신체적응을 통해 안정시 염증지표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본다면 향후 염증지표에 대한 운동의 효과를 장기간 살펴볼 수 있는 종단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8주간 걷기운동과 아사이베리 섭취가 중년여성의 염증지표에 미치는 영향

        남상남,강희원,Nam, Sang-Nam,Kang, Hui-Won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4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2 No.12

        본 연구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8주간 걷기운동과 아사이베리 섭취를 통하여 심혈관 질환의 위험요인인 염증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40-50대의 경기도 A시에 거주하는 심혈관 질환 및 대사성 질환이 없고 규칙적으로 운동에 참여한 경험이 없는 신체적으로 건강한 사람을 대상으로 아사이베리 섭취그룹(AB), 걷기운동과 아사이베리 섭취그룹(WE+AB), 걷기운동그룹(WE)으로 구분하여 걷기운동은 8주, 주 3회, 일일 60분간 실시하고 아사이베리 섭취는 8주, 매일 아침, 저녁 식사 전 5g을 100㎖의 물과 함께 희석시켜 섭취하고 8주 전 후 심혈관 질환의 위험요소인 염증지표를 살펴보였다. 그 결과 아사이베리 섭취그룹, 걷기운동과 아사이베리 섭취그룹, 걷기운동그룹의 염증지표 변인인 WBC(white blood cell), Albumin, ESR(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CRP(C-reactive protein)에서 긍정적인 향상을 보였으며 Albumin에서만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8주간 걷기운동과 아사이베리 섭취를 통하여 심혈관질환의 위험요소인 염증지표를 개선하기에는 다소 기간이 부족하다고 사료되며 향후 염증지표의 개선의 효과를 위해서는 8주 이상의 장기간 운동과 아사이베리 섭취에 대한 추후 연구와 운동방법, 강도 및 섭취량 등의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effect of walking exercise with acaiberry ingestion for 8 weeks on inflammatory markers of middle age women. The participators were aging from 40 to 50 aging healthy women. The first group is classified to ingest acaiberry(AB), the second group is classified to walking exercise with acaiberry ingestion(WE+AB), and third group is classified to just walking exercise(WE). The program was doing walking exercise 3 times per week for 8 weeks. Acaiberry ingestion is after walking exercise for 8 weeks. The amount of the acaiberry is 5g acaiberry dilutes with 100mg water to inhale before breakfast and dinner to monitor CRP of each group before ingest acaiberry and 8 weeks later how to change CRP and cardiovascular disease. Consequently, all of three groups such as: acaiberry ingestion group, walking exercise with acaiberry ingestion group, and just walking exercise group, has positive effect with WBC(white blood cell), Albumin, ESR(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CRP(C-reactive protein), but Albumin increases very small amount of gaze. Therefore, this study has no longer period time for research, and in the future there should be more concrete and various studies, such as adding more exercise of method, intensity, and measure of ingestion for supporting this study.

      • KCI등재

        비만아동의 최대운동후 부교감신경계 활성도와 심혈관계 질환 위험 인자 및 염증지표와의 관련성

        변재경,정수정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2013 운동과학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4-6학년(11세~13세) 학생을 대상으로 비만집단(n=21), 일반집단(n=19) 그리고 주 4회, 2년 이상 운동에 참여하고 있는 운동집단(n=20)의 부교감신경계 활성도 및 심혈관계 질환 위험 인자, 염증지표와 비만이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확인하고, 부교감신경계 활성 지표인 HRR이 아동의 심혈관계 질환 위험 인자 및 염증지표와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모든 피검자들은 Bruce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GXT 검사를 시행하였다. 회복시심박수(HRR)는 운동부하검사 직후 운동 시 도달한 최고 심박수에서 회복시 1분, 2분 또는 3분 동안의 심박수를 뺀값으로 정의하였다. 회복단계를 위한 프로토콜은 트레드밀이 완전히 멈출 때까지 최대운동 후 30 초간 가볍게 걷기를 시행하였다. 비만집단은 일반 및 운동집단에 비해 부교감신경계 활성도가 저조하고 심폐체력이 낮게 나타났으며, 심혈관계 질환위험인자 및 염증지표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아동에게 있어서 비만이 이러한 요인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부교감신경계 활성도(HRR)와 심혈관계 질환 위험 인자 및 염증지표와의 상호관련성이 나타난 것은 부교감신경 활성지표인 회복시심박수가 아동의 심장질환에 대한 위험도를 조기에 발견하기위한 지표로 활용 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which influence the obesity has upon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activation, which relationship HRR as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activity index has with children`s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nd inflammatory markers, and which influence the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has upon relationship between cardiorespiratory fitness and inflammatory marker, in obesity group(OG:10.6±.5, n=21), general group(NG:10.8±8, n=19), and exercise group(EG:11.1 ±.8, n=20). All subjects were carried out GXT(graded exercise test) by using Bruce protocol. HRR immediately after exercise stress testing defined as the decrease in heart rate from peak exercise to 1, 2 and 3 minutes into recovery(peak heart rate minus 1, 2 and 3 minutes heart rate of recovery) was determined. The protocol for recovery stage includes a 30-second lightly walk after peak exercise as the treadmill decelerates to a complete stop. As a result, this study came to the following findings:the obesity group was indicated to be lower in the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activation and in the CRF compared to the NG and EG. In light of having been shown to be high in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nd inflammatory markers, the children`s obesity is judged to have negative influence upon these factors. Also, what the correlation was indicated between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activation(HRR)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 inflammatory markers through this study could be confirmed that the heart rate recovery, which is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activity index, can be utilized as a marker for early discovering children`s cardiovascular disease risk level.

      • KCI등재

        12주간의 유산소운동과 통근수단 전환이 중년 남성의 체력, 인슐린 저항성, 염증지표 및 간기능에 미치는 영향

        허다솜 ( Da Som Heo ),김예영 ( Yae Young Kim ),정원상 ( Won Sang Jung ),이만균 ( Man Gyoon Lee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5 체육과학연구 Vol.26 No.1

        선진 외국에서는 통근수단으로서 자가용 대신 대중교통을 이용함으로써 부가적으로 발생하는 신체활동이 건강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국내의 관련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12주간의 유산소운동과 대중교통으로의 통근수단 전환이 중년 남성의 체력, 인슐린 저항성, 염증지표 및 간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이 연구의 대상자는 최근 5년 이상 지속적으로 자가용을 이용해 온 체질량지수 25kg·m-2 이상의 30~50대의 사무직 중년 남성 44명이었다. 이들을 자가용을 계속 이용하면서 유산소운동을 실시한 운동집단(n=14), 자가용 이용을 중단하고 대중교통으로 전환한 전환집단(n=15), 그리고 자가용을 계속 이용하면서 특별한 처치 없이 기존의 생활 패턴을 유지한 통제집단(n=15)에 무선 할당하였다. 운동집단은 주 3회, 일일 30분의 유산소운동을 실시하였고, 전환집단은 통근수단을 대중교통으로 전환하여 주 5회, 일일 최소 20분의 보행을 유도하였다. 처치 전ㆍ후에 체력, 인슐린 저항성, 염증지표, 그리고 간기능과 관련된 변인을 측정한 후 반복 이원변량분석을 이용하여 집단 간, 그리고 검사 간에 비교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체력과 관련된 모든 변인이 운동집단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전환집단의 경우 오른손 악력, 제자리멀리뛰기, 사이드스텝, 그리고 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2) 인슐린 저항성과 관련된 모든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운동집단과 전환집단에서 개선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3) 염증지표와 관련하여 운동집단과 전환집단에서 TNF-α가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IL-6와 CRP가 개선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4) 간기능과 관련하여 전환집단에서 ALT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12주간의 유산소운동이 체력과 염증지표 및 인슐린 저항성의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통근수단을 자가용에서 대중교통으로 전환한 것만으로도 유산소운동 못지 않게 체력, 염증지표, 인슐린 저항성, 그리고 간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다. 시간이 부족하여 운동 참여가 줄어드는 현대인에게 있어서 대중교통으로 통근수단을 전환하는 시도는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신체활동량을 증가시키고 건강수준을 개선하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crement of physical activity for 12 weeks through aerobic exercise training or change from own vehicle to public transportation for commuting on physical fitness, insulin resistance, inflammatory markers, and liver function in middle-aged men. Forty-four subjects, aged 30-50 yr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one of three groups, i.e., aerobic exercise training group (TR: n=14), change to public transportation group (PT: n=15), or control group (CON: n=15). Subjects in TR performed aerobic exercise for 30 min per sessions, three sessions per week, subjects in PT changed from their own vehicle to public transportation for commuting, and subjects in CON maintained their life patterns during the same intervention period. Physical fitness, insulin resistance, inflammatory markers, and liver function were measured at pre- and post-test,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repeated two-way ANOVA. Main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All variables related to physical fitness improved significantly in TR. Right grip strength, standing long jump, side step test, and sit-and-reach improved significantly in PT. 2)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all variables related to insulin resistance, the variables tended to be improved in TR and PT. 3) TNF-α decreased significantly in TR and PT. IL-6 and CRP tended to be improved in TR and PT; however, the changes di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t level. 4) ALT decreased significantly in PT. AST and γ-GT tended to be improved in TR and PT; however, the changes di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t level. It was concluded that the 12 weeks of change to public transportation as well as aerobic exercise training would be beneficial for physical fitness and inflammatory markers. These interventions also would be possible to improve insulin resistance and liver function. The increment of physical activity through change from own vehicle to public transportation was found to be equally beneficial for health promotion compared to aerobic exercise.

      • KCI등재

        젊은 여성들의 건강체력과 염증지표들간의 상관관계

        정재현 ( Jae Hyun Jung ),조정호 ( Jung Ho Cho ),강익원 ( Ick Won Kang ),신말연 ( Mal Ryun Shin ),최혜진 ( Hea Jin Choi ),이지현 ( Ji Hyun Lee ),최보인 ( Bo In Choi ),김희정 ( Hee Jung Kim ),김선민 ( Sun Min Ki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8 체육과학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젊은 여성들의 건강체력과 염증지표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여자대학생 61명을 무선추출 하였고, 대상자들의 신체적 특성을 측정하였다(age: 18.68±0.99yrs, BMI: 22.59±3.09Kg/m2). 건강체력요인으로는 배근력, 윗몸앞으로굽히기, 윗몸 일으키기, 스텝테스트, 신체조성등을 측정하여 전강체력점수를 산출하였고, 채혈을 통하여 염증인자인 CRP, TNF-α, IL-6를 분석하였다. 자료의 통계는 다중상관분석, 단순선형회귀분석, Durbin Watson Test 등이 사용되었다. 건강체력과 염증지표들간의 다중상관분석결과로 젊은 여성의 건강체력 수준과 CRP가 유의한 상관관계(r=-0.302, p<.05)가 성립되었고, 건강체력과 TNF-α, IL-6와는 상관관계가 성립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들로 젊은 여성의 CRP농도가 높을수록 건강체력 수준이 낮게 나타남으로써 부적인 상관관계가 성립되었다. 젊은 여성의 건강체력 향상과 적절한 염증지표 유지에 적합한 운동프로그램의 개발과 올바른 생활정보의 고급화 및 확산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며, 이와 관련하여 더 많은 대상자의 체력상태 및 염증지표 등을 고려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related physical fitness and inflammatory markers in young females. Sixty-one college females (age: 18.68±0.99, BMI: 22.59±3.09)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Health related physical fitness(HPF) measures included back-strength, sit and reach, sit-up, step test and body composition as assessed by inflammatory markers included C-reactive protein(CRP), interleukin-6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TNF-α) were measured using the standardized medical measurement procedures. Analysis of multiple correlation, analysis of linear regression, and Durbin Watson Test were used to examine the associations of health related physical fitness and inflammatory markers. There were on significantly differences between HPF and IL-6, TNF-α. But, a negativ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HPF and CRP(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flammatory markers may be related to health related physical fitness. Further research is suggest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s of inflammatory markers and young females.

      • KCI등재

        재활운동프로그램이 요통산재근로자의 통증과 염증지표에 미치는 영향

        김상국,이상욱,김재희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0 No.3

        Background: Inflammation may be one mechanism that causes low back pain (LBP). Although regular exercise has an anti-inflammatory effect,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s of exercise on serum inflammatory markers and back pain in patients with LBP.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 8-week exercise intervention on back pain and serum C-reactive protein (CRP), interleukin-1β (IL-1β), and interleukin-6 (IL-6) levels in automotive workers with LBP. Methods: Male workers (n=15) with LBP completed an 8-week multi-component exercise program. Age-matched healthy men (n=11) without back pain served as the control group (CG). Levels of serum inflammatory markers, back flexibility, and back pain using a visual analogue scale were measured at baseline and after the 8-week intervention. Results: After 8 weeks, serum CRP levels were lower compared with baseline (P<0.05) in the exercise group (EG), whereas IL-1β and IL-6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Back flexibility improved (P<0.001) and back pain decreased (P<0.05) in the EG. No significant changes occurred in back pain, back flexibility, and serum inflammatory marker levels in the CG over the same period. Conclusions: CRP and back pain were both reduced and back flexibility improved with exercise in subjects with LBP suggesting that exercise may play a role in reducing inflammation in subjects with LBP. This would lead to improvement in pain and physical function. 연구배경: 염증반응은 요통을 유발하는 원인 중 하나로 밝혀지고 있다. 규칙적인 운동은 염증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운동이 요통 환자들의 혈중 염증지표들과 통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요통산재근로자들을 대상으로 8주간 재활운동 프로그램 실시 전후의 요통수준과 혈중 염증지표들인 C-reactive protein (CRP), interleukin-1β (IL-1β), interleukin-6 (IL-6) 수준 등에 변화가 있는지를 조사하는 데 있다. 방법: 요통산재요양을 마친 남자 근로자들 15명으로 구성된 운동군의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8주간의 복합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대조군은 요통이 없는 건강한 남성들 11명으로 구성되었다. 모든 피험자를 대상으로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허리유연성, hs-CRP, IL-1β, IL-6과 시각적 통증평가표에 의한 요통수준을 측정하였다. 결과: 운동군의 경우 운동프로그램 실시 후 혈중 염증지표들 중 CRP 수준만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IL-1β와 IL-6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운동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통증의 감소(P<0.05)와 유연성의 증가(P<0.001)를 보였다. 대조군에서는 모든 측정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요통근로자에게서 운동은 혈중 CRP 양과 요통의 감소 및 유연성 향상을 가져왔다. 이는 요통 환자에게서 운동의 염증감소 효과가 통증감소와 체력향상과 관련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8주간의 유산소성 체조활동을 통한 뇌병변 장애인의 체력 및 염증반응지표 변화

        허금 ( Keum Heo ),김광준 ( Kwang Jun KIm ),김권일 ( Kwon Il Kim ),박동호 ( Dong Ho Park ),전태원 ( Tae Won Jun ),송욱 ( Wook Song ) 한국특수체육학회 2009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뇌병변 장애인을 대상으로 8주간의 유산소성 체조활동을 실시하여 신체조성, 체력 및 염증반응지표의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피험자는남·녀 뇌병변장애 중 대표적인 뇌졸중 장애인 17명을 대상으로 시작되었지만 9명이 중도포기하여 최종 8명이 참가하였다. 운동 프로그램 참여 전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기본적 변인으로 신장, 체중, Body Mass Index(BMI), 안정시 심박수, 안정시 혈압을 측정하고, 체력 변인으로는 체간 굴곡과 신전, 견관절 굴곡과 신전의 유연성과 악력을 통한근력, 폐활량을 통한 폐기능을 측정하였다. 또한 혈액성분으로는 혈중지질, 그리고 심혈 관질환 위험인자인 염증반응지표로서 C-reactive protein(CRP), Interleukin-6(IL-6), Tumor Necrosis Factor-α(TNF-α)를 분석하였다. 8주 유산소성 체조활동 프로그램은 매회50분씩 주 2회 실시하였으며, 운동강도는 운동자각도(RPE) 수준 13으로 유지하였다. 뇌병변 장애인의 유산소성 체조활동 프로그램 참여 후 운동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전체 집단에서 안정시 수축기혈압과 이완기혈압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1). 또한 체력 요인에서는 체간 굴곡과 신전(p<.05), 건측의 견관절 굴곡과 신전(p<.01), 환측의 견관절 굴곡(p<.05)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혈액 성분의 분석 결과 혈중지질에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염증반응지표의 경우 IL-6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5), 유의하지는 않으나 CRP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p<.088). 결론적으로, 지속적이고 규칙적인 유산소성 체조활동은 뇌병변 장애인의 안정시 심박수와 혈압 및 체력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심혈관질환의 위험요소로 알려져 있는 염증반응지표를 개선하는 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the effect of aerobic gymnastic exercise for eight weeks on physical fitness and inflammatory markers which are known as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s in hemiplegic disabled after cerebral stroke. For this purpose, stroke patients(n=8) participated in aerobic exercise training 2 days/week, 50 mins/day, for 8 weeks and maintained at 13 level of RPE. Body composition, resting heart rate and blood pressure were measured before physical fitness test. Trunk flexion/extension, shoulder flexion/extension, grip strength, pulmonary function were measured as physical fitness test. Blood sample of 15ml was drawn from antecubital veins for measuring inflammatory markers(c-reactive protein, interleukin-6, tumor necrosis factor-α).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Resting blood pressure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8-week aerobic exercise training in total stroke patients (p<.01). After completion of the aerobic exercise program, trunk extension/flexion(p<.05), shoulder extension/fexion(p<.01),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otal stroke pati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improvement on blood lipid profiles in total stroke patients. However, IL-6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stroke patients after 8-week aerobic exercise(p<.05).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s that regular aerobic gymnastic exercise decreases resting heart rate and blood pressure, and improves physical fitness, inflammatory markers which are known as a risk factor of cardiovascular diseases in person with disability occurred due to hemiparetic stroke

      • KCI등재

        요통을 동반한 비만노인의 요부복합운동이 혈중지질과 혈관염증지표에 미치는 영향

        공현중,홍지영,황은진,김석화,김정은,이상욱 대한운동학회 2014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6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umbar combined exercise on serum lipid levels and inflammatory factors by applying the exercise to the elderly with chronic back pain. [METHOD] The subjects include a total of 21 senior citizens (the exercise group: 10, the control group: 11) whose average age was 73.76 (±6.84) years old at the senior citizens' center at G Welfare Center in Seoul. The exercise group received lumbar combined exercise three times a week over a total of 12 weeks by using the HubEX System (Daeyang Mechanics, Seoul, KOR), which measures isometric and isotonic muscular strength. The exercise increased by 3~5% per week by the strength of 1RM 15~50% with each set containing 100 repetitions or fewer. A fasting blood test was administered to examine changes to body composition, serum lipid levels, blood glucose, and inflammatory factors before and after lumbar combined exercise. For data processing, a normality test was performed for prior values with one Kolmogorov Smirnov sample. Once normality was secured across all the variables of measurement,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parametric test called repeated measures two-way ANOVA.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05 for all tests. [RESULT] After the lumbar combined exercis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DL in serum lipid levels between the periods (p<.05).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lso found in the inflammatory factor IL-6 between the periods (p<.01), but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it was the effect of the exercise since the control group as well as the exercise group showed a decreasing tendency. [CONCLUSION] In short, lumbar combined exercise will have a difficult time making a significant improvement with the serum lipid level and the Vascular Inflammation Indexes. Future study needs to apply various types of exercise (time, frequency and intensity) and examine in details their effects on pain relief, serum lipid, Vascular Inflammation Indexes, and physical strength including muscular strength.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요통을 동반한 비만노인의 요부복합운동이 혈중지질과 혈관염증지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서울시에 소재한 G 복지관 노인정의 평균연령 73.76(±6.84)세의 비만노인 총 21명(운동군 10명과 통제군 11명)이며, 운동군을 대상으로 등척·등장성 근력 측정 장비(HubEX System, Daeyang Mechanics, Seoul, Korea)를 이용하여 요부복합운동을 주 3회씩 총 12주간 실시하였다. 운동은 40~60분 동안 1RM 15~50% 강도로, 매주 3~5%씩 증가시키면서, 세트 당 100회 이하로 실시하였다. 요부복합운동 프로그램 전·후에 신체구성, 혈중지질, 혈관염증지표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해 사전값에 대하여 One sample Kolmogorov Smirnov를 통해 정규성 검증을 실시하였고, 모든 측정변인에서 정규성이 확보되어 모수검정인 반복측정 이원변량분석(repeated measures 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모든 검정의 통계적 유의수준은 α=.05로 하였다. [결과] 요부복합운동 실시 후 혈중지질에서 HDL은 시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염증변인에서 IL-6 농도는 시기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1), 운동군 뿐만 아니라 통제군에서도 감소한 경향을 보여 운동의 효과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생각한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요부복합운동은 요통을 동반한 비만노인의 혈중지질과 혈관염증지표에 의미 있는 영향을 보이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어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운동양식(시간, 빈도, 강도)을 적용하여 통증완화 정도와 혈중지질, 혈관염증지표, 근력 등의 체력에도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상세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골프스윙 훈련 프로그램이 비만 남자대학생의 혈중 지질, 인슐린 저항성 및 염증 지표에 미치는 영향

        최현민,김승환 한국골프학회 2020 골프연구 Vol.14 No.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9주간 골프스윙 훈련 프로그램을 통하여 비만 남자 대학생의 혈중지질, 인슐린 저항성 및 염증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방법] 혈중지질, 인슐린 저항성 그리고 염증 지표는 혈액분석을 이용하여 측정한 후 두 집단의 수준을 비교하였다. [결과] 혈중지질은 골프스윙운동 집단에서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은 유 의하게 감소하였고,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인슐린 저항성은 골프스윙운동 집단에서 공 복 인슐린과 HOMA-IR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염증 지표는 골프스윙운동 집단에서 IL-6에서만 유의하게 감소하였 다. 하지만 통제 집단의 경우 모든 측정 항목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골프스윙 훈련 프로그램은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의 감소와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지방대사와 혈중지질 개선 에 기인할 것으로 판단되고, 공복 인슐린과 HOMA-IR의 감소는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켜 당대사능력에 효과가 있 으며, IL-6의 감소는 염증 지표를 저하시켜 면역 기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Purpos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golf swing training program on blood lipids, insulin resistance and inflammatory marker of obese male college students. [Method] The subjects in golf swing training program for intensity of RPE 11-13, four times per week for 1-5weeks and intensity of RPE 13-15, four times per week for 6-9weeks, whereas subjects in control were asked to maintain their normal life pattern for the same intervention period. All subjects were asked not to change their physical activity pattern and energy intake throughout the intervention period. [Result] Triglycerides (TG) and Total cholesterol (TC)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golf swing training program group. Fasting plasma insulin and HOMA-IR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golf swing training program group. Interleukin-6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golf swing training program group. [Conclusion] It was concluded that 9 weeks of golf swing training program would be beneficial for blood lipids, insulin resistance and inflammatory marker in obese male college students.

      • 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